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哈尔滨站}}} || {{{+1 Harbin Railway Station}}} || ||<-6><)>[[중국 국철|[[파일:chinarailways_white.png|height=24&align=left]]]][[중국 국철|{{{#FFFFFF '''중국 국철'''}}}]]|| ||<-6><(>{{{#ffffff,#000000 {{{+2 하얼빈역}}}[br]{{{+1 哈尔滨站}}}}}}|| ||<-2> [[쑤이펀허역|{{{#!html
쑤이펀허 방면}}}]][[썅팡역|썅 팡]][br]← 7.0 km ||<-2> [[빈쑤이철도|{{{#!html
빈쑤이철도}}}]] ||<|3><-2> {{{#gray 시종착}}} || ||<|2><-2> [[베이징역|{{{#!html
베이징 방면}}}]][[선양베이역|{{{#!html
선양베이 방면}}}]][[하얼빈시역|하얼빈시]][br]← 7.0 km ||<-2> [[징하철도|{{{#!html
징하철도}}}]] || ||<-2> [[징하고속철도|{{{#!html
징하고속철도}}}]] || ||<-2><|5> {{{#gray 시종착}}} ||<-2> [[하치고속철도|{{{#!html
하치고속철도}}}]] ||<-2> [[치치하얼역|{{{#!html
치치하얼 방면}}}]][[하얼빈베이역|하얼빈베이]][br]13.0 km → || ||<-2> [[하무고속철도|{{{#!html
하무고속철도}}}]] ||<-2> [[무단장역|{{{#!html
무단장 방면}}}]][[신썅팡베이역|신썅팡베이]][br]31.0 km → || ||<-2> [[하자철도|{{{#!html
하자철도}}}]] ||<-2> [[자무쓰역|{{{#!html
자무쓰 방면}}}]][[빈시베이역|빈시 베이]][br]43.0 km → || ||<-2> [[빈저우철도|{{{#!html
빈저우철도}}}]] ||<-2> [[만저우리역|{{{#!html
만저우리 방면}}}]][[하얼빈베이역|하얼빈베이]][br]13.0 km → || ||<-2> [[빈베이철도|{{{#!html
빈베이철도}}}]] ||<-2> [[베이안역|{{{#!html
베이안 방면}}}]][[신송푸역|신송푸]][br]13.0 km → || ||<-6><:>{{{#008200 ●}}} [[하얼빈역(지하철)|'''하얼빈 지하철 2호선으로 갈아타기''']]|| ||<-6>[include(틀:지도, 장소=Harbin Railway Station , 너비=100%, 높이=300px)]|| ||<-6> '''다국어 표기''' || ||<-2> 중국어 ||<-4> 哈尔滨 || ||<-2> 영어 ||<-4> Harbin || ||<-6> '''주소''' || ||<-6> 중국 [[헤이룽장성]] [[하얼빈시]] 다오리구 푸순가[br]中国黑龙江省哈尔滨市道里区抚顺街 || ||<-6> '''철도역 등급''' || ||<-6> 특급(特等站)[br]([[중국철도하얼빈그룹]] 관할) || ||<-6> '''역 운영기관''' || ||<-2> {{{#ffffff 모든 노선}}} ||<-4> [[중국국가철로집단|[[파일:중국국가철로그룹 로고.png|width=200]]]] || ||<-6> '''개업일''' || ||<-6> 1899년 10월 || [목차] ||[[파일:하얼빈역(2007년).jpg|width=100%]]|| || 북부역사, 2017년 8월 31일에 건립되었다. 리모델링 이전 || ||[[파일:하얼빈역.jpg|width=100%]]|| || 제정 러시아 시기 역사의 디자인을 바탕으로 리모델링을 진행한 현재 역사. 제정 시기보다 규모가 훨씬 커졌다. || [clearfix] == 개요 == [[중국]] [[헤이룽장성]] [[하얼빈시]] 시내 중심에 위치해 있으며, 1899년에 개업한 [[중국 국철]]의 철도역이며 [[중국철도하얼빈그룹]] 관할이다. 당 역사는 하얼빈신역으로도 불리기도 하며 옛 하얼빈역은 하얼빈시 샹팡구에 위치한 하얼빈샹팡역이다. [[파일:timg-11.jpg]] 1899년 [[제정 러시아]]시절 건설되어진 중동철도(중국동부철도의 약칭)상의 '쑹화강역'이라는 이름으로 개업하였으며, 1903년 7월 지금의 역명으로 개칭하였다. 헤이룽장성의 대표역이며 중국 [[만주|동북지방]]의 북부 거점이 되고 나아가 [[러시아]] 방면으로 가서 [[러시아 철도]]와 연결되는 [[만주 횡단철도]](TMR)의 주요 경유역이기도 하므로 여기서 바로 [[야로슬라브스키 역]]까지 직통하는 [[국제열차]]도 주 1회 운행한다. 덧붙여 말하지만, 화장실이 매우 더럽다. 냄새에 주의할 것. 아직 [[하얼빈 지하철]]과의 연계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추후 2호선 개통시 기차역이라는 이름으로 개통 예정. == [[안중근 의사 기념관]] == [[파일:external/img.yonhapnews.co.kr/PYH2014011908190001300_P2.jpg]] 1909년 10월 26일, 이 역에서 [[안중근]] 의사가 [[이토 히로부미]]를 [[안중근 의사 하얼빈 의거|저격해 처단한 사실]]은 널리 알려져 있다. 세월이 흘러 그 자리는 보도블럭과 화단 등으로 뒤덮여져 실제 저격지점이 어딘지 몰랐으나, 2006년에야 저격지점 타일이 새로 만들어졌다. 2014년에는 안중근 의사 기념관까지 건립되어 번듯한 [[성지]]가 되었다. [[파일:1534501871581.jpg]] '''▶ 타일은 안중근이, ◆ 타일은 이토 히로부미가 있었던 자리''' 2006년에야 부표용 타일만 하나씩 있었을 뿐 별다른 표지석이 없었던 상황이라서 2006년부터 한국 정부에서 요청을 해왔으나 성과가 없었고, 2013년에 박근혜가 정상회담에서 요청을 한 뒤에야 요청이 받아들여진 것이다. 좀 늦었지만 표지석만 요청했는데 기념관으로 돌아왔으니 그래도 고마운 일이다. 다만 중국 입장에서는 [[중일관계|대일 외교]]에 부담이 되는 일이기 때문에 한국과 일본은 물론이고 '''북한'''도 모르게 기념관을 지었다고 한다. 그래서인지 역사적 비극에 대한 기억을 지키려는 의도의 인도적 차원의 개관이 아닌 정치적 전략의 결과물로 지어진 것이라는 [[http://korean.ruvr.ru/2014_03_12/269032543/|의견]]도 있으며, 2017년 사드문제 여파 당시 역 확장공사 때문에 조선민족예술관 건물로 2년간 임시 이전했다. == 같이 보기 == * [[안중근]] * [[안중근 의사 하얼빈 의거]] * [[이토 히로부미]] * [[일본 제국]] * [[러시아 제국]] * [[러시아]] * [[제국주의]] * [[한중관계]] * [[만주]] (동북 3성) [[분류:1899년 개업한 철도역]][[분류:중국의 철도역]][[분류:하얼빈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