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대한민국의 대외관계)] [include(틀:케냐의 대외관계)]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100%]] || [[파일:케냐 국기.svg|width=100%]] || || [[대한민국|{{{#ffffff '''대한민국'''}}}]][br]''{{{#fff Jamhuri ya Korea}}}'' || [[케냐|{{{#fff '''케냐'''}}}]][br]''{{{#fff Kenya}}}'' || [목차] == 개요 == [[대한민국]]과 [[케냐]]의 관계에 대한 문서이다. 대한민국은 케냐가 독립하자 바로 승인하였고 양국은 1964년에 외교 관계를 수립했다. == 역사적 관계 == === 20세기 === [[1982년]] [[전두환]] 대통령의 [[아프리카]] 순방 때 케냐를 방문한 바 있다. [[케냐]] 측에서는 [[1990년]]에 대니얼 아랍 모이(Daniel Arap Moi) 대통령이 한국을 방문한 바 있다. === 21세기 === 케냐는 [[2016년]] [[박근혜]] 대통령의 순방 때도 [[우간다]], [[에티오피아]]와 함께 방문국이었다. ==== 2010년대 ==== 2010년 10월 25일, 케냐, 부룬디, 지부티, 에티오피아, 수단, 우간다, 탄자니아 등 동아프리카 7개국에서 온 8명의 기상전문가들은 한국의 기상예측 시스템 노하우를 전수받고 싶다고 밝혔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81/0002128062?sid=102|#]] 2012년 11월 19일에 김황식 국무총리는 케냐의 [[라일라 오딩가]] 총리와 회담을 갖고 케냐 인프라 건설을 논의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0&oid=001&aid=0005942677|#]] 국토부는 2015년 12월 17일에서 23일까지 에티오피아, 케냐로 시장개척단을 파견한다고 밝혔다.[[https://www.ajunews.com/view/20151216144310420|#]] 2016년 5월 31일에 미래창조과학부는 우간다·케냐와 과학기술·정보통신 분야에서 상호협력을 강화해 나가기로 했다고 밝혔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0&oid=003&aid=0007262633|#]] 6월 1일에 한국수출입은행은 케냐와 우간다에 과학기술 분야 및 농촌종합개발 발전을 위해 대외경제협력기금을 지원한다고 밝혔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1&oid=003&aid=0007264890|#]] 한국건설협회는 에티오피아건설협회, 케냐건설협회, 우간다건설협회와 각각 건설협력을 위한 MOU를 체결했다고 밝혔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1&oid=014&aid=0003656943|#]] 2018년 4월 26일, 케냐의 사립학교 교장을 비롯한 교육행정가, 목회자, 그리고 한국인 선교사 등 30여명이 한국의 중도입국다문화청소년 교육과 역사, 문화등을 이해하고 케냐 교육발전에 접목하고자 한국의 대안학교인 새날학교를 방문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2&aid=0002057081|#]] 5월 10일, 농림축산수산부는 쌀 50,000t을 예멘, 에티오피아, 케냐, 우간다에 각각 전달한다고 밝혔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79/0003099846?sid=101|#]] 2018년 7월 20일에 이낙연 총리가 케냐를 방문하면서 우후루 케냐타 대통령을 만나 "라무항 수송망 개발사업과 지열발전소 사업에 대통령께서 허락한다면 한국기업들이 기꺼이 동참하도록 하겠다"며 지원을 요청했고, 우후루 케냐타 대통령도 한국은 선진국에 진입했고 한국을 배우고 싶다고 발언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4&oid=001&aid=0010223892|#]] 2018년 7월 31일에 KOICA는 아일랜드의 NGO단체 '컨선월드와이드'와 함께 케냐 수도 나이로비의 빈민층 아동과 임산부를 돕는 사업을 펼친다고 밝혔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4&oid=001&aid=0010242608|#]] 