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2. 분데스리가)] ---- ||<-3> [[파일:함부르크 SV 로고.svg|width=100]][br] ,,'''{{{#d0021b Hamburger Sport-Verein e.V.}}}''',, || || {{{#fff 함부르크 SV}}} || [[함부르크 SV II|{{{#fff 함부르크 SV II}}}]] || [[함부르크 SV III|{{{#fff 함부르크 SV III}}}]] || ---- ||<-2> [[파일:함부르크 SV 로고.svg|width=300]] || ||<-2><#fff> '''{{{#0054a6 {{{+1 함부르크 SV}}}}}}''' || ||<-2><#d0021b> '''{{{#fff {{{+1 Hamburger SV}}}}}}''' || || '''정식 명칭''' ||Hamburger Sport-Verein e.V. || || '''[[축구단 별명|{{{#0054a6 별칭}}}]]''' ||'''{{{#d0021b Die Rothosen (붉은 바지)[* 전통적으로 흰색 상의와 빨간색 바지를 유니폼으로 입은 데에서 유래된 별명이다.], Der Dino (공룡)}}}''' || || '''창단''' ||[[1887년|{{{#000,#ddd 1887년}}}]] [[9월 29일|{{{#000,#ddd 9월 29일}}}]] '''^^([age(1887-09-29)]주년)^^'''[* [[1919년]] [[6월 2일]]에 함부르크 SV라는 지금의 구단명으로 바꾸었다.][* [[https://www.hsv.de/unser-hsv/ueber-den-hsv/geschichte/entstehung|#]]] || || '''소속 리그''' ||'''[[2. 분데스리가|{{{#505050,#c0c0c0 2. 분데스리가 (2. Bundesliga)}}}]]''' || || '''연고지''' ||[[함부르크]] (Hamburg) || || '''홈구장''' ||[[폴크스파르크슈타디온]][* 2010년 6월부터 2016년까지 연간 $5.6m(약 56억원)을 지불하는 조건으로 [[명명권]]을 임테흐 그룹이 사 들였다.[[http://sportsbusiness.mlblogs.com/2013/08/04/imtech-to-honour-hamburg-naming-rights-deal/|##]] 그러던 2015년 7월, 다시 본래의 이름으로 돌아오게 되었다. 이는 현재까지 분데스리가 내에서 경기장의 명명권이 기업에게 팔린 이후 본래 이름을 되찾은 유일한 사례이다.] (Volksparkstadion) [br] 57,000명 수용 || || '''라이벌''' ||'''[[SV 베르더 브레멘|{{{#009252 SV 베르더 브레멘}}}]] - [[노르트 더비]]'''[br]'''[[FC 장크트파울리|{{{#604734 FC 장크트파울리}}}]] - [[함부르크 더비]]''' || || '''회장''' ||[[파일:독일 국기.svg|width=25]] [[마르셀 얀센]] (Marcell Jansen) || || '''부회장''' ||[[파일:독일 국기.svg|width=25]] 베른트 베마이어 (Bernd Wehmeyer) || || '''이사장''' ||[[파일:독일 국기.svg|width=25]] [[마르셀 얀센]] (Marcell Jansen) || || '''단장''' ||[[파일:독일 국기.svg|width=25]] 요나스 볼트 (Jonas Boldt) || || '''육성단장''' ||[[파일:독일 국기.svg|width=25]] [[호르스트 흐루베슈]] (Horst Hrubesch) || || '''감독''' ||[[파일:독일 국기.svg|width=25]] [[팀 발터]] (Tim Walter) || || '''수석코치''' ||[[파일:독일 국기.svg|width=25]] 메를린 폴친 (Merlin Polzin) [br]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width=20]] [[파일:독일 국기.svg|width=20]] 필리프 타팔로비치 (Filip Tapalović) [br] [[파일:독일 국기.svg|width=25]] 율리안 휘브너 (Julian Hübner) || || '''주장''' ||[[파일:독일 국기.svg|width=25]] [[제바스티안 숀라우]] (Sebastian Schonlau) || || '''역대 한국인 선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5]] [[손흥민]] (2010~2013) [br]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5]] [[황희찬]] (2018~2019) || || '''공식 웹사이트''' ||[[https://www.hsv.de|[[파일:함부르크 SV 로고.svg|width=25]]]]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HSV, 크기=25)] [[https://www.facebook.com/HSV|[[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5]]]] [[https://www.instagram.com/hsv/|[[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5]]]] [[https://www.youtube.com/@HSV|[[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 [[https://www.tiktok.com/@hsv_official|[[파일:틱톡 아이콘.svg|width=25]]]] [[https://www.linkedin.com/company/hamburger-sport-verein|[[파일:LinkedIn 아이콘.svg|width=25]]]] || || '''지난 시즌 성적'''[br](2022-23 시즌) ||[[2. 