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FFFFFF '''한석규의 관련 둘러보기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FFFFFF '''한석규의 주요 수상 이력'''}}}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5> {{{+1 [[SBS|[[파일:SBS 로고.svg|width=60]]]] '''[[SBS 연기대상|{{{#00558F,#70C4FF 연기대상}}}]] [[틀:SBS 연기대상 대상 수상자|{{{#00558F,#70C4FF 대상}}}]]'''}}} || || [[고현정]][br](2010년) || {{{+1 →}}} || '''한석규[br](2011년)''' || {{{+1 →}}} || [[손현주]][br](2012년) || || [[주원]][br](2015년) || {{{+1 →}}} || '''한석규[br](2016년)''' || {{{+1 →}}} || [[지성(배우)|지성]][br](2017년) || ---- ||<-5> {{{#FFFFFF {{{+1 '''역대'''}}} [[청룡영화상|[[파일:bluedragonfilmawards_logo.png|width=120]]]]}}} || ||<-5> [[파일:bluedragonawards3.png|width=30]] || ||<-5> '''[[청룡영화상/남우주연상|{{{#FFFFFF 남우주연상}}}]]''' || || '''제17회[br]([[1996년]])''' || {{{+1 →}}} || '''제18회[br]([[1997년]])''' || {{{+1 →}}} || '''제19회[br]([[1998년]])''' || || [[문성근]][br]([[꽃잎(영화)|꽃잎]]) || {{{+1 →}}} || '''{{{#FFFFFF 한석규[br]([[초록물고기|{{{#FFFFFF 초록물고기}}}]])}}}''' || {{{+1 →}}} || [[박신양]][br]([[약속(영화)|약속]]) || ||<-5> || ---- ||<-5> {{{#000000 {{{+1 '''역대'''}}} [[대종상|[[파일:daejongfilmawards_logo.png|width=120]]]]}}} || ||<-5> [[파일:daejongawards.png|width=50]] || ||<-5> '''{{{#000000 남우주연상}}}''' || || '''제34회[br]([[1996년]])''' || {{{+1 →}}} || '''제35회[br]([[1997년]])''' || {{{+1 →}}} || '''제36회[br]([[1999년]])'''[* [[1998년]]에는[[IMF]] 경제 위기로 인해 열리지 못했다.] || || [[최민수]][br]([[테러리스트(영화)|테러리스트]]) || {{{+1 →}}} || '''{{{#FFFFFF 한석규[br]([[초록물고기|{{{#FFFFFF 초록물고기}}}]])}}}''' || {{{+1 →}}} || [[최민식]][br]([[쉬리(영화)|쉬리]]) || ||<-5> || ---- ||<-5>
[[백상예술대상|[[파일:백상예술대상로고(1).png|width=130]]]] || ||<-5> [[파일:baeksangartsawards4.png|height=100]] || ||<-5> {{{#ffffff '''영화부문 남자 최우수연기상'''}}} || || '''제32회 [br] ([[1996년]])''' || {{{+1 → }}} || '''제33회 [br] ([[1997년]])''' || {{{+1 → }}} || '''제34회 [br] ([[1998년]])''' || || [[이경영(1960)|이경영]][br]([[런어웨이(영화)|런어웨이]]) || {{{+1 → }}} || '''{{{#fff 한석규[br]([[초록물고기|{{{#fff 초록물고기}}}]])}}}''' || {{{+1 → }}} || [[박중훈]][br]([[할렐루야(영화)|할렐루야]]) || ||<-5> || ---- }}} || ---- || {{{#FFFFFF '''한석규의 주요 설문조사 목록'''}}}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한국갤럽 선정 한국인이 좋아하는 영화배우)] ---- }}} || ---- [include(틀:클로버컴퍼니 소속 아티스트)] ---- [include(틀:KBS의 성우)] ---- [include(틀:MBC 공채 탤런트)] ---- }}} || ||<-2> '''{{{+1 한석규}}}[br]韓石圭 | Han Suk-kyu'''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한석규 프로필.jpg|width=100%]]}}} || ||<|2> '''출생''' ||[[1964년]] [[11월 3일]][* 음력 [[1964년]] [[9월 29일]].] ([age(1964-11-03)]세)|| ||[[서울특별시]] [[성북구]] [[종암동]][* [[https://www.tvdaily.co.kr/read.php3?aid=14902320241223074008|참조]].]||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본관''' ||[[청주 한씨]]|| || '''신체''' ||178cm, 64kg, 270mm, [[AB형]]|| || '''가족''' ||배우자 [[임명주]][* 전 [[한국방송공사]] 21기 [[성우]]. [[https://nalka.tistory.com/128|[[1967년]] [[2월 7일]]생이다.]]]^^(1998년 11월 22일 결혼 ~ 현재)^^[br]장녀^^(1999년 7월 31일생)^^[br]차녀^^(2001년생)^^[br]장남^^(2003년 5월 23일생)^^[br]차남^^(2006년 6월 14일생)^^|| || '''학력''' ||[[서울숭례초등학교|서울숭례국민학교]] {{{-2 (1977 졸업)}}}[br][[용문중학교(서울)|용문중학교]] {{{-2 (1980 졸업)}}}[br][[용문고등학교(서울)|용문고등학교]] {{{-2 (1983 졸업)}}}[br][[동국대학교|동국대학교 예술대학]] {{{-2 (연극영화학 / 학사)}}} || || '''병역''' ||[[대한민국 육군]] [[제27보병사단]] 의병전역|| || '''소속사''' ||[[클로버컴퍼니]]|| || '''취미''' ||[[낚시]], [[골프]]|| || '''특기''' ||[[노래]]|| || '''데뷔''' ||[[1990년]] [[KBS 성우극회]] 22기[br][[1991년]] [[문화방송|MBC]] 제20기 공채 탤런트 || [목차] [clearfix] == 개요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8크 유정원 웃음.gif|width=100%]]}}}|| ||||{{{-1 {{{#!wiki style="margin:10px" '''1990년대 한석규의 이름은 곧 흥행 보증 수표였다.''' [[아들과 딸|T]][[서울의 달(드라마)|V]]를 통해 먼저 연기력을 인정받은 그는 자연스럽게 영화계로 무대로 옮겼고, [[닥터 봉|로맨틱코미디]]부터 [[접속(영화)|멜]][[8월의 크리스마스|로]], [[쉬리(영화)|액션 블록버스터]]에 이르기까지 한석규의 이름 석 자는 영화의 흥행과 완성도를 책임지는 보증수표가 됐다. 특히 한석규의 부드러운 중저음의 목소리와 도시적인 섬세함이 배어있는 얼굴은 그간 볼 수 없었던 새로움이기도 했다. 1990년대 한석규의 얼굴은 가장 '보편의 얼굴'로서 관객의 마음을 사로잡았다.}}}}}} ---- {{{#!wiki style="margin:4px" {{{-2 [[https://www.maxmovie.com/news/131920|CGV 피카디리 1958 - 2010년대 명예의 전당 배우 선정]]}}}}}} || [[대한민국]]의 [[배우]]. == [[한석규/경력|경력]] == [include(틀:상세 내용,문서명=한석규/경력)] == [[한석규/평가|평가]] == [include(틀:상세 내용,문서명=한석규/평가)] == 출연작 == === 영화 === ##개봉된 장편영화의 주연, 조연으로 출연한 영화만 기재합니다. 단역, 특별출연, 우정출연, 카메오 등은 제외합니다. ##배역명에 경우 크레딧에 기재된 명으로 기재합니다. || {{{#!wiki style="margin: 0px -11px; color: #FFFFFF" {{{#!folding Filmography {{{#!wiki style="margin-bottom: -11px" || {{{#!wiki style="margin: -5px -10px" [[닥터봉|[[파일:닥터 봉_포스터.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은행나무 침대|[[파일:은행나무 침대 포스터.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초록물고기|[[파일:external/www.kobis.or.kr/mov_19970048_33016.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넘버 3|[[파일:넘버삼.jpg|width=100%]]]]}}} || || [[닥터봉|{{{#!wiki style="font-size: 1.1em" {{{#000000,#ffffff '''닥터 봉'''}}}}}}]]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424242; font-size: 0.75em" {{{#ffffff '''주연'''}}}}}} {{{#000000,#ffffff {{{-2 '''1995. 4. 29'''}}}[br]{{{-3 [[이광훈(영화 감독)|이광훈]] 감독 / 봉준수 역}}}}}} || [[은행나무 침대|{{{#!wiki style="font-size: 1.1em" {{{#000000,#ffffff '''은행나무 침대'''}}}}}}]]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424242; font-size: 0.75em" {{{#ffffff '''주연'''}}}}}} {{{#000000,#ffffff {{{-2 '''1996. 2. 17'''}}}[br]{{{-3 [[강제규]] 감독 / 수현/종문 역}}}}}} || [[초록물고기|{{{#!wiki style="font-size: 1.1em" {{{#000000,#ffffff '''초록물고기'''}}}}}}]]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424242; font-size: 0.75em" {{{#ffffff '''주연'''}}}}}} {{{#000000,#ffffff {{{-2 '''1997. 2. 7'''}}}[br]{{{-3 [[이창동]] 감독 / 김막동 역}}}}}} || [[넘버 3|{{{#!wiki style="font-size: 1.1em" {{{#000000,#ffffff '''넘버 3'''}}}}}}]]{{{#!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424242; font-size: 0.75em" {{{#ffffff '''주연'''}}}}}} {{{#000000,#ffffff {{{-2 '''1997. 8. 2'''}}}[br]{{{-3 송능한 감독 / 서태주 역}}}}}} || || {{{#!wiki style="margin: -5px -10px" [[접속(영화)|[[파일:영화 접속(1997) 포스터.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8월의 크리스마스|[[파일:8월의 크리스마스.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쉬리(영화)|[[파일:attachment/대털/쉬대리.