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대한민국의 대외관계)] [include(틀:폴란드의 대외관계)] || [[대한민국|{{{#!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100%]]}}}]] || [[폴란드|{{{#!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폴란드 국기.svg|width=100%]]}}}]] || || '''{{{+1 [[대한민국|{{{#fff 대한민국}}}]]}}}'''[br]''{{{#fff 大韓民國}}}''[br]''{{{#fff Republic of Korea}}}''[br]''{{{#fff Republika Korei}}}'' || '''{{{+1 [[폴란드|{{{#fff 폴란드}}}]]}}}'''[br]''{{{#fff Rzeczpospolita Polska}}}''[br]''{{{#fff Republic of Poland}}}'' || ||<-2> [[폴란드어]]: Stosunki koreańsko polskie [[한국어]]: 한폴관계 || [목차] [clearfix] == 개요 == [[한국]]과 [[폴란드]]의 관계를 설명하는 문서. 통계청에 의하면 2015년 한국에서 거주하는 폴란드인의 수는 남자 191명, 여자 160명을 합해 총 351명으로 집계됐다. 한국과 폴란드는 서로 우호적인 관계다. == 단순 비교 == || 항목 || '''대한민국''' || '''폴란드''' || || 면적 || 100,412km² || 312,685km² || || 인구 || 51,705,905 || 38,104,832 || || 수도 || [[서울]] || [[바르샤바]] || || 언어 || [[한국어]] || [[폴란드어]] || || [[1인당 GDP]] || $35,195 || $15,630 || || [[명목 GDP]] || $1조 8238억 (10위) || $5494억 (23위) || || 국방비 || 391억 달러 || 93억 달러 || || [[IMF]] 분류 || [[선진국]] || [[신흥공업국]] || || 정치 || [[대통령제]] || [[이원집정부제]] || || 국가원수 ||<|2> [[윤석열]] [[대한민국 대통령|대통령]] || [[안제이 두다]] [[폴란드 대통령|대통령]] || || 정부수반 || [[마테우시 모라비에츠키]] 총리 || == 역사적 관계 == === 19세기 === 역사 속에서 한국과 [[폴란드]]의 첫 만남은 19세기 말 열강들의 제국주의 침략 속에서 이루어졌다. 당시 폴란드는 [[폴란드 분할|외세의 침략에 의해 나라가 갈기갈기 찢긴 상태]]라서 주권국가로서 존재하지 못했다. 따라서 당시 한국을 방문한 폴란드인들은 러시아 국적, 혹은 독일 국적이었다. 기록상 한국을 방문한 최초의 폴란드인은 생물학자 [[https://en.wikipedia.org/wiki/Jan_Kalinowski|얀 칼리노프스키(Jan Kalinowski)]]다. [[https://pl.wikipedia.org/wiki/W%C5%82adys%C5%82aw_Kotwicz|브와디스와프 코트비츠(Władysław_Kotwicz)]]라는 언어학자가 만주와 한반도를 여행하기도 했다. 그는 훗날 러시아 정부의 지원 하에 '한국 스케치(OПИСАН Е KОРЕИ)' 라는 백과사전 형식의 책을 출판하였는데, 당대 유럽에서도 한국에 관련된 책들 중 가장 세밀하고 정확한 묘사로 평가 받았다. 독립운동을 하다가 붙잡혀 정치범으로 시베리아에 유배됐던 폴란드인들이 여러가지 사유로 남하하여 한국에 들어오기도 했다. 이런 이들중 한명이었던 [[https://pl.wikipedia.org/wiki/Wac%C5%82aw_Sieroszewski|바츠와프 세로셰프스키(Wacław Sieroszewski)]]는 서구 열강 사이에서 자주성을 잃어가고 있던 한국의 모습에 안타까움을 느꼈고, 그때의 경험들을 바탕으로 폴란드인 최초로 한국을 배경으로 한 '기생 월선이(Ol-Soni Kisa)' 라는 소설을 출판했다. 그는 훗날 1차대전에 참전하여 [[폴란드 제2공화국]]의 국회의원까지 오른 그는 라디오 강연을 통해 폴란드 대중들에게 한국이라는 나라를 알리는데 힘썼으며, 한편으로는 한국인들에게 민족적 자주성을 잃지 말 것을 당부하였다. 