분데스리가]] 3위 || || '''약칭''' ||<#FFF>'''{{{+1 {{{#0054A6 HSV}}}}}}''' || ||<-2><#d0021b> '''{{{#fff 우승 기록}}}''' || || '''{{{#ccac00 ★}}}'''[br]'''[[분데스리가|{{{#0054a6 __독일 챔피언십__ (1부)}}}]]'''[* 분데스리가 출범 이전의 리그로, 각 지역 리그의 우승자들끼리 경기를 해서 전국 챔피언을 가려내는 방식이었다.][br](3회) ||1922-23, 1927-28, 1959-60 || || '''__북부 독일 챔피언십__ (1부)'''[* 분데스리가 출범 이전의 리그로 이 리그에서 우승한 뒤 다른 지역 리그에서 우승한 팀과 붙는 방식이었다.][br](10회 / 최다 우승) ||1920-21, 1921-22, 1922-23, 1923-24, 1924-25, 1927-28, 1928-29, 1930-31, 1931-32, 1932-33 || || '''[[가우리가|{{{#0054a6 __가우리가 노르트마르크__}}}[br]{{{#0054a6 __가우리가 함부르크__ (1부)}}}]]'''[* 분데스리가 출범 이전의 리그로 이 리그에서 우승한 뒤 다른 지역 리그에서 우승한 팀과 붙는 방식이었다.][br]{{{#0054a6 (5회)}}} ||1936-37, 1937-38, 1938-39, 1940-41, 1944-45 || || '''__오버리가 북부__ (1부)'''[* 분데스리가 출범 이전의 리그로 이 리그에서 우승한 뒤 다른 지역 리그에서 우승한 팀과 붙는 방식이었다.][br](15회 / 최다 우승) ||1947-48, 1948-49, 1949-50, 1950-51, 1951-52, 1952-53, 1954-55, 1955-56, 1956-57, 1957-58[br]1958-59, 1959-60, 1960-61, 1961-62, 1962-63 || || '''{{{#ccac00 ★}}}'''[br]'''[[분데스리가|{{{#0054a6 __분데스리가__ (1부)}}}]]'''[br](3회) ||1978-79, 1981-82, 1982-83 || || '''[[DFB-포칼|{{{#0054a6 __DFB-포칼__}}}]]'''[br](3회) ||1962-63, 1975-76, 1986-87 || || '''__DFB-리가포칼__'''[* 1996-97 시즌부터 2006-07 시즌까지 DFB-포칼을 대신하여 독일에서 열렸던 리그컵 대회. 단 1973년에 열린 대회는 뮌헨 올림픽으로 인해서 정규리그 일정이 밀려버리자 이를 메꾸기 위해 열린 단발성 대회이다. DFL-리가포칼이 정식 대회로 인정받은 때는 1996-97 시즌부터이다.][br](2회) ||1972-73, 2003-04 || || '''[[UEFA 챔피언스 리그|{{{#0054a6 __UEFA 챔피언스 리그__}}}]]'''[br](1회) ||[[유러피언컵/1982-83 시즌|1982-83]] || || '''[[UEFA 컵위너스컵|{{{#0054a6 __UEFA 컵위너스컵__}}}]]'''[br](1회) ||1976-77 || || '''[[UEFA 인터토토컵|{{{#0054a6 __UEFA 인터토토컵__}}}]]'''[br](2회 / 최다 우승) ||2005, 2007 || ||<-2><#d0021b> '''{{{#fff 클럽 기록}}}''' || || '''최고 이적료 영입''' ||[[파일:세르비아 국기.svg|width=25]] [[필립 코스티치|필리프 코스티치]] (Filip Kostić) [br] (2016년, From [[VfB 슈투트가르트]], 1,400만 €) || || '''최고 이적료 방출''' ||[[파일:네덜란드 국기.svg|width=20]] [[파일:수리남 국기.svg|width=20]] [[나이젤 더용]] (Nigel de Jong) [br] (2008년, To [[맨체스터 시티 FC]], 1,800만 €) || || '''최다 출장''' ||[[파일:독일 국기.svg|width=25]] [[만프레트 칼츠]] (Manfred Kaltz) - 679경기 (1971~1989 / 1990~1991) || || '''최다 득점''' ||[[파일:독일 국기.svg|width=25]] [[우베 젤러]] (Uwe Seeler) - 507골 (1953~1972) || [include(틀:함부르크 SV/유니폼 및 스폰서)]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Y6_6BfbkJXE)]}}} || || '''{{{#fff 2022-23 시즌 골송}}}'''[* 원곡은 스쿠터(Scooter)의 'One (Always Hardcore)'. 가사를 Always Hardcore에서 Auf geht's Hamburg로 바꿨다.[[https://www.youtube.com/watch?v=Qgu1BJPrsLk|풀버전]]] ||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ct-90mins-german-police-investigate-banners-with-death-threats-outside-hamburg-stadium-20180311.