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텔 미 썸딩|[[파일:movie_image_tell_me_something.jpg|width=100%]]]]}}} || || [[접속(영화)|{{{#!wiki style="font-size: 1.1em" {{{#000000,#ffffff '''접속'''}}}}}}]]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424242; font-size: 0.75em" {{{#ffffff '''주연'''}}}}}} {{{#000000,#ffffff {{{-2 '''1997. 9. 13'''}}}[br]{{{-3 [[장윤현]] 감독 / 권동현 역}}}}}} || [[8월의 크리스마스|{{{#!wiki style="font-size: 1.1em" {{{#000000,#ffffff '''8월의 크리스마스'''}}}}}}]]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424242; font-size: 0.75em" {{{#ffffff '''주연'''}}}}}} {{{#000000,#ffffff {{{-2 '''1998. 1. 24'''}}}[br]{{{-3 [[허진호]] 감독 / 정원 역}}}}}} || [[쉬리(영화)|{{{#!wiki style="font-size: 1.1em" {{{#000000,#ffffff '''쉬리'''}}}}}}]]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424242; font-size: 0.75em" {{{#ffffff '''주연'''}}}}}} {{{#000000,#ffffff {{{-2 '''1999. 2. 13'''}}}[br]{{{-3 [[강제규]] 감독 / 유중원 역}}}}}} || [[텔 미 썸딩|{{{#!wiki style="font-size: 1.1em" {{{#000000,#ffffff '''텔 미 썸딩'''}}}}}}]]{{{#!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424242; font-size: 0.75em" {{{#ffffff '''주연'''}}}}}} {{{#000000,#ffffff {{{-2 '''1999. 11. 13'''}}}[br]{{{-3 [[장윤현]] 감독 / 조형사 역}}}}}} || || {{{#!wiki style="margin: -5px -10px" [[이중간첩(영화)|[[파일:attachment/C4229-00.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주홍글씨(영화)|[[파일:주홍글씨(영화) 포스터.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그때 그 사람들|[[파일:external/img.movist.com/43_p2.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미스터 주부퀴즈왕|[[파일:미스터 주부퀴즈왕.png|width=100%]]]]}}} || || [[이중간첩(영화)|{{{#!wiki style="font-size: 1.1em" {{{#000000,#ffffff '''이중간첩'''}}}}}}]]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424242; font-size: 0.75em" {{{#ffffff '''주연'''}}}}}} {{{#000000,#ffffff {{{-2 '''2003. 1. 23'''}}}[br]{{{-3 김현정 감독 / 림병호 역}}}}}} || [[주홍글씨(영화)|{{{#!wiki style="font-size: 1.1em" {{{#000000,#ffffff '''주홍글씨'''}}}}}}]]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424242; font-size: 0.75em" {{{#ffffff '''주연'''}}}}}} {{{#000000,#ffffff {{{-2 '''2004. 10. 29'''}}}[br]{{{-3 [[변혁]] 감독 / 이기훈 역}}}}}} || [[그때 그 사람들|{{{#!wiki style="font-size: 1.1em" {{{#000000,#ffffff '''그때 그 사람들'''}}}}}}]]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424242; font-size: 0.75em" {{{#ffffff '''주연'''}}}}}} {{{#000000,#ffffff {{{-2 '''2005. 2. 3'''}}}[br]{{{-3 [[임상수]] 감독 / 주 과장 역}}}}}} || [[미스터 주부퀴즈왕|{{{#!wiki style="font-size: 1.1em" {{{#000000,#ffffff '''미스터 주부퀴즈왕'''}}}}}}]]{{{#!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424242; font-size: 0.75em" {{{#ffffff '''주연'''}}}}}} {{{#000000,#ffffff {{{-2 '''2005. 9. 30'''}}}[br]{{{-3 유선동 감독 / 조진만 역}}}}}} || || {{{#!wiki style="margin: -5px -10px" [[음란서생|[[파일:음란서생포스터.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구타유발자들|[[파일:attachment/A_Bloody_Aria.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사랑할 때 이야기하는 것들|[[파일:사랑할 때 이야기하는 것들 포스터.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눈에는 눈 이에는 이(영화)|[[파일:eye_for_an_eye.jpg|width=100%]]]]}}} || || [[음란서생|{{{#!wiki style="font-size: 1.1em" {{{#000000,#ffffff '''음란서생'''}}}}}}]]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424242; font-size: 0.75em" {{{#ffffff '''주연'''}}}}}} {{{#000000,#ffffff {{{-2 '''2006. 2. 23'''}}}[br]{{{-3 [[김대우(영화감독)|김대우]] 감독 / 김윤서 역}}}}}} || [[구타유발자들|{{{#!wiki style="font-size: 1.1em" {{{#000000,#ffffff '''구타유발자들'''}}}}}}]]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424242; font-size: 0.75em" {{{#ffffff '''주연'''}}}}}} {{{#000000,#ffffff {{{-2 '''2006. 5. 31'''}}}[br]{{{-3 [[원신연]] 감독 / 이문재 역}}}}}} || [[사랑할 때 이야기하는 것들|{{{#!wiki style="font-size: 1.1em" {{{#000000,#ffffff '''사랑할 때 이야기하는 것들'''}}}}}}]]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424242; font-size: 0.75em" {{{#ffffff '''주연'''}}}}}} {{{#000000,#ffffff {{{-2 '''2006. 11. 30'''}}}[br]{{{-3 변승욱 감독 / 심인구 역}}}}}} || [[눈에는 눈 이에는 이(영화)|{{{#!wiki style="font-size: 1.1em" {{{#000000,#ffffff '''눈에는 눈 이에는 이'''}}}}}}]]{{{#!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424242; font-size: 0.75em" {{{#ffffff '''주연'''}}}}}} {{{#000000,#ffffff {{{-2 '''2008. 7. 31'''}}}[br]{{{-3 [[곽경택]], 안권태 감독 / 백성찬 역}}}}}} || || {{{#!wiki style="margin: -5px -10px" [[백야행 - 하얀 어둠 속을 걷다|[[파일:external/639cb084f69d9600acb2a8d0769d9afc8ffcaef76359ca5f9d9840d21e5e0268.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이층의 악당|[[파일:external/259c0b39f357d515dde55e46805e7b076f42cf83cb573cda7d5185cfae886c13.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베를린(영화)|[[파일:external/0b0d02198ba29e36b54a8e8950b90d3188952ac2987560727e5aab38797c39af.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파로티|[[파일:파파로티_movie_image.jpg|width=100%]]]]}}} || || [[백야행 - 하얀 어둠 속을 걷다|{{{#!wiki style="font-size: 1.1em" {{{#000000,#ffffff '''백야행 - 하얀 어둠 속을 걷다'''}}}}}}]]{{{#!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424242; font-size: 0.75em" {{{#ffffff '''주연'''}}}}}} {{{#000000,#ffffff {{{-2 '''2009. 11. 19'''}}}[br]{{{-3 박신우 감독 / 한동수 역}}}}}} || [[이층의 악당|{{{#!wiki style="font-size: 1.1em" {{{#000000,#ffffff '''이층의 악당'''}}}}}}]]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424242; font-size: 0.75em" {{{#ffffff '''주연'''}}}}}} {{{#000000,#ffffff {{{-2 '''2010. 11. 24'''}}}[br]{{{-3 [[손재곤]] 감독 / 강창인 역}}}}}} || [[베를린(영화)|{{{#!wiki style="font-size: 1.1em" {{{#000000,#ffffff '''베를린'''}}}}}}]]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424242; font-size: 0.75em" {{{#ffffff '''주연'''}}}}}} {{{#000000,#ffffff {{{-2 '''2013. 1. 30'''}}}[br]{{{-3 [[류승완]] 감독 / 정진수 역}}}}}} || [[파파로티|{{{#!wiki style="font-size: 1.1em" {{{#000000,#ffffff '''파파로티'''}}}}}}]]{{{#!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424242; font-size: 0.75em" {{{#ffffff '''주연'''}}}}}} {{{#000000,#ffffff {{{-2 '''2013. 3. 14'''}}}[br]{{{-3 윤종찬 감독 / 나상진 역}}}}}} || || {{{#!wiki style="margin: -5px -10px" [[상의원|[[파일:영화 상의원 포스터.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프리즌|[[파일:external/9f7aab8f975caa4ff4cf7972c03a6e23101b9d4dadb562aa4742ad526aafea6f.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우상(영화)|[[파일:우상포스터.