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동명이인, rd1=한승수(동명이인))] [include(틀:역대 대한민국 국무총리)]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224f 0%, #003478 20%, #003478 80%, #00224f)" '''{{{#c39335 한승수 관련 틀 }}}'''}}}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역대 대통령비서실장)] ---- [include(틀:외교부장관)] ---- [include(틀:부총리 겸 기획재정부장관)] ---- [include(틀:산업통상자원부장관)] ---- [include(틀:노태우 정부의 국무위원)] ---- [include(틀:문민정부의 국무위원)] ---- [include(틀:국민의 정부의 국무위원)] ---- [include(틀:주 미합중국 특명전권대사)] ---- ||<-5> [[대한민국 국회|[[파일:국회휘장(9대-19대).svg|width=30]]]] {{{#cfa547 ''' [[대한민국|{{{#cfa547 ''' 대한민국 ''' }}}]] [[대한민국 국회|{{{#cfa547 ''' 국회'''}}}]][[대한민국 국회의원|{{{#cfa547 '''의원 ''' }}}]] ([[강원도|{{{#cfa547 '''강원'''}}}]] [[춘천시(선거구)|{{{#cfa547 '''춘천시'''}}}]]) ''' }}} || || ''선거구 개편'' [br] [[이민섭]][br][[신철균]] || → || '''제13대 [br] 한승수 ''' || → || 제14대 [br] [[손승덕]][* 임기 중 작고.] || ||<-5> [[대한민국 국회|[[파일:국회휘장(9대-19대).svg|width=30]]]] {{{#cfa547 ''' [[대한민국|{{{#cfa547 ''' 대한민국 ''' }}}]] [[대한민국 국회|{{{#cfa547 ''' 국회'''}}}]][[대한민국 국회의원|{{{#cfa547 '''의원 ''' }}}]] ([[강원도|{{{#cfa547 '''강원'''}}}]] [[춘천시(선거구)|{{{#cfa547 '''춘천시 갑'''}}}]]) ''' }}} || || ''선거구 개편'' [br] [[류종수]][* [[춘천시(선거구)|춘천시]] 선거구의 [[제14대 국회의원]] 이다.][br][[이민섭]][* 춘성군·양구군·인제군 선거구의 [[제14대 국회의원]] 이다.] || → || '''제15대 [br] 한승수 ''' || → || ''선거구 통합'' [br] '''한승수'''[* [[춘천시(선거구)|춘천시]] 선거구의 [[제16대 국회의원]] 이다.] || ||<-5> [[대한민국 국회|[[파일:국회휘장(9대-19대).svg|width=30]]]] {{{#cfa547 ''' [[대한민국|{{{#cfa547 ''' 대한민국 ''' }}}]] [[대한민국 국회|{{{#cfa547 ''' 국회'''}}}]][[대한민국 국회의원|{{{#cfa547 '''의원 ''' }}}]] ([[강원도|{{{#cfa547 '''강원'''}}}]] [[춘천시(선거구)|{{{#cfa547 '''춘천시'''}}}]]) ''' }}} || || ''선거구 개편'' [br] '''한승수'''[* 춘천시 갑 선거구의 [[제15대 국회의원]] 이다.][br][[류종수]][* 춘천시 을 선거구의 [[제15대 국회의원]] 이다.] || → || '''제16대 [br] 한승수 ''' || → || 제17-18대 [br] [[허천]]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224f 0%, #003478 20%, #003478 80%, #00224f)" '''[[국무총리|{{{#c39335 대한민국 제39대 국무총리}}}]][br]{{{+1 한승수}}}[br]韓昇洙 | Han Seung-soo'''}}}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Han_Seung-soo.jpg|width=100%]]}}} || ||<|2> '''출생''' ||[[1936년]] [[12월 28일]] ([age(1936-12-28)]세) || ||[[강원도]] [[춘천군]] [[서면(춘천)|서면]] 방동리[br](現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서면(춘천)|서면]] 방동리 박사마을)[* [[https://www.hani.co.kr/arti/politics/politics_general/266045.html|#]]. [[청주 한씨]] 집성촌으로, 고려 말기에 봉익대부 전법판서를 지낸 한철충(韓哲冲, 1321 ~ ?)