한국에서 남긴 폴란드와 관련한 제일 오래된 기록은, 1896년 [[러시아 제국]] 황제 [[니콜라이 2세]]의 대관식을 참석하고 [[유럽]] 각국의 외교 사절단으로 갔던 [[민영환]]과 그의 통역관이었던 김득련이 [[바르샤바]]에서 하룻밤을 머물며 환구일록(環璆日錄)에 남긴 일기 내용이다.[* 해당 서적은 '환구일기(環璆日記)'라고도 한다. 유일본을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규장각]]에서 소장하였는데 청구기호는 古 5700-1이다. [[http://kyujanggak.snu.ac.kr/home/index.do?idx=06&siteCd=KYU&topMenuId=206&targetId=379|규장각 해제]].] 김득련은 바르샤바에 대해서 ''휘황찬란하지만 왠지 모르게 꺼져 가는 촛불과 같은 망국의 수도" 라는 감상을 남겼다. === 20세기 === 1928년 [[영친왕]]과 [[이방자]]가 일본의 외교사절로 유럽 순방 차 폴란드를 갔을 때, 바르샤바에서 한약상을 한다는 어떤 [[조선인]]이 찾아와 영친왕을 알현하며 자신이 지은 약재를 바쳤다는 기록이 있다. 또한 바르샤바 대학에서 개인적으로 유학 온 조선인이 존재했다.[* 당시 영친왕은 이역만리에서 동향 사람을 만난 것에 대해 매우 반가워했고, "이 나라에서도 조선인들이 사냐" 하며 여러가지를 물었으나 이 조선인은 그저 자신은 미천한 자라고 이야기한 뒤 돌아갔다고 한다.] [[냉전]] 시기에는 다른 동구권 공산국가들과 마찬가지로 한국과 미수교 관계로 있었고 오히려 북한과 더 긴밀한 관계를 맺었다. 이념의 차이로 사실상 서로 적대국 상태였고, 한국 정부는 폴란드를 [[여행금지]] 국가 중 하나로 지정했었다. 폴란드가 민주화된 이후인 1989년 11월 1일 공식 수교를 맺었다.[[https://news.kbs.co.kr/mobile/news/view.do?ncd=3690290|#]] 이후 다른 동유럽 국가들과 마찬가지로 여행금지 역시 해제되었다. 1995년 4월 29일에 이정린 국방차관이 대한민국과의 군사협력을 확대하기 위해 5월 10일까지 일본, 캐나다, 폴란드를 순방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04018837|#]] 5월 11일에 한국과 폴란드, 캐나다가 군사협력 의향서를 체결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03972831|#]] === 21세기 === 양국은 [[커피클럽]] 같은 공감대가 있어서 독일과 일본의 [[상임이사국]] 진출을 반대한다. 2009년 11월 12일, 장윤석 의원이 11월 15일에 노르웨이와 폴란드를 특사 자격으로 방문하기로 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02954073?sid=100|#]] ==== 2010년대 ==== 2010년 8월에 양국은 원자력 협정을 체결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1&oid=008&aid=0002380213|#]] 2014년에 반크에서 활동 중인 폴란드인 회원이 폴란드 웹사이트에서 표기된 일본해를 동해로 바꾸라고 요청해서 동해 표기로 바뀌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4&oid=001&aid=0006764430|#]] 2018년부로 폴란드와 한국 사이의 [[워킹홀리데이]] 협정이 체결되었다.[[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201808031394785099|#]] [[국토교통부]]는 2019년 1월 14일 ~ 18일까지 폴란드와 [[스페인]]에 민관 협동 인프라 협력단을 파견한다고 밝혔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3&oid=001&aid=0010576943|#]] [[2019년 일본 상품 불매운동]]이 일어나자 폴란드내 한인들이 주스 포장에 [[욱일기]]를 쓴 폴란드 식품회사에 항의해 생산 중단을 이끌어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4&oid=022&aid=0003397124|#]] 2019년 10월 7일에 [[강경화]] 장관은 서울에서 폴란드의 야체크 차푸토비치 외교부 장관과 회담을 하고 한반도와 유럽 정세 등에 대해 협의했고, 폴란드와 전략적 동반자 관계를 강화한다고 밝혔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3&oid=001&aid=0011127800|#]] ==== 2020년대 ==== 2020년 4월 22일, 폴란드에서 한국 관광객과 일본 관광객을 실은 임시항공편이 귀국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0&oid=001&aid=0011566680|#]] 11월 25일, 인천국제공항은 일본을 제치고 폴란드측과 신공항 컨설팅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1&oid=023&aid=0003578902|#]] 2021년 1월 3일, [[LG그룹]]은 유럽시장 생산거점인 바르샤바 초고층 건물에 LG 브랜드를 알리는 대형 옥외 광고를 설치했다고 밝혔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3&oid=001&aid=0012115909|#]] 폴란드 한인회가 사회보장제도가 없던 한인들의 [[코로나19]] 백신 접종을 도왔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3&oid=001&aid=0012444347|#]] 2021년 11월 5일, 문승욱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바르샤바에서 피오트르 나임스키 에너지인프라 특임대사를 만나 원전 수주 활동을 펼쳤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2D&mid=shm&sid1=104&sid2=233&oid=003&aid=0010816380|#]] 2022년 1월 20일, 방위사업청은 육군 [[K2 흑표]] 전차 2차 양산이 완료돼 노르웨이와 폴란드로 수출을 추진한다고 밝혔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10957077?sid=100|#]] 8월 3일, 폴란드 국제정세연구소의 한반도 전문가인 오스카르 피에트레비치 연구원은 한국에 대해 “우리는 서로를 소중한 사업 파트너로 본다"라고 말했다. 한편 [[폴란드 인민 공화국]] 시절에 우방이었던 [[북한]]에 대해서는 폴란드에 기여하는 것이 없고 공통점도 없는 나라라고 지적했다.[[https://www.voakorea.com/a/6685901.html|#]] 2023년 4월 12일, 폴란드 마테우시 총리가 한국의 포탄 재고를 활용하여 우크라이나에 지원해야 한다며, 한국이 중국과 러시아의 반발을 걱정하고 있으니 미국이 적극 나서서라도 한국의 포탄을 가져와야 한다고 발언하였다. [[https://www.youtube.com/watch?v=6Q3O5HypPcA|#]] == 문화 교류 == 폴란드에서도 [[한류]]가 일부 인기를 끌고 있다. 폴란드 출신 [[패션모델]]들이 한국에서 화보 촬영 등을 하는 경우도 드물지 않다. 폴란드 문학 작품들이 한국에도 일부 소개되어 있는데 대표적인 작품으로는 [[헨리크 시엔키에비치]]의 [[쿠오 바디스]]를 들 수 있으며, 이 외에도 오늘날 폴란드인들 사이에서 국민 소설로 꼽히는 볼레스와프 프루스의 소설 "인형"이 을유문학사에서 번역, 출간됐다. 무엇보다 "폴란드의 톨킨"이라고 불리는 '안제이 사프콥스키'의 판타지 소설, [[더 위쳐 시리즈]]를 모티브로 폴란드 게임회사 [[CDPR]]가 제작한 [[더 위쳐]], [[더 위쳐 3: 와일드 헌트]]가 명작 콘솔 게임으로서의 위상이 높다. 후속작인 [[사이버펑크 2077]]의 인지도도 굉장히 높았고, 처참한 퀄리티로 악평이 문제가 있었지만 [[사이버펑크: 엣지러너]]로 인해 재흥행, 개선된 게임성이 재평가를 받을 수 있었다. 