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D3VK2TO3JOKWP7A6IHWCJIJEP4.jpg|width=100%]]}}}|| [[독일]] [[2. 분데스리가]] (2. Bundesliga)에 소속된 프로[[축구]] 클럽으로, 1887년 9월 29일에 창단되었다. 2017년까지 [[분데스리가]] 원년 소속 클럽 중 유일하게 강등 경험 없이 쭉 참가해왔던 클럽이었다. 독일어 발음으로는 HSV (하에스파우) 라고 불린다. 현재는 끝이 보이지 않는 부진으로 쌓아올린 명성이 무너지고 있는 클럽. 오랜 역사를 지닌 명문 클럽으로, 연고지는 [[함부르크]]. 정식 명칭은 함부르거 슈포르트-페어라인 (Hamburger Sport-Verein, [[함부르크]] 스포츠사단법인)이고, 줄여서 [[HSV]]라고도 한다. 팀의 애칭은 로트호젠 (Rothosen, 빨간 바지).[* 전통적으로 흰색 상의와 빨간색 바지의 홈 유니폼을 입는 것에서 유래된 별명이다.] 독일의 많은 축구 클럽들과 마찬가지로, 종합 스포츠 클럽이다. 축구팀 외에 [[복싱]], [[탁구]], 나인핀스볼링 (nine pins bowling), [[배드민턴]], [[야구]], [[볼링]], [[핸드볼]], [[하키]], 어린이체조, [[육상]], [[럭비]], [[수영]], [[테니스]], 인라인하키, [[아이스하키]], 댄스, [[당수]](唐手)팀이 있다. 핸드볼 팀은 [[윤경신]]이 뛰기도 했다. == 스쿼드 == === 1군 === [include(틀:함부르크 SV)] === 유소년 === [include(틀:A-유니오렌-분데스리가 노르트/노르트오스트)] == 역사 == 공식적인 창단일인 1887년 9월 29일은 훗날 HSV를 이루게 되는 세 팀들 중 가장 먼저 창단된 SC 게르마니아라고 하는 팀의 창단일로, 1919년 6월 1일에 SC 게르마니아, 함부르크 FC, FC 팔케 (FC Falke)의 세 팀이 합병하면서 지금의 이름으로 바뀌었다. === 화려한 전성기 (1978~1983) === 1978년부터 1983년까지 6시즌 동안 함부르크 SV는 분데스리가 최고의 강팀이자, 유럽을 대표하는 강팀으로 군림했다. 이 6시즌 동안 함부르크는 분데스리가 3회 우승 및 3회 준우승을 차지했으며, [[UEFA 챔피언스 리그]]의 전신인 유러피언 컵 우승(1983년) 및 준우승(1980년)을 차지하고 [[유러피언 컵위너스컵]]에서도 우승을 차지했으며, [[UEFA 유로파 리그]]의 전신으로 당시에는 권위가 높았던 [[UEFA컵]]에서 준우승(1982년)을 거두는 등 유럽 대회에서도 우수한 성적을 거두며 영광의 시기를 보냈다. 이 시절 브란코 제베치 감독과 [[에른스트 하펠]] 감독이라는 두 명장의 지휘 아래 [[케빈 키건]][* [[케빈 키건]]은 1977년부터 1980년까지 총 세 시즌을 뛰었고 리그 우승을 한 번 경험하고 다른 팀으로 이적하였다. 1978, 79년 발롱도르는 덤.], [[펠릭스 마가트]], [[만프레드 칼츠]], [[호르스트 흐루베슈]] 등이 활약했다. 특히 케빈 키건은 1978년, 79년 2년 연속 발롱도르를 차지했다. 이전까지 분데스리가를 양분하던 강팀인 바이에른 뮌헨과 보루시아 묀헨글라트바흐의 전성기가 끝나며 세대 교체기에 접어들 당시 곧바로 함부르크가 그 자치를 차지하며 70년대말부터 80년대 전반기까지 분데스리가의 최강팀으로 군림했다. 그러나 바이에른 뮌헨이 칼 하인츠 루메니게를 중심으로 팀을 제 정비하여 도전해 왔다. 70년대말 한때 경륜의 뮌헨에 밀리는 듯 하였고, 설상가상으로 키건이 잉글랜드로 돌아가려는 열망이 강해 결국 [[사우스햄튼 FC]]로 이적했다. 하지만 함부르크의 진정한 전성기는 키건 이적 이후에 찾아왔다. 1980년부터 1983년 사이 함부르크는 2년 연속 분데스리가 우승을 차지했고 유러피언 컵에서는 1980년에는 준우승에 머물렀지만 1983년 마침내 우승컵을 들어올렸다. UEFA컵에서도 1982년 준우승을 차지했다. 참고로 미국에서 뛰던 카이저 베켄바우어가 이 시절 함부르크에 입단하며 분데스리가에 복귀했고 함부르크가 바이에른 뮌헨을 꺾고 분데스리가 우승을 차지하는데 일조했다. 하지만 이미 끝물이 지난 베켄바우어는 함부르크에서 풀주전은 아니었고 로테이션 멤버로 기용되었다. 하지만 1984년 이후 다시 분데스리가 정상에 등극한 바이에른 뮌헨에 밀리기 시작했고, 1987년 [[DFB-포칼]]에서 우승 및 분데스리가 준우승을 차지한 것을 끝으로 별다른 성적을 거두지 못하였고 1990년대에는 중위권을 유지해왔다. 이후 [[토마스 돌]]감독을 선임하고 빅네임이었던 [[라파엘 반 더 바르트]]를 영입한 2005-06시즌 시즌에는 21승 5무 8패를 기록하며 3위를 차지하며 6년만에 UEFA 챔피언스리그에 나갔다. [[CA 오사수나]]를 플레이오프에서 꺾고 진출한 챔피언스리그 본선에서 [[아스날 FC]], [[FC 포르투]], [[CSKA 모스크바]]를 상대로 1승 5패에 그치며 최하위에 그쳤다. 리그에서는 전반기 단 1승에 그치며 강등 위기에 몰리며 후반기 시작한 지 얼마 되지 않아 토마스 돌이 경질되었고 [[휘프 스테번스]] 체제에서 후반기에 180도로 반등하며 6위로 마쳤다. 2007-08 시즌에는 4위를 기록하기도 했다. [[마르틴 욜]]이 감독이었던 2008-09 시즌에는 분데스리가-DFB 포칼-UEFA컵 트레블에 도전했으나 라이벌인 [[베르더 브레멘]]을 승부처인 4~5월에 연달아 만나는 일정에서 모두 패하여[* 4경기 1승1무2패인데 리그에서는 브레멘의 2:0 승리, 포칼 준결승에서의 1:1 무승부는 승부차기 3:1로 브레멘이 승리했고, UEFA 컵에서는 1차전 원정 함부르크의 1-0 승리 후 홈에서 열린 2차전에서 1-3 역전패로 또 브레멘이 웃었다.] 