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천문: 하늘에 묻는다|[[파일:common-17.jpg|width=100%]]]]}}} || || [[상의원|{{{#!wiki style="font-size: 1.1em" {{{#000000,#ffffff '''상의원'''}}}}}}]]{{{#!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424242; font-size: 0.75em" {{{#ffffff '''주연'''}}}}}} {{{#000000,#ffffff {{{-2 '''2014. 12. 24'''}}}[br]{{{-3 [[이원석(영화 감독)|이원석]] 감독 / 조돌석 역}}}}}} || [[프리즌|{{{#!wiki style="font-size: 1.1em" {{{#000000,#ffffff '''프리즌'''}}}}}}]]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424242; font-size: 0.75em" {{{#ffffff '''주연'''}}}}}} {{{#000000,#ffffff {{{-2 '''2017. 3. 23'''}}}[br]{{{-3 나현 감독 / 정익호 역}}}}}} || [[우상(영화)|{{{#!wiki style="font-size: 1.1em" {{{#000000,#ffffff '''우상'''}}}}}}]]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424242; font-size: 0.75em" {{{#ffffff '''주연'''}}}}}} {{{#000000,#ffffff {{{-2 '''2019. 3. 20'''}}}[br]{{{-3 [[이수진(영화 감독)|이수진]] 감독 / 구명회 역}}}}}} || [[천문: 하늘에 묻는다|{{{#!wiki style="font-size: 1.1em" {{{#000000,#ffffff '''천문: 하늘에 묻는다'''}}}}}}]]{{{#!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424242; font-size: 0.75em" {{{#ffffff '''주연'''}}}}}} {{{#000000,#ffffff {{{-2 '''2019. 12. 26'''}}}[br]{{{-3 [[허진호]] 감독 / 세종대왕 역}}}}}} || }}}}}}}}} || ||
'''개봉 연도''' || '''제목''' || '''배역''' || '''역할''' || '''관객수''' || '''흥행''' || ||<|2> 1995년 || [[말미잘(영화)|말미잘]] || || 특별 출연 || || || || '''[[닥터 봉]]''' || '''봉준수''' ||<|24> 주연 || 40만명(서울) ||<|8> 성공 || || 1996년 || '''[[은행나무 침대]]''' || '''수현/종문''' || 185만명(전국) || ||<|3> 1997년 || '''[[넘버 3]]''' || '''서태주''' || 30만명(서울) || || '''[[초록물고기]]''' || '''김막동''' || 20만명(서울) || || '''[[접속(영화)|접속]]''' || '''권동현''' || 150만명(전국) || || 1998년 || '''[[8월의 크리스마스]]''' || '''[[유정원]]''' || 45만명(서울) || ||<|2> 1999년 || '''[[쉬리(영화)|쉬리]]''' || '''유중원''' || 695만명(전국) || || '''[[텔 미 썸딩]]''' || '''[[조형사]]''' || 205만명(전국) || || 2003년 || [[이중간첩(영화)|이중간첩]] || 림병호 || 102만명 || 실패 || || 2004년 || [[주홍글씨]] || 이기훈 || 143만명 || 성공 || ||<|2> 2005년 || [[그때 그 사람들]] || 주 과장 || 108만명 ||<|2> 실패 || || [[미스터 주부퀴즈왕]] || 조진만 || 33만명 || ||<|3> 2006년 || [[음란서생]] || 김윤서 || 257만명 || 성공 || || [[구타유발자들]] || [[문재(구타유발자들)|문재]] || 16만명 ||<|2> 실패 || || 사랑할 때 이야기하는 것들 || 심인구 || 21만명 || || 2008년 || [[눈에는 눈 이에는 이(영화)|눈에는 눈 이에는 이]] || 백성찬 || 205만명 || 성공 || || 2009년 || [[백야행 - 하얀 어둠 속을 걷다]] || 한동수 || 140만명 ||<|2> 실패 || || 2010년 || [[이층의 악당]] || 강창인 || 40만명 || ||<|2> 2013년 || '''[[베를린(영화)|베를린]]''' || '''[[정진수]]''' || 710만명 ||<|2> 성공 || || '''[[파파로티]]''' || '''나상진''' || 170만명 || || 2014년 || [[상의원]] || 조돌석 || 79만명 || 실패 || || 2017년 || '''[[프리즌]]''' || '''정익호''' || 293만명 || 성공 || ||<|2> 2019년 || [[우상(영화)|우상]] || 구명회 || 18만명 ||<|2> 실패 || || [[천문: 하늘에 묻는다]] || 세종 || 200만명 || 특이사항으로는 지금까지 1995년 은사인 [[유현목]] 감독이 연출한 [[말미잘(영화)|말미잘]]에서 한 때 제자로서 예의상 특별 출연으로 나온 거 빼고는 그 흔한 특별출연 한 번 없이 전 출연작 모두 주연으로 출연하였다. === 드라마 === ||
'''방영 연도''' || '''방송사''' || '''작품명''' || '''배역''' || '''역할''' || '''최고 시청률''' || ||<|2> 1990년 ||<|18> [[MBC TV|[[파일:MBC 로고(1986-2005).svg|width=40]]]] || [[대원군(MBC)|대원군]] || 덕휘공 ||<|3> 단역 ||<|4> - || || [[전원일기]] || 남면 우체국 견습 집배원 || ||<|3> 1991년 || [[베스트극장]] - 달 || 가마꾼1 || || [[우리들의 천국]] || 현철 || 조연 || || [[여명의 눈동자]] || 서북청년단 단원 ||<|3> 단역 || 58.4% || ||<|3> 1992년 || 춘원 이광수 || ||<|2> - || || [[한지붕 세가족]] - 시즌 3 || 방범대원 || || '''[[아들과 딸]]''' || '''한석호''' || 조연 || 61.1% || ||<|3> 1993년 || '''[[파일럿(드라마)|파일럿]]''' || '''박상현''' || 주연 || 46.2% || || [[폭풍의 계절]] || ||<|2> 조연 ||<|2> - || || [[한지붕 세가족]] - 시즌 4 || 진우 || ||<|4> 1994년 || '''[[서울의 달(드라마)|서울의 달]]''' || '''김홍식''' ||<|2> 주연 || 48.7% || || [[베스트극장]] - 그들만의 방 || 재현 ||<|2> - || || 도전 || ||<|2> 조연 || || [[까레이스키]] || 유재상 || 7.5% || ||<|2> 1995년 || '''[[호텔(드라마)|호텔]]''' || '''임형빈''' || 주연 || 36.5% || || [[전쟁과 사랑]] || || 조연 ||<|2> - || || 1997년 || [[남자 셋 여자 셋]] || 한석규 || 목소리 출연 || || 2011년 ||<|3> [[SBS TV|[[파일:SBS 로고.svg|width=40]]]] || '''[[뿌리깊은 나무(SBS)|뿌리깊은 나무]]''' || '''[[세종(용비어천가 시리즈)|세종]]''' ||<|9> 주연 || 25.4% || || 2014년 || [[비밀의 문]] || 영조 || 10.0% || || 2016년~2017년 || '''[[낭만닥터 김사부]]''' || '''[[김사부]]''' || 27.6% || || 2019년 || [[OCN|[[파일:OCN 로고(2001-2020).svg|width=40]]]] || '''[[WATCHER]]''' || '''[[도치광]]''' || 6.6% || || 2020년 || [[SBS TV|[[파일:SBS 로고.svg|width=40]]]] || '''[[낭만닥터 김사부 2]]''' || '''[[김사부]]''' || 27.1% || || 2022년 || [[왓챠|[[파일:왓챠 로고.svg|width=40]]]][br][[채널A|[[파일:채널A 로고.svg|width=40]]]] || [[오늘은 좀 매울지도 몰라]] || 강창욱 || - || || 2023년 || [[SBS TV|[[파일:SBS 로고.svg|width=40]]]] || [[낭만닥터 김사부 3]] || [[김사부]] || 16.8% || || 2024년 || [[MBC TV|[[파일:MBC 로고.svg|width=40]]]] || [[이토록 친밀한 배신자]] || 장태수 || || == 그외 활동 == === 방송 === ||
'''방영 연도''' || '''방영 날짜''' || '''방송사''' || '''제목''' || || 1993년 ||<|2> 5월 28일 ||<|3> [[MBC|[[파일:MBC 로고(1986-2005).svg|width=40]]]] || 결정! 최고 인기가요 || || 1994년 ||<|2> [[토요일 토요일은 즐거워]] || || 1995년 || 11월 25일 || || 1997년 || 9월 7일 ||<|6> [[KBS 2TV|[[파일:KBS 2TV 로고(1984-2018).svg|width=40]]]] ||<|2> [[이소라의 프로포즈]] || ||<|2> 1998년 || 1월 11일 || || 11월 24일 || [[서세원쇼]] || ||<|2> 1999년 || 2월 13일 ||<|2> [[이소라의 프로포즈]] || || 11월 6일 || || 2005년 || 9월 23일 || [[윤도현의 러브레터]] || || 2008년 || 7월 23일 ||<|2> [[SBS|[[파일:SBS 로고.svg|width=40]]]] || [[김정은의 초콜릿]] || || 2013년 || 3월 4일 || [[힐링캠프 기쁘지 아니한가]] || || 2014년 || 12월 11일 || [[JTBC|[[파일:JTBC 로고.svg|width=40]]]] || [[JTBC 뉴스룸]] || || 2018년 || 11월 6일 || [[KBS대구방송총국|[[파일:KBS대구 로고.svg|width=60]]]] || 기억, 마주서다[*나레이션] || === 라디오 === ||
'''방송 연도''' || '''방영 날짜''' || '''방송사''' || '''제목''' || '''비고''' || || 2019년 || 12월 27일 || [[MBC FM4U|[[파일:mbc-fm4u.png|width=80]]]] || [[배철수의 음악캠프]] || with [[최민식]] || === 음반 === ||
'''발매 연도''' || '''앨범명''' || '''곡명''' || '''아티스트''' || || 1998년 || [[8월의 크리스마스]] OST || {{{#!wiki style="display:inline; padding:3px 3px; border-radius:3px; background: #002342; font-size:0.5em" {{{#FFFFFF '''TITLE'''}}}}}} '''8월의 크리스마스''' ||<|2> [[한석규]] || || 2005년 || [[미스터 주부퀴즈왕]] OST || {{{#!wiki style="display:inline; padding:3px 3px; border-radius:3px; background: #002342; font-size:0.5em" {{{#FFFFFF '''TITLE'''}}}}}} '''그대에게 띄우는 편지''' || ||<|2> 2013년 ||<|2> [[파파로티]] OST ||<|2> 행복을 주는 사람 || [[한석규]], [[이제훈]] || || [[한석규]], 강요셉 || === CF === ||