또한, 한국에서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민속학을 전공하는 폴란드인 여성이 한국 작품과 요리책을 번역한다고 밝힌 적이 있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0&oid=001&aid=0005534730|#]] 2000년 5월 30일에 폴란드에서 한국무용의 밤 행사가 개최된 적이 있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3&oid=020&aid=0000006183|#]] 8월 3일에는 폴란드의 한 중년부부가 [[대우 라노스]]를 타고 한국을 통해 세계일주를 한 적이 있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1&oid=009&aid=0000036251|#]] 2006년에 춘천 극단 도모가 2003년에 초연된 작품 '악몽'으로 폴란드 오폴레 국제연극제에 초청됐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3&oid=003&aid=0000106865|#]] 2018년 7월 26일에 폴란드의 탐험가 마렉 카민스키가 닛산자동차를 타고 한국 여행에 나선 적이 있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3&oid=018&aid=0004159587|#]] 2019년에 바르샤바에서 한국 문화재 전시회가 개최됐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3&oid=001&aid=0011133903|#]] 2021년에 주폴란드 한국 문화원은 [[김치]]와 관련된 행사를 인스타그램에서 진행했고 폴란드인들이 참가했다고 밝혔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3&oid=001&aid=0012425945|#]] 2022년 9월 29일, 주폴란드 한국문화원이 제8회 바르샤바 한국영화제를 개최한다고 밝혔다.[[https://entertain.naver.com/read?oid=001&aid=0013472727|#]] === 언어 === [[한국외국어대학교]]에 폴란드어 학과가 있다. 그리고 한국 서점가에는 [[폴란드어]] 책이 일부 출판하고 있다. 폴란드어는 한국에서 [[특수외국어]]로 지정되어 있다. 한국외대 폴란드어과에서도 폴란드에서 [[어학연수]]를 하는 경우도 있다. 물론 폴란드에도 일부 학교에 한국어 학과가 있으며 [[서울시립대학교]] 등에서 폴란드 [[야기엘론스키 대학교]]와 교환학생을 주고받는다고 한다. 한국, 일본, 중국에 폴란드어학과가 존재하기 때문에 동아시아 3개국 연합 폴란드어학술대회가 한국외대, 주한 폴란드 대사관에서 공동 개최되기도 한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10438670|#]][* 2012년에 개최된 한국외대에서 개최된 한중일 폴란드어학과 연합 학술대회에서 폴란드 영부인 안나 코모로프스카가 참여한 적이 있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05886669|#]]] 폴란드내 대학교에도 한국학과가 존재한다. 폴란드는 한국과 수교 이전에 [[북한]]의 영향으로 조선어학과가 설치됐지만, 한폴수교 이후에는 한국학과로 바뀌었다. 폴란드내 한국학과가 늘어나면서 [[바르샤바 대학교]], [[야기엘론스키 대학교]], 아담 미츠키에비츠 대학교, 브로츠와프 대학교에 이어 SWPS 대학교가 다섯 번째로 한국학과를 설치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3&oid=016&aid=0001888220|#]] 또한, [[TOPIK]]이 폴란드에서 실시되고 있다. === 스포츠 === [[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2002년 한일 월드컵]]에서 [[폴란드 축구 국가대표팀|폴란드]]는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한국]]과 함께 [[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D조|D조]]로 편성되었고, 맞대결에선 한국이 [[황선홍]]과 [[유상철]]의 골로 2:0 승리를 거두었다. 이는 한국 축구 역사상 [[FIFA 월드컵]] 본선 첫승 기록이다. 