2018년 12월 11일, KT는 케냐의 나이로비 사파리콤 본사에서 케냐 보건부, 정통부, 사파리콤과 함께 '글로벌 감염병 확산 방지 플랫폼' 착공식을 진행했다고 12일 밝혔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4&oid=001&aid=0010521107|#]] 2019년 2월 13일, 정근모 KAIST 교수는 케냐 나이로비 국립대학 강당에서 한국의 경제개발 경험을 강의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4&oid=001&aid=0010632981|#]] 왜 뜬금없이 KAIST냐 하면 현재 한국은 케냐 정부와 협력하여 케냐 정부에서 의욕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콘자 과학기술혁신도시'[* 한국의 대덕연구단지와 비슷한 개념이다.]에 '케냐 과학기술원'을 설립하고 있는데, KAIST가 협력기관으로 들어가 있기 때문이다. 케냐과기원은 2021년 개교를 목표로 하고 있다. 또한 한국해외인프라도시개발지원공사는 케냐에 인프라협력센터를 개설하고 본격적인 운영에 들어갔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4&oid=001&aid=0010985804|#]] 제도개선 분야에서도 한국과 케냐의 협력이 진행되고 있다. 케냐의 녹색건축인증제도(G-SEED Kenya)는 한국의 G-SEED를 기반으로 개량되어 적용되었다. 열대/동아프리카 고산기후인 케냐 현지에는 필요없는 지역난방 분야 등의 일부 내용이 수정되었다고 한다. 상기한 케냐과기원이 G-SEED Kenya 예비 인증을 획득한 상태이다. ==== 2020년대 ==== 2021년 3월 14일에 [[LG전자]]는 케냐에 있는 아이들의 교육환경을 지원하는 사회공헌 활동을 펼치고 있다고 밝혔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4&oid=001&aid=0012258144|#]] [[삼성전자]]가 케냐의 난민촌 청소년들에게 [[갤럭시탭]] 1,000대를 기부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4&oid=421&aid=0005339612|#]] 5월 14일에 [[대우건설]]은 에티오피아와 케냐를 잇는 메키-즈웨이 고속도로 본선 구간을 정식 개통하고 현장 인근에서 준공식을 열었다고 밝혔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01&aid=0012393681|#]] 2021년 7월 16일에 박진규 산업통상자원부 차관은 2021 서울 커피 엑스포 주빈으로 참가하기 위해 방한한 케냐의 베티 마이나 산업통상기업개발부 장관과 만나 회담을 가졌고 무역, 투자확대와 산업협력 강화방안에 대해 논의하면서 [[아프리카 대륙 자유무역지대]]의 출범으로 양국간의 소비재, 의료, 보건 등 다양한 협력이 강화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2D&mid=shm&sid1=104&sid2=234&oid=003&aid=0010611259|#]] 2022년 2월 15일에 한국원자력연구원은 17일까지'케냐 원자력발전 도입을 위한 원자력 인프라 개발 교육을 온라인으로 진행한다고 밝혔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2D&mid=shm&sid1=104&sid2=234&oid=001&aid=0012984961|#]] 케냐 세종학당의 김응수 학당장이 연합뉴스와의 인터뷰를 가졌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3210823?sid=104|#]] 9월 14일, 한국 특사단이 케냐를 방문해 루토 대통령을 공식 예방하고 윤석열 대통령의 친서를 전달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3443740?sid=104|#]] 2023년 5월 26일, 한국 정부가 소말리아, 에티오피아, 케냐에 230만 달러 규모의 인도적 지원을 한다고 밝혔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6/0002148927?sid=100|#]] == 경제 교류 == 케냐는 [[파라다이스 그룹]]과는 1974~2015년까지 오랜 인연이 있는 나라인데, 파라다이스 투자개발(현 파라다이스)이 케냐에 현지법인을 세워 원래 대통령의 별장이었던 사파리파크 호텔을 인수하고 숙박업과 카지노로 국가 경제에 뒷바라지했고, 창업주 전락원 회장은 이 공로로 국빈급 대접을 받아 1989년 주한 케냐 명예총영사로 위촉되었다. 