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대한민국의 대외관계)] [include(틀:라오스의 대외관계)] || [[대한민국|{{{#!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100%]]}}}]] || [[라오스|{{{#!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라오스 국기.svg|width=100%]]}}}]] || || '''{{{+1 [[대한민국|{{{#fff 대한민국}}}]]}}}'''[br]''{{{#fff Republic of Korea}}}''[br]''{{{#fff ສາທາລະນະລັດເກົາຫຼີ}}}'' || '''{{{+1 [[라오스|{{{#fff 라오스}}}]]}}}'''[br]''{{{#fff ສາທາລະນະລັດ ປະຊາທິປະໄຕ ປະຊາຊົນລາວ}}}''[br]''{{{#fff Lao People's Democratic Republic}}}''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과 [[라오스]]의 관계. 양국은 [[냉전]] 당시에는 적대적이었지만, 90년대에 수교한 뒤에 교류가 활발해지고 있다. == 역사적 관계 == === 20세기 === 한국과 [[라오스 왕국]]은 1950년대에 서로를 승인했다. 1950년대 후반 [[이승만]]이 공산반군과 교전 중인 라오스를 지원하기 위해 파병을 고려했다고도 한다. 하지만 정식수교까진 맺지 못하다가 1975년 수교했으나 그해 라오스가 공산화되어 1975년 기존의 외교관계가 단절되었고 이후 라오스는 [[북한]]과 단독으로 교류했다. 그러다가 [[1988 서울 올림픽]]에 공식 참가했으며, 냉전이 종식된 이후 1995년 [[대한민국]]과 재수교했다. 수교 이전까지는 공산권 국가였기 때문에 한국인이 접근하거나 여행할 수 없는 [[여행금지]]국으로 지정되어 있었다. [[태국]]에서 라오스로 넘어갈 경우 '''[[외교부]]가 아닌 당시 [[국가안전기획부]](현재의 [[국가정보원]])로 권한이 넘어가서 라오스로 잠입한 한국인들을 조사하기도 하였는데 라오스에서 북한 대사관으로 도망치거나[* 당시까지만 해도 라오스는 한국과 미수교 상태라 라오스에는 한국 대사관이 없었다.] 북한 비행기 등을 타고 [[월북]]을 시도할 우려 때문'''이었다고 한다. 1995년에 양국이 국교를 수립한 이후에는 이러한 문제는 사라졌다. === 21세기 === 한국과 라오스 양국은 2000년대 이후부터 교류가 늘어나기 시작했다. 그리고 한국은 [[문재인 정권]] 시절부터 [[신남방정책]]을 추진해 라오스와의 교류를 늘리고 있다. ==== 2010년대 ==== 2016년 6월 30일, 상호 [[국방무관]] 파견에 합의했다. 초록우산어린이재단은 인도네시아와 라오스에 11만 달러 규모의 긴급구호를 투입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1&oid=001&aid=0010271001|#]] 2018년 9월 1일부터 라오스 정부는 한국인들의 무비자입국기간을 15일에서 30일로 늘렸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1&oid=001&aid=0010310792|#]] 라오스에서 [[세피안-세남노이 댐 붕괴 사고]]가 일어났지만, 사고로 인한 반한감정은 일어나지 않고 오히려 한국인에 대해서 무비자기간을 늘리고 있다고 라오스 한인회장이 밝혔다.[[http://view.asiae.co.kr/news/view.htm?idxno=2018110505153997532|#]] 그리고 2018년 11월 16일에 KT와 한국국제보건의료재단은 라오스에 의료봉사단을 파견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1&oid=003&aid=0008917483|#]] 2019년 3월 31일에 [[행정안전부]]와 유엔거버넌스센터는 [[방글라데시]], [[우간다]], [[에티오피아]], 라오스, [[부탄]] 등 5개국의 공무원 51명이 전자정부와 관련된 회의에 참석하고 한국과 전자정부협력을 한다고 밝혔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4&oid=001&aid=0010730266|#]] 해외동포책보내기운동협의회는 [[연해주]], 라오스, [[사우디아라비아]] 등의 동포들에게 2만여권의 책을 보내는 기념식을 열었고 책을 보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3&oid=001&aid=0010821644|#]] 코이카는 2019년 5월 14일에 [[비엔티안]]에서 불발탄 제거를 위한 협약을 체결했고 IT센터도 세웠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1&oid=001&aid=0010824601|#]] 라오스에 농촌개발사업을 확대하기로 합의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1&oid=001&aid=0010826922|#]] [[한글과컴퓨터]]는 라오스 우정통신부와 국정 오피스 소프트웨어 개발, 공급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1&oid=001&aid=0011008090|#]] 한국측은 일본의 영향력이 강한 라오스에서 태국, 미얀마와 함께 협력을 강화한다고 밝혔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81&aid=0003026042|#]] 문재인 대통령은 태국, 미얀마에 이어 라오스를 방문했다. 