의 18대손이다.] || || '''사저''' ||[[서울특별시]] [[송파구]] [[신천동(서울)|신천동]][br]시그니엘 레지던스 || || '''본관''' ||[[청주 한씨]][* 몽계공파(夢溪公派) 31세 수(洙) 항렬.] || || '''호''' ||춘강(春崗)·지암(志岩) || || '''현직''' ||[[유엔 총회]] 의장협의회(CPGA) 의장 || ||<|12> '''재임기간''' ||제34대 [[산업통상자원부장관|상공부 장관]] || ||[[1988년]] [[12월 5일]] ~ [[1990년]] [[3월 19일]] || ||제15대 [[주미대사|주 미합중국 특명전권대사]] || ||[[1993년]] [[6월 23일]] ~ [[1994년]] [[12월 23일]] || ||제18대 [[대통령비서실장]] || ||[[1994년]] [[12월 26일]] ~ [[1995년]] [[12월 20일]] || ||제3대 [[대한민국 부총리|부총리]] 겸 [[기획재정부장관|재정경제원 장관]] || ||[[1996년]] [[8월 8일]] ~ [[1997년]] [[3월 5일]] || ||제30대 [[외교부장관|외교통상부 장관]] || ||[[2001년]] [[3월 26일]] ~ [[2002년]] [[2월 4일]] || ||제39대 [[대한민국 국무총리|국무총리]] || ||[[2008년]] [[2월 29일]] ~ [[2009년]] [[9월 28일]]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배우자''' ||홍소자[* 洪昭子. 1939년 10월 7일생. [[남양 홍씨]] 홍순일(洪淳一)의 딸이며, 어머니는 육인순(陸寅順)으로 [[육인수]] 전 국회의원은 외숙부, [[육영수]]·[[육예수]]는 이모이다.] || || '''자녀''' ||아들 한상준[* 韓相俊. 1971년 1월 28일생.], 딸 한상은[* 韓相恩. 1974년 1월 8일생.] || || '''친인척''' ||사위 [[김세연(정치인)|김세연]] || || '''학력''' ||금산공립국민학교 {{{-2 (졸업)}}}[br][[춘천중학교]] {{{-2 (졸업)}}}[br][[춘천고등학교]] {{{-2 (졸업 / 27회)}}}[br][[연세대학교/학부/사회과학대학|연희대학교 정법대학]] {{{-2 ([[정치외교학]] / [[학사]])}}}[br][[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2 ([[행정학]] / [[석사]])[* 석사 학위 논문 : [[http://www.riss.kr/link?id=T133253|韓國의 成果主義 豫算 硏究]](한국의 성과주의 예산 연구, 1962).]}}}[br][[요크 대학교(영국)|요크 대학교 대학원]] {{{-2 ([[경제학]] / [[Ph.D.]])[* 박사 학위 논문 주제는 '[[https://m.khan.co.kr/politics/politics-general/article/200801290320125#c2b|유럽 예산의 성장과 기능]]'.]}}} || || '''병역''' ||[[대한민국 육군]] [[중위]] 만기전역 {{{-2 ([[학사장교]][* 보통 최고위 정치인, 재벌은 서민들과 안 섞이기 위해 [[병역면제]]를 받는게 기본이지만, 자진해서 군대를 갔다.])}}} || || '''종교''' ||[[천주교]] {{{-2 ([[세례명]]: [[다니엘]][* [[https://m.catholictimes.org/mobile/article_view.php?aid=356875|관련 기사]]])}}} || || '''신체''' ||177cm[* 1940년생 평균 키가 166cm 정도임을 감안하면 현 세대의 180후반대와 같다고 볼 수 있다.], [[A형]][* [[http://people.hanple.com/people.php?cmd=view&pp_no=40569|#]]] || || '''소속 정당''' ||[include(틀:국민의힘)] || || '''의원 선수''' ||'''3''' || || '''의원 대수''' ||'''[[제13대 국회의원|13]]''', '''[[제15대 국회의원|15]]''', '''[[제16대 국회의원|16]]''' || || '''경력''' ||[[서울대학교]] [[경제학과]] 교수[br][[제13대 국회의원]] {{{-2 ([[춘천시(선거구)|강원 춘천시]] / [[민주정의당]])}}}[br]제34대 [[산업통상자원부장관|상공부장관]] {{{-2 ([[노태우 정부]])}}}[br]제15대 [[주미대사|주 미합중국 특명전권대사]] {{{-2 ([[문민정부]])}}}[br]제18대 [[대통령비서실장]] {{{-2 (문민정부)}}}[br][[신한국당]] 강원도 지부 위원장[br][[제15대 국회의원]] {{{-2 (강원 춘천시 갑 / [[신한국당]])}}}[br]제3대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장관|재정경제원 장관]] {{{-2 (문민정부)}}}[br][[제16대 국회의원]] {{{-2 (강원 춘천시 / [[민주국민당(2000년)|민주국민당]])}}}[br]제30대 [[외교부장관|외교통상부 장관]] {{{-2 ([[국민의 정부]])}}}[br]제56차 유엔총회 의장[br]제39대 [[국무총리]] {{{-2 ([[이명박 정부]])}}} ||}}}}}}}}}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전 정치가. 제39대 [[국무총리]]. [[박정희]]의 처조카 사위로, [[김진재]]는 [[사돈]] 지간이다. [[육영수]]의 언니인 육인순의 둘째사위로서 [[장덕진(1934)|장덕진]] 전 농수산부(현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의 바로 손아랫동서이다. 그리고 [[김세연(정치인)|김세연]] 전 국회의원의 장인이므로 김세연의 아버지인 고 [[김진재]] 전 국회의원과는 사돈 지간이다. == 생애 == [[1936년]] [[12월 28일]] 강원도 춘천군(現 춘천시) 서면 방동리 박사마을에서 아버지 한석린(韓錫麟, 1910. 8. 28 ~ 1995. 8. 17)과 어머니 [[송(성씨)|진천 송씨]](鎭川 宋氏, 1910. 11. 6 ~ 1959. 9. 13)[* 송순원(宋淳元)의 딸이다.] 사이의 3남 2녀 중 차남으로 태어났다. 1955년 [[춘천고등학교]](27회), 1960년 [[연세대학교/학부|연세대학교 정법대학]]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1963년 2월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에서 [[행정학]] [[석사]] 학위, 1968년 7월 [[영국]] [[요크 대학교(영국)|요크 대학교 대학원]](University of York)에서 [[경제학]] [[박사]] 학위 등을 각각 취득했다. 석사 학위 취득 후 1963년 7월 5일부터 1967년 4월 19일까지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에서 임시 조교로 재직했다. 그 사이 1965년 영국으로 유학해 요크 대학교 대학원 경제학과 박사 과정에서 수학하면서 사회경제연구소 연구원(Research Fellow) 및 경제학과 보조강사(Assistant Lecturer)를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0837818|역임했고]], 당시 [[국제경제학]] 강의를 맡았다. 1968년 7월 박사 학위 취득 후부터 1970년까지는 [[케임브리지 대학교/컬리지|케임브리지 대학교 엠마누엘 컬리지]] 응용경제학과에서 연구관(Research Officer)을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0837818|역임하면서]] [[경제학]] 강의를 담당하기도 했다.[* 2008년 국무총리 임용 당시 허위경력 논란이 있었다. 이전에는 1965년 7월부터 1968년 9월까지 요크 대학교 [[경제학과]]에서 [[조교수]]로 재직하면서 [[국제경제학]]을 강의했고, 1968년부터 1970년까지 [[케임브리지 대학교/컬리지|케임브리지 대학교 엠마누엘 컬리지]] 응용경제학과에서 [[연구교수]]로 재직하면서 [[경제학]]을 [[https://m.khan.co.kr/politics/politics-general/article/200801290320125#c2b|가르쳤다고]] [[https://www.viewsnnews.com/article?q=29705|말했었다]].] 이후 귀국해 1970년 10월부터 1971년 4월까지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에서 [[시간강사]]로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0837818|출강했고]], 1971년 [[서울대학교/학부/사회과학대학/경제학부|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경제학과]] [[교수]]로 부임해 1988년까지 역임했다. 