폴란드 출신의 축구선수들이 [[K리그]]에서 활약하고 있다. 2018 러시아 월드컵에서 양국 축구 국가대표팀이 독일 축구 대표팀과의 경기,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과의 경기에서 각각 승리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3&oid=079&aid=0003118385|#]] 배구경기에서는 2008 베이징 올림픽에서 폴란드 배구 국가대표팀이 한국 국가대표팀과의 경기에서 승리했다.[[https://sports.news.naver.com/news.nhn?oid=005&aid=0000315516|#]] == 경제 교류 == [youtube(a9kHXQNU2QE,start=191s)] 일본에 동남아시아가, 중국에 아프리카가 중요한 경제 교류 구역이자 미치는 영향력이 크듯이, 한국에는 동유럽 국가들이 한국의 공업 및 제조업 공장 및 진출기지로서 영향을 미치고 있는데, 그 중에서도 국가 체급이 큰 폴란드는 더더욱 한국의 투자, 교류, 영향이 특히나 큰 곳이다. 폴란드의 대한민국 연결은 1980년 공산권 전체의 위기에서부터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이미 [[레흐 바웬사]]를 중심으로 한 폴란드 민족주의자들이 발흥해 바르샤바 조약기구에서 떨어져나가려는 정치세력화 된데 위기감을 느끼고 경제가 흔들리는 것을 막으려던 폴란드 공산당은 대한민국의 성장모델에 주목하고 대한민국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했으며, 이를 토대로 [[대우자동차]]가 폴란드에 진출해 공장을 세우는 등 초기 산업화에 상당한 도움을 주었다. 90년대 대우자동차의 폴란드 진출로 폴란드인들은 우리가 그들에 대해 인식하는 것보다 한국에 대해 더 가깝게 인식하고 있다. 공산 정권 시절 개발된지 30년된 구형 자동차를 계속 디자인만 바꿔가며 생산하던 폴란드에서 대우자동차는 민주화 이후 [[피아트]]에 이어 두 번째로 진출한 서구형 자동차회사였는데, 당시 폴란드에서 대우자동차는 합리적인 가격으로 상당한 인기를 얻었다. 90년대 후반 티코, 라노스 등 대우 소형차들은 폴란드에서 판매량 1, 2위를 차지했고, 에스페로, 누비라, 레간자, 심지어 대우 체어맨까지도 팔렸다. 당시 폴란드에서 돌아다니는 승용차의 거의 30%가 대우차였다고 한다. 이후 [[대우그룹]]이 망했지만, 폴란드 현지 공장은 국영화되었고, 이후에도 한동안 대우 브랜드로 계속 기존 모델을 생산했다. 공산권 블록이 완전히 붕괴한 이후 폴란드는 경제적으로 한국과 가까운 관계가 되었다. 바르샤바 중앙역이나 중심 시가지를 가면 한국 기업들 광고를 쉽게 찾아볼 수 있을 정도이며, 폴란드의 주요 공업도시 중 포즈난 등지에도 한국 기업 공장들이 여럿 자리잡았다. 실제로 폴란드는 한국과 경제교류 규모를 좀 더 확충하기를 원한다. [[독일]]이나 [[프랑스]]로 물건 팔자 → 기왕이면 수송비랑 관세 안 들게 현지 공장 짓고 만들어 팔자 → 근데 영국, 프랑스, 이탈리아같은 서유럽 국가들은 땅값도 임금도 너무 비싸 → 그렇다고 [[불가리아]], [[루마니아]]는 너무 멀어 → 비교적 가깝고 땅값과 인건비 좋은 폴란드에 공장 짓자 라는 논리 때문이다. 이 덕분에 한국의 전체 해외 투자규모 5위, [[유럽연합]] 내 수출 3위(독일, [[네덜란드]] 다음)으로 해당한다. 한국의 유명 대기업 중 폴란드에 공장 하나 없는 기업은 드물다. [[삼성전자]]와 [[LG전자]] 가전 공장이 대표적이다. 자동차 부품을 생산하는 [[만도(기업)|만도]]도 있다. [[현대글로비스]]는 물류 기업 아담폴(Adampol)을 인수하였다. SK그룹은 [[SKIET]] 배터리 분리막 공장과 [[SK넥실리스]] 배터리 동박 공장을 건설하고 있다. 2017년 기준, 한국이 폴란드에 투자한 금액은 19억 유로로, 이미 폴란드에 가장 많은 투자를 하는 나라로 자리매김했다. 한국 기업의 폴란드 투자진출은 계속 증가세이며 2018년 기준 240여 개 기업이 진출해 있다. [[https://news.kotra.or.kr/user/globalBbs/kotranews/6/globalBbsDataView.do?setIdx=322&dataIdx=176175|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https://www.hankyung.com/politics/article/201909249082Y|#]] 전반적으로 대한민국은 대폴란드 무역에서 무역수지 흑자를 기록하고 있다. 