'''연도''' || '''기업명''' || '''제품명''' || '''종류''' || ||<|4> 1993년 || [[제일모직]] || [[빈폴]] || 의류 || || [[삼성전자]] || 그린컴퓨터 || 컴퓨터 || || [[현대자동차]] || [[현대 엑셀#s-2.2.2|엑셀GS]] || 자동차 || || [[해태음료]] || [[썬키스트]] 훼미리주스 || 음료 || || 1993년~1997년 || [[선창산업]](現 [[선앤엘]]) || 선우드가구 || 가구 || ||<|2> 1994년 || [[LG생활건강]] || [[죽염#s-5]] || 치약 || || 쌍용제지 || 비바 || 화장지 || || 1994년~1995년 || [[하이트진로]] || [[하이트맥주]] || 주류 || ||<|3> 1996년 || [[LG데이콤|데이콤]](現 [[LG U+|LG유플러스]]) || [[082#s-2|시외전화 082]] || 통신사 || || [[대우전자]] || 대우입체냉장고 탱크2 || 냉장고 || || [[제일모직]] || 갤럭시 || 의류 || ||<|2> 1997년 ||<|2> [[GS칼텍스|LG칼텍스]](現 [[GS칼텍스]]) || 보너스카드 || 카드 || || LG정유(現 [[GS칼텍스]]) || 주유소 || ||<|2> 1998년 || [[한국화장품]] || 파메스 || 화장품 || || [[SK텔레콤]] || [[넷츠고]] || PC통신 || || 1998년~2000년 || [[동서식품]] || [[맥심]] || 커피 || || 1998년~2002년 || [[SK텔레콤]] || 스피드011 || 통신사 || || 1999년 || [[SK텔레텍]] || 스카이 || 휴대전화 || || 1999년~2003년 || [[KEB외환은행]] || 외환은행 || 금융 || || 2000년~2004년 || [[LG전자]] || [[엑스캔버스]] || TV || ||<|2> 2002년 ||<|2> [[SK텔레콤]] || 모네타 ||<|2> 통신 || || MT 2000 || || 2004년~2007년 || 기탄교육 || 기탄교육 || 교육 || || 2005년 || [[교보생명]] || 교보생명 || 보험 || ||<|2> 2006년 || [[LG U+|LG유플러스]] || [[LG텔레콤]] || 통신사 || || [[삼성화재]] || 올라이프 || 보험 || || 2009년~2010년 || 한국증권금융 || 한국증권금융 || 금융 || ||<|2> 2010년 || [[SK에너지]] || 엔크릭솔룩스 || 휘발류 || || 던롭 코리아 || 젝시오 || 스포츠 용품 || || 2012년~2013년 || LS네트윅스 || 몽벨 || 아웃도어 || || 2012년~2014년 || [[메리츠화재]] || 메리츠화재 || 보험 || || 2015년 || [[에치와이|한국야쿠르트]](現 [[에치와이]]) || [[헬리코박터 프로젝트 윌]] ||<|2> 건강식품 || || 2017년~2022년 || [[한국인삼공사]] || [[정관장]](천녹) || == 수상 내역 == === 시상식 === ||
'''연도''' || '''시상식''' || '''수상''' || '''작품''' || || 1984년 || [[MBC 강변가요제]] || 장려상 || 길잃은 친구에게 || || 1993년 || [[MBC 연기대상|MBC 방송대상]][* 현 [[MBC 연기대상]].] || 남자 신인상 || [[아들과 딸]], [[파일럿(드라마)|파일럿]] || ||<|2> 1994년 || TV저널 올해의 시상식 || 탤런트부문 우수상 ||<|2> [[서울의 달(드라마)|서울의 달]] || || [[MBC 연기대상|MBC 방송대상]][* 현 [[MBC 연기대상]].] || 남자 최우수연기상 || || 1995년 || 제6회 [[춘사국제영화제|이천춘사대상영화제]] || 신인남우상[* 당시 시상 명칭은 새얼굴 남자연기상 이었다.][* 누가 나를 미치게 하는가의 [[이병헌]]과 공동 수상.] ||<|3> [[닥터 봉]] || ||<|2> 1996년 || 제32회 [[백상예술대상]] || 영화부문 남자 신인연기상 || || 제1회 [[씨네21 영화상]] || 신인연기상 || ||<|7> 1997년 || 제33회 [[백상예술대상]] || '''영화부문 남자 최우수연기상''' ||<|4> [[초록물고기]] || || 제17회 [[한국영화평론가협회상]] || '''남우주연상''' || || 제20회 [[황금촬영상]] || '''최우수 인기남우상''' || ||<|2> 제35회 [[대종상]] || '''남우주연상''' || || 남자인기상 || [[초록물고기]], [[넘버 3]], [[접속(영화)|접속]] || ||<|2> 제18회 [[청룡영화상]] || '''남우주연상''' || [[초록물고기]] || || 인기스타상 || [[초록물고기]], [[넘버 3]], [[접속(영화)|접속]] || ||<|4> 1998년 || 제3회 여성관객영화상 || '''여성관객이 뽑은 최고의 남자배우상''' ||<|4> [[8월의 크리스마스]] || || 제1회 [[디렉터스컷 어워즈]] || '''올해의 남자 연기자상''' || || 제19회 [[청룡영화상]] || 인기스타상 || || [[씨네21 영화상]] || '''올해의 남자배우''' || ||<|3> 1999년 || 제36회 [[대종상]] || 남자인기상 || [[8월의 크리스마스]], [[쉬리(영화)|쉬리]] || || 제20회 [[청룡영화상]] || 인기스타상 ||<|2> [[쉬리(영화)|쉬리]], [[텔 미 썸딩]] || || 제7회 [[대한민국 문화연예대상|한국최고인기연예대상]] || 영화배우부문 남자연기상 || || 2000년 || 제37회 [[대종상]] || 남자인기상 || [[텔 미 썸딩]] || ||<|2> 2011년 ||<|2> [[SBS 연기대상]] || 10대 스타상 ||<|2> [[뿌리깊은 나무(SBS)|뿌리깊은 나무]] || || '''대상''' || || 2012년 || 제3회 [[대중문화예술상|대한민국대중문화예술상]] || '''대통령 표창''' || || ||<|2> 2016년 ||<|2> [[SBS 연기대상]] || 10대 스타상 ||<|2> [[낭만닥터 김사부]] || || '''대상''' || || 2019년 || 제23회 판타지아 국제 영화제 || '''슈발누아 경쟁부문 남우주연상'''[* 같은 작품에 출연했던 [[설경구]]와 공동 수상.] || [[우상(영화)|우상]] || === 설문조사 === [include(틀:한국갤럽 선정 한국인이 좋아하는 영화배우)] ==# 인터뷰 속 연기관 #== ||||{{{-1 {{{#!wiki style="margin:10px" 배우는 오직 연기로 말한다고 생각한다. 난 영화 한 편 찍을 때마다 관객들에게 발가벗김을 당하는 느낌이다. 영화만으로도 충분히 나 자신을 노출시켰다고 본다. 그 이외의 쇼 프로 출연이나 말 만들기 좋아하는 매체 인터뷰는 정말이지 불편하다. 연기자 한석규로 너그럽게 봐줬으면 한다.}}}}}} ---- {{{#!wiki style="margin:4px" {{{-2 [[https://weekly.hankooki.com/news/articleView.html?idxno=2182676|2003년 10월 5일 인터뷰]] 中}}}}}} || ||||{{{-1 {{{#!wiki style="margin:10px" 배우는 두 가지 타입이 존재한다. 외적인 타입과 내적인 타입. 내 경우는 후자인데 그게 장점이 될 수 있다. 내적인 배우는 평소에 감정을 드러내지 않는 편인데 연기를 통해서는 팍 터뜨릴 수 있다. 나 자신을 완전히 버림으로서 갖는 쾌감이 있다. 나는 그런 타입의 배우다. 우울증이라면 현대인, 도시인에게는 누구나 있는 증상 아닌가. 나는 그걸 분출할 수 있는 직업이어서 좋은 것 같다. 가장 큰 스트레스는 역시 연기다. 연기 때문에 스트레스를 받고 또 그걸 연기로 푼다.}}}}}} ---- {{{#!wiki style="margin:4px" {{{-2 [[https://www.sedaily.com/NewsView/1HP3R0GSO2|2008년 7월 2일 인터뷰]] 中}}}}}} || ||||{{{-1 {{{#!wiki style="margin:10px" 좀 배부른 소리일 수도 있지만 사실 전 연기에만 전념하면서 살고 싶어요. 제가 가장 좋아하고 잘할 수 있는 일이 연기거든요. 제게 연기란 사랑하는 여자, 평생 짝사랑하는 대상 같아요. 평생 예쁜 모습을 간직하고 싶고, 아끼고 어루만져주고 싶은 존재죠. 그렇기 때문에 저한테는 ‘누구보다 낫다, 잘한다.’라는 평가보다 그 여인을 망가뜨리지 않고 얼마나 지고지순하게 사랑을 가꾸어가느냐가 중요해요.}}}}}} ---- {{{#!wiki style="margin:4px" {{{-2 [[https://woman.donga.com/people/3/04/12/139592/1|2008년 8월 22일 인터뷰]] 中}}}}}} || ||||{{{-1 {{{#!wiki style="margin:10px" 어떤 새로운 걸 잘 배우는 사람보다 원래 갖고 있던 본능을 퇴화시키지 않고 잘 유지하는 사람이 오히려 괜찮은 배우인 것 같다. 배움과 훈련보다는 원래 갖고 태어났던 감정 감흥 본능을 잃어버리지 않고 가꾸는 게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 {{{#!wiki style="margin:4px" {{{-2 [[https://www.donga.com/news/Culture/article/all/20101118/32701955/2|2010년 11월 18일 인터뷰]] 中}}}}}} || ||||{{{-1 {{{#!wiki style="margin:10px" 한석규는 26세 때 잠깐 들어갔던 극단에서 공연을 마친 뒤 “빨리 마흔 살이 되고 싶다”라고 말한 적 있다고 회고했다. 나이가 들면 편안해질 거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막상 40대가 지나고 50대와 마주하게 되니 오히려 더 생각이 많아졌다고 한다. 나이 들수록 완성되는 게 아니라 혼란스럽기만 하다는 것이다.[br]"그래서 그럴까요? 늘 슬럼프예요. 요즘 들어 연기를 하면 할수록 자괴감이 들어요. 앞으로도 평생 시달리며 살 것 같아요. 평생 만족감도 못 느낄 것 같고요. 그래도 끝까지 해 볼 생각입니다. 내가 어느 정도까지 할 수 있을 지 그 끝이 궁금해서죠. 그러다 보니 정신 바짝 차려야겠다는 생각이 들어요." [br]그는 언제까지 연기를 하고 싶을까. 한석규는 자신의 직업이 의미가 없어진다는 생각이 들 때 깨끗하게 그만두고 싶다고 말했다.}}}}}} ---- {{{-1 {{{#!wiki style="margin:10px" 제 인생에 추억의 영화가 있는 것처럼, 많은 사람들의 추억에 제 영화가 있으면 좋겠습니다.}}}}}} ---- {{{#!wiki style="margin:4px" {{{-2 [[https://woman.donga.com/people/3/search/12/145538/1|2013년 3월 26일 인터뷰]] 中}}}}}} || ||||{{{-1 {{{#!wiki style="margin:10px" "솔직히 몰입하는 순간을 자주 겪어보진 못했어요. ‘몰입’이라는 단어보다는, (잠시 생각한 뒤) 이렇게 설명할게요. 드라마 ‘뿌리 깊은 나무’에서 아들이 죽었을 때 손을 어깨에 얹는 장면이 있어요. 그걸 제가 완전히 의식하지 않고 찍는 게 좋은 거였을까요? 그건 아니었을 거예요. 연기를 하는 제 모습을 관찰은 하지만 완전히 의식하는 건 아닌 상태가 좋은 것 같아요. 적당한 선을 지켜야죠. 연기하는 걸 객관적으로 보면서도 의식을 하는, 묘한 경계선이라고 표현하고 싶어요.”[br]좋은 연기에 대해 설명을 하려고 안간힘을 쓰던 그는 다음 말을 이어갔다.[br]“하지만 실제로 제가 어떻게 했는지는 자세히 모르겠어요. 그 순간에 어떻게 하는지 계산하고 하면 ‘꽝’이죠. 그렇다면 제가 계산을 하지 않고 자연스러운 상태에서 연기할 때가 많으냐, 그건 또 아니에요. 그래서 약 올라 죽겠어요(웃음). 