최근 들어 한국의 대기업이 곳곳에 진출하고 있다. 특히 삼성과 LG가 적극적으로 아프리카 대륙 공략을 위한 교두보로 활용하고 있다. 케냐는 2011년 이후, 매년 4 ~ 5%대의 경제성장률을 보이면서 중산층이 10%씩 증가하면서 중산층들중에는 한국 가전 제품을 구입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고, 한국기업들과 협력을 원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4&oid=011&aid=0003353621|#]] 2016년 6월 1일, 한국-케냐 비즈니스 포럼이 개최됐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8441837?sid=101|#]] 현대자동차는 케냐 청년들의 자립을 위해 나이로비에 위치한 정부 산하 직업훈련학교 니타에서 현대드림센터 케냐 개관식을 가졌다고 밝혔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4&oid=003&aid=0010571493|#]] 2022년 3월 17일에 케냐의 커피 소작농들이 한국과 직거래 물꼬가 트이면서 소득 증대를 기대 중이라고 현지 매체가 보도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2D&mid=shm&sid1=104&sid2=234&oid=001&aid=0013058062|#]] == 교통 교류 == 2012년 6월 21일 부로 [[대한항공]]에서 [[조모 케냐타 국제공항|나이로비]] 직항 노선을 주3회의 형태로 취항한다. 지금까지 한국에서 케냐까지의 항공편은 직항이 없어서 대부분 중동을 경유할 수 밖에 없기에 비행시간만 18~25시간이 소요됐지만, 직항편 취항으로 편도 비행시간이 13시간 15분(하계 스케줄 기준)으로 대폭 단축되어, 비즈니스와 관광 편의 향상은 물론 [[대한민국]] - 케냐 간 인적 및 물적 교류가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2014 서아프리카 에볼라 유행]] 사태로 인해 2014년 12월까지 운행이 잠정 중단되기로 한 계획이 있었는데, [[대한항공]]은 에볼라의 악화와 확대를 핑계로 2015년 7월까지 무기한 휴항을 선언했다. 이것은 선점의 의미에서 취항했던 [[대한항공]]이 매회 운항에 따른 엄청난 재정 결손이 그 근본 원인으로 알려지고 있다. 케냐 정부에서는 유일하게 케냐 취항 외항사 중에서 에볼라를 이유로 휴항한 [[대한항공]]에 대해 자국 이미지를 이유로 재운항을 강력히 권고하면서, 불응하면 운항 취소도 검토한다는 소식도 있다. == 대사관 == 대한민국은 케냐가 독립하기 직전인 1963년에 케냐의 수도인 [[나이로비]]에 총영사관을 세웠다. 1964년에는 이 총영사관을 주 케냐 대한민국 대사관으로 승격시켰는데, 동아프리카에 세워진 한국 공관으로는 가장 역사가 깊다. 케냐는 [[서울특별시|서울]]에 대사관을 두고 있다. == 여담 == [[JTBC]]에서 방영되었던 [[비정상회담]]에 케냐 출신이 출연한 적이 있었다.[[https://entertain.naver.com/read?oid=416&aid=0000186488|#]] == 관련 문서 == * [[대한민국/외교]] / [[한국-아프리카 관계]] * [[케냐/외교]] * [[녹색성장 및 2030 글로벌 목표를 위한 연대]] * [[대국관계일람/아시아 국가/동아시아 국가]] * [[대국관계일람/아프리카 국가/동아프리카 국가]] == 관련 기사 ==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6477829?sid=102|케냐에서 `코리안 드림' 빚는 한글 선생님]] - 연합뉴스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케냐/외교, version=11, paragraph=2.1)] [[분류:대한민국의 대국관계]][[분류:케냐의 대국관계]][[분류:나무위키 외교 프로젝트]][[분류:나무위키 아프리카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