[include(틀:역대 일본 내각총리대신)]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1C20B2 0%, #4449D3)" '''{{{#C3C965 하마구치 오사치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역대 일본 재무대신)]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1C20B2 0%, #4449D3)" '''{{{#c3c965 [[일본 내각총리대신|{{{#C3C965 일본 제국 제27대 내각총리대신}}}]][br]{{{+1 하마구치 오사치}}} 濱口雄幸 | Hamaguchi Osachi }}}''' }}} || ||<-2>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Hamaguchi_Osachi.jpg|width=100%]]}}} || ||<|2> '''출생''' ||[[1870년]] [[5월 1일]] || ||고치번 [[나가오카]]군 고다이산촌 (現 [[고치현]] [[고치시]]) || ||<|2> '''사망''' ||[[1931년]] [[8월 26일]] (향년 61세) || ||도쿄부 도쿄시 (現 [[도쿄도]]) || ||<|2> '''재임기간''' ||제27대 내각총리대신 || ||[[1929년]] [[7월 2일]] ~ 1931년 [[4월 14일]][* 후술된 테러 피해로 인해 [[시데하라 기주로]] 외무대신이 [[1930년]] [[11월 14일]]부터 [[1931년]] [[3월 10일]]까지 약 4개월동안 권한대행을 맡았다. 사실 하마구치 총리가 연혁상으로는 여전히 현임이었기 때문에 엄밀히는 권한대행이 아니라 '임시 대리'가 되어야 했지만 워낙 입원 기간이 길어 시데하라 외무대신은 사실상 권한대행으로 활동했다.]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배우자''' ||하마구치 나츠 || || '''자녀''' ||2남 3녀 || || '''학력''' ||제3고등중학교[* 1949년 신학제 개편 때 [[교토대학]]에 통합되었다.] {{{-2 (졸업)}}}[br][[도쿄대학|제국대학]] 법과대학 {{{-2 (정치학과 / 학사)}}} || || '''정당''' ||[include(틀:입헌민정당)] || || '''지역구''' ||고치 1구 || || '''의원 선수''' ||'''6''' (중) || || '''의원 대수''' ||12, 13, 14, 15, 16, 17 || || '''약력''' ||[[고등문관시험]] 합격 대장성 관료 제4대 체신차관[* 現 총무성 사무차관. 원래 우정성 사무차관이었으나 2001년 중앙성청 개편 때 총무성과 통합되면서 총무성 사무차관으로 바뀌었다.] 제8대 대장차관[* 現 재무성 사무차관] 중의원 의원 제25대 대장대신 제43대 내무대신 초대 입헌민정당 총재 제27대 내각총리대신 ||}}}}}}}}} || [목차] [clearfix] == 개요 == [[일본 제국]] [[쇼와]]시기의 일본 재무 관료, 정치가이다. 품계는 정2품, 훈일등욱일동화대수장(勲一等旭日桐花大綬章, くんいっとうきょくじつとうかだいじゅしょう)을 받았다. 호는 공곡(空谷). 일본 제국 대장대신(29대, 30대), 내무대신(43대), 내각총리대신(27대), 입헌민정당 총재 등을 역임한 당시 일본의 주요 정치가 중 한명. 근엄한 풍채 덕에 '사자 재상' 이란 별명이 있다. 