뭐 계속 해보는 수밖에 없죠. 많이 해보고 또 모니터를 해보고, 이게 좋은 거였나 생각하는 과정이 재밌어요. 늘 한계를 느끼고 왜 이것밖에 안 되나, 하고 고민하는 것이 힘들기도 하지만 재밌죠.” }}}}}} ---- {{{#!wiki style="margin:4px" {{{-2 [[https://lady.khan.co.kr/entertainment/article/201303281542141|2013년 4월 1일 인터뷰]] 中}}}}}} || ||||{{{-1 {{{#!wiki style="margin:10px" 배우이기 때문에 연기 잘하는 동료 선·후배, 국·내외 배우 막론해 좋은 연기를 보여주는 다른 사람을 보면 질투가 난다. 천재가 있을까, 그런 생각을 해봤다. 음악, 무영, 스포츠 등 다른 분야에는 천재가 있는 것 같은데 연기 쪽에서 천재는 없는 것 같다. 태어날 때부터 우리는 다 배우의 소질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한다. 후배들에게 이야기할 때도 그렇게 말하고 조금 더 과장하면 (연기를) 배울 필요가 없는 것 같다고 이야기를 하곤 한다. 어린이는 모든 감정을 다 가지고 태어나는데, 어른이 될수록 그런 감정이 퇴화하는 것 같다. 직업적으로 배우들은 모든 감정을 다 써야 하는 직업이기 때문에 감정이 퇴화되지 않도록 노력해야 한다. 열등감을 느낀 적이 많다. 평생 열등감을 느끼지 않고 살아가는 사람이 있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열등감을 극복하는 과정은 늘 ‘어떻게 하면 더 잘할까. 더 좋은 게 뭘까’라고 생각하는 것이 아닐까 한다. }}}}}} ---- {{{#!wiki style="margin:4px" {{{-2 [[https://m.sports.khan.co.kr/amp/view.html?art_id=201412102149523&sec_id=540401|2014년 12월 10일 인터뷰]] 中}}}}}} || ||||{{{-1 {{{#!wiki style="margin:10px" '낭만닥터 김사부' 제안을 받았을 때 고민하고 생각했던 지점들이 바로 내 직업에 대한 생각이었다. 직업이 연기자인데 '대체 난 뭐 하는 사람일까?'라는 물음을 계속 던졌고 그때마다 답이 안 나왔다. 다른 직업군은 답이 척척 나오는데 이건 안 나오더라. 직업이란 것을 통해 그 사람을 말할 수 있다고 생각하고 그래서 직업은 중요한 것 같다. 스스로 목표가 무엇인지 생각을 하게 됐는데, '낭만닥터 김사부'를 연기하면서 그 해답을 찾게 됐다. 우리 일은 가짜를 통해 진짜의 정곡을 찌르는 일이라는 걸. 그게 내 일이다. 한때는 가짜를 연기한다는 것 때문에 힘들었다. 내가 하는 일, 내가 하는 연기가 다 가짜라는 생각이 들자 많이 힘들더라. 내가 왜 가짜를 연기해야 하나 싶었다. 그런데 중요한 것은 이 가짜 놀음이 꽤 괜찮은 것이라는 것이다. 우리 직업군의 일들은 가짜만 가지고 하는 일인데 또 가짜가 그렇게 나쁜 것은 아니다는 걸 느끼게 됐다. 진짜를 이야기할 때 진짜로만 이야기할 수 없고 또 그렇게 말하면 어려워 전달이 안 된다. 솔직히 어려운 연기는 배우들이 연기하기 쉽다. 그런데 쉬운 연기를 쉽게 만드는 게 진짜 어려운 것 같다. 어떤 관객이 봐도 다 알 수 있게 연기하는 게 정말 어려운 일이다. 나는 이런 의미에서 아직도 연기가 어렵다. 어려운 과제를 안고 못 할 때까지 계속 해보려고 한다. 해보고 또 해보면서 부딪혀 보려고 한다. 스스로 작품에 대해 점수도 높여가면서 나아가고 싶다. 그러다 보면 언젠가 100점짜리 작품, 캐릭터를 만들 수 있지 않을까?}}}}}} ---- {{{#!wiki style="margin:4px" {{{-2 [[https://m.sports.chosun.com/news/2017-03-17/201703180100160000011122|2017년 03월 17일 인터뷰]] 中}}}}}} || ||||{{{-1 {{{#!wiki style="margin:10px" 원래는 [[뮤지컬 배우]]를 하려고 입문했다. 라디오 [[성우]]로 시작했다가 드라마 [[탤런트]]를 했다가 한때는 영화 매체에 정신이 팔렸던 적도 있었고. 그래서 직업 쓰는 란에 한때는 성우, 탤런트, [[영화배우]]라고 썼다. 요새는 [[연기자]]라고 쓴다. 영화배우라고 적었을 땐 고급스러운 일을 한다는 허세가 있지 않았을까. 관통하는 건 연기인데.}}}}}} ---- {{{-1 {{{#!wiki style="margin:10px" 사람과 인생에 대한 이야기를 하는 2가지 채널이 있다. ‘초록물고기’가 고통과 독으로 이야기했다면 ‘8월의 크리스마스’는 긍정적인 사랑, 희망을 통해 이야기했다. 그래서 선택했고, 개인적으로는 더 좋았지 않나 싶다. 다시 정원을 연기한다면 더 연기를 안 할듯하다. 대신 (심)은하가 내게 주는 액션에 좀 더 집중할 거 같다. 더 예민하고 디테일하게 반응할 거다. 이렇게 과거 캐릭터를 복기하는 이유는 같은 실수를 반복하면 안 되기 때문이다. 연기가 늘 새롭지는 않다. 비슷한 작업의 반복이다. 다만 얼마나 다른 감정을 얼마나 해내느냐가 관건이다.}}}}}} ---- {{{-1 {{{#!wiki style="margin:10px" 사람에 대한 궁금함은 변하지 않았다. 꽤 재밌고 의미 있는 호기심이다. 그게 바로 내 직업의 목표가 될 수도 있지 싶다. 내가 내 몸과 상상력을 통해 어떤 인물을 그려내고 보여주는 사람이구나를 깨닫는다. 사람다움이라는 게 뭔지를 끊임없이 고민하게 된다.}}}}}} ---- {{{#!wiki style="margin:4px" {{{-2 [[https://post.naver.com/viewer/postView.naver?volumeNo=6851122&memberNo=25041664|2017년 03월 19일 인터뷰]] 中}}}}}} || ||||{{{-1 {{{#!wiki style="margin:10px" 영화가 드라마만큼 대사가 많지 않다. TV 같은 경우는 외워가지 않으면 현장 촬영이 불가능한데, 영화는 굳이 외우지 않아도 그 날 아침에 리허설을 하면서 외워질 정도로 외울 게 많지 않다. 하지만 대사가 중요한 게 아니라 지금 ‘내가 왜 이 대사를 하는지’ ‘왜 말을 하는지’ 알아야 한다. 연기자들끼리 대사를 하는 것에 대한 얘기를 많이 한다. 말은 중요하되 어떻게 보면 하나도 중요하지 않다. 뭔가를 나타내기 위해 혀를 굴려서 내는 소리일 뿐이지 어떻게 보면 중요하지 않은 것 같다. 한 장면에 접근할 때는 여러 가지 방법이 있다.}}}}}} ---- {{{#!wiki style="margin:4px" {{{-2 [[https://www.chosun.com/site/data/html_dir/2017/03/21/2017032100971.html|2017년 3월 21일 인터뷰]] 中}}}}}} || ||||{{{-1 {{{#!wiki style="margin:10px" 영화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며 속마음도 넌지시 털어놓는 그였다. 한석규는 “예전에는 사람들에게 보여줘야지 하는 마음으로 연기를 했다고 생각했는데 지금은 ‘내가 느끼고 싶어서’ 하는 것 같다”고 말했다.[br]근사하게 표현하면 16살 소년이 느꼈던 예술적 체험, 느껴보지 못했던 그것이 하고 싶어서였는데… 느끼고 싶어서 연기를 하고 있는 것 같아요. 연기를 35년, 대학교 때를 포함하면, 해봤으면 했을 때부터 치면 이제 한 40년 될 거예요. 생각해보니 아주 조금씩은 나아졌다고 생각해요. 그렇게 계속 연기하고 싶어요. 나도 모르게 앞으로 나아가면서, 초심을 잃지 않은 채로요.”}}}}}} ---- {{{#!wiki style="margin:4px" {{{-2 [[https://www.mk.co.kr/star/hot-issues/view/2019/03/166479/|2019년 3월 20일 인터뷰]] 中}}}}}} || ||||{{{-1 {{{#!wiki style="margin:10px" 20대, 30대 땐 뭘 해도 자신감이 있었고, ‘내가 하면 다 잘된다’고 생각했죠. 연기도 반응하는 것보다 뭔가를 보여주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생각했고요. 그런데 나이가 들고 보니 해도 안 되는 게 있더군요. ‘아, 내가 액션을 한다 생각했는데, 결국은 리액션을 하면서 사는구나’라는 걸 깨달았죠.}}}}}} ---- {{{-1 {{{#!wiki style="margin:10px" 몇 년 전 한 강의에서 들은 이야기인데, 한 부자가 있었대요. 그는 어떻게 하면 재산을 더 불릴 수 있을까 고민하며 잠들었다가 그날 밤 죽었답니다. 기자님은 이 얘기를 듣고 어떤 생각이 드세요? 저는 그걸 ‘한석규라는 배우가 있었다. 자신이 얻은 인기에 만족하며 어떻게 하면 더 큰 명성을 얻을 수 있을까 고민하며 잠들었다가 그날 밤 죽었다’로 바꿔봤습니다. 인생에선 무엇을 얼마나 하느냐보다 왜, 어떻게 하느냐가 더 중요하단 결론에 이르렀습니다. 그러면서 ‘내가 연기를 통해 무엇을 원하는 걸까’를 생각해봤는데, 열여섯 살 때 봤던 윤복희 선배님의 뮤지컬 ‘지저스 크라이스트 슈퍼스타’가 떠오르더군요. 근사한 예술적 체험에서 오는 희열 그게 좋아서 연기자가 됐고, 중간에 남들에게 보여주기 위해서 연기를 한 적도 있어요. 그러다 마흔 무렵에 건강도 덜커덕하고, 자신감도 없어졌죠. 연기라는 것이 하찮게 느껴지고 지치기도 했고요. 뭔가에 혹한 것이죠. 그러다가 쉰 살이 되니까 아 이게 내가 가장 좋아하는 일이구나, 하면서 초심이 생각났어요.}}}}}} ---- {{{#!wiki style="margin:4px" {{{-2 [[https://woman.donga.com/people/3/04/12/1688260/1|2019년 4월 8일 인터뷰]] 中}}}}}} || == 여담 == * 그동안 [[욕쟁이]] 내지 [[욕데레]] 성향을 가지고 있는 캐릭터를 많이 맡으면서 극중에서 선보이는 찰진 욕으로 유명한데, 평상시에도 입이 은근히 걸다고 한다. 사석에서도 후배들에게 편하게 [[육두문자]]를 쓰곤 한다. 연차가 쌓이다보니 후배들이 농담도 잘 못하는 자신을 어려워하기 때문에 나름대로의 친근감을 표시하는 것이라고. 실제로 영화 파파로티를 촬영하면서 20살차이인 [[이제훈]]과 빨리 친해지기위해 본인도 부끄럽고 쑥스럽지만 욕을 했다고 직접 밝혔다.[[https://star.ohmynews.com/NWS_Web/OhmyStar/at_pg.aspx?CNTN_CD=A0001845058|#]] 오죽하면 뿌리깊은 나무를 촬영하며 한석규를 어려워하던 [[신세경]]에게 [[신현준]]이 "혹시 석규형이 욕을 했어? 욕을 들었으면 친해진 거고 못 들었으면 안 친해진 거야."라고 말했을 정도.[[https://star.ytn.co.kr/_sn/1404_201203180822779903|#]][* 참고로 신현준은 한석규와 [[은행나무 침대]]에서 처음 만났는데, 이때 한석규가 신현준을 굉장히 많이 놀렸다고 한다. 원래도 영화를 같이 하고 싶을 정도로 배우로서 호감을 많이 가지고 있었는데, 신현준이 당시 약간 여성스러운 분위기가 보였고 드라마 촬영과 겹쳐서 함께 출연하는 배우들과 잘 어울리지 못한 까닭에 일부러 한석규가 같이 친해지려 신현준을 [[가시나]]라고 불렀다고. 일례로 '은행나무 침대'에서 진희경과 도망가는 장면을 촬영할 때 NG가 너무 잦아 체력적으로 지친 와중에 혹시나 드라마 촬영 때문에 늦을까봐 서둘러 영화 촬영장으로 온 신현준을 보고 '왜 일찍 왔어 가시나야…' 라고 놀렸다 한다. 이러한 한석규의 모습에 적응을 못한 처음에는 많이 상처받았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둘은 많이 친해졌다고 한다.] 영화 베를린에서 호흡을 맞춘 [[하정우]]는 만나자마자 욕을 먹고 시작했다고 한다. 게다가 하정우의 표현에 의하면 '''고급스러운 욕'''인데다 목소리가 감미로워 욕을 먹어도 기분이 나쁘지 않았다고.