그리고 라오스의 경제성장에 한국은 동참하겠다고 밝혔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1&oid=001&aid=0011065547|#]] 또한, 한국-메콩 협력 비전도 제시했고 상생 파트너십을 강화하기로 합의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1&oid=003&aid=0009440588|#]][[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1&oid=001&aid=0011065456|#]] 그리고 김정숙 여사는 비엔티안의 아동병원을 방문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1&oid=001&aid=0011065514|#]] 코이카는 [[메콩강]] 유역4개국(캄보디아·라오스·미얀마·베트남)에 지뢰가 없는 평화마을을 조성할 계획이라고 밝혔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1&oid=001&aid=0011200447|#]] 2019년 11월 16일, 한국사랑나눔공동체가 라오스와 [[시에라리온]]에 의약품을 지원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1219534?sid=102|#]] 2019년 11월 25일에 부산에서 열리고 있는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에서 한국과 베트남, 라오스, 캄보디아는 공공행정 협력확대를 합의했고, 캄보디아, 라오스, 미얀마, 필리핀, 베트남 등 5개국과는 신남방 공적개발원조 전략의 구체적인 이행방안을 담은 양해각서를 체결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1&oid=003&aid=0009575052|#]][[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1&oid=001&aid=0011236034|#]] 그리고 11월 26일에 한국-라오스 정상회담이 개최되었고 문재인 대통령은 댐 붕괴사고이후에도 라오스가 한국 기업을 신뢰한 것에 대해 고마움을 표시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1&oid=003&aid=0009577784|#]] 수력발전에 대해서도 협력을 합의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1&oid=001&aid=0011239508|#]][[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1&oid=001&aid=0011239460|#]] 메콩 강 항만운영 정보화에 대해서 한국이 지원을 하기로 합의했고, 한국어 수업을 중학교, 고등학교에서도 실시하는 것도 합의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1&oid=001&aid=0011239425|#]][[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1&oid=003&aid=0009577706|#]] ==== 2020년대 ==== [[기상청]]은 라오스 정부가 추진하는 태풍 감시·예측 통합기반을 구축하는 사업에 참가한다고 밝혔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1&oid=001&aid=0011825986|#]] 2020년 10월 23일에 문재인 대통령은 한국과 라오스의 재수교 25주년을 기념해 라오스의 분냥 보라치트 대통령과 축하 메시지를 교환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1&oid=001&aid=0011965012|#]] 2021년 1월 11일에 불교계 [[NGO]]인 [[지구촌공생회]]는 라오스 취약계층 가정에 새 보금자리를 마련해주는 가옥 지원사업에 나섰다고 밝혔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1&oid=001&aid=0012132289|#]] [[코이카]]는 2024년까지 740만 달러를 투입해 라오스 여성 폭력 예방과 대응체계 구축에 나선다고 밝혔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1&oid=001&aid=0012277046|#]] [[인천대]]가 한국라오스교류재단과 협력하는 양해각서를 체결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5&aid=0001434478|#]] [[한국사랑나눔공동체]]가 라오스에 의약품을 보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2943738?sid=102|#]] [[인제대]]가 라오스에서 제2차 LUPIC 워크숍을 실시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2&oid=008&aid=0004705892|#]] [[안산시]]가 [[비엔티안]]시에 한국어교육원 전용 기숙사를 건립한 공로로 라오스 국무총리 노동훈장을 받았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0&oid=001&aid=0012970718|#]] 2023년 2월 6일, [[완도군]]이 비엔티안에서 완도 수산물 판촉전을 진행했다고 밝혔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3740017?sid=104|#]] == 경제 교류 == 라오스증권거래소(LSX)의 설립에 기술적 지원을 [[한국증권거래소]](KRX)에서 했으며 LSX의 지분 49%를 보유하고 있다. 