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속어 유행어]][[분류:표기법]][[분류:오타]] [include(틀:토론 합의, 토론주소1=MomentousDamagingGapingBalloon, 합의사항1=종류 및 예시 등의 작성을 금지하기)] [목차] == 개요 == [[오타체]]의 일종. 일반적으로 흔히 쓰이는 [[한글]] [[두벌식]]/[[로마자]] [[QWERTY]] 자판에서 [[한영 키]]를 눌러 로마자 상태로 한 뒤 한글 단어를 쳐서 나오는 결과물(예: 나무위키 → skandnlzl), 또는 한글 상태에서 로마자 단어를 쳐서 나오는 결과물(예: authenticity → 며소두샤챠쇼)을 말한다. [[백괴사전]]에서 이를 [[안드로메다|안드로]]어[* [[안드로메다 은하]]에서 사용되는 언어라는 의미에서 명명. [[세벌식]] 자판을 통한 한영 오타체는 메다어라고 부른다. 처음에는 안드로메다어라고 불렀으나, 나중에 분리되었다.]라고 이름 붙인 것을 시초로 하여 안드로어라고 부르는 경우도 있다. == 용도 == 꽤 많은 한국인들이 메일 [[ID]]나 [[비밀번호]]를 위 방법으로 만들어 사용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 점을 노리고 털 수도 있으니 비밀번호를 이 방식으로 하는 것은 추천되지 않는다. [[e스포츠]]에서 쓰이는 [[투명라인]]에 속한 선수들은 이런 방식으로 별명을 붙여서 부른다. 예를 들어 [[이병민|들쿠달스]]는 emfznekftm, [[이재호(프로게이머)|들보흐]]는 emfqhgm 등으로 부르는 식이다. 아무래도 한영 전환 단어들은 아무렇게나 친 느낌이 있어 [[일반인]]이 대충 지은 닉네임이라는 인상을 주기 때문인 듯하다. 이렇게 만든 아이디를 대충 읽어서 [[공혁준|rhdgurwns(릏드거룬스)]]같이 부르는 경우도 있다. 욕설 검열 용도로 쓰일 때도 있다. 그 단적인 예로, [[tlqkf]]이 유명하다. == 전환 기능 == [[네이버]] 검색창에 한글 대신 안드로어를 치면 [[친절한 네이버|친절하게도]] "(한글)로 검색하시겠습니까?"라고 링크 안내를 해 준다. 만약 유명한 검색어인 경우 자동으로 한글로 바꿔 검색해준다. 실제로 한 한국어 교사는 네이버의 이 기능을 이용해서 한국어 입력기가 없는 컴퓨터에서 한글을 입력한다고 [[https://www.reddit.com/r/Korean/comments/ceigi6/how_do_random_letters_equal_hangul/|한다]]. [[구글]]에서도 "이것을 찾으셨나요? (한글)"이라고 안내해주며, 웬만한 오타는 다 자동으로 정정해준다. 다만 검색어의 한영 오타 변환기는 표준 자판인 두벌식 기준이기에 세벌식으로 하면 당연 안나온다. [[한컴오피스 한글]]은 이 기능이 기본적으로 적용되는데, 한글로 쳐야 할 상황에서 영문이 나온다든가, 그 반대의 경우가 생겨서 다시 쳐야 하는 짜증나는 상황이 종종 생긴다. 가령 [[센티미터|길이]]를 나타내는 [[접미사]] 'cm'을 입력한다면 자꾸 '[[츠]]'로 바뀐다. 이럴 때는 화면 상단의 '도구' 확장 버튼을 클릭하고, '글자판' 메뉴에 커서를 갖다 댄 다음, '글자판 자동 변경' 체크를 해제하면 된다. == 유사 예 == [[일본어]]도 입력기 시스템상 로마자 전환을 할 수 있기 때문에 비슷한 것을 할 수 있다. 다만 현재는 로마자 입력이 대중화되면서 예전보다는 보기 어려워진 편이다. 좀 다른 예로 본래 영어인 걸 [[헵번식 로마자 표기법|일본어 로마자 입력]]으로 입력한 속어도 있다. Youtube([[유튜브]])를 ようつべ(요우츠베)라고 부르는 식이다. [[주음부호]]를 사용하는 대만에도 비슷한 경우가 있다고 한다. 