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대한민국의 대외관계)] [include(틀:세르비아의 대외관계)]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100%]] || [[파일:세르비아 국기.svg|width=100%]] || || [[대한민국|{{{#ffffff '''대한민국'''}}}]][br]''{{{#fff Република Кореја}}}'' || [[세르비아|{{{#ffffff '''세르비아'''}}}]][br]''{{{#fff Србија}}}''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과 [[세르비아]]의 관계. 대한민국은 1980년대 후반에 [[유고슬라비아]]와 수교했다. 그리고 2006년에 세르비아 몬테네그로가 각각 세르비아와 [[몬테네그로]]로 해체된 뒤에도 세르비아와의 외교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한국 혈액관리본부는 세르비아에서 5년 이상 체류한 한국인의 헌혈을 변종 크로이츠펠트-야콥병(variant Creutzfeldt-Jakob Disease; vCJD)’ 의 예방을 위해서 평생 금지하고 있다. == 역사적 관계 == === 20세기 === [[유고슬라비아]]는 한국과 수교하기 이전인 [[1971년]]에 [[북한]]과 단독수교하였으나 [[1989년]]에 [[대한민국]]과도 수교했다. [[1993년]] [[유고슬라비아 전쟁]]으로 주한 유고슬라비아 대사관이 철수하여 주 [[일본]] 대사관으로 이관되었다. === 21세기 === [[2002년]] 주한 유고슬라비아 대사관이 재설치되었다. 그러다가 유고슬라비아가 완전히 해체된 이후 주한 세르비아 대사관으로 바뀌었다. [[2010년]]에는 미르코 츠베트코비치 총리가 한국을 방문한 바 있다. [[문희상]] [[대한민국 국회의장|국회의장]]은 2019년 10월 15일에 세르비아를 방문해 알렉산다르 부디치 대통령을 만났고 한국 기업의 현지 투자 확대 등 양국간의 협력증진에 대해 논의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3&oid=001&aid=0011145540|#]] [[교육부]] 국립국제교육원과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은 세르비아에 첨단 [[ICT]] 교실 구축과 함께 우수한 교원들을 파견한다고 밝혔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3&oid=001&aid=0011217126|#]] 2022년 6월 20일에 주 세르비아 대한민국 대사관은 세르비아의 노비사드철학대에 한국 자료실이 개설됐다고 밝혔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3257670?sid=104|#]] == 경제 교류 == 2010년대에 들어서면서 발칸 및 [[동유럽]]이 신흥 시장으로 부상하면서 [[2015년]] [[12월 15일]]에 [[KOTRA]] 무역관이 새로 개설되었다. 오스트리아를 근거로 둔 영산그룹은 2019년 3월 8일에 세르비아 포자레베츠 시에서 세르비아측과 산업 및 의료 폐기물 처리시설 건설을 위한 투자 협력 양해각서를 체결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3&oid=001&aid=0010694935|#]] 여담으로 현재 한국의 맥주 기업인 [[하이트진로]]의 맥주/발포주 브랜드인 테라와 필라이트에 들어가는 [[녹말|전분]]들이 모두 이 나라에서 수입되고 있다. == 문화 교류 == 2010년대에 들어서면서 세르비아에서도 [[한류]]가 인기를 끌고 있다. [[한국외국어대학교]] 세르비아-크로아티아어학과에서 [[세르보크로아티아어]]를 가르치고 있으며 아시아에서 유일한 세르비아어 과정이다. [[세르비아어]]는 한국에서 [[특수외국어]]로 지정되어 있다. == 대사관 == 대한민국은 [[베오그라드]]에, 세르비아는 [[서울특별시|서울]]에 대사관을 두고 있다. == 기타 == 한국 인터넷상에서는 세르비아에 대한 인식이 나쁘다. 국내 웹 사이트에서 세르비아를 비난하는 글이 많이 있고[* 특히 [[디시인사이드|디시]]에서 이러한 경향이 강하다.] 유튜브에서도 세르비아 관련 영상이면 세르비아를 비난하는 댓글들이 많이 달려 있다.[* 세르비아가 반서방, 사회주의 색체가 강하고 정부뿐만아니라 민간까지 친중, 친러 성향이 강해 반중, 반러 성향이 강한 국내네티즌들이 이러한 경향이 있는것으로 보인다. 최근에 우크라이나 사태로 반러감정이 심해졌음에도 불구하고 세르비아에서 러시아 지지시위를 하여서 세르비아를 부정적으로 보는 시각이 켜졌다.] == 관련 문서 == * [[대한민국/외교]] * [[세르비아/외교]] * [[대한민국/경제]] * [[세르비아/경제]] * [[대국관계일람/아시아 국가/동아시아 국가]] * [[대국관계일람/유럽 국가/남유럽 국가]]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세르비아/외교, version=29, paragraph=2.1)] [[분류:대한민국의 대국관계]][[분류:세르비아의 대국관계]][[분류:나무위키 외교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