한국 기업 [[코라오그룹|코라오]]가 이곳에 진출해 있다. === 2020년대 === [[아시안캐피탈]]은 라오스측과 라오스 내 자동차 대출관련 업무제휴 협약을 맺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1&oid=020&aid=0003362266|#]] 2022년 12월 12일, [[충청남도]]가 라오스와 협력해 농촌 인력 부족 문제에 나서기로 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3637704?sid=104|#]] [[카카오모빌리티]]가 라오스 시장에 진출하기로 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69/0000720904?sid=104|#]] == 문화 교류 == 한국 불교와 라오스 불교 간의 교류는 아직 거의 없는 수준이다. 한국 내에도 라오스에서 온 근로자들을 위한 불교 법당이 아직 없으며, 라오스에 진출한 한국인 법당도 없다. [[배재대학교]]는 2018년 10월 15일에 라오스 국립 수파누봉 대학교에 재료공학과를 설치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1&oid=001&aid=0010401049|#]] [[꽃보다 청춘]] 방영 이후 라오스를 찾는 [[한국인]] 관광객이 늘어나고 있고, [[한국]]의 원조가 많은 영향으로, 라오스에도 [[한류]] 바람이 불고 있다.[[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POD&mid=sec&oid=001&aid=0009326906&isYeonhapFlash=Y&rc=N|#]] [[문화재청]]은 라오스측과 공동으로 협력해서 복원중인 [[홍낭시다 사원]]의 복원, 복원하는 과정에서 한국문화재재단의 연구진들이 금동요니와 진단구를 발견했다고 밝혔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1&oid=020&aid=0003202713|#]] 한편, [[아프리카TV]]에는 '빤짜이(Panjai, 라오어로 '마음처럼')라는 라오스 출신의 BJ가 있는데, 한국 문화를 좋아하고 한국에 관심이 많았다고 한다[[https://laolaokorea.tistory.com/85|#]]. 현재도 아프리카 TV는 물론 유튜브, 인스타그램, 페이스북에서까지 생방송으로 한국어 연습하는 모습과 일상 생활들을 보여줄 때도 있다. 라오스내 중등학교 3곳에서 한국어 수업이 시범적으로 진행됐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1&oid=001&aid=0011900879|#]] === 언어 === 한국내에서 [[라오어]]는 [[특수외국어]]로 지정됐다. 그리고 라오어의 경우 한국에서 배울 수 있는 책이 적은 편이지만, [[부산외대]]에서 라오어학과를 설치했다. == 교통 교류 == 양국을 잇는 항공노선이 존재한다. 한국인 관광객들이 라오스를 방문할때 항공노선을 통해 왕래하고 있다. 티웨이항공이 부산 - 비엔티안 노선을 주 2회 신규 취항한다고 밝혔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1&oid=001&aid=0011335989|#]] == 탈북 루트 == 라오스는 아직 [[친북]]으로 치우친 나라이기에 [[탈북자]]가 잡히면 북한으로 압송해 돌려보내므로, 많은 탈북자들은 [[중국]]부터 라오스를 거쳐 [[태국]]까지 밀입국을 시도한다. 태국에서는 남한으로 보내주기 때문. == 갈등 == 2013년 중국을 거쳐 라오스로 도착해 머무르던 탈북청소년 9명을 라오스 정부가 다시 북한으로 송환한 사실이 알려져 논란이 일었다. 2017년에는 [[라오스 한인 관광객 실종 사건]]이 발생했다. 2018년 7월 24일에 라오스에서는 [[한국서부발전]], SK 등이 세운 댐이 무너지면서 다수가 숨지고 수백 명이 실종된 사태가 발생되었다.[[http://v.media.daum.net/v/20180724190819019?rcmd=rn|#]] 그래서 라오스의 SK지사와 한국 내 본사는 비상대책위원회를 꾸리고 구조활동을 지원하는 등 대응에 나섰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4&oid=001&aid=0010230645|#]] 자세한 사항은 [[세피안-세남노이 댐 붕괴 사고]] 항목 참조. 2019년 11월 19일에 라오스에서 한국인 관광객 3명이 짚트랙을 체험하던 도중에 1명이 사망하고 2명이 부상당한 사고가 발생되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1&oid=001&aid=0011226417|#]] == 대사관 == 대한민국은 [[비엔티안]]에, 라오스는 [[서울특별시|서울]]에 대사관을 두고 있다. 신성순 주라오스 대사가 라오스 정부로부터 우호 훈장을 받았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1&oid=001&aid=0011994545|#]] == 관련 문서 == * [[대한민국/외교]] / [[한국-아세안 관계]] * [[라오스/외교]] * [[신남방정책]] * [[주 라오스 대한민국 대사관]] * [[대한민국/경제]] * [[라오스/경제]] * [[한국인]] / [[라오인]] * [[한국어]] / [[라오어]] / [[대승불교]] / [[상좌부불교]] * [[대국관계일람/아시아 국가/동아시아 국가]] * [[대국관계일람/아시아 국가/동남아시아 국가]]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라오스, version=533, paragraph=12.1)] [[분류:한국-라오스 관계]][[분류:나무위키 외교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