무관에 그쳤고 리그에서도 간신히 5위로 유로파리그 진출에 그쳤다. === 함부르크 [[리빌딩]]의 늪 === 이사진 내부의 갈등에도 불구하고 운영이사회장 베른트 호프만이 팀을 운영하던 21세기 초반에는 유러피언 클럽 대항전에 자주 모습을 보이던 팀이었다. 그러나 2010년대 즈음 어려움을 겪으며 컵 대회에 나가지 못하기 시작하자 결국 호프만이 물러나고 첼시에서 스카우팅 및 유스 담당 디렉터로 일하던 [[프랑크 아르네센]]이 새로이 합류했다. 그는 본인의 친정인 [[첼시 FC]]의 2군 유망주, 특히 수비 자원들을 임대 혹은 완전 영입하며 리빌딩에 나섰는데 '''태반이 거품들이라 결국 수비진이 완전히 붕괴됐다'''. 아울러 비슷한 시기 팀에 활력을 불어넣겠답시고 [[제 호베르투]]등 베테랑들을 대폭 내보낸 것이 팀이 흔들리는 기폭제가 되었다. 결국 아르네센은 2013년 물러났고[* 긍정적인 면은 축구학교의 성격인 HSV 캠퍼스 계획이 수립은 되었다는 것]팀은 2013-2014 시즌부터 승강 플레이오프에 나가게 됐다. 2014-2015 시즌까지 승강 플레이오프를 겪었고, 그 후 2015-2016 시즌 중위권에 머물고, 2016-2017 시즌엔 턱걸이 잔류에 성공했다. 이사회의 일원으로 투자하는 팬이라는 미명하에 구단 운영에 간섭을 해오던 미하엘 퀴네의 영향력이 커지고 유스 시스템을 결집하려던 HSV 캠퍼스[* [[FC 바르셀로나]]의 [[라 마시아]]와 비슷한 축구 학교] 건립이 지연되는 등 여러모로 힘들다. 결국 [[샬케 04]]의 단장을 지낸 [[옌스 토트]] 단장을 영입해 리빌딩을 시도하며 [[조나단 타]], [[얀피에테 아르프]] 등을 키워 냈지만 팀은 결국 2017-18 시즌 17위로 강등당하며 이 리빌딩 시도는 비극으로 끝나고 말았다. === 요약 === * 1부/[[분데스리가]]: 1963-2018 (55시즌) * 2부/[[2. 분데스리가]]: 2018- (6시즌) == 정규 시즌 == === [[분데스리가]] === ==== 2011-12 시즌 ==== 초반부터 고전했다. [[바이에른 뮌헨]]에게 리그 원정에서 0:5으로 대패를 당했고,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원정에서 1:3로 패했다. [[헤르타 베를린]] 홈경기에서 손흥민이 리그 첫 골을 기록했지만 2:2로 비겼고 하위권이던 FC 쾰른과의 8월 27일 안방 경기에서도 손흥민이 2호골, 역전골을 기록했지만 맥빠진 수비를 보이며 3:4로 역전패, 초반부터 리그 18위로 추락했다. 그리고 이어진 베르더 브레멘 전에서는 2:0 패배, 묀헨글라트바흐에겐 1:0 패배로 0승 1무 5패로 강등권을 벗어나지 못했다. 이에 결국은 감독인 [[미하엘 외닝]]이 경질되었다. 성적이 성적인만큼 경질은 당연해보이나, 본질적인 문제는 감독인 외닝이 아닌 단장인 [[프랑크 아르네센]]이란 지적이 있다. 이유인즉슨, 첼시 디렉터 출신인 아르네센이 분데스리가에 대해 무지할 뿐더러 팀을 첼시 유스 출신들로 가득 채워 첼시 2중대로 비판받았다. 외닝 경질 후 로돌포 카르도소 감독 대행 체제로 치러진 첫 경기에서 슈투트가르트 원정에서 2:1로 이기며 시즌 첫 승을 올렸다. 그러나 카르도소 감독대행은 지도자 자격증이 없어 2경기 만에 물러나게 되었고, 아르네센 단장이 임시 감독이 되었다. 아르네센 임시 감독 하에서 프라이부르크 원정에서 손흥민의 시즌 3호골을 포함, 2:1로 이겨 시즌 두 번째 승리를 거두었다. 마침내 새 감독으로 [[FC 바젤]]의 감독이었던 [[토르스텐 핑크]]가 발탁되었다. 토르스텐 핑크 감독이 부임한 후 남은 전반기 8경기에서 2승 6무 무패를 기록했다. 전반기는 4승 7무 6패, 13위로 마감했다. 외닝 경질 후 4승 6무 1패의 성적을 거두며 외닝 감독의 처참했던 초반 6경기와 비교하면 발전한 모습을 보여줬다. 그러나 후반기 첫 경기 [[보루시아 도르트문트]]와의 홈경기에서 레반도프스키와 브와시치코프스키에게 2골씩을 허용하며 1:5 대패를 당했다. 8경기 무패 행진도 마침표를 찍었다. 그나마 종료 4분 전 게레로가 만회골을 넣으며 영패는 겨우 면했다. 2012년 2월 5일 바이에른 뮌헨과 경기에서 [[손흥민]]이 결정적인 찬스를 놓치면서 1:1 무승부를 거뒀다. 그리고 27라운드까지 6승 9무 12패로 16위 강등권에 여전히 머물렀다. 그나마 13위와 승점 차가 1점뿐이라 강등권 탈출 희망이 있었다. 결국 마지막 라운드를 남겨두고 15위로 아슬아슬하게 잔류를 확정지었다. 하지만 2001-02 시즌 11위 이후로 10년만에 리그 10위 바깥으로 내려간 부진을 보였다. 이번 시즌에 [[파올로 게레로]]와 믈라덴 페트리치 등 주력 공격수가 팀에서 나갈것이 거의 확실화되면서 손흥민의 다음시즌 선발 출장가능성이 더욱 높아졌다. 국내팬들은 이 시즌을 계기로 함부르크에 대해 알게 된 경우가 많으므로 막장, 허접팀으로 생각하고 있지만 사실 구단에서는 리빌딩 기간으로 생각하고 있고, [[제 호베르투]] 등 베테랑들을 심하게 내보낸 여파도 컸다. ==== 2012-13 시즌 ==== 희소식으로 [[라파엘 판데르파르트]]가 이적해 오면서 공격 전개가 좋지 않었던 함부르크의 한줄기 희망이 될 것이라는 기대감을 줬다. 기대 속에 시작된 시즌이었지만 함부르크는 초반부터 뭉개졌다. DFB 포칼에선 64강에서 3부리그 [[카를스루에 SC]]에게 2:4로 패하면서 일찍 탈락해버렸다. 곧이어 열린 시즌 첫 경기 뉘른베르크와의 안방경기에서 0:1 패배를 시작으로 베르더 브레멘 원정, 프랑크푸르트 원정에서 연속으로 지면서 3연패로 강등권으로 추락해버렸다. 그러다가 마침내 4차전 [[보루시아 도르트문트]]와의 안방경기를 3:2로 이기면서 시즌 첫 승을 기록했다. 