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대한민국의 대외관계)] [include(틀:부룬디의 대외관계)]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100%]] || [[파일:부룬디 국기.svg|width=100%]] || || [[대한민국|{{{#ffffff '''대한민국'''}}}]][br]''{{{#fff Repubulika ya Koreya}}}'' || [[부룬디|{{{#fff '''부룬디'''}}}]][br]''{{{#fff Uburundi}}}'' || [목차] == 개요 == [[한국]]과 [[부룬디]]의 관계에 대한 문서이다. 양국은 1993년에 외교관계를 맺었다. 주 르완다 한국 대사관이 부룬디를 겸임하고 있다.[[https://overseas.mofa.go.kr/rw-ko/index.do|#]] 부룬디는 치안이 매우 불안하기 때문에 한국 정부에선 [[부줌부라]]를 제외한 부룬디 전역을 [[여행경보]] 3단계로 지정했다. == 역사적 관계 == === 21세기 === 한국과 부룬디는 외교관계를 맺고 있지만, 교류가 많지 않은 편이다. 2002년에 한국은 르완다와 함께 상아 국제교역금지협약 위반국에 포함됐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4&oid=001&aid=0000250023|#]] 한국의 [[개신교]] 단체에서 부룬디로 선교활동을 하러 자주 오는 경우가 있다. 한국의 [[개신교]] 단체에서 부룬디에 선교사들을 파견하면서 개신교신자들이 부룬디에 일부 늘어나고 있다. 대개 부룬디와는 선교활동, 봉사활동과 관련된 경우가 많은 편이다. 2005년에 [[문선명]]이 주최한 천주평화연합 창설모임에 르완다를 포함한 다른 나라들이 참여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2&oid=022&aid=0000131846|#]] 2016년에 손양원 목사의 손자 안경선 목사가 부룬디에서 한센인들을 대상으로 한 사역에 나섰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3&oid=005&aid=0000883297|#]] 2020년에 [[한국]]의 [[천주교]]에서도 부룬디에 [[룬디어]] 성경을 보급했다.[[http://www.cpbc.co.kr/CMS/newspaper/view_body.php?cid=779524&path=202005|#]] 2010년 10월 25일, 케냐, 부룬디, 지부티, 에티오피아, 수단, 우간다, 탄자니아 등 동아프리카 7개국에서 온 8명의 기상전문가들은 한국의 기상예측 시스템 노하우를 전수받고 싶다고 밝혔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81/0002128062?sid=102|#]] 11월 25일, 강원대가 부룬디 국립대와 에티오피아의 아디스아바바 국립대와 교류 및 협력방안에 대해 논의한 적이 있었다.[[http://www.kado.net/news/articleView.html?idxno=490330|#]] 2018년 8월 3일에 [[제주특별자치도]]는 부룬디에 건립되고 있는 최정숙여자고등학교사업과 연계해 공적개발원조사업으로 1천만원 상당의 교육기자재를 지원한다고 밝혔다.[[http://www.headlinejeju.co.kr/news/articleView.html?idxno=341725|#1]][[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10249874|#2]] 그리고 최정숙여자고등학교의 첫 졸업생이 생겨났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2&oid=014&aid=0004630553|#]] 주 르완다 한국 대사관이 [[키갈리]]에서 르완다, 부룬디 현지 주민들과 교민들을 대상으로 제1회 한국어 노래 부르기 대회를 개최했다.[[https://www.worldkorean.net/news/articleView.html?idxno=32072|#]] 2020년부터 [[코로나19]]가 전세계에 퍼지기 시작하자 부룬디측은 한국인들을 대상으로 격리조치를 취하기도 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0&oid=277&aid=0004804508|#]] == 교통 교류 == 양국을 잇는 항공노선은 존재하지 않는다. 게다가 부룬디가 치안이 매우 불안하다 보니 부룬디를 방문하는 경우는 적은 편이다. 양국은 무비자협정이 체결되지 않고 있다. 한국인들이 부룬디를 방문할 때 비자가 요구되고 있다. == 대사관 == 대한민국은 주 [[르완다]] 대한민국 대사관이 부룬디를 겸임한다. 부룬디는 주 [[중국]] 부룬디 대사관이 대한민국을 겸임한다. == 여담 == 부룬디 난민 출신의 마라토너가 [[김창원(마라토너)|김창원]]이란 이름으로 한국에 귀화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05434987|#]] 그리고 경남대를 졸업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2&oid=028&aid=0002130586|#]] == 관련 문서 == * [[대한민국/외교]] / [[한국-아프리카 관계]] * [[부룬디/외교]] * [[대국관계일람/아시아 국가/동아시아 국가]] * [[대국관계일람/아프리카 국가/동아프리카 국가]] [[분류:대한민국의 대국관계]][[분류:부룬디의 대국관계]][[분류:나무위키 외교 프로젝트]][[분류:나무위키 아프리카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