그 사이 1985년부터 1986년까지 [[미국]] [[하버드 대학교]] [[경제학과]] 교환교수, 1986년부터 1987년까지 [[일본]] [[도쿄대학]] 교양학부 객원교수 등을 역임하기도 했다. 1980년 [[하나회|신군부]]가 주도한 [[국가보위비상대책위원회]] 재무분과 외환담당 위원으로 정치에 처음 참여했고, [[상공부]] 무역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했다. 이후 [[민주정의당]]에 입당했다. 1988년 4월 26일 치러진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정의당 후보로 강원도 춘천시 [[선거구]]에 출마해 당선되어 초선 의원을 역임했다. 이후 [[대한민국 제6공화국|제6공화국]] [[노태우 정부]]에서 1988년 12월 5일부터 1990년 3월 19일까지 [[산업통상자원부장관|상공부장관]]을 역임하였고, 임기가 끝난 뒤에는 다시 교단으로 돌아가 잠시 교편을 [[https://m.khan.co.kr/politics/politics-general/article/200801290320125|다시 잡았다]]. 1992년 3월 24일 치러진 [[제1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민주자유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했으나 [[통일국민당]] [[손승덕]] 후보에 밀려 낙선했다. [[김영삼 정부]] 출범 이후 1993년 3월 [[주미대사|제15대 주아메리카합중국 대한민국 특명전권대사]]에 임명되면서 다시 교단을 떠나게 되었고, 1994년 12월까지 주미대사직을 역임했다. 1994년 12월부터 1995년 12월까지는 [[대통령비서실장]]을 [[https://www.segye.com/newsView/20150227003908|역임했고]], 1996년 8월부터 1997년 3월까지 [[대한민국 부총리|부총리]] 겸 [[기획재정부장관|재정경제원장관]]을 [[https://www.moef.go.kr/mi/mh/his.do?menuNo=9020000|역임했다]]. 1996년 4월 11일 치러진 [[제1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신한국당]] 후보로 강원도 춘천시 갑 선거구에 출마해 국회 재입성에 성공하지만, 2000년 [[제16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는 [[이회창]]의 공천 물갈이에 밀려 낙천했다. 이에 [[김윤환(1932)|김윤환]], [[이수성(정치인)|이수성]], [[조순]] 등 낙천 인사와 함께 [[민주국민당(2000년)|민주국민당]]을 창당했고, 한승수는 2000년 4월 13일 치러진 본 선거에서 민주국민당 후보로 강원도 춘천시 선거구에 출마했다. 이때 현직 국회의원이던 [[한나라당]] [[류종수]] 후보, [[강원도지사]] 및 [[고용노동부장관|노동부장관]] 출신의 [[새천년민주당]] [[이상룡(1934)|이상룡]] 후보 등 총 5명의 후보가 난립한 끝에 득표 2위를 기록한 한나라당 류종수 후보를 628표 차이로 꺾고 당선되었다. 그러나 그가 소속한 민주국민당은 킹메이커(김윤환), 전직 총리(이수성), 전직 서울시장(조순) 등이 뭉쳤다는 점에서 선전할 것이라는 당초 예상과는 달리 결과는 처참했다. 김윤환, 이수성 등은 모두 낙선하고 지역구에서는 한승수, 전국구에서는 [[강숙자]]가 유일한 당선자였다. 당시 총선에서 [[여당]] [[새천년민주당]]의 단독 과반확보에 [[실패]]한 [[김대중 정부]]가 [[자유민주연합]], 민주국민당과 연립내각을 꾸림에 따라 2001년 3월 26일부터 2002년 2월 4일까지 [[외교부장관|제30대 외교통상부장관]]을 [[https://www.mofa.go.kr/minister/wpge/m_20036/contents.do|맡았다]]. 2001년 9월부터 2002년 9월까지 한국인 최초로 1년간 제56차 [[유엔|UN]]총회 의장을 [[http://www.atlas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5759|맡기도 했고]], 또한 2001년 4월 1일 외교통상부차관을 퇴직한 뒤 낭인신세로 있던 [[반기문]]을 자신의 비서실장으로 기용하였다.[* [[노신영]] 전 국무총리와 한승수 전 국무총리가 [[반기문]]의 [[https://www.donga.com/news/Politics/article/all/20191022/98004716/1|멘토로]] [[https://www.joongang.co.kr/article/3025778#home|잘 알려져 있다]].] 