전 시즌 우승팀을 상대로 거둔 승리라는 점과 같이 손흥민이 2골을 기록하며 3골로 팀내 득점 1위로 올라섰기에 한국 축구팬에겐 인상적인 경기가 되었다. 그리고 이 승리로 15위로 강등권을 벗어났다. 그 뒤 묀헨글라트바흐 원정에서 2:2, 하노버 96을 안방에서 1:0, 그로이터 퓌르트 원정에서 손흥민 골로 1:0으로 이기면서 7차전을 치룬 현재 리그 8위까지 급속도로 순위가 올랐다. 스튜트가르트에 홈에서 0:1로 패하였으나, 아우크스부르크 원정을 0:2로 승리하며 중상위권을 유지했다. 그 뒤로, 경기마다 1~2골차 승리를 찔끔찔끔 쌓아가더니 2013년 2월 9일(한국시간) [[아르툠스 루드네우스]]와 [[손흥민]] 투톱의 활약으로 [[보루시아 도르트문트]]를 원정에서 4:1로 잡는 이변을 선보였다. 이날 상대팀 공격수였던 [[로베르트 레반도프스키]]의 부진이 매우 큰 역할을 했다. 당시 분데스리가의 상황은 그야말로 [[전국시대]]적인 모습을 보였는데, 함부르크는 승점 30점으로 리그 5위를 달리는 중이었지만, 한 경기 덜 치룬 15위 [[포르투나 뒤셀도르프]]와의 승점차가 7점에 불과했다. 사실상 이번 시즌 [[분데스리가]]가 압도적 1위 [[바이에른 뮌헨]]과 강등권 팀들 만이 순위가 확정적이라고 할 수 있고, 2위 경쟁에는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바이어 04 레버쿠젠]],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 한 단계씩 순위 1점차로 치열했다. 4위권 아래는 5위와 15위의 차이가 7점에 불과했다. 하지만 27라운드 [[바이에른 뮌헨]] 원정에서 2:9라는 치욕스러운 대패를 당하고 말았다. 함부르크가 7골차 패배를 당한 것은 구단 역사상 처음 있는 일이었다. 최종순위는 7위를 기록하여 유로파리그 진출권이 걸린 6위와 3점차로 아쉽게 무산되었다. 게다가 득점 랭킹 1위인 [[손흥민]]과 [[아르툠스 루드네우스]](둘 다 12골이지만 출전경기가 1경기 적은 손흥민이 1위였다.)가 떠난다는 분석이 지배적이었고 결국 2013년 6월 13일 손흥민은 레버쿠젠으로 이적했다. 그나마 루드네우스가 남았지만 13-14 시즌 부상으로 골을 1골도 터뜨리지 못했다. ==== 2013-14 시즌 ==== 손흥민이 떠나면서 한국에선 무관심이 되어버린 가운데 13-14시즌은 아주 부진했다. 12라운드까지 3승 3무 6패로 리그 14위까지 추락했다. 더불어 12라운드 레버쿠젠 원정에선 손흥민에게 [[해트 트릭]]을 당하면서 3:5로 패했다. 이후 연이은 부진 속에 24라운드까지 5승 5무 14패를 기록하여 17위 강등권으로 더 추락했다. 당시 팀의 상황은 공격과 수비의 불균형이었다. 공격수 라소가를 필두로 한 칼하노글루, 반 더 바르트, 바이스터 등이 자리잡은 공격진은 매우 훌륭했다. 라소가는 11골을 기록했고, 신성 칼하노글루는 7골 3도움으로 많은 팀의 관심을 받았다. 그러나 수비진은 정반대의 상황이었다. 아들러-[[마르셀 얀센|얀센]]-[[하이코 베스터만|베스터만]]을 제외하면 구멍이었고 그마저도 얀센은 공격적인 특성과 베스터만은 느리다는 단점을 안고 있었다. 주루, 라이코비치, [[데니스 디크마이어|디크마이어]], 맨시엔 등은 잉여 전력 수준이었고, 결국 백업인 지 긴 람과 17살 타가 경기를 뛰는 상황까지 왔다. 타-라소가-칼하노글루 유망주 라인은 좋지만, 하루빨리 믿음직한 수비수의 영입이 필요한 상황이었다. 32라운드까지 7승 6무 19패로 16위를 기록하면서 강등권 PO에 안착했다. 17위와 승점 차가 1점,18위와 2점차라 남은 2경기 여부에 따라 강등당할 수도 있었고 15위와 5점차라서 아무래도 16위로서 잔류 & 강등 플레이오프를 치룰 가능성이 높았다. 결국 33차전 바이에른 뮌헨과의 안방경기에서 1-4로 대패했고 15위 슈투트가르트랑 5점차로 승점이 벌려지면서 마지막 34차전을 이겨도 16위에 그치게 되었다. 하지만 마지막 34차전도 밝지 않는데 리그 7위를 확정지은 마인츠 05 원정경기였기 때문이다. 올 시즌 안방경기에서는 마인츠에게 2-3으로 패했었다. 하지만 골득실에서 앞서 있기 때문에 뉘른베르크와 브라운슈바이크가 함부르크보다 높이 위치하려면 함부르크가 승을 거두지 못하면서 자신들은 무조건 승리가 필요한 상황이라 상황이 그리 비관적이지는 않았다. 특히 함부르크, 뉘른베르크, 브라운슈바이크의 34라운드 경기는 모두 원정이라는 점에서 더욱 그렇다. 34라운드 최종전 결과 16위를 차지한 함부르크는 분데스리가 2에서 3위를 거둔 [[SpVgg 그로이터 퓌르트]]와 승강 플레이오프를 치르게 되었다. 그리고 경기 결과 2경기 모두 비겼으나 홈에서 0-0, 원정에서 1-1로 비긴 덕분에 원정다득점 우위로 겨우 1부 리그 잔류에 성공했다. ==== 2014-15 시즌 ==== 지난 시즌 임대영입했던 [[요한 주루]], [[피에르-미셀 라소가]]를 각각 350만 유로, 800만 유로를 주고 완전 영입하였다. 이어서 [[발론 베라미]]와 오스트르졸렛을 영입했고, 8월 5일 450만 유로를 주고 [[니콜라이 뮐러]]를 영입하였다. [[마티아스 오스트르졸렉]]의 영입도 완료했다. 임대를 간 카차르도 모두 팀에 복귀했다. 그리고 [[하칸 칼하노글루]]를 레버쿠젠에 1400만 유로로 팔았고, 임대복귀한 스켈브레드는 헤르타 베를린으로 이적했다. 감독 역시 지난 시즌 잔류를 이끌었던 [[미르코 슬롬카]] 감독이지만, 초반에 승격팀들을 상대로 좋지 않은 모습을 보여 경질되었고 그 후임으로 2군 팀의 감독으로 무패를 기록하던 [[요제프 진바우어]]가 선임되었다. 