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대한민국의 대외관계)] [include(틀:벨라루스의 대외관계)]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100%]] || [[파일:벨라루스 국기.svg|width=100%]] || || [[대한민국|{{{#ffffff '''대한민국'''}}}]][br]''{{{#fff Рэспубліка Карэя}}}'' || [[벨라루스|{{{#ffffff '''벨라루스'''}}}]][br]''{{{#fff Беларусь}}}'' || [[한국어]]: 한국-벨라루스 관계 [[벨라루스어]]: Карэйска-беларускія адносіны [[러시아어]]: Корейско-белорусские отношения [목차] == 개요 == [[대한민국]]과 [[벨라루스]]의 관계. 양국은 1992년 2월 10일에 수교했다.[* 벨라루스는 [[북한]]과도 동년에 수교했다. 북한 사람이 입국하기가 그나마 쉬운 국가지만 교류가 그렇게 많지는 않다.] 한국과 교류는 적은 편이다. 벨라루스 내에도 [[고려인]]들이 거주한다. == 역사적 관계 == [[연해주]] 지역에는 우크라이나인만큼 많은 수는 아니었지만 적지 않은 [[벨라루스인]]들도 이주 정착하였다. 직접적인 계기는 [[표트르 스톨리핀]]의 시베리아 개발 과정에서 시베리아로 이주하는 농민들에게 이런저런 혜택을 주면서 이주를 장려한 것인데, 러시아 각지에서 연해주로도 이주가 이어는 과정에서 적지 않은 수의 벨라루스인 인구 역시 연해주 지방에 정착하게 된 것이다. 이렇게 연해주로 이주해온 벨라루스인들은 고려인들과도 조우했음은 물론이다. 한 때 고려인 인구가 상당히 많았던 연해주 지방은 스탈린의 강제 이주 정책으로 고려인들이 대부분 중앙아시아로 강제이주당하면서 러시아인과 우크라이나인, 벨라루스인 등 슬라브계 주민이 대다수를 차지하게 되었다. 소련 치하에서 연해주 일대의 벨라루스인들은 연해주의 우크라이나계들이 흔히 그렇듯 성씨만 벨라루스계, 우크라이나계를 쓴다 뿐이지 대개는 여타 러시아인들과 동화된 상황이다. 소련 시절 인구 조사에 따르면 [[벨라루스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에는 1979년 기준 478명, 1989년 기준 638명의 [[고려인]] 인구가 거주하였다고 한다. === 21세기 === 1992년에 대한민국과 벨라루스는 수교하면서 외교관계를 수립하게 된다. ==== 2010년대 ==== 2010년에 양국 경제인들은 경제교류 활성화에 대해 논의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9/0002020350?sid=101|#]] 2014년 3월 24일에 코트라는 민스크에 무역관을 개설했다고 밝혔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8/0002954351?sid=101|#]] 행정안전부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은 2018년 10월 14일에 벨라루스 대통령 직속 위원회인 법과학조사위원회가 국과수와 협력을 모색하기 위해 방한한다고 밝혔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3&oid=001&aid=0010398756|#]] 한국의 화장품 회사인 미샤는 벨라루스에 4, 5호점을 동시에 개점했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3&oid=001&aid=0010914013|#]] 2019년 5월 18일에 [[문희상]] 국회의장은 주한 벨라루스 대사를 만났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03&aid=0009293482|#]] 5월 28일에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은 벨라루스 국립과학원과 민스크에서 양 기관간 상호협력을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5&oid=014&aid=0004236142|#]] ==== 2020년대 ==== 2020년 9월 22일에 벨라루스를 방문한 올렉 코줴먀코 연해주 주지사와 만난 자리에서 [[알렉산드르 루카셴코|루카셴카]] 대통령은 자국의 건설업 경쟁력을 밝히다가 일본인이나 한국인들마저 우리들을 앞서지 못할 것이라고 발언(!)