[[https://www.bntnews.co.kr/article/view/bnt201301250012|#]][[https://www.youtube.com/watch?v=Zjt6mBcLeZI|영상]] 가끔씩 제작발표회때 교장님 훈화말씀처럼 재미없지만 장황한 답변으로 현장 분위기가 적막해질때 어색함을 타파하기위해 욕설을 사용하며 현장을 터뜨리기도 한다.[[https://youtu.be/JE57OgyjXLQ?si=h6Nz3ZxS33rv7v-B&t=533|#]]또한 뿌리깊은 나무 촬영을 시작하기 전 작가로부터 '상대를 불편하게 한다'는 지적을 받자, 한석규는 작가들 앞에서 장난삼아 찰진 욕을 했고 주변에서 터지자 이 모습을 보고 아이디어를 얻은 작가가 세종에 욕쟁이 설정을 추가하기도 했다.[[https://woman.donga.com/people/3/04/12/145538/1|#]] * 연기 활동 및 CF 외에는 SNS는 물론, 그 흔한 화보 촬영이나 인터뷰도 하지 않는다. 원래 매체 노출에 관심이 없는 성격이기도 하고, 작품 외적으로 자신을 노출하는 것을 몹시 싫어한다. 4명의 자녀들과 아내가 모두 미국에서 공부하고 있는지라 휴식기에는 주로 미국에 머문다고 한다. 그래서 동료 배우 및 유명인들의 결혼식 등에는 몰래 참석하는 정도. 철저히 배우로 남고 싶어 하는 듯 싶다. 배우는 행동으로 말해야 하는 직업이고 인터뷰에서 이야기 하는 것들은 모두 연기를 통해 작품에서 보여주면 되는 것이며 인터뷰를 하면 그런 부분들에 대해 말만 번드르하게 하는 것 같아 자괴감이 느껴진다고. 특히나 당시에는 충실히 임했지만 지나고보니 내 기분에 취해 미사여구 넣고 지나간 인터뷰 글을 보면 '왜 저런 얘기를 했을까' 후회한 적도 많았다고 한다. 또한 인터뷰 사진 찍는 것이 힘든 점도 이러한 성향에 한몫 했다고. 오죽했으면 [[뿌리깊은 나무]] 종영 뒤 인터뷰가 쇄도했을 때는 아예 '''도망다녔다'''고 인정했다.[[https://www.newsen.com/news_view.php?uid=201303061651500510|#]] 덕분에 이미지는 굉장히 좋지만 작품의 인터뷰나 일상 등을 보고픈 팬들 입장에서는 눈물이 날 지경일 수준이다. 심지어 [[드라마 블루레이·DVD]] 코멘터리도 거의 참여하지 않아, 지금까지 한석규가 주연으로 출연한 영화와 드라마 통틀어 30여 작품중에 영화 [[주홍글씨]] 딱 하나만 코멘터리 녹음을 했다. 낭만닥터 김사부의 경우 무려 세시즌동안 블루레이·DVD가 발매되었으나, 모두 코멘터리를 하지 않았다.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한석규 자기관리1.gif|width=50%]][[파일:한석규 자기관리2.gif|width=50%]]}}}|| * [[자기관리]]를 매우 철저하게 하는 편이다. 하지만 본인이 직접 밝힌 바에 따르면 의식적으로 관리를 하려 한 건 아니라고 한다. 원래부터 잘 못 먹기도 해서 하루에 두 끼를 먹는 리듬이라 [[간헐적 단식|간헐적 다이어트]]를 어쩌다보니 20년을 해오게 된 셈이 되었다고.[[https://v.daum.net/v/20190306074326518|#]] 물론 평소에 시간이 날 때마다 근력 운동을 한다고 하며 "배우는 육체 노동자", "몸관리를 하지 않으면 무책임한 것"이라는 발언을 한 것으로 보아 식단을 제외한 운동 등의 노력은 의식적으로 꾸준히 해온 것으로 보인다.[[https://www.hankyung.com/article/201703231737H|#]] [[낭만닥터 김사부 시리즈]]에서 함께 호흡을 맞춘 [[진경]]에 의하면 한석규가 촬영장에 동료 배우들과 스태프들한테 직접 사온 [[꽈배기]]를 나눠주며 같이 먹은 것이 무려 3년만에 먹은 꽈배기라 할만큼 최근에는 식단 조절도 일부러 하는 것으로 보인다.[[https://youtu.be/4lJb9n0k3M8?si=OIpPdZP_Br1bsVoI&t=486|#]] 덕분에 중노년 남배우들 중에선 보기 드물게 몸에 군살 하나 없는 [[슬렌더]] 체형을 보유하고 있다. 간간히 드러나는 노출씬을 통해 이러한 모습을 알 수 있는데, 그 중에서도 [[낭만닥터 김사부 2]]에서는 버스 전복사고로 다친 몸을 간단히 치료하는 씬에서 드러난 몸 상태는 여러 커뮤니티내에서 큰 화제를 모았다. 오죽하면 대역설이 나올 정도여서 해당 씬 메이킹 영상을 통해 무편집본이 공개되기도 했다.[[https://youtu.be/0dtqzvC2cYk?si=cZ7eLd_MGtAmlYZx&t=101|#]] 또한 나이 대비 [[풍성충|머리숱이 굉장히 많으며]] 흰 머리도 전혀 보이지 않는데 이는 염색이 아닌 어머니의 유전자 덕택이라고.[[https://www.hankyung.com/article/201703231737H|#]] 실제로 배역을 위해 염색을 비롯한 관리를 할 필요가 전혀 없는 비활동기간 동안 근황으로써의 일상적인 환경에서도 흰 머리의 모습이 보여진 적이 단 한번도 없다. [[그때 그 사람들]] 촬영 당시엔 배역에 어울릴 것 같아 군데군데의 흰 머리를 연출하기 위해 탈색을 시도하려 했던 적도 있다.[[http://www.cine21.com/db/person/info/?person_id=813|#]] * [[서울 토박이]]이자 [[서울 사투리]]를 제대로 구사하는 대표적인 배우이다. 때문에 서울 사투리의 참고 자료로써 그의 인터뷰 영상이 자주 등장되곤 한다. [[성대모사]] 단골 손님이 되게 만든 특유의 말투도 이 서울 사투리 덕분이다. 본인에 따르면 서울에서만 7대가 살던 집안에서 태어나 부모님이 평소 쓰던 말투에 의해 습관화된 거라고. 성우 시절에도 이러한 말투 때문에 조금 고생하기도 했다. 또한 이외의 사투리 연기에 대해선 전혀 해본적이 없기에 ‘내가 하는 말이 아니니까 불편할 것 같다’는 공포심이 있어 사투리 연기에 대한 두려움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 어쩌면 영어 대사하는 느낌과 비슷할 것 같다고.[[https://www.chosun.com/site/data/html_dir/2017/03/17/2017031701088.html|#]] * [[씨네21]]과 합작해 영화 시나리오 공모전 "[[초록물고기|막동이]] 시나리오 공모전"을 주관해 열기도 했다. 이는 한석규가 1990년대 한국영화의 흥행 전성기를 이끌었다는 면과 더불어 한국 영화계에 미친 중요한 영향이기도 하다. [[1999년]] 사비를 털어 총 3,000만원의 상금을 걸고 시작해서 [[2010년]] 12회까지 이어졌는데, 영화배우가 자신의 사비로 이런 공모전을 하는 것은 국내외적으로 전무후무한 일이다. 여담이지만 1회 당선작이 무려 [[김지운]]의 [[조용한 가족]]이며, 이 막동이 공모전을 통해 많은 시나리오와 작가들이 배출되었고, 몇몇 수상작의 영화화에는 직접 주연을 맡기도 했다. 평소에도 시나리오의 중요성을 강조해 왔다고 한다. 좋은 시나리오에 명연기가 더해지면 명작이 되지만, 나쁜 시나리오로는 아무리 명연기, 명연출을 해도 졸작이 된다고. 이런 평소의 지론을 실천에 옮긴 것. 하지만 안타깝게도 2011년부터는 중단된 상태인데, 첫 공모전이 열렸을 때 이를 언급한 기사에 따르면 원래부터 2010년까지 운영하기로 결정된 사안이라고 한다.[[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98102600289116001&editNo=5&printCount=1&publishDate=1998-10-26&officeId=00028&pageNo=16&printNo=3331&publishType=00010|#]][[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98103000289106020&editNo=6&printCount=1&publishDate=1998-10-30&officeId=00028&pageNo=6&printNo=3335&publishType=00010|#]]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한석규 최민식.jpg|width=100%]]}}}|| || '''졸업사진 속 [[한석규|{{{#fff 한석규}}}]](右)와 [[최민식|{{{#fff 최민식}}}]](左)''' || * [[최민식]]과는 꽤나 각별한 사이이다. [[동국대학교]] [[연극영화과]] 선후배 사이로써 정식으로 데뷔하기 전부터 학교에서 함께 공부하고 무대를 올리며 호흡을 맞춰왔는데, 최민식은 대학교에 막 입학한 새내기였던 한석규를 처음 봤을 때부터 마음에 들어했다고 한다. 실제로 혼자 영화보는 것을 선호하는 최민식이, 같이 얘기나누고 싶어서 1학년이었던 한석규를 극장을 데려가 [[디어 헌터]]를 둘이서만 같이 봤는데, 티켓값도 최민식이 다 지불했다고 한다.[[https://youtu.be/m1CW3G59-Dw?si=mQiEHCrm1J_fOyiq|#]] 이때 영화를 보고나서도 영화는 물론 연기에 대한 진지한 얘기도 많이 나눴다고. 각자 데뷔를 하고나서 한석규는 [[아들과 딸]]로,최민식은 [[야망의 세월]]로 이름을 알린 뒤 [[서울의 달(드라마)|서울의 달]]에서 만나 같이 연기 호흡을 맞춰봤다. 한편 서울의 달 이후로 한석규는 [[닥터 봉]]과 [[은행나무 침대]], [[초록물고기]]를 연타석 흥행시키며 충무로에서도 입지를 확보하고 [[승승장구]] 했던 반면에 드라마 촬영에 전념하던 최민식은 여러가지 현실에 부딪히며 회의감을 느끼고 슬럼프를 겪고 있었는데, 이때 영화 데뷔를 하고자 충무로에 다리를 놓아달라는 최민식의 부탁으로 한석규는 자신의 차기작이였던 [[넘버 3]]에 최민식을 꽂아주었고 이것을 최민식이 직접 밝히기도 했다.[[https://youtu.be/tH3xs8V_vb4?si=i8aloxmCH9Nd0Of4&t=128|#]] 심지어 한석규의 형이자 한석규의 매니저 역할을 자처했던 한선규가 당시 매니저가 없던 최민식의 매니저를 담당해주기도 했다. 오죽하면 최민식이 "나는 한석규의 후광으로 성공했다"라고 말했을 정도.[[https://m.starnewskorea.com/view_amp.html?no=2005031809193552400|#]] 후에 한석규가 3년이라는 긴 공백기를 가지고 난 뒤의 복귀작이였던 [[이중간첩(영화)|이중간첩]]이 연기 인생 처음으로 흥행에 실패한 것은 물론 허리 디스크의 재발로 한창 슬럼프에 빠져있을 때 최민식이 이 은혜를 갚고자 한석규에게 [[올드보이]]에 유지태가 맡은 [[이우진]] 역을 제안했다는 것은 유명한 일화이다. [[https://youtu.be/baw_FapNtGk?si=jOQJWlUNUTD1EMId&t=44|#]] 다만 한석규는 고민끝에 거절했는데, 이에 대해 본인이 직접 밝힌 바는 없지만 [[근친|영화의 소재]]와 함께 선술했던 건강상의 이유때문에 거절한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한석규의 침체기가 오랫동안 이어지자 이번에도 최민식이 먼저 [[악마를 보았다]]에서 장경철 역을 제안했는데, 이때는 한석규가 수락했지만 제작사의 반대로 아쉽게도 출연이 불발됐다. 그리고 작품내적으로는 만날 일이 쭉 없다가 2019년에야 영화 [[천문: 하늘에 묻는다]]를 통해서 만날 수 있었는데, 이는 무려 [[쉬리(영화)|쉬리]] 이후로 20여년 만에 재회였다. 작품의 흥행과는 별개로 둘의 연기합과 상당한 케미는 관객들에게 큰 인상을 남기기도 했다. * 어떤 역할을 맡았을 때 동물들의 이미지로 생각하는 경우가 많으며 동물들의 행동에서 영감을 얻는다고 밝혔다. 실제로 [[뿌리깊은 나무]]에서는 원숭이들의 행동을 착안하였다고 한다. 특히나 [[프리즌]]에서는 과학 [[다큐멘터리]]를 보다가 모계 사회인 하이에나 집단에서 수컷이 무리에서 쫓겨나 공격당한 뒤 중상을 입고도 어떻게든 살아남아 다른 무리를 찾는 모습에서 정익호라는 캐릭터를 떠올렸다고 [[https://www.sedaily.com/NewsView/1ODFJYG7QW|#]] [[WATCHER]]의 [[도치광]]의 경우, 겨울 숲 속 무리에서 떨어져 나와 눈 내리는 황야를 혼자 터덜터덜 걷고 있는 외로운 듯, 여유로운 듯, 쓸쓸한 듯, 모진 풍파를 꽤 겪은 고독하고 쓸쓸한 중년의 수컷 [[늑대]]를 생각했다고 한다.