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대한민국의 대외관계)] [include(틀:브루나이의 대외관계)] || [[대한민국|{{{#!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100%]]}}}]] || [[브루나이|{{{#!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브루나이 국기.svg|width=100%]]}}}]] || || '''{{{+1 [[대한민국|{{{#fff 대한민국}}}]]}}}'''[br]''{{{#fff 大韓民國}}}''[br]''{{{#fff Republic of Korea}}}''[br]''{{{#fff Republik Korea}}}'' || '''{{{+1 [[브루나이|{{{#cf1126 브루나이}}}]]}}}'''[br]''{{{#cf1126 نڬارا بروني دارالسلام}}}''[br]''{{{#cf1126 Negara Brunei Darussalam}}}'' || [목차] [clearfix] == 개요 == [[한국]]과 [[브루나이]]의 관계. 한국과 브루나이는 1984년에 공식수교하면서 교류가 많아지고 있다. [[서울올림픽]]에도 참가하였지만, 선수를 보내지는 않았고 임원 1명이 개막식과 폐막식에 참석하였다.[* 그 다음인 [[바르셀로나 올림픽]]에는 임원 3명이 참가하였다.] == 역사적 관계 == === 20세기 === [[대한민국]]과는 1984년에 수교하였다. 처음에는 교류가 활발하지 않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교류가 활발해지고 있다. === 21세기 === * 2010년대부터 브루나이와 한국은 교류가 많아지고 있다. 그리고 브루나이에서도 [[한류]]가 인기를 끌고 있고 2010년대 후반부터 [[신남방정책]]으로 한국 정부가 아세안과의 관계를 강화하기로 정하면서 브루나이와의 관계가 활발해지고 있다. ---- * 2019년 1월 11일 ~ 13일까지 강경화 장관이 브루나이를 방문해서 하지 하사날 볼키아 국왕을 예방하고 외무장관을 만나서 회담한다고 외교부가 밝혔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1&oid=001&aid=0010573129|#]] 그리고 1월 11일에 브루나이를 방문한 강경화 장관은 볼키아 국왕과 만나서 회담했고 신남방정책 협력도 논의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1&oid=001&aid=0010576474|#]] [[파일:강경화 브루나이.jpg|width=300]] ---- * [[문재인]] 대통령이 2019년 3월 10일 ~ 16일까지 브루나이, [[말레이시아]], [[캄보디아]]를 방문한다고 청와대가 밝혔다.[[https://news.v.daum.net/v/20190304170105057?rcmd=rn|#]] 그리고 문재인 대통령은 브루나이를 방문했고, 3월 11일에 한국 기업들이 참여하고 있는 템부롱 대교 건설현장을 찾아왔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2&oid=003&aid=0009106852|#]] 그리고 한국과 브루나이는 정상회담을 가지면서 아세안협력, 브루나이와의 협력 등에 대해 논의했고, 과학기술과 투자 협력 등의 내용을 담은 3건의 양해각서를 체결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2&oid=003&aid=0009105914|#]][[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2&oid=003&aid=0009105177|#]] [[파일:2019.03.11 한-브루나이 양해각서 체결.jpg|width=300]] ---- * 한-아세안 정상회담 일환으로 만난 정상회담에서 직항 노선의 운항 횟수를 주 5회에서 무제한으로 늘리는 직항 자유화에 합의했다[[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1233075|#]] 그리고 행안부는 브루나이 전자정부를 실현시키기 위해 2024년까지 지원하기로 합의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5&oid=030&aid=0002853340|#]] ---- * 2020년 10월 5일에 특허청은 브루나이 특허청과 함께 한국 특허를 브루나이에서도 인정받을 수 있는 양해각서를 체결했다고 밝혔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1&oid=001&aid=0011921281|#]] ---- * 2021년 5월 25일에 김건 외교부 제1차관과 브루나이의 멀린 압드 라흐만 테오 외교부 차관 겸 아세안 고위관리회의 대표가 화상회의로 아세안 회의를 조율했다고 외교부가 밝혔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1&oid=003&aid=0010516375|#]] == 문화 교류 == 한국과 브루나이는 적지만, 문화 교류가 일부 있는 편이다. 브루나이와 한국은 양국간 무비자 정책을 시행하면서 한국인들은 브루나이에서 무비자로 관광할 수 있다. 그리고 일부 한국인들은 말레이시아를 통해 브루나이로 관광하러 오는 경우가 있다. == 대사관 == 주한 브루나이 대사관이 굉장히 [[대사관]]답지 않은 곳에 있다. [[서울]] [[경복궁역]] 인근에 위치하는 [[경기상업고등학교]] 앞에 있는데, 대사관이라고 적어두지 않았으면 주변 건물에 섞여서 단순 회사 건물인 줄 알 정도. 사실 실제로 이곳으로 이전하기 전까진 회사 건물이었다. 찾아가보려면 서울 지하철 5호선 [[광화문역]]이나 3호선 [[경복궁역]]에 내려서 [[상명대학교]] 방향으로 가는 7016, 혹은 1711번 버스를 타고 경기상고 정류장에서 내려 길을 건너면 된다. 돈이 매우 많은 나라답게 한국과 별 접점이 없을 것 같은데도 대사관이 나라 규모에 비하면 꽤 큰 편이다. 반면[[그리스]]는 국가 규모도 꽤 되고 한국과 경제 협력, 교류가 많은 나라인데도 [[한화그룹]] 본사 사옥 안에 세들어 살고 있다. [[브루나이]]에 [[주 브루나이 대한민국 대사관]]이 존재한다. == 관련 문서 == * [[대한민국/외교]] / [[한국-아세안 관계]] * [[브루나이/외교]] * [[신남방정책]] * [[주 브루나이 대한민국 대사관]] * [[대한민국/경제]] * [[브루나이/경제]] * [[대국관계일람/아시아 국가/동아시아 국가]] * [[대국관계일람/아시아 국가/동남아시아 국가]]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브루나이/외교, version=10, paragraph=2.1)] [[분류:대한민국의 대국관계]][[분류:브루나이의 외교]][[분류:나무위키 외교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