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3&oid=001&aid=0011900846|#]] 12월 15일에 관세청은 벨라루스 관세 직원들을 대상으로 온라인 연수를 실시했다고 밝혔다.[[https://m.yna.co.kr/view/AKR20201215063500002|#]] 2022년 2월 14일에 안드레이 체르네츠키 주한 벨라루스 대사가 문재인 대통령으로부터 신임장을 제정받았다. 2022년은 한국-벨라루스 수교 30주년인 해이기도 하다. 3월 4일 황희 문화체육부장관이 스포츠 분야에서 러시아와 벨라루스에 대한 제재가 담긴 공동서명을 발표하였다. 2022년 3월 6일 대한민국 정부가 벨라루스에 대한 수출통제를 조치하였다. 3월 25일 기획재정부는 3월 26일부터 러시아와 벨라루스에 반도체 등 57개 비전략물자 품목을 수출할 때 정부의 허가를 받는 대러 통제 조치를 실시한다고 밝혔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2D&mid=shm&sid1=104&sid2=231&oid=020&aid=0003418648|#]] 무역액과 무역량이 제법 있는 러시아와는 다르게, 벨라루스가 차지하는 교역의 비중은 매우 적기에, 한국 수출경제에 크게 문제가 되지는 않는다. 2023년 2월 24일, 산업통상자원부는 무기로 활용될 가능성이 높은 기계, 자동차 등 741개 품목의 러시아, 벨라루스 수출을 금지한다고 밝혔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3778125?sid=104|#]] == 문화 교류 == 벨라루스에서도 [[한국어]] 강좌가 조금씩 열리고 있다. 그리고 벨라루스에서 한국인 유학생들이 러시아어를 배우러 오는 [[어학연수]]를 하는 경우도 있고, 한국에서도 벨라루스에서 한국어 어학연수를 받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다. [[http://www.incheonilbo.com/news/articleView.html?idxno=911429|#]] 벨라루스의 [[패션 모델]] 에이전시들이 한국 내 회사들과 계약을 맺고 벨라루스 출신 모델들을 한국에 파견하는 경우도 많다. 여담으로 동양인들이 선호하는 이목구비의 모델과 서구인들이 이상적으로 생각하는 이목구비의 모델이 제법 차이가 있기 때문에 주로 동아시아에서 활동하는 모델들은 중국-한국-일본-대만-싱가포르 등등 동아시아만 로테이션 돌고 유럽에서 활동하는 모델들은 함부르크-밀라노-파리-런던-바르셀로나 등등 유럽만 도는 편이다. 2012년에 개최된 삼보국제대회에서 한국팀이 벨라루스팀과의 경기에서 패했다.[[https://sports.news.naver.com/news.nhn?oid=001&aid=0005804234|#]] == 교통 교류 == 양국은 일반적으로 항공노선을 통해 교류하고 있다.[* 벨라루스는 러시아와 도로로 이어져 있지만, 육로를 통한 경우에는 문제점이 생기고 있어서 항공노선을 통해 교류하고 있다.] 러시아-벨라루스 항공노선은 예전에는 러시아측에서 국내선으로 취급되었지만, 외국인들이 벨라루스 항공노선을 이용하자 항공노선에 한해서만 국제선으로 전환됐다. 한국인들이 벨라루스로 입국할때는 무비자로 입국가능하다. 하지만 기간이 짧은 편이고 민스크 공항으로 들어오는 경우에만 무비자입국이 인정되고 있다. == 대사관 == 대한민국은 [[민스크]]에, 벨라루스는 [[서울특별시|서울]]에 대사관을 두고 있다. == 관련 문서 == * [[대한민국/외교]] * [[벨라루스/외교]] * [[대국관계일람/아시아 국가/동아시아 국가]] * [[대국관계일람/유럽 국가/동유럽 국가]]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벨라루스, version=821, title2=동유럽-만주 관계, version2=22)] [[분류:대한민국의 대국관계]][[분류:벨라루스의 대국관계]][[분류:나무위키 외교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