예를 들어 ji32k7au4a83이라는 비밀번호가 많이 발견됐다고 [[https://www.theverge.com/tldr/2019/3/5/18252150/bad-password-security-data-breach-taiwan-ji32k7au4a83-have-i-been-pwned|하는데]], 이는 주음부호 자판으로 ㄨㄛˇ ㄉㄜ˙ ㄇㄧˋ ㄇㄚˇ([[한어병음]] wǒ de mìmǎ)에 해당되며, 번체 한자로 변환하면 我的密碼이고 뜻은 '내 비밀번호'다. == 기타 == * 대부분의 커뮤니티에서는 누군가 QWERTY 자판으로 한국어 댓글을 남겨 놓으면 누군가 한글로 바꿔서 대댓글을 달아 준다. 그런데 이게 그 사람이 매우 친절해서라기보다는 해독을 위해 입력 모드를 한글로 놓고 로마자 문자열을 따라서 입력한 후 이왕 적은 김에 댓글로 달아놓는 것이다. * 조금만 익숙해지면 자판을 보고 일일이 대응시키거나, 한글 모드로 따라서 적어보지 않고도 한글 읽듯이 그대로 읽을 수가 있다. 사실 해봐야 26개밖에 안 되는 쌍일 뿐이고, 그나마도 한국어에서 자주 쓰이는 한글 낱자(예: ㅇ, ㄴ, ㅅ 등)가 전환된 것(각각 d, s, t)이 자주 나오므로 외우려고 하지 않아도 몇몇 쌍은 익숙해지게 된다. * [[나무위키]]에서 욕설이나 성적인 단어를 한영 전환해서 계정을 만들면(예: [[시발|tlqkf]] 또는 [[씨발|Tlqkf]], [[병신|qudtls]], [[섹스|tprtm]] 등) [[부적절한 계정명]]으로 무기한 차단될 수 있다. 이는 위키백과를 포함한 다른 위키에서도 마찬가지다. * 매우 극단적으로 말하자면 '나무위키'를 skandnlzl라고 적는 이 방식도 일종의 [[한국어의 로마자 표기|한국어 로마자 표기법]]이라고 할 수 있다. 일단 원어가 한국어이고, 표기가 로마자로 적혀 있는 것은 사실이기 때문이다. 실제로 이 방식은 상당히 규칙적인 표기법이며, 한글 표기로의 환원성도 아주 뛰어나 변환기도 쉽게 만들 수 있다. 또한 많은 한국인들도 이 방식을 은연중에 사용하며, 키보드의 도움 없이 머리로만 자동 변환이 가능한 사람들도 있다. 그리고 어떤 로마자 표기법이든 읽는 방법은 배워야 하는 건 마찬가지므로 로마자에는 표준 음가가 존재하지 않고, 어떤 글자에 어떤 음가를 대응시킬지는 언어나 표기법에 따라 다르다. * [[소년탐정 김전일]]의 첫 화 [[학교 7대 불가사의 살인사건]]의 [[다잉 메시지]] 중 하나가 일본어 입력기 관련 퍼즐이라 국내 더빙에서는 이 방식으로 바뀌었다. 근데 일상에서 너무 자주 보이는 방법이라 사람들이 한영 키 전환을 눈치채지 못하는 게 다소 어색해졌다. 연재 시기가 [[1990년대]]라는 걸 감안하면 컴퓨터에 다들 익숙하지 않았을 거라고 무마는 가능할지도 모르겠다. * [[NCIS(드라마)|NCIS]]에서 이걸 이용한 암호가 등장했다. 한국어로서는 의미 없는 한글이 나열되어 있지만 한국인이라면 쉽게 눈치챌 수 있다. * 세벌식으로도 할 수 있는데 대부분의 사람들은 두벌식을 쓰기 때문에 무슨 말인지 알아듣지 못해 어려워하는 경우가 대다수다. [[세벌식|nc;twndx]], [[안녕하세요|jfsheamfncj4]], [[사죄|l/dnvamf3hduf]] 등의 사례가 존재한다. * 이 외에도 [[드보락]], [[콜맥]]같이 영어 자판이 다른 경우도 있다 * 예: [[드보락|.m'dutp]], [[콜맥|zhtayp]] * [[천지인 자판]]으로는 로마자로 전환할 수 없지만 위치가 같은 키패드 숫자로 전환하는 방법이 있다. 예를 들어 '[[나무위키]]'를 이 방법으로 전환하면 51200320321441이 된다. * [[Library of Ruina]]에서는 [[Library of Ruina/접대/enlxmfflsdis|한영전환을 이용한 보스]]가 있다.영문판에서는 반대로 영한전환을 하여 "얀샋ㄷ요무"가 되었다. == 온라인 변환기 == * [[https://www.theyt.net/wiki/%ED%95%9C%EC%98%81%ED%83%80%EB%B3%80%ED%99%98%EA%B8%B0|한/영타 변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