도르트문트 원정에서 승리하고 뮌헨과의 홈경기는 비겼으며 홈에서 레버쿠젠을 난투극에 가까운 거친 플레이로 잡아내는 성과가 있었다. 일단 전반기는 14위를 기록하며 강등권에서 벗어난 상태로 마쳤다. 리그 후반기 첫 경기인 쾰른과의 홈 경기는 2:0으로 패했다. 19라운드, 파더보른 원정 경기에서 3:0으로 승리하며 전반기에 파더보른에게 당했던 패배를 설욕했다. 경기 시작 8초 만에 [[마르셀 얀센]]이 페널티킥을 얻어내며 [[분데스리가]] 사상 최단 시간 내 페널티킥을 얻어내는 기록을 세웠다. 20라운드, 하노버와의 홈 경기에서 2:1로 승리하면서 시즌 첫 2연승에 성공했다. 21라운드, 올리치와 루드네브스를 투톱으로 기용하고 새로 발굴한 측면 수비수인 아스톤 괴츠와 마르코스를 기용하여 바이에른 뮌헨과 맞섰다. 결과는 측면과 중앙이 모두 붕괴하며 8:0으로 대패하며 '''클럽 역사상 최다 점수 차 패배 기록'''을 갱신했다. 뮌헨의 괴체와 로벤은 신예들이 감당할 수준의 날개 공격수들이 아니었고[* 그 예로 로벤의 크로스가 마르코스의 손을 맞으면서 첫 골을 페널티킥으로 헌납했다.] 집중력이 측면에 쏠린 사이 중앙도 무너지는 모습이었으며 올리치와 루드네브스는 제공권에서 완전히 밀리면서 뮌헨 원정에서의 참사를 이어갔다. 22라운드 묀헨글라트바흐와의 홈 경기에서는 선제골을 넣었음에도 불구하고 마지막 추가 시간을 버티지 못하고 한 골을 내주면서 무승부를 기록했다. 어느 정도 대패의 충격에서 벗어나는데는 성공했지만 묀헨글라트바흐의 공세가 두드러졌던 전반 극초반을 제외하고는 경기 내내 함부르크가 압도했기에 함부르크 입장에서 너무도 아쉬운 경기였다. 이후 프랑크푸르트에게 2:1로 패했고, 도르트문트에게 거친 경기 끝에 0:0로 무승부를 기록하며 24라운드 기준 15위에 위치했다. 주전급 선수들의 줄부상이 꽤나 뼈아픈 상황이었다. 25라운드, 호펜하임 원정에서 3:0으로 패했다. 애매한 판정으로 골키퍼 드로브니가 퇴장 당하면서[* 각도에 따라 오히려 드로브니가 밟힌 것으로 보였다.]페널티킥으로 선제골을 내준 후에 수적 열세를 극복하지 못했다. 조직력 문제를 드러낸 경기였다. 26라운드 베를린과의 홈 경기도 패하며 바이에른전 참패 이후 6경기 연속 무승을 기록했다. 강등권 팀들과의 승점 차이도 크지 않고 남은 경기도 8경기에 불과해 위험한 상황이었고, 결국 이 경기 이후 요세프 친바우어 감독을 경질했다. 팀 단장인 [[피터 크나벨]]이 감독 대행으로 나섰다. 27라운드 레버쿠젠에게 4:0 대패를 당한 이후 [[토마스 투헬]] 감독을 영입하려던 시도를 완전히 접고 [[브루노 라바디아]] 감독을 발빠르게 선임하여 강등 전쟁을 준비했다. 볼프스부르크에 0:2, 베르더 브레멘과의 노르트 더비에서 1:0 통한의 패배를 당했지만 30라운드 아우크스부르크와의 홈경기에서 라소가의 원맨쇼로 3:2 승리를 기록하면서 라바디아 감독 선임 후 첫 승을 기록했다. 30라운드까지 28점으로 16위를 기록중이었는데 18위 꼴지랑 승점 차가 겨우 1점차에 불과해 지난 시즌에 이어 또 다시 강등 걱정을 하게 됐다. 그나마 14위랑 2점차라서 남은 4경기 여부에 따라 잔류도 가능한 상황이었다. 첫 강등을 당할지 아니면 2회 연속으로 아슬아슬하게 잔류할지 관심사였다. 31라운드 마인츠 원정에서 2-1로 승리하며 연승을 이어나갔고, 다음 경기인 프라이부르크와의 홈경기에서 1-1로 비기며 무패 행진을 이어가면서 강등권 탈출에 성공하여 승점 32점으로 14위를 기록했다. 33라운드인 17위 [[VfB 슈투트가르트|슈투트가르트]]와의 원정 경기결과에 따라 잔류여부가 결정되는 상황이었지만 1:2로 패배해 순위가 뒤바꿔지며 순식간에 강등권인 17위로 미끄러졌다. 마지막 상대는 5위 자리를 두고 경쟁하던 [[샬케 04|샬케]]였다. 샬케는 자신을 2점차로 추격중인 아우크스부르크를 저지하고 유로파리그 본선을 가기 위해 이 경기에서 반드시 승리해야 했고, 함부르크 역시 강등을 피하기 위해 이 경기에서 반드시 승리해야 했기 때문에 서로가 간절했던 상황이었다. 설상가상으로 함부르크는 샬케를 이기더라도 다른 팀들의 경기 결과를 따져봐야 했다. 우선 최하위 파더보른이 슈투트가르트를 이기거나 비겨야 하고, 프라이부르크와 하노버가 무승부를 거둬선 안됐다. 그래야만 함부르크의 잔류가 가능했다. 마지막 경기를 홈에서 치루게 된 함부르크는 샬케를 2:0으로 이겼고 동시에 경기가 끝난 하노버가 프라이부르크를 2:1로 이겨 함부르크 대신 프라이부르크를 강등시키면서 일단은 한숨 돌렸다. 하지만 슈투트가르트가 파더보른에게 1:2로 이기는 바람에 함부르크는 2시즌 연속으로 승강 플레이오프를 치루게 됐다. 승강 플레이오프의 상대는 [[2. 분데스리가]]에서 3위를 기록한 [[카를스루에 SC]]로 결정되었다. 1차전은 5월 28일에, 2차전은 6월 1일에 열렸다. 함부르크의 홈에서 열린 1차전은 1:1 무승부로 끝났다. 4분만에 선제골을 내주며 끌려갔지만, 후반 28분 이보 일리세비치의 동점골이 터지면서 무승부. 하지만 홈경기에서 무승부에 그쳤고, 골대 강타를 두 번이나 허용하는 등 불안한 전력을 드러내며 2차전 원정에 대한 부담감을 안게 됐다. 운명의 2차전, 함부르크는 경기 종료 12분을 앞둔 시점에서 또다시 선제골을 내주고 말았다. 그러나 팀에 들어온 이후 부상으로 단 한 경기도 출전하지 못 했던 마르셀로 디아즈가 후반 인저리 타임에 극적인 프리킥으로 자신의 데뷔골이자 팀의 귀중한 동점골을 터뜨렸다. 앞서 상대의 결정적인 슈팅을 온 몸으로 막아낸 바 있는 디아즈의 활약 덕분에 승부를 연장전으로 끌고 갈 수 있었다. 두 팀은 연장전에서 전쟁을 방불케 하는 혈투를 펼쳤고 승리의 여신은 함부르크의 편을 들어주었다. 