하지만 폴란드가 EU에 가입한 이후, 폴란드에 진출한 한국 기업들이 구인난에 시달리기도 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1&oid=014&aid=0000254223|#]] 2021년 기준, 한국이 폴란드에 투자한 금액은 21억 유로로 대폴란드 투자국 1위 자리를 명실공히 지키고 있다. === 2000년대 === 삼성이 폴란드 기업을 인수하는 등 폴란드 경제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1&oid=008&aid=0002255085|#]] 그리고 폴란드산 화장품이 틈새시장을 통해 점유율 1%로 고객층을 늘리고 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1&oid=277&aid=0002168156|#]] 2007년에는 LG가 브로츠와프에 LCD클러스터를 준공하는 등 유럽 시장 공략에 본격적으로 나섰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1&oid=015&aid=0000966913|#]] === 2010년대 === 2018년에 유니크미가 폴란드 화장품 시장에 진출한다고 밝혔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1&oid=015&aid=0004003736|#]] 2019년에 [[LG에너지솔루션]], [[SK이노베이션]]은 폴란드에서 배터리 핵심 공장을 세웠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3&oid=001&aid=0010721038|#]] 8월 8일에는 완도산 구운김이 폴란드에 수출됐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2&oid=003&aid=0009391304|#]] === 2020년대 === 2020년에 [[유럽투자은행]]이 LG화학의 폴란드 배터리 공장으로 4억 8천만 유로를 지원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3&oid=001&aid=0011503066|#]] [[현대엔지니어링]]은 5월에 폴란드에서 수주한 대형 플랜트 공사의 본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01&aid=0011646995|#]] 두산중공업은 8월 12일 폴란드에서 2,200억 원 규모인 폐자원 에너지화 플랜트 건설 사업을 수주했다고 밝혔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3&oid=001&aid=0011808694|#]] [[현대로템]]이 국제 방산 전시회에서 [[K2 전차]]의 폴란드 수출형 모델인 'K2PL'을 선보이며 폴란드 전차 사업 수주를 도전했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3&oid=001&aid=0011869825|#]] 그러나 폴란드가 미국의 [[M1A2]] 전차를 선택하면서 물거품이 되나 싶었지만... 해당 에이브람스 전차들은 러시아의 현대적 기갑세력에 대응하기 위해 편성된 정부 특별회계 예산으로 구입한 것이며, 이 구매건과 차기 전차 도입 사업은 별개의 사업이므로 일말의 가능성은 남아있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2022년 대한민국-폴란드 방산계약|냉전 이래 최대 규모 잭팟]]을 터뜨리게 된다. [[LS그룹]]도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부품을 생산하는 폴란드 현지 공장 인근에서 추가 부지를 매입하고 공장 증설을 대비하고 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3&oid=001&aid=0011927546|#]] [[SK넥실리스]]가 배터리 소재인 동박 공장을 짓기로 했다. [[SK아이이테크놀로지]]가 급성장하는 분리막 시장에서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폴란드에서 분리막 공장을 추가로 짓기로 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3&oid=001&aid=0012288706|#]] [[두산중공업]]이 