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한국은행 총재)]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4ea2, #035698 20%, #035698 80%, #004ea2)" [[파일:한국은행 휘장.svg|width=40]][br]{{{+1 '''한국은행 총재'''}}}[br]'''韓國銀行總裁'''[br]'''Bank of Korea Governo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이창용 총재.jpg|width=100%]]}}} || || '''현직''' ||[[이창용]] ,,/ 제27대,, || || '''취임일''' ||[[2022년]] [[4월 21일]] || [목차] [clearfix] == 개요 == ||'''한국은행법 제32조(집행간부)''' 한국은행에 집행간부로서 총재 및 부총재 각 1명과 부총재보 5명 이내를 둔다. '''제33조(총재)''' ① 총재는 국무회의 심의와 국회 인사청문을 거쳐 대통령이 임명한다. ② 총재의 임기는 4년으로 하며, 한 차례만 연임할 수 있다. '''제34조(총재의 권한과 의무)''' ① 총재는 한국은행을 대표하고 그 업무를 총괄한다. ② 총재는 금융통화위원회가 수립한 정책을 수행하며, 이 법과 정관에 따라 부여된 그 밖의 권한을 행사한다. ③ 총재는 금융통화위원회가 유의하여야 할 사항을 수시로 통보하며, 금융통화위원회의 심의ㆍ의결을 위하여 필요한 자료와 의견을 제공할 의무를 진다.|| [[대한민국]]의 [[중앙은행]]인 [[한국은행]]을 대표한다. 국무회의 심의와 국회 인사청문을 거쳐 대통령이 임명한다. 임기는 4년이며, 한 차례 연임이 가능하다. == 상세 == * 총재는 금융통화위원회의 의장을 겸하며(제13조제2항), 위원 1명을 추천할 수 있다(제13조제1항제4호). * 총재는 내우외환·천재지변 또는 중대한 재정상·경제상의 위기로 인하여 통화신용정책에 관하여 긴급조치가 필요한 경우로서 금융통화위원회를 소집할 시간적 여유가 없을 때에는 금융통화위원회의 권한 범위에서 필요한 조치를 할 수 있다. 이 조치를 하였을 때에는 지체 없이 금융통화위원회의 회의를 소집하고 그 내용을 보고하여야 한다(제26조제1항·제2항). * 총재는 금융통화위원회가 수립한 정책을 수행하며, 이 법과 정관에 따라 부여된 그 밖의 권한을 행사한다(제34조제1항). * 총재는 금융통화위원회가 유의하여야 할 사항을 수시로 통보하며, 금융통화위원회의 심의·의결을 위하여 필요한 자료와 의견을 제공할 의무를 진다(제2항). * 부총재보 이하 직원을 임명할 수 있다(제36조의2제1항·제39조). == 명단 == [include(틀:역대 한국은행 총재)] || '''정부''' || '''대수''' || '''이름''' || '''임기''' || ||<|4> [[대한민국 제1공화국]] || 초대 || [[구용서]] (具鎔書) || 1950년 6월 5일 ~ 1951년 12월 18일 || || 2대 || [[김유택(1911)|김유택]] (金裕澤) || 1951년 12월 18일 ~ 1956년 12월 12일 || || 3대 || [[김진형]] (金鎭炯) || 1956년 12월 12일 ~ 1960년 5월 21일 || || 4대 || [[배의환]] (裵義煥) || 1960년 6월 1일 ~ 1960년 9월 8일 || ||<|4> [[대한민국 제2공화국]] || 5대 || [[전예용]] (全禮鎔) || 1960년 9월 8일 ~ 1961년 5월 30일 || || 6대 || [[유창순]] (劉彰順) || 1961년 5월 30일 ~ 1962년 5월 26일 || || 7대 || [[민병도]] (閔丙燾) || 1962년 5월 26일 ~ 1963년 6월 3일 || || 8대 || [[이정환(1919)|이정환]] (李廷煥) || 1963년 6월 3일 ~ 1963년 12월 26일 || ||<|3> [[대한민국 제3공화국]] || 9대 || [[김세련]] (金世鍊) || 1963년 12월 26일 ~ 1967년 12월 25일 || || 10대 || [[서진수]] (徐軫銖) || 1967년 12월 29일 ~ 1970년 5월 2일 || ||<|2> 11대 ||<|2> [[김성환(1919)|김성환]] (金聖煥) ||<|2> 1970년 5월 2일 ~ 1978년 5월 1일 || ||<|3> [[대한민국 제4공화국]] || || 12대 || [[신병현]] (申秉鉉) || 1978년 5월 2일 ~ 1980년 7월 5일 || ||<|2> 13대 ||<|2> [[김준성]] (金埈成) ||<|2> 1980년 7월 5일 ~ 1982년 1월 4일 || ||<|4> [[대한민국 제5공화국]] || || 14대 || [[하영기]] (河永基) || 1982년 1월 5일 ~ 1983년 10월 31일 || || 15대 || [[최창락]] (崔昌洛) || 1983년 10월 31일 ~ 1986년 1월 7일 || || 16대 || [[박성상]] (朴聖相) || 1986년 1월 13일 ~ 1988년 3월 26일 || ||<|2> [[노태우 정부]] || 17대 || [[김건(1929)|김건]] (金建) || 1988년 3월 26일 ~ 1992년 3월 25일 || || 18대 || [[조순]] (趙淳) || 1992년 3월 26일 ~ 1993년 3월 14일 || ||<|2> [[문민정부]] || 19대 || [[김명호(1935)|김명호]] (金明浩) || 1993년 3월 15일 ~ 1995년 8월 23일 || || 20대 || [[이경식]] (李經植) || 1995년 8월 24일 ~ 1998년 3월 5일 || ||<|2> [[국민의 정부]] || 21대 || [[전철환]] (全哲煥) || 1998년 3월 6일 ~ 2002년 3월 31일 || ||<|2> 22대 ||<|2> [[박승]] (朴昇) || 2002년 4월 1일 ~ 2006년 3월 31일 || ||<|2> [[참여정부]] || ||<|2> 23대 || [[이성태]] (李成太) || 2006년 4월 1일 ~ 2010년 3월 31일 || ||<|2> [[이명박 정부]] || || 24대 || [[김중수]] (金仲秀) || 2010년 4월 1일 ~ 2014년 3월 31일 || || [[박근혜 정부]] || 25대 ||<|2> [[이주열]] (李柱烈) || 2014년 4월 1일 ~ 2018년 3월 31일 || ||<|2> [[문재인 정부]] || 26대 || 2018년 4월 1일 ~ 2022년 3월 31일 || || 27대 || [[이창용]] (李昌鏞) || 2022년 4월 22일 ~ 현재 || == 기타 == * 총재는 장관급 대우를 받는다. (한국은행이 독립기구라 실제 장관과는 다른 점이 많다.) * 2010년대 초반에 총재 명칭이 권위적이라 민주화 사회에 맞지 않다는 지적이 있었다. 그러나 이를 위해 지폐 디자인 전체를 변경하고, 지폐 인식 기기([[ATM]], [[자판기]] 등등)를 바꾸어야 하는 예산 문제로 변경되지 않았다. [[https://www.joongang.co.kr/article/6063089|#]] * 1980년대 이후부터, 대체로 한국은행 내부출신과 경제학자가 교대로 재임하는 현상이 보인다. 김건(한은)-조순(경제학자)-이경식(관료)-전철환,박승(경제학자)-이성태(한은)-김중수(경제학자)-이주열(한은)-이창용(경제학자) [[분류:한국은행 총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