[[https://youtu.be/THZdpt87hys?si=8A8bu5S2iCSA8xPi&t=27|#]][[https://youtu.be/IwM-iSzf2Nw?si=2YBQA7q09X-KDJJu&t=41|#]] * 인생 영화는 [[일 포스티노]]다.[[https://www.chosun.com/site/data/html_dir/2017/03/21/2017032100971.html|#]] 자연스럽게 연기하고 싶어서 어떻게 하면 연기를 안 하는 것처럼 보일까 스스로 '가장 고민하면서 연기한 작품'으로 [[8월의 크리스마스]]를 꼽았는데, 일 포스티노의 주연인 [[마시모 트로이시]]가 연기를 굉장히 잘하는 배우임에도 배역에 맞춰서 일부러 약간 서툴지만 자연스러운 연기를 하는 것을 보고 [[유정원]] 역에 그 느낌을 반영했다고 한다.[[https://m.khan.co.kr/culture/movie/article/201303062146525|#]][[https://youtu.be/fFE62Slf2rY?si=pl3E_b5o7Wd9OTB1&t=236|#]] 또한 이 8월의 크리스마스가 일 포스티노같은 영화가 됐으면 하는 바람을 밝히기도 했다.[[https://www.chosun.com/site/data/html_dir/2017/03/21/2017032100971.html|#]] * [[이동진]] 영화 평론가가 외국 영화에 한국 배우를 가상으로 캐스팅하던 중, 영화 [[양들의 침묵]] 속 [[안소니 홉킨스]]가 맡은 [[한니발 렉터]] 역에 그를 캐스팅했다. 흔들리지 않을 것 같은 느낌, 실수하지 않을 것 같은 느낌, 그러면서도 엘리트적인 느낌, 그리고 기본적으로 선량한 느낌까지 가지고 있는 배우가 악역을 했을 때 오는 파격의 재미가 있어서라고 한다.[[https://www.youtube.com/watch?v=6vvZVI-baeg&t=493s|#]] 재밌게도 한석규 본인도 악역 중에서도 제일로, 악인이면서도 매력적인 양들의 침묵의 안소니 홉킨스를 꼽았다. 그리고 이젠 자신도 그러한 연기를 잘할 수 있을 것 같다고 웃으며 얘기했다.[[http://www.slist.kr/news/articleView.html?idxno=11169|#]] * 술을 전혀 못한다. 주량이 맥주 3잔이라는데, 최민식의 말에 의하면 이마저도 늘은 거라고 한다. 대학시절에는 술을 한 잔도 못해서 오죽하면 한석규가 맥주 한 잔에 소주 한 잔정도를 마셔도 주변에서는 119를 불러야 되는거 아니냐는 농담을 던졌을 정도.[[https://entertain.naver.com/read?oid=076&aid=0003510474|#]] [[눈에는 눈 이에는 이]]의 [[곽경택]] 감독은 촬영을 하다가도 술자리를 하면서 서로 친해지기 마련인데 한석규는 전혀 술을 못해서 이에 대한 걱정을 했다고 한다.[[https://www.dailian.co.kr/news/view/97319|#]] 그에 비해 담배는 매우 좋아하는, 배우계 대표적인 [[애연가]]이다. 하루에 평균 한 갑 반정도를 피운다고 밝혔다.[[https://woman.donga.com/people/3/search/12/133724/1|#]] 또한 담배가 기쁨이나 위안같은 좋은 것들을 많이 줬고, 어느샌가 본인도 모르게 습관이 되어서 집중이 필요하면 더 피우곤 했다고. 하지만 최근 인터뷰에 따르면 자꾸 가래가 끓어서 연기할 때 어려움이 생기자 아예 담배를 끊었다고 한다. 80세 전후까지 담배를 피우던 아버지 생각이 나기도 해서였다고.[[https://m.khan.co.kr/culture/movie/article/202001052151005|#]] * [[상의원]]에서 한석규가 맡은 역할인 돌석이 어린 시절부터 바느질을 한 탓에 손톱이 곪아 뭉개진 장면이 나오는데, '''이는 손 대역이 아니다.''' 어렸을때 앓아서 손톱이 곪았는데 성장하면서 더욱 심하게 뭉개졌다고 한다. 때문에 상의원 전까지의 작품들 중에서 손톱을 감추기 위해 손깍지를 끼거나 주먹을 쥐어 감췄다고 하며 손을 클로즈업 하는 신에서는 모두 손 대역을 썼다고. 이는 적어도 30대까지는 열등감을 느끼는 요소 중에 하나였다고 밝히기도 했다.[[https://www.kukinews.com/newsView/kuk201412110181|#]] * 대표적인 취미로는 [[낚시]]가 있다. 초등학교 5학년때 낚시를 좋아한 아버지에게 배워 고등학교때부터 혼자서 낚시하러 많이 돌아다녔다고. 낚시를 할 때 모든 잡념이 사라지고 아무 생각도 안 들어 좋아하며 연기에 대한 스트레스나 쓸 데 없는 걱정과 생각을 잊기 위해 낚시를 한다고.[[https://sports.hankooki.com/news/articleView.html?idxno=3399766|#]] 때문에 낚시를 하다가 고기를 낚지 못해도 큰 상관을 쓰지 않는다고 밝혔다! 또한 낚시를 많은 시간을 보내면서도 대화를 많이 할 수 있는, 부모와 자식이 함께 할 수 있는 좋은 취미라고 말하며 나중엔 자신의 아버지가 자신에게 그랬듯, 자신도 자식들에게 낚시를 전수해주고 싶다고 밝히기도 했다.[[https://news.nate.com/view/20080703n08585|#]] [[김래원]]과는 프리즌을 같이 찍기 전부터도 낚시로 사적인 연을 맺었는데, 낚시를 위해 월 2주간, 1년에 150일정도를 같이 동침한다고 한다.[[https://m.sports.chosun.com/news/2017-09-20/201709210100177040012764|#]] 또한 동국대 선후배 사이이자 같은 낚시광인 [[이경규]]의 말에 의하면 한 낚시터에 무려 2~3주간 머물어 하는 장박낚시를 선호한다고 한다.[[https://youtu.be/UiLwn_A_vGg?si=eMcXc9NipGYJZQiX&t=36|#]] 게다가 촬영이 없을 때는 항상 낚시터에 있으며 주요 출몰지는 [[충주호]]라고. 한편 한석규는 [[소양호]]를 마음의 고향이자 안식처 같은 곳이라고 표현하기도 했다. 특히나 소양호 구석에 통골이라는 한적한 곳은 답답한 일이 있을 때 낚시가방을 싣고 혼자 자주 찾아가는 곳이라고.[[http://www.interview365.com/news/articleView.html?idxno=1805|#]] * 또다른 취미로는 [[골프]]가 있다. 다시 태어나서 배우가 아닌 직업을 택한다면 꼭 골프 선수가 되고 싶다는 발언을 했을 정도.[[https://sports.hankooki.com/news/articleView.html?idxno=2991043|#]] 핸디캡은 15라고 하며, 골프와 연기를 비교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https://www.nocutnews.co.kr/news/209666|#]] 다만 허리 부상으로 인해 낚시만큼 자주 하지는 못하는 듯 하다. 실제로 이중간첩 이후 허리디스크가 재발하고나서는 누워서 [[이미지 트레이닝]]만 했다고.[[https://www.ulsancc.co.kr/column/content.asp?idx=606&GotoPage=3&Topid=8&Subid=82|#]] * 본인의 16번째 영화 필모 작품인 [[눈에는 눈 이에는 이]]를 16번째 아이라고 말하는 등, 하나의 작품을 아이라고 표현하곤 한다.[[https://www.chosun.com/site/data/html_dir/2008/07/02/2008070200777.html|#]] 실제로 영화를 한 편 만든다는 것을 아이를 출산하는 것이라고 비유하면서 애낳는 심정으로 작품에 임한다고 밝혔다. 또한 촬영중에 제작이 중단된 소금인형의 경우 6개월간 뱃속에 품고 있다가 유산한 자식 같은 느낌이며 죽은 자식 이야기는 더 이상 하고 싶지 않다고 말하기도 했다. [[https://lady.khan.co.kr/entertainment/article/5086|#]] * 정신세계가 상당히 비범하다. 어릴 때 낚시를 하다가 비가 왔는데 옷을 죄다 벗고 비를 맞으면서 낚시를 했다거나, 자기 영화 시사회에서 요즘 관심사에 대한 질문을 받자 진지하게 '''영조는 왜 사도세자를 뒤주에서 죽였을까'''라는 말을 하거나, 버라이어티에 나와서 '''자기가 받은 질문을 역으로 MC에게 하거나''' 하는 식. 본인도 자각은 있는 모양으로, 버라이어티에 나올 때마다 왜 자신은 말할 때마다 진지해지는지 모르겠다며 자책하는 풍경이 꽤 자주 보인다. [[힐링캠프 기쁘지 아니한가]]를 반쯤 '''한석규의 철학캠프'''로 만들어 버린 것은 반쯤 전설급이다(…).자신이 연기하는 배역에 대한 깊은 연구, 나아가서 인간의 감정에 대한 철학적 고민이 얼마나 좋은 연기로 나타날 수 있는지 보여주는 예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거기다 이게 '''10여년 만의''' 예능 출연이었다.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임명주.png|width=50%]][[파일:한석규 결혼식.png|width=50%]]}}}|| || '''1998년 결혼식 당시, [[임명주|{{{#fff 아내}}}]]와 함께''' || * 연예계에서도 상당한 [[애처가]]로 유명하다. 평소 진지하고 조용한 성격임에도 아내에게 사랑표현에 대해서는 매우 적극적으로 하는 편이며 전화도 하루에 세 통 이상한다고 밝혔다.[[https://lady.khan.co.kr/entertainment/article/6925|#]] 또한 촬영을 하는 와중에도 그 통화를 매일 30분 이상하는 모습을 보며 김래원은 처음에 설정인 줄 알았을 정도.[[https://star.ytn.co.kr/_sn/1407_201703151203018526|#]] [[미스터 주부퀴즈왕]]을 같이 촬영한 [[공형진]]과 같이 점심으로 국밥을 먹던 도중, 아내에게 전화가 와서 통화를 하다가 수화기 너머의 아내가 국밥이 먹고 싶다고 하여 저녁으로 또 국밥을 먹었다는 일화도 있다.[[http://www.hansukkyu.com/HAN_05/77463|#]] 평소에는 집안일도 자주 하고 "웬만한 요리는 자신있다"라고 직접 밝힐 정도로 요리실력도 출중하지만, 아내가 자신의 부엌 출입을 좋아하지 않기때문에 대신 분리수거와 육아를 전담하고 있다고 한다.[[https://woman.donga.com/people/3/search/12/133724/1|#]] 이 덕분인지 '최고의 이상적인 배우자감'에대한 설문조사 결과에서 종합 1위를 차지한 바 있다.[[https://www.munhwa.com/news/view.html?no=2000082431000901|#]] 한편 아내인 [[임명주]]는 한석규의 KBS 성우 시절 직속 사수였으며 무려 9년 연애 끝에 결혼에 골인했다. 그런데 하필이면 [[쉬리(영화)|쉬리]] 촬영일이 예상치 못하게 길어지면서 결혼식 전날과 다음날에도 촬영을 이어해야했고, 이때문에 신혼여행도 뒤로 미뤄졌다고 한다.[[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99012800329125001&editNo=40&printCount=1&publishDate=1999-01-28&officeId=00032&pageNo=25&printNo=16656&publishType=00010|#]]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한석규 호크룩스룩.png|width=100%]]}}}||{{{#!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한석규 호크룩스룩2.png|width=100%]]}}}|| || '''2016년 낭만닥터 김사부 대본 리딩 현장''' || '''2020년 낭만닥터 김사부2 대본 리딩 현장''' || * 굉장히 검소한 성격이다. 1997년 한창 전성기를 맞이했을 즈음에도 국산 소형 자동차를 본인이 직접 몰고 다녔다.[[http://www.interview365.com/news/articleView.html?idxno=1805|#]] 그나마 바꾼 차는 오래된 연식의 [[기아 크레도스]]였다고 한다. 