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대학입시)] [include(틀:한국대학교육협의회)] [[파일:한국대학교육협의회 CI.svg|width=200]] [목차] [[http://kcue.or.kr/index.htm|홈페이지]] [[http://www.law.go.kr/법령/한국대학교육협의회법|한국대학교육협의회법 전문]] == 개요 == ||'''한국대학교육협의회법''' '''제1조(목적)''' 이 법은 한국대학교육협의회를 설립·육성하여 대학 운영의 자주성과 공공성을 높이고 대학 간의 협조를 통하여 대학교육의 건전한 발전을 도모함을 목적으로 한다. '''제2조(설립)''' ① [[대학]]([[사범대학]] 및 [[교육대학]]을 포함하되 대학의 단과대학은 제외한다. 이하 같다)의 장은 제1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한국대학교육협의회(이하 "협의회"라 한다)를 설립한다. ② 협의회는 [[법인]]으로 한다. ③ 협의회가 설립되면 대학의 장은 당연히 그 회원이 된다. '''제19조(유사명칭의 사용금지)''' 이 법에 따른 협의회가 아니면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또는 이와 유사한 명칭을 사용하지 못한다.[* 이를 위반하여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또는 이와 유사한 명칭을 사용한 자는 [[과태료]]의 제재를 받는다(한국대학교육협의회법 제21조).] '''제20조(「[[민법]]」의 준용)''' 협의회에 관하여 이 법에서 규정한 것 외에는 「[[민법]]」 중 [[사단(법인)|사단법인]]에 관한 규정을 준용한다.|| 전국 4년제 대학의 학사, 재정, 시설 등 주요 관심사에 대하여 의견을 모아 정부에 건의하여 정책에 반영하게 하는 단체. 약칭은 대교협이다. 보통 우리가 알고 있는 4년제 일반대학, [[교육대학]] 및 [[산업대학]]과 [[육군사관학교]], [[해군사관학교]], [[공군사관학교]], [[국군간호사관학교]], [[경찰대학]]이 회원으로 들어가 있다. 참고로, 4대 [[과학기술원]][* [[KAIST]], [[GIST]], [[DGIST]], [[UNIST]]. 과기원은 법적으로 대학이 아닌 고등교육기관이다.], [[한국예술종합학교]]는 대교협 회원이 아니다. 주소는 [[서울특별시]] [[금천구]] 서부샛길 606, A동 22~23층 (가산동, 대성디폴리스)이다. ~~사실 [[대한민국 교육부|교육부]] 2중대~~[* 대교협 예산이 원래 대학들의 회비로 운영되어야 정상이지만 실제 예산중 2%만이 회원대학들이 낸 회비수입이고 나머지 98%정도는 교육부나 [[교육청]]의 외부예산을 지원받아 운영되기 때문에 대학들의 권익보호를 위해 교육부의 정책에 관여하기보다 교육부의 정책을 무조건 따르게 되는 모습때문에 나오는 이야기이다.] ~~4년제 [[대학교]]들의 [[갑]]~~[* [[입학사정관제]]와 관련해서는 확실히 갑이 맞다. 입학사정관제 지원사업의 지원여부를 결정하는 곳이 바로 대교협이고 그에 대한 가이드라인까지 제공해 주는 곳이기 때문이다.] 원래 [[사단법인]]이었으나 '한국대학교육협의회법'이 제정, 시행됨에 따라 [[특수법인]]으로 전환되었다. 매년 교육부 관련 유관기관 관련 단체로 [[대한민국 국회|국회]] [[국정감사]]를 수감한다. 비슷한 기관으로 한국전문대학교육협의회가 있다. === 연혁 === || 1982.04.02 || 창립총회(97개 대학) || || 1982.04.08 || 사무실 업무 개시 (서울 여의도)[* 교직원공제회 건물에 더부살이를 했다고 한다. 나중에 [[국정감사]]에서 문제가 되어서 이사를 하게 된 것.] || || 1982.10.08 || [[사단법인]] 설립 인가 || || 1984.04.10 || 한국대학교육협의회법 제정 공포(법률 제3727호) || || 1988.02.08 || 부설 고등교육연구소 개설 || || 1995.05.03 || 고등교육연수원 개설 || || 1995.12.14 || 대학진학정보센터 개설 || || 2008.02.01 || 사무실 이전 (서울 마포구 상암동) || || 2009.09.10 || 대입상담센터 개설 || || 2009.09.21 || 부설 대학평가원 개설 || || 2010.09.30 || 사무실 이전 (서울 서초구 헌릉로)[* 한국연구재단 서울청사 건물 4층과 5층에 더부살이를 하였었다.] || || 2011.01.01 || 대학정보공시센터 개설 || || 2012.12.05 || 사무실 이전(서울 금천구 가산동)[* 이때가 되어서야 대교협 소유의 사무실이 존재하게 되었다. 그 전에는 더부살이를 하거나 전세살이를 하고 있었다는 것. [[전문대학교육협의회]]가 시작부터 자신들의 건물을 가지고 시작한것과 대조되는 부분] || === 역대 회장 === 대교협의 회장은 대학교의 현직 총장들이 맡아서 하게 되어 있다. 