2002년 2월 장관직에서 물러난 이후 민주국민당을 탈당하였다가 [[제16대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한나라당]]에는 들어가지 않겠다고 했던 자신의 공언과는 달리 이후 다시 [[한나라당]]에 복당했다.[[http://media.daum.net/politics/others/newsview?newsid=20130816230206906|#]]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0090313|#]] 2004년 4월 15일 치러진 [[제17대 국회의원 선거]]에 불출마한 이후에는 [[노무현 정부]]에서 [[2018 평창 동계올림픽|평창 동계올림픽]] 유치위원장을 역임하였다.[* 하지만 [[2014 소치 동계올림픽]]을 유치한 [[러시아]]에 물을 쳐먹으면서 당시 [[2011 대구 세계육상선수권대회|2011 세계육상선수권대회]]를 [[대구광역시]]에 유치하는 데에 성공한 [[김범일]] [[대구광역시장]]과 비교당하는 수모를 겪었다. [[친이]]계답게 김범일이 [[인천국제공항선 KTX]] 드립을 가장 먼저 치면서 사기를 쳐놨기 때문이다. 결국 KTX는 [[이명박]]이 밀어 붙였던 [[호남고속철도]] 개통과 동시에 [[2018 평창 동계올림픽]] 및 [[2018 평창 동계패럴림픽]] 때까지 잠깐이나마 인천국제공항에 들어갔다.] 이후 2004년 6월부터 2008년 2월까지 [[김·장 법률사무소]] 고문을 [[https://www.joongang.co.kr/article/3848200#home|역임했고]], [[이명박 정부]]에서 2008년 2월 29일부터 2009년 9월 28일까지 [[대한민국 국무총리|제39대 국무총리]]를 [[https://www.opm.go.kr/opm/prime/past-oversea.do|역임하였다]]. 2009년 9월 29일 [[정운찬]] 국무총리로 교체된 뒤 2009년 10월 김·장 법률사무소 고문으로 [[https://www.joongang.co.kr/article/3848200#home|복귀했고]], 2010년 5월에는 [[글로벌녹색성장기구|글로벌녹색성장연구소]] [[https://www.hankyung.com/news/article/2010051458651|이사회 초대 의장]]에 내정되었다. 2016년 6월부터 2022년 6월까지는 제8대 유한재단 이사장으로 [[http://www.yuhanfoundation.or.kr/Introduction/Ceo_history/|재임했다]]. 2022년 10월 20일 유엔 총회의장협의회 의장에 [[http://www.atlas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5759|선출되었다]]. == 서훈 내역 == || '''연도''' || '''내용''' || || 1971 || [[수상|제6회 유럽공동체 학술상 경제학부문]] || || 1989 || [[훈장|대만 대수경성훈장]] || || 1989 || [[훈장|벨기에 대십자 왕관훈장]] || || 1990 || [[훈장|청조근정훈장]] || || 1997 || [[수상|미국 컬럼비아법과대학 국제부문 공로상]] || || 2001 || [[훈장|멕시코 아길라 아스떼카 훈장]] || || 2001 || [[훈장|엘살바도르 대십자 은관훈장]] || || 2004 || [[훈장|수교훈장 광화장]] || || 2004 || [[기사|영국 왕실 대영제국 명예기사]] || || 2007 || [[수상|제7회 국위선양부문]] || == 소속 정당 == || '''소속''' || '''기간''' || '''비고''' || || [include(틀:민주정의당)] || 1981 - 1990 || 창당[br]정계 입문 || || [include(틀:민주자유당)] || 1990 - 1995 || 합당[* [[통일민주당]], [[신민주공화당]]과 신설 합당. 