폴란드 최대 폐자원 에너지화 플랜트에 설비를 공급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3&oid=001&aid=0012397534|#]] 폴란드 정부가 러시아의 공세속에서 한국과 에너지 안보를 강화하고 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366/0000838476?sid=100|#]] == 군사 교류 == 정경두 국방부장관은 2019년 10월 15일에 서울 국제항공우주 및 방위산업 전시회에 참석한 사우디아라비아, 세네갈, 폴란드의 군 고위 인사와 각각 양자회담을 했고 동시에 방산협력에 대해 논의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3&oid=001&aid=0011144893|#]] 방위사업청과 국내 방위산업기업들은 폴란드 현지에서 보병전투장갑차 등 국산 무기 판촉 활동을 벌였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3&oid=003&aid=0009557329|#]] 2022년 9월 28일, 임종득 국가안보실 2차장이 폴란드를 방문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3471605?sid=104|#]] 폴란드가 한국과 협력해 '차륜형 장갑차' 공동개발연구를 추진중인 것으로 알려졌다.[[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3993663?|#]] === [[2022년 대한민국-폴란드 방산계약]] === 2022년 5월 30일에 [[국방부]]는 한국-폴란드 국방장관 회담을 가졌고 회담에서 국방, 방산협력을 강화한다고 밝혔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6128367?sid=104|#]] 그리고 2022년 7월 27일에 폴란드가 [[2022년 대한민국-폴란드 방산계약|20조 규모의 대규모 방산계약]]을 한국과 체결함으로서 [[K2 전차]], [[K9 자주포]], [[FA-50]] 등 한국산 무기를 수천대 구매하기로 했음을 밝혔다.[[https://n.news.naver.com/article/020/0003441729?cds=news_my|#]] == 교통 교류 == 2016년부로 [[LOT 폴란드 항공]]이 [[인천국제공항|서울(인천)]] - [[바르샤바 쇼팽 국제공항|바르샤바]] 간 직항편을 운항 중이다.[[http://www.ttlnews.com/article/biz_world/1267|#]] [[LOT 폴란드 항공]]이 [[바르샤바 쇼팽 국제공항]]과 [[인천 국제공항]] 사이의 직항 노선을 운영 중이며, LOT 폴란드 항공은 브로츠와프와 인천공항을 잇는 노선에도 취항했다. 또한 LOT 폴란드 항공은 김해국제공항에서 바르샤바를 잇는 노선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이미 한국에서 서유럽행 환승으로 이득을 보고 있는 폴란드 항공이 부산에도 취항한다고 한 것은 한국과 서유럽을 잇는 환승수요를 잡으려는 것으로 보인다. 양국은 무비자협정을 체결했기 때문에 양국 국민들은 무비자로 입국가능하다. == 대사관 == 대한민국은 [[바르샤바]]에, 폴란드는 [[서울특별시|서울]]에 대사관을 두고 있다. == 관련 기사 == * [[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3993663?|K-방산 '큰손' 폴란드, 장갑차 구매→공동개발로 선회 기류]] - 연합뉴스 == 관련 문서 == * [[대한민국/외교]] * [[폴란드/외교]] * [[대한민국/경제]] * [[폴란드/경제]] * [[대한민국/문화]] * [[폴란드/문화]] * [[2022년 대한민국-폴란드 방산계약]] * [[주한 폴란드 대사관]] * [[문화방송 한류팬 선물 갈취 사건]] * [[한국인]] / [[폴란드인]] * [[한국어]] / [[폴란드어]] * [[대국관계일람/아시아 국가/동아시아 국가]] * [[대국관계일람/유럽 국가/중부유럽 국가]] [[분류:한폴관계]][[분류:나무위키 외교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