여기 나온 사람들은 당시 그 대학의 총장이었다는 얘기. 현 회장은 [[2023년]] [[4월 8일]]에 취임한 [[장제국]] [[동서대학교]] 총장이다. || 순서 || 성명 || 대학명 || 임기 || || 초대 || 박길진 || [[원광대학교]] || || || 2대 || 장충식 || [[단국대학교]] || || || 3대 || 권영찬 || [[건국대학교]] || || || 3대 || 김치선 || [[숭실대학교]] || || || 4대 || 조완규 || [[서울대학교]] || || || 5대 || 박영식 || [[연세대학교]] || || || 6대 || 김희집 || [[고려대학교]] || || || 7대 || 김종운 || [[서울대학교]] || || || 7대 || 정덕기 || [[충남대학교]] || || || 8대 || 김민하 || [[중앙대학교]] || || || 8대 || 윤형섭 || [[건국대학교]] || || || 9대 || || || || || 10대 || || || || || 11대 || || || || || 12대 || || || || || 13대 || || || || || 14대 || || || || || 15대 || [[이배용]] || [[이화여자대학교]] || 2009.06.30 ~ 2010.04.07 || || 16대 || [[이기수]] || [[고려대학교]] || 2010.04.08 ~ 2011.02.08 || || 17대 || [[김영길]] || [[한동대학교]] || 2011.03.01 ~ 2012.04.07 || || 18대 || [[함인석]] || [[경북대학교]] || 2012.04.08 ~ 2013.04.07 || || 19대 || [[서거석]] || [[전북대학교]] || 2013.04.08 ~ 2014.04.07 || || 20대 || 김준영 || [[성균관대학교]] || 2014.04.08 ~ 2014.12.31 || || 21대 || 부구욱 || [[영산대학교]] || 2015.01.15 ~ 2016.04.07 || || 22대 || [[허향진]] || [[제주대학교]] || 2016.04.08 ~ 2017.04.07 || || 23대 || [[장호성]] || [[단국대학교]] || 2017.04.10 ~ 2019.04.07 || || 24대 || [[김헌영(교수)|김헌영]] || [[강원대학교]] || 2019.04.08 ~ 2020.04.07 || || 25대 || [[김인철]] || [[한국외국어대학교]] || 2020.04.08 ~ 2022.04.07 || || 26대 || [[홍원화]] || [[경북대학교]] || 2022.04.08 ~ 2023.04.07 || || '''27대''' || '''[[장제국]]''' || '''[[동서대학교]]''' || '''2023.04.08 ~ ''' || === 역대 사무총장 === 대교협 회장은 사실상 명예직이고 사무총장이 실무를 담당한다고 보면 된다. 사실상의 실권자. 물론 이사회는 회장을 비롯한 대학총장등로 구성되어서 형식상 견제는 된다. || 순서 || 성명 || 임기 || 비고 || || 1·2대 || 장인숙 || 1982.04 ~ 1990.04 || || || 3·4대 || 구병림 || 1990.05 ~ 1998.05 || || || 5·6대 || 이현청 || 1998.05 ~ 2006.05 || 임기를 마친 후 [[호남대학교]], [[상명대학교]] 총장을 역임했다. || || 7대 || 김영식 || 2006.05 ~ 2008.06 || || || 8대 || 박종렬 || 2008.07 ~ 2010.04 || || || 9대 || 성태제 || 2010.04 ~ 2011.03 || 임기를 마친 후 [[한국교육과정평가원]]장으로 갔다. 선택형 수능 A/B형을 만든 사람이다. || || 10대 || 황대준 || 2011.04 ~ 2013.04 || 대교협 사무총장으로 오기 직전 교육학술정보원장으로 재직했다. 2013년 4월 사임하였다. || || 11대 || [[이원근(교육자)|이원근]] || 2013.05 ~ 2015.04 || 현재 [[창신대학교]] 총장이다. || || 12대 || [[전찬환]] || 2015.07 ~ 2018.07 || 전직 [[강원도립대학교]] 총장이다. || || 13대 || 황홍규 || 2018.08 ~ 2021.08 || 현재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초빙교수이다. || || 14대 || 이기봉 || 현재 || === 소속 위원회 === * 대학자율화추진위원회 * 대학재정대책위원회 * 법학전문대학원대책위원회 * 사학법대책위원회 * 대학평가대책위원회 * 국공립대학발전위원회 * 국제화대책위원회 * 지방대학발전위원회 == 주요 사업 == === [[대학입시]]관련 === * 대학입학전형 기본사항 수립 * 대입상담교사단 운영 : 상담전화 1600-1615 * 대학[[입학사정관제]] 운영 : 2015학년도 입시부터 자기소개서 공통양식을 제공하고 있다. * 대입전형 위반자 심사 * 대학과목선이수제(UP) 운영 : 미국의 [[Advanced Placement|AP]]와 비슷한 것이라 보면 된다. 