연장 후반 10분에 함부르크 공격수 [[니콜라이 뮐러]]가 역전골이 터뜨리며 리드를 잡게 됐다. 5분만 버티면 잔류를 확정지을 수 있었다. 이제 2골을 넣어야 승격을 할 수 있게 된 카를스루에는 다급해지며 막판 파상공세를 펼쳤는데 그 덕분인지 [[요한 주루]]의 핸드볼 파울을 유도해 내며 페널티킥 기회를 얻었다. 하지만 [[레네 아들러]]의 선방에 막혀버렸고, 경기는 함부르크의 2:1 역전승으로 마무리 됐다. 챔스 결승을 방불케하는 명승부 끝에 극적으로 잔류를 확정한 함부르크는 분데스리가 출범 이후 한 번도 강등되지 않은 팀이라는 명예를 계속 유지하게 되었다. 이번 시즌은 저번 시즌과는 정반대로 수비력은 준수해졌지만 공격력이 심히 약해졌다. [[마르셀 얀센]]의 기량 하락과 피에르-미헬 라소가의 부진, 아르티욤스 루드네브스의 여전한 부진, [[라파엘 반 더 바르트]]의 기량 하락 등이 맞물려 [[니콜라이 뮐러]] 정도를 제외하면 빈공을 보여줬다. 반면 수비에선 노장 [[야로슬라프 드로브니]]가 각성하여 지난 시즌에 비해 안정된 수비력을 선보였다. ==== 2015-16 시즌 ==== 다소 어수선한 분위기였던 저번 시즌과는 달리 이번 시즌만큼은 강등권 싸움을 피하고자 피터 크네벨을 단장으로 선임하고 함부르크의 잔류를 이끈 브루노 라바디아 감독을 앞세워 팀을 재개편했다. 팀에서의 입지에 비해 기대 이하였고, 고연봉을 수령하던 [[라파엘 반 더 바르트]]가 결국 팀을 떠났고, 시즌이 진행될수록 폼이 떨어지고 주루와 불화설까지 생긴 [[발론 베라미]], 재계약을 거부하던 고연봉자 [[마르셀 얀센]]이 팀을 떠났다.[* 얀센은 이후 비교적 젊은 나이에 은퇴를 결정했다.] 한 때 주장직을 수행하던 [[하이코 베스터만]]도 반 더 바르트를 따라 함부르크를 떠나 [[레알 베티스]]에 합류했다. 주전급이 아닌 선수들은 자유 계약으로 처리했다. 잦은 부상에 시달리던 막시밀리안 바이스터는 결국 [[1.FSV 마인츠 05]]로 이적하게 된다. 전 시즌 2군에서 활약하던 기데온 융이 1군으로 승격했고 동시에 스웨덴 국가대표 미드필더 [[알빈 에크달]]을 [[칼리아리]]에서,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 수비수 [[사카이 고토쿠]]를 [[VfB 슈투트가르트]]에서, 그리고 [[TSG 1899 호펜하임]]의 [[스벤 시플로크]], [[미하엘 그레고리치]] 등의 신예들을 영입함으로써 이번 시즌은 결코 굴욕적인 모습을 보이지 않겠다는 의지를 간접적으로 표명했다. 그러나 수비 유망주 [[조나단 타]]를 [[바이어 04 레버쿠젠]]에게 빼앗긴 점은 상당히 위험하다. 한국의 올림픽 국가대표 레프트백인 [[서영재]]를 영입했다. 2군에서 시작하며 아마추어 최고 대우라고 한다. 하지만 이런 야심찬 개편에도 불구하고 시즌을 안 좋게 시작했다. [[DFB-포칼]] 1라운드에서 4부 리그[* 독일에서는 3부 리그까지가 프로 리그이고 그 아래로는 아마추어 리그이다.] 소속의 [[FC 카를 차이스 예나]]에게 연장전까지 이어지는 졸전 끝에 2-3으로 치욕적인 패배를 당하며 탈락했다. 그리고 이에 더하여 분데스리가 개막전, [[바이에른 뮌헨]]과의 경기에서 5-0으로 패배했다. 바이에른 뮌헨을 상대로 패배하지 않을 수 있는 팀은 사실상 [[분데스리가]]에는 몇 없는 것이 현실이었지만 시즌 개막전에 저런 큰 점수차로 패배한 것과 2연패라는 사실이 이번 시즌도 지난 시즌과 마찬가지로 힘든 여정이 될 것이란 사실을 암시했다. 2라운드 [[VfB 슈투트가르트]] 전에서는 3:2로 시즌 첫 승을 거두면서 순위를 꼴찌인 18위에서 10위로 끌어올렸다. 3라운드 [[1.FC 쾰른]] 전에서는 [[루이스 홀트비|홀트비]]가 선제골을 넣었지만 동점골을 내주고 [[에미르 스파히치]]가 퇴장 당하며 통한의 페널티킥 역전골을 먹으면서 2:1로 패했다. [[레네 아들러]]가 부상으로 중간에 교체됐으며 그의 자리는 [[야로슬라프 드로브니]]가 메웠다. 아직 이적 시장이 닫히지 않은 상황에서 분노의 영입으로 [[아론 헌트]]를 [[VfL 볼프스부르크]]에서 영입했다. 팀에 제일 필요한 제대로 된 공격형 미드필더가 드디어 영입되면서 전력에 한층 보탬이 됐다. 4라운드 [[보루시아 묀헨글라트바흐]] 원정에서 안정적인 수비와 라소가의 상대 백 패스를 가로채는 선취골과 특유의 내리찍는 헤더 골), 골키퍼 드로브니의 롱 패스로 상대 골키퍼 얀 좀머의 키를 넘긴 공을 밀어넣은 [[니콜라이 뮐러]]의 쐐기골로 3:00 승리를 거뒀다. 이로써 최근 2년 간의 부진한 출발에서 벗어났다. 반면 지난 시즌 강력했던 [[VfL 보루시아 묀헨글라트바흐]]는 챔스 일정이 시작되기 전 컵 대회 포함 5연패의 나락에 빠졌다. 5라운드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와의 홈 경기에서는 0:0으로 비겼다. 한편 1군에서 경질된 이후 2군 감독으로 복귀하여 서영재 선수를 영입했던 요세프 친바우어 감독이 FC St. Gallen 감독으로 이적했다. 2군 감독으로 복귀시켰던 함부르크가 차기 감독으로 지도력을 확인하려 했던 것으로 보이나 어찌된 내막인지는 아직 불명이다. 6라운드에서 [[FC 잉골슈타트 04|잉골슈타트]]를 그레고리치의 골로 꺾으며 6위를 기록, 다시 상위권 순위로 도약했다. 7라운드 홈에서 [[샬케 04]]와의 경기에서 후반 60분 샬케의 [[레로이 자네]]의 골로 0:1로 패하며 다시 중위권인 10위로 내려갔다. [[야로슬라프 드로브니]]의 불안한 골킥이 결승골의 원인이 되었다. [[아론 헌트]]의 적응과 [[루이스 홀트비]]의 측면 존재감 또한 문제점으로 드러난 경기였다. 8라운드 원정 [[헤르타 베를린]] 전에서는 3:0으로 지며 2연패를 당했고 11위로 떨어졌다. 9라운드 [[바이어 레버쿠젠]]과의 홈 경기에서 0:0으로 비기면서 12위로 마크 되었다. 10라운드 [[호펜하임]]원정전에서 전반적으로 우세한 모습과 안정된 수비로 1:0 승리하며 10위로 도약했다. 