이른바 [[3당 합당]].] || || [include(틀:신한국당)] || 1995 - 1997 || 당명 변경 || || [include(틀:한나라당(1997~2004))] || 1997 - 2000 || 합당[* [[통합민주당(1995년)|통합민주당]]과 신설 합당.] || || [include(틀:무소속)] || 2000 || 탈당[* 총선 공천 탈락 불복으로 인한 탈당.] || || [include(틀:민주국민당(2000년))] || 2000 - 2002 || 창당 || || [include(틀:무소속)] || 2002 || 탈당[* [[한나라당]] 복당을 위한 탈당.] || || [include(틀:한나라당)] || 2002 - 2012 || 복당[br]정계 은퇴 || || [include(틀:새누리당(2012년))] || 2012 - 2017 || 당명 변경 || || [include(틀:자유한국당)] || 2017 - 2020 || 당명 변경 || || [include(틀:미래통합당)] || 2020 || 합당[* [[새로운보수당]], [[미래를 향한 전진 4.0]]과 신설 합당.] || || [include(틀:국민의힘)] || 2020 - 현재 || 당명 변경 || == 선거 이력 == ##당 내부 선거가 아닌 대한민국 선출직 공직자 선거 결과만 기록한다. || {{{#c39335,#ca993b 연도}}} || {{{#c39335,#ca993b 선거 종류}}} || {{{#c39335,#ca993b 선거구}}} || {{{#c39335,#ca993b 소속 정당}}} || {{{#c39335,#ca993b 득표수 (득표율)}}} || {{{#c39335,#ca993b 당선 여부}}} || {{{#c39335,#ca993b 비고}}} || || 1988 || [[제13대 국회의원 선거]] ||<|2> [[강원도|강원]] [[춘천시(선거구)|춘천]] || [include(틀:민주정의당)] || '''34,166 (42.30%)''' || '''당선 (1위)''' || '''초선''' || || 1992 || [[제14대 국회의원 선거]] || [include(틀:민주자유당)] || 32,804 (37.45%) || 낙선 (2위) || || || 1996 || [[제15대 국회의원 선거]] || [[강원도|강원]] [[춘천시(선거구)|춘천 갑]] || [include(틀:신한국당)] || '''29,990 (57.80%)''' ||<|2> '''당선 (1위)''' || '''재선''' || || 2000 || [[제16대 국회의원 선거]] || [[강원도|강원]] [[춘천시(선거구)|춘천]] || [include(틀:민주국민당(2000년))] || '''30,719 (28.70%)''' || '''3선''' || || {{{#c39335 '''역대 선거 벽보'''}}}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파일:한승수 1988.jpg|width=100%]] || [[파일:한승수 1992.jpg|width=100%]] || || [[제13대 국회의원 선거|{{{#000000,#e5e5e5 13대 총선}}}]] [[춘천시(선거구)|{{{#000000,#e5e5e5 (강원 춘천시)}}}]] || [[제14대 국회의원 선거|{{{#000000,#e5e5e5 14대 총선}}}]] [[춘천시(선거구)|{{{#000000,#e5e5e5 (강원 춘천시)}}}]] || || [[파일:한승수 1996.jpg|width=96%]] || [[파일:한승수 2000.jpg|width=100%]] || || [[제15대 국회의원 선거|{{{#000000,#e5e5e5 15대 총선}}}]] [[춘천시(선거구)|{{{#000000,#e5e5e5 (강원 춘천시 갑)}}}]] || [[제16대 국회의원 선거|{{{#000000,#e5e5e5 16대 총선}}}]] [[춘천시(선거구)|{{{#000000,#e5e5e5 (강원 춘천시)}}}]] ||}}} || == 어록 == > '''서민·여성 등 취약계층 생활안정에 총력을 다하는게 정부가 해야 할 근본적인 일이다.''' >---- > [[2009년]] [[7월 22일]] [[https://www.korea.kr/news/policyNewsView.do?newsId=148673514|발언 中]] > '''공무원노조 민노총 가입은 국가경제에 심각한 우려가 있다.''' >---- > [[2009년]] [[9월 21일]] [[https://www.korea.kr/news/policyNewsView.do?newsId=148676707|발언 中]] > '''극악무도 범죄에 수사 인력을 늘리고 조직(組織)을 보강(補强)하라.''' >---- > [[2009년]] [[2월 24일]] [[http://www.shinmoongo.net/7548|발언 中]] > '''국가는 선진화 되었다. 그러나 국회는 선진화(先進化) 될 필요성이 있다.''' >---- > [[2008년]] [[8월]] [[https://www.donga.com/news/Politics/article/all/20080603/8585522/1|발언 中]] == 여담 == * 한승수 총리의 종교는 [[천주교]], 취미는 [[바둑]], [[등산]], [[책|전기수집]](희귀 도서) [[https://www.rokps.or.kr/profile/profile_view.asp?idx=2140&page=1|수집이다.]] 