거의 알려지지 않았을 뿐. * 대학입학정보공시제 운영 * 대학입학정보박람회 운영 : 매년 [[코엑스]]에서 개최하는 박람회 행사다. 7월에 수시 박람회를, 12월에 정시박람회를 한다. 날짜는 바뀌어도 요일은 매년 목금토일로 동일하다. 보통 7월말, 12월 둘째주에 하는 편. === 대학평가관련 === * 산업계 관점의 대학평가 * 대학자체평가 == 사건사고 == 유독 입시쪽 사건들이 많은 편이다. 아무래도 국민적 관심사이다보니 더 많은 논란의 중심에 서는 듯. === 대교협 [[배치표]] 작성 발언 사건 === [[2010년]] 8월부터 [[2010년]] 12월까지 대교협이 많은 논란에 시달렸던 사건이다. 그 해 입시의 뜨거운 감자 중 하나. 사건의 발단은 대교협 입학전형지원실장이 '''"[[http://news.heraldcorp.com/view.php?ud=20100830000465&md=20100830103510_BC|학원 배치표에 문제가 많아서 대교협 차원에서 실태조사를 하겠다]]"'''라는 발언을 한 것. 당시 문제를 삼은 것은 [[수시]][[배치표]]로 수시전형에서는 학생부 100%전형이라고 하여도 수능최저가 걸리고, 논술이나 면접등의 전형요소가 들어가는 전형은 배치표와 같은 단순화된 잣대로는 정확한 정보를 제공할 수 없고 배치표가 대학 서열화를 조장하고 학생과 학부모에 잘못된 정보를 제공하며, 배치표가 사교육업체의 영업~~[[낚시]]~~수단이기 때문에 이를 조사해서 실태를 까발리겠다는 것. ~~모든 정책이 그렇듯이~~ [[의도는 좋았다]] 문제는 이렇게 해 놓고 저 말을 하신 분께서 갑자기 '''[[http://www.mt.co.kr/view/mtview.php?type=1&no=2010112409371451082&outlink=1|대교협에서 배치표를 만들겠다.]]'''고 선언해 버린 것. 사실 조금 더 들여다보면 일선의 상담교사들에게 입시결과 데이터를 제공해서 사설기관의 배치표보다 정확한 상담프로그램이나 컨설팅을 할 수 있게 하겠다는 의도였는데 어찌되었건 인터뷰 내용은 '''대교협에서 배치표 제공'''이 되어버린 것. 입시를 치러본 사람은 알겠지만 [[배치표]]라고 하면 대형 전지형태의 종이를 생각하지 입학상담프로그램이라고는 아무도 생각하지 않는다는 것. ~~대교협 [[관계자]]만 빼고~~ 당연히 학부모들은 대교협에 '''"배치표를 내놓아라"'''라고 했지만 현실은 [[그런거 없다]]가 되어버린 것. === 입학상담전화 불통사건 === 대교협 입학전형지원실에서는 입학상담전화로 1600-1615라는 ARS상담전화를 운영하였다. 그런데 2010년에 정부의 '''"사교육 때려잡기"''' 기조에 맞물려서 거액의 입학상담 컨설팅을 막겠다는 취지로 전화요금정도만 부담하면 입학상담을 받을 수 있는 전화상담센터를 운영하는 것을 대대적으로 홍보하기 시작한 것. 문제는 당시 대교협에서 전국단위로 확충해 놓은 상담교사의 최대 동시상담가능 전화수는 약 '''200여회선'''[* 0하나 빼먹은게 아니다. 저 숫자로 전국 수험생을 다 커버하겠다고 생각했던 것이다!!!]이었는데 당시 전국의 수험생 숫자는 '''67만명'''정도 되었다는 것. 그리고 200회선이 모두 대교협에서 고용한 직원이 아니라[* 실제 대교협 사무실에 상담센터가 있기는 하지만 이 전화 관련 직원은 10명도 안된다.] 거의 대부분은 전국 고등학교의 진로 진학 담당 교사였다는 것. 그리고 수능이 끝난 뒤 이 교사들은 전화기를 붙들고 있는 것이 아니라 자기 학교의 학생들의 입학상담을 해 주는 것이 우선업무이기 때문에 200회선이 전부 가동될 리가 없었던 것이다. 당연히 전화는 몇 시간째 불통... 당시 동시통화시도건수만 최대 3만여건에 달했었다고 [[카더라]]. 뒤늦게 각 시도 교육청에서 지원을 나서서 담당교사를 업무시간 이후에 강제적으로 전화기를 붙잡게 하였으나 애초에 구조적으로 회선이 부족한걸 어쩌란 말이야... 당연히 상담센터가 욕을 먹을 줄 알았는데 상담센터는 전화받느라 바빠서 욕전화는 애먼 다른 부서들이 받았다는 이야기가 전설로 전해온다. 결국 2011학년도 정시 원서접수가 끝나고 나서야 통화대기문제가 해결되었는데... 이때가 되면 사실 상담받을 필요가 없잖아... == 관련 문서 == * [[대학 관련 정보]] * [[대학알리미]] * [[대학입시]] * [[대한민국 교육부]] * [[입학사정관제]] * [[협회]] [[분류:대학 협회/연맹]][[분류:공직유관단체]][[분류:특수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