영화 [[접속]]때 같이 출연한 [[김태우]]에게 영화 리딩이 끝난 후 회식하러가는 길에 차가 없다면 자신의 차에 타서 같이 가자고 선뜻 제안하여 동행하게 되었는데, 이때 한석규의 차에 얻어 탄 김태우가 솔직하면서도 당연하게 탑배우라면 유명 고급차를 탈 줄 알았으나 허름한 일반 중형차를 타는 그런 소탈하고 검소한 모습에 반했다고 밝혔을 정도.[[https://www.newsen.com/news_view.php?uid=201304182338190410|#]] 특히나 똑같은 옷을 매우 자주 입는 것으로 유명하다. 같은 옷을 오래동안 계속 입는 건지 한 번 살때 여러 벌 구비해놔서 번갈아 입는 것인지는 알 수 없지만, 평소 작품의 대본 리딩현장이나 종방연, 비활동기간 목격담 인증샷에서는 물론이요 작품내에서도 2014년 [[비밀의 문]] 리딩현장때부터 2016년 [[낭만닥터 김사부]], 2019년 [[WATCHER]]에 이르기까지 해당 복장을 입은 것을 꾸준히 발견할 수 있다. 팬들 사이에서는 일명 [[호크룩스]] 룩으로 통한다.(...) 부연 설명없이 해당 사진만 놓고보면 도대체 언제인지 도저히 구별이 안간다. 공식은 흰색 티+패딩조끼+특정 모자 조합인데, 여기에 약간의 변주가 있더라도 사복을 입을 때 저 3개 중 하나는 거의 무조건 포함되어 있다. 이 외에도 2011년 [[SBS 연기대상]] 시상식에 참석하면서 입었던 정장과 셔츠가 모두 몇년전에도 입었던 수수한 차림이여서 당시 상당히 화제가 된 바 있다.[[https://m.segye.com/view/20120102005012|#]] * 동료 배우들에게 "왜/어떻게 배우가 됐냐"는 질문을 자주 던지곤 한다. [[뿌리깊은 나무]] 촬영 당시 [[조진웅]]은 이 질문만 무려 14번을 들었다고. 굉장히 어려운 질문이라 처음에는 나름대로 고심해서 굉장히 진지하게 답변했지만, 나중가니 쉬는 시간에 둘이 남으면 그 질문만 계속 물어와 고역이였다고 한다.[[https://m.tf.co.kr/read/entertain/1142118.htm?retRef=Y&source=|#]] 이러한 질문 기질은 선후배를 가리지 않아서 [[천문: 하늘에 묻는다]] 촬영 당시에 [[신구]]에게도 같은 질문을 하기도 했다.[[https://youtu.be/2AngxBuvBRM?si=_qjG9jkaYkm9JdX4&t=39|#]] 정작 이에 대해 한석규 본인은 그냥 각자의 재밌는 사연들이 많아 그 자체로 이유가 궁금하기도 하지만 '왜 배우가 되었는지에 대한 초심을 잃어버리지 않게 하기 위해' 즉, 초심을 잃지 말자는 일종의 독려의 의미로 던지는 질문이라고 밝혔다. 본인도 스스로에게 자주 묻는다고. 최민식의 말에 의하면 무려 대학시절부터 최민식에게도 꾸준히 던진 질문이라고 한다. 이 덕분에 항상 한결같다는 말을 듣기도 했다.[[https://www.asiatoday.co.kr/view.php?key=20191218010011232|#]] * 한 달여간의 [[8월의 크리스마스]] 촬영 기간동안, 매 식사때마다 [[탕수육]]을 시켜먹었다. 덕분에 당시 '탕맨'이라는 별명이 생겼다고.[[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98020300329125001&editNo=40&printCount=1&publishDate=1998-02-03&officeId=00032&pageNo=25&printNo=16346&publishType=00010|#]] 8월의 크리스마스 재개봉 기념 [[GV]]에서 당시 [[허진호]] 감독은 시나리오 상에서도 병명이 나오지 않은 시한부 환자 [[유정원]]의 병으로 [[백혈병]]을 생각했다가도 한석규가 공무원처럼 아침부터 오후까지 계속 촬영을 하는 와중에 탕수육을 많이 먹으면서 살이 많이 찐 것을 보고 [[신부전증]]이 아닐까 싶었다고 말하기도 했다.(...) 이에 대해 한석규가 밝히길, 탕수육은 자신이 초등학교 4학년때 병에 걸려 입맛을 잃었을 당시 부모님이 특별히 시켜주신 음식이었는데, 그때 이후로 졸업식을 제외하고는 전혀 먹지 못했다는 사실이 문득 생각나서 이번 기회에 물리도록 먹은 것이라고 한다.[[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98020300329125001&editNo=40&printCount=1&publishDate=1998-02-03&officeId=00032&pageNo=25&printNo=16346&publishType=00010|#]] === 명대사 === * 1994년 드라마 [[서울의 달(드라마)|서울의 달]] / 김홍식 역 ||<|2>||{{{-1 {{{#!wiki style="margin:10px" '''왜 후회될때가 없었겠냐. 후회해도 소용없으니까 후회 안하는 척 하는거지.'''}}}}}} || ||{{{-1 {{{#!wiki style="margin:10px" '''Boys, be ambitious..'''}}}}}} || * 1995년 영화 [[닥터 봉]] / 봉준수 역 ||||{{{-1 {{{#!wiki style="margin:10px" '''넌 커서 이런 거 하지 말아라.'''}}}}}} || * 1996년 영화 [[은행나무 침대]] / 수현(종문) 역 ||||{{{-1 {{{#!wiki style="margin:10px" '''당신을 사랑해요. 언제까지나 선영씨를 사랑해요.'''}}}}}} || * 1997년 영화 [[초록물고기]] / 김막동 역 ||||{{{-1 {{{#!wiki style="margin:10px" '''여보세요. 여보세요? 어, 큰성이야? 큰성, 나야, 막동이. 엄마는? 엄마 어디 갔어? 으… 어? 나? 나 잘 있어. 괜찮아, 흐흐. 큰성, 전화 끊지 마. 전화 끊지 마… 전화 끊지 마. 흐흐흐. 전화 끊지 마. 큰성! 큰성, 생각나? 빨간 다리… 빨간색 철교. 우리 어렸을 때 빨간 다리 밑으로 물고기 잡으러 많이 다녔었잖아. 내가 저 언젠가 초록색 나는 물고기 잡는다고 그러다가 쓰레빠 잃어버려 가지구, 큰성이랑 형들이랑은 하루 종일 놀지도 못하고 쓰레빠 찾으러 다녔었잖아. 순옥이 그 병신은 벌에 엉덩이 쏘여가지고, 엉덩이 세 개 됐다고 둘째 형이 놀리고 그랬었잖아. 큰성, 그때 생각나? 그때 생각나?'''}}}}}} || * 1997년 영화 [[넘버 3]] / 서태주 역 ||||{{{-1 {{{#!wiki style="margin:10px" '''에이씨!! 어떤 새키가 넘버 3래! 내가 넘버 2야 이씨..'''}}}}}} || * 1997년 영화 [[접속(영화)|접속]] / 권동현 역 ||<|2>||{{{-1 {{{#!wiki style="margin:10px" '''더 이상 기다리지 말아요. 잊든가, 잊을 수 없다면 가서 당신을 보여줘요.'''}}}}}} || ||{{{-1 {{{#!wiki style="margin:10px" '''삶은 때론 먼 길을 원합니다.'''}}}}}} || * 1998년 영화 [[8월의 크리스마스]] / [[유정원]] 역 ||<|2>||{{{-1 {{{#!wiki style="margin:10px" '''세월은 많은 것을 바꿔놓는다.''' 서먹하게 몇 마디를 나누고 헤어지면서 지원이는 내게 자신의 사진을 치워 달라고 부탁했다. '''사랑도 언젠가는 추억으로 그친다.'''}}}}}} || ||{{{-1 {{{#!wiki style="margin:10px" '''내 기억 속의 무수한 사진들처럼 사랑도 언젠가 추억으로 그친다는 것을 난 알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당신만은 추억이 되질 않았습니다. 사랑을 간직한 채 떠날 수 있게 해 준 당신께 고맙다는 말을 남깁니다.'''}}}}}} || * 2005년 영화 [[그때 그 사람들]] / [[박선호|주 과장]] 역 ||||{{{-1 {{{#!wiki style="margin:10px" '''저런 저 씨발... [[지랄하고 자빠졌네]].'''}}}}}} || * 2006년 영화 [[구타유발자들]] / [[문재(구타유발자들)|문재]] 역 ||||{{{-1 {{{#!wiki style="margin:10px" '''야, 골빙이? 일어나 봐. 옛날 생각나냐? 이 새끼야! 개. 새. 끼야? 그때도 지금처럼 아주 존나게 맞았잖아. 이. 새. 끼. 야~~ 거봐 이 새끼야 골빙이 이새끼야! 골빙이! 야~ 골빙아~ 개새끼야~ 골빙이 이야~ 정신차려~! 때린 사람은 경찰이 됐어요. 이 새끼... 개새끼야... 근데 맞던 새끼는 아주 존나게 또 맞지. 개새끼! 일어서 봐~ 골빙아~ 골빙아~ 아직 넘어지면 안 돼 이 새끼야. 자~ 간다~!!! 개새끼야... 어, 씨발 피 묻었네.'''}}}}}} || * 2008년 영화 [[눈에는 눈 이에는 이(영화)|눈에는 눈 이에는 이]] / 백성찬 역 ||||{{{-1 {{{#!wiki style="margin:10px" '''그 새키가 나보다 무서워? 그~새~끼~가 나~보~다 무~서~워?.'''}}}}}} || * 2011년 드라마 [[뿌리깊은 나무(SBS)|뿌리깊은 나무]] / [[세종(용비어천가 시리즈)|세종]] 역 ||<|3>||{{{-1 {{{#!wiki style="margin:10px" '''[[지랄하고 자빠졌네]].'''}}}}}} || ||{{{-1 {{{#!wiki style="margin:10px" '''내 책임이다. 내가 죽인 것이야! 이 조선에서 일어나는 모든 일이 내 책임이다! 꽃이 지고 홍수가 나고 벼락이 떨어져도 내 책임이다. 그게 임금이다. 모든 책임을 지고 그 어떤 변명도 필요 없는 자리. 그게 바로 조선의 임금이라는 자리다.'''}}}}}} || ||{{{-1 {{{#!wiki style="margin:10px" '''넌 너의 길로 가거라. 난 나의 길을 가겠다.'''}}}}}}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세종(용비어천가 시리즈), 문단=5.2)] * 2016~2017년, 2020년, 2023년 드라마 [[낭만닥터 김사부 시리즈]] / [[김사부]] 역 ||<|4>||{{{-1 {{{#!wiki style="margin:10px" '''살린다! 무슨 일이 있어도 살린다!'''}}}}}} || ||{{{-1 {{{#!wiki style="margin:10px" '''이거를 전문용어로 개멋부린다고 하지. 다른 말로는, 낭만이라고 하고.'''}}}}}} || ||{{{-1 {{{#!wiki style="margin:10px" '''네가 바뀌지 않으면 아무 것도 바뀌지 않는다.'''}}}}}} || ||{{{-1 {{{#!wiki style="margin:10px" '''우리가 왜 사는지, 무엇 때문에 사는지에 대한 질문을 포기하지 마라. 그 질문을 포기하는 순간, 우리의 낭만도 끝이 나는 거다. 알았냐?'''}}}}}}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김사부/명대사)] * 2017년 영화 [[프리즌]] / 정익호 역 ||||{{{-1 {{{#!wiki style="margin:10px" '''당장 꺼져 이 개새끼들아. 여기 내 구역이야! 내가 만든, 내 세상이야 이 개새끼들아!!'''}}}}}} || * 2019년 드라마 [[WATCHER]] / [[도치광]] 역 ||<|2>||{{{-1 {{{#!wiki style="margin:10px" '''난 나쁜 경찰을 잡는다.'''}}}}}} || ||{{{-1 {{{#!wiki style="margin:10px" 그 형님 얘기 진짜 멋있어. '''작은 희생으로 큰 범죄를, 막는다!!''' 에이, 근데 그거야 본인이 작은 희생이 아닐 때에 얘기지. 막상 자기가 희생자가 되어 봐. 그냥 대가리 피 터지게 싸울 수 밖에 없을 걸.}}}}}}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도치광, 문단=3)] * 2019년 영화 [[천문: 하늘에 묻는다]] / 세종 역 ||||{{{-1 {{{#!wiki style="margin:10px" '''영실이 자네가 고생이 많았네.'''}}}}}} || [[분류:한석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