그외에도 [[골프]]를 즐겨하시는 편이라고 비서들이 밝혔다. * 스위스산 커피를 즐겨마신다고 메이드들이 밝혔다. * [[박정희]] 대통령의 처조카 사위이다. * 그가 주미 대사로 재직한 1990년대에 상관인 외무장관이었던 [[한승주]]와는 이름만 비슷할 뿐, 형제이거나 인척 관계는 아니다. 한승수는 몽계공파(夢溪公派) 31세 수(洙) 항렬이고, 한승주는 공안공파(恭安公派) 35세 주(州) 항렬이다. 아울러 [[참여정부]] 최후의 국무총리이자 [[윤석열 정부]] 초대 국무총리인 [[한덕수]]와도 역시 이름만 비슷할 뿐 인척 관계가 전혀 아니다. 한덕수는 안양공파(安襄公派)인데, 다만 같은 31세로 수(洙) 항렬을 쓰는 것만 동일할 뿐이다. * [[애니메이션]] [[사우스 파크]](시즌13의 6회)에 나온 적이 있다. 이는 [[높으신 분들]] 항목의 맨 처음 사진에서 확인이 가능하다. 외계인 침공에 대해 세계 각국의 정상들이 전화로 회의를 하는 모습에서 등장한다. 당시 한승수는 국무총리였는데, 제작진이 이를 [[의원 내각제]]의 총리(수상)와 착각한 듯 하다. 한국의 국무총리와 의원 내각제의 총리는 영어로도 Prime Minister로 표기가 동일하다. --[[http://larca.egloos.com/1915170|이를 다룬 블로그 포스팅]]--[*삭제됨.] * 세계적인 톱스타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가 한승수 국무총리를 영접한 적이 있다. 국가 서열 4위 국무총리이자 수십명의 경호원들과 비서들에게 둘러싸여서 그런지 여러 톱배우들이 설설 기는 [[클리셰]]를 보였지만, 한승수 국무총리는 디카프리오의 [[작품]]을 잘 봤다고 밝히면서 경직된 분위기를 풀었다. * 최고위 정치인 최초로 [[한센병]] 환자의 손을 잡은 경험이 있다. 그리고 "방문이 한센인 여러분에게 새로운 희망을 주는 계기가 되길 간절히 바란다"며 "정부가 한센인의 권익을 보호하고 복지 서비스를 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언급했다. [[http://m.ablenews.co.kr/News/NewsContent.aspx?CategoryCode=0014&NewsCode=001420090518150155537000|관련 기사]] * 자비로 북한 출신 대학생 70명에게 장학금을 지급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6/0001608781?sid=101|관련 기사]] 그 외에도 사회지도층으로서 못 배우고 가난한 사회소외계층을 보살피는 분이다. 유한재단은 지난 1970년 설립이래 2019년까지 매년 학생과 대학생을 선발해 연인원 5,000여명에게 장학금을 지급해왔다. 2019년까지 지급한 금액은 150억원에 이른다. == 관련 문서 == * [[국무총리]] * [[가톨릭/인물]] == 둘러보기 == [include(틀:제13대 국회의원/강원도)] [include(틀:제15대 국회의원/강원도)] [include(틀:제16대 국회의원/강원도)] [[분류:대한민국의 남성 정치인]][[분류:대한민국의 공무원]][[분류:청주 한씨 몽계공파]][[분류:대한민국 국무총리]][[분류:한국의 경제학자]][[분류:대한민국의 교수]][[분류:상경계 교수]][[분류:교육인 출신 정치인]][[분류:공무원 출신 정치인]][[분류:학자 출신 정치인]][[분류:춘천시 출신 인물]][[분류:1936년 출생]][[분류:대한민국의 가톨릭 신자]][[분류:이명박 정부/인사]][[분류:국민의 정부/인사]][[분류:문민정부/인사]][[분류:노태우 정부/인사]][[분류:대통령비서실장]][[분류:춘천고등학교 출신]][[분류:연세대학교 출신/전신 학교]][[분류: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출신]][[분류:제13대 국회의원]][[분류:제15대 국회의원]][[분류:제16대 국회의원]][[분류:민주정의당 국회의원]][[분류:민주자유당 국회의원]][[분류:신한국당 국회의원]][[분류:한나라당 국회의원]][[분류:민주국민당(2000년) 국회의원]][[분류:상공부 장관]][[분류:외교통상부 장관]][[분류:부총리 겸 재정경제원장관]][[분류:국민의힘 소속]][[분류:요크 대학교(영국) 출신]][[분류:주미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