장기간 성실한 재무 관료 생활을 하였고 총리로서는 상당한 대중적 지지를 등에 업고 대중국 평화외교와 [[금해금]], [[런던 해군 군축조약]] 참가 등 강력한 긴축경제를 추구하였으나 [[대공황]]에 직면하면서 좌절한 인물이다. == 생애 == === 초기 === 고치번[* 출생 당시 판적봉환으로 도사국은 고치번이 되었다.] 나카오카군 오대산(현재의 [[고치현]])의 임업을 하는 집안에서 3형제 중 막내로 태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래 이름은 [[유키오]](幸雄)로 지어졌지만 그의 아버지가 [[출생신고]]하러 갈 때 가면서 술을 마셔대다보니 관청에 도착했을땐 만취상태라서 이름을 앞뒤 반대로 기입한 게 관청에 수리되어 오사치(雄幸)가 되었다는 일화가 있다. 고등학교 때까지는 고치에 있는 학교를 다녔고 제국대학(현 [[도쿄대학]])[* 현 도쿄대학은 도쿄대학이라는 이름으로 개교했다. 개교 당시의 이 도쿄대학을 구제 도쿄대학, 현재를 신제 도쿄대학으로 구별해 부른다. 도쿄대학은 1886년 제국대학으로 개칭되고 예과가 제1고등학교로 분리되었으나 1897년 [[교토제국대학]]이 개교하자 제국대학 간 구별을 위해 도쿄제국대학으로 또 한 번 개칭되었다. 그러나 종전 후인 1947년 제국대학령이 폐지되어 식민지를 제외한 각지의 제국대학들은 '제국'이 삭제되었다. 그리고 2년 뒤에 제1고등학교를 비롯한 구제고등학교들을 도로 통합하여 모두 신제대학으로 개편되었다. 하마구치가 졸업할 당시는 도쿄제국대학으로의 개칭 전이니 제국대학이라는 이름이 맞다.] 법학부로 진학, 1895년 졸업한다. 대학 동창회가 나중에는 정치 네트워크로 발전했다고 한다. 이후 대장성으로 들어가 전매국 장관, 대장성 정무차관 등을 지냈고 1915년 입헌 동지회에 입당, 중의원 의원직에 당선된 대의원이 된다. [[가토 다카아키]] 내각의 대장대신을, 제1차 [[와카쓰키 레이지로]] 내각의 내무대신을 맡았다. === 총리 시절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external/www.kantei.go.jp/souri27.jpg|width=100%]]}}}|| || 27대 총리 취임 후 || 입헌민정당 초대 총재가 되어 [[황고둔 사건|장쭤린 폭살사건]]의 책임으로 내각 총사퇴를 한 [[다나카 기이치]]를 뒤이어 내각 총리 대신으로 취임했으며 강력한 긴축과 대중국 평화외교를 내걸고 강력한 대중적 지지를 등에 업어 강력하게 개혁을 추진하였다. 전 일본은행 총재인 이노우에 준노스케를 대장대신으로 가용하여 [[금해금]]을 단행함과 동시에 [[와카쓰키 레이지로]] 전 총리를 [[런던 해군 군축조약]]의 일본측 특명 전권대사 수석대표로 임명한다. 이전의 해군 군축 회담에서는 모두 해군 출신 장성들이 수석대표가 되었으나 하마구치 오사치는 아예 순수 정치가인 와카쓰키 레이치로를 수석대표로 밀어넣고 자신이 해군대신 사무섭행이라는 형태로 해군대신의 사무를 일시 담당하는 형태로 지원해, 해군 강경파와 야당인 입헌 정우회의 반대를 모두 뿌리치고 조약을 채결하였다. 재무관료로서 잔뼈가 굵은 하마구치 오사치는 당시 일본의 국력으로는 도저히 미국과 경쟁할 수 없다는 것을 명확히 이해하고 있었던 것으로 보이며, 일본의 모든 국력을 다 쏟아부어도 양국(영국+미국)의 해군력을 따라잡을 수 없다고까지 말할 정도였다. 거기다 1차대전 이후 장기간의 적극재정이 정계, 재계, 군부 간 유착을 심화하고 있다고 인식하고, 강력하게 긴축정책을 유지하여 일본의 경제 체질을 개선해야 한다고 인식했던 것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대공황]]이라는 경제충격에 직면하여 하마구치가 추구하던 강력한 긴축정책은 사태를 더 심하게 약화시켰으며 심각한 디플레이션이 민생을 압박하고 사회 불안을 증대시켰다는 비난을 받기도 한다. 대공황과 금해금은 어찌되었든 강력한 대중적 지지를 기반으로 하던 하마구치 내각의 지지도를 크게 추락시켰으며 이상황에서 밀어붙인 해군 군축조약 채결은 결국 야당과 해군의 격렬한 반대를 사 '통수권 간범문제'를 야기한다. 당시의 일본 법제상 군통수권이 공식적으로는 [[천황]]에게 귀속되고 그것을 실질적으로 행사하는 것은 해군 군령부에게 맡겨져 있었는데 하마구치 내각이 이들의 주장을 수용하지 않고 해군 조약을 채결한 것은 잘못된 것이며, 조약 채결 후 국방의 안전을 선언한 것은 월권이자 천황의 통수대권을 침범하는 행위라는 주장. 해군 함대파가 처음 제기한 이 주장에 당시 야권이던 입헌 정우회와 우익 세력들이 합류하여 대정부질문까지 던졌던 것이다. 이는 해군 군축조약에 대한 열렬한 대중적 지지 앞에서 함대파였던 가토 히로하루 당시 군령부총장이 사임하고 조약파 제독이 후임 총장으로 임명되고 이후 추밀원에서도 원로인 [[사이온지 긴모치]]의 찬성으로 조약이 가결되면서 마무리되었으나, 뒤이은 암살 사건의 이유가 된다. 1930년 11월 14일, 하마구치 총리는 [[도쿄역]]에서 천황의 통수권을 침범했다면서 우파 청년 사고야 도메오(佐郷屋留雄)의 총에 맞는다.[* 이후 1933년에 사형 판결, 34년에 무기징역으로 감형되어, 1940년 11월에 가석방된다.] 즉시 [[도쿄제국대학]]병원으로 이송되어 장의 30%를 적출하는 대수술을 받고 목숨을 건지게 된다. 입원 중에는 [[시데하라 기주로]] 당시 외무대신이 총리 권한대행을 맡았다. 상처가 호전되면서 1931년 1월 21일 하마구치 총리는 퇴원하였으나 야당인 정우회의 등원 요구를 받았고, 3월 10일 완치되지 않은 몸으로 중의원에 등단해, 11일에는 [[귀족원(일본)|귀족원]] 회의에도 참석하였으나 이게 무리가 되어 다시 상처가 악화되어, 4월 4일 재입원하고 5일 수술을 받으면서 총리직 속행 불가능을 인정하고 사퇴하였다. 이후 완치를 위해 요양하는 등 노력하였으나 차도가 없어 8월 26일 결국 사망한다. == 여담 == 일본 정치인으로서는 매우 드물게도 요정정치나 사전교섭을 통한 타협을 배제하고 정면으로 정국을 풀어나간 정치인 중 한명이었으며 그리고 그것이 먹혔던 것은 강력한 대중적 지지가 있었기 때문이다. 당시 일본에는 이전까지의 군비팽창과 전쟁기조에 반대하는 정치가나 군인들이 여려명이 있었지만 하마구치 오사치처럼 완고하고 강직하게 밀어붙인 인물은 없었다. 그점이 대중적인 지지를 받았던 것으로 여겨진다. 그가 죽으면서 일본이 서서히 극렬 군국주의화되기 시작했다. [[메이지 유신]] 이후에 태어난 총리대신이다.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62CB7656-A1FD-49D3-B5C7-B44CF7117A1D.jpg|width=100%]]}}}|| 하마구치의 손녀는 [[미치코 상황후]]의 오빠이자 [[닛신|닛신제분]]의 장남 쇼다 이와오와 결혼했다. 이는 그가 황실에 끼친 영향력이 컸다는 근거였으며 위 사진은 이와오와 오사치의 손녀딸의 결혼식 사진으로, 좌측에 있는 남녀가 [[아키히토]]와 [[미치코 상황후]]다. [[분류:일본 제국 내각총리대신]][[분류:일본 제국 내무대신]][[분류:일본 재무대신]][[분류:1870년 출생]][[분류:1931년 사망]][[분류:고치시 출신 인물]][[분류:도쿄대학 출신]][[분류:일본의 테러 피해자]][[분류:고등문관시험 출신]][[분류:공무원 출신 정치인]][[분류:정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