투톱의 가능성을 본 경기였다. 11라운드 [[하노버 96]]과의 홈경기에서 미하엘 그레고리치의 선제골로 경기를 주도했지만 후반전에 잠시 밀릴 때 pk골과 결승골을 내주며 1:2로 역전패를 당했다. 홈 팬들의 야유가 터졌던 경기였다. 12라운드 [[SV 다름슈타트 98]] 원정에서 1:1로 비겼다. 13라운드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홈에서 3:1로 이기면서 함부르크에게는 강팀을 상대로 승리의 기쁨을, 도르트문트에게 치욕을 하사했다. 비록 A매치 기간 이후여서 주축 선수들의 컨디션이 완전하지는 못했지만 전체적으로 종반을 제외하고 도르트문트 특유의 간결한 패스와 압박이 나오지 않았다. 이번 시즌 함부르크의 가장 완벽했던 홈 경기로, 국내 중계진은 함부르크가 도르트문트처럼 한 경기로 평가했다. [[루이스 홀트비]]의 부활이 보인 경기였고, [[사카이 고토쿠]]도 안정적인 수비로 측면의 구멍을 잘 막았다. 경기 막판에 상대의 파상 공세를 여러 번 막아낸 아들러의 선방도 빠질 수 없었다. 14라운드 [[베르더 브레멘]]과의 [[노르트 더비]] 원정에서 3:1로 이기면서 라이벌 팀을 상대로한 승리와 2연승이라는 두 마리의 토끼를 잡았다. 상위권인 7위로 도약한 것과 브레멘 원정 8회 연속 무승 기록을 깬 건 덤이었다. 15라운드 [[마인츠 05]] 홈에서 1:3으로 지면서 9위로 내려앉았다. 16라운드 [[VfL 볼프스부르크]] 원정 경기에서 1:1로 무승부를 기록했다. [[맨체스터 유나이티드]]와의 챔피언스리그 경기에서 힘겹게 승리를 거둬 다소 지친 상태였던 볼프스부르크를 맞아 승점을 따내는데 성공했다. 17라운드 [[FC 아우크스부르크]]와의 홈 경기에서 0:1로 졌다. 이로써 전반기는 10위로 마무리했다. 전반기 평은 경기력의 많은 부분에서 개선이 이루어졌다. 미드필더들의 연계가 살아났고 이로 인해 공격력도 올라갔다. 하지만 최전방 공격수들의 무게감이 떨어졌고 중앙 수비수들이 가끔 대형 사고를 친다는 흠이 있었다. 강팀에게 강하지만 약팀을 확실하게 잡지 못한다. 결과적으로 모든 팀을 상대로 좋은 모습을 보이면서도 결과를 그다지 챙기지는 못하기에 중위권에 안착하는 결과를 낳았다. 겨울 휴식기 동안 라바디아 체제 하에서 중용을 받지 못 했던 마르셀로 디아즈가 [[셀타 비고]]로 이적했고, 졸탄 슈티버가 [[1.FC 뉘른베르크]]로 임대 이적했다. 18라운드 후반기 개막전에서 [[바이에른 뮌헨]]에게 2:1로 패했지만 괜찮은 경기력을 보여주었다. 하지만 19라운드 [[VfB 슈투트가르트]] 원정에서 헌트의 뼈 아픈 자책골로 2:1로 패하며 3연패를 기록, 11위로 떨어졌다. 게다가 하위에 위치한 팀들이 바짝 추격하고 있는 상황에서 3연패를 기록했기에 안심할 수 없는 상황이 되었다. 20라운드 [[1.FC 쾰른]]과의 홈 경기에서 1:1로 비겼다. 3경기 연속 무승을 기록하면서 순위가 2계단 하락했다. 분위기의 반전이 절실하다. 그리고 마침내 21라운드, 리그 상위권인 [[VfL 보루시아 묀헨글라트바흐]]와의 접전 끝에 3:2로 승리하며 후반기 첫 승을 신고했다. 초반 드르미치의 일단 때리고 본 슈팅이 굴절되고 클레베르의 거둬내기 방향이 잘못되어 파워 역습으로 선제골을 내주었으나 곧 경기를 주도하더니 기어코 승리를 따왔다. 22라운드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와의 원정전에서 0:0으로 비겼다. 글라드바흐전에서 체력을 소모한 탓인지, 부진에 빠져있던 프랑크푸르트를 꺾지 못하며 아쉬움을 남겼다. 23라운드 홈에서 [[FC 잉골슈타트 04]]를 맞아 1:1로 비겼다. 묀헨글라트바흐에서 임대 이적한 드르미치의 데뷔골이자 선제골로 앞서 나갔지만 버텨내지 못 하고 후반전 들어 실점하면서 2경기 연속 무를 캤다. 24라운드 [[샬케 04]]와의 원정전에서는 3:2로 패했다. 전반 4분만의 니콜라이 뮐러의 선제골로 뒷심 부족으로 3골을 얻어맞고 역전을 당하고 말았다. 후반기 들어서는 잡을 수 있는 경기도 여럿 놓치는 바람에 단 1승밖에 챙기지 못했다. 25라운드 [[헤르타 BSC]]와의 홈 경기에서 홀로 두 골을 넣은 [[니콜라이 뮐러]]의 대활약에 힘입어 2:0으로 승리를 거뒀다. 26라운드 [[레버쿠젠]] 원정전을 앞두고 [[데니스 디크마이어]]가 득녀했다는 훈훈한 소식이 들려왔다. 하지만 경기는 엑달의 자책골로 인해 1:0으로 패했고 순위로 12위로 내려갔다. 27라운드 [[호펜하임]]에게 3:1로 패했다. 점수는 완패지만 경기기록이나 전반적인 경기력은 압도하고도 졌다. 그레고리치의 수비가담 능력이 딜레마로 작용하여 사카이 고토쿠 혼자서 막다시피한 상황에서 두 골을 내주었다. 28라운드 [[하노버 96]] 원정 경기에서 3:0으로 승리하면서 10위로 올라섰다. 하노버가 상당한 공세를 밀어붙혀 보았지만 첫 실점 이후 급격히 무너지기 시작했고 이 점을 적절히 노려 승리를 거두었다. 29라운드 [[SV 다름슈타트 98]]과의 홈 경기에서 2:1로 패했다. 연달아 이어지는 두 경기가 도르트문트 원정에 이어 브레멘과의 더비가 예정되어 있는 곤란한 상황이라 패배의 손해가 적지 않았다. 30라운드 [[도르트문트]] 원정에서 3:0으로 패했다. 이로써 도르트문트가 전반기 때의 대패를 앙갚음했다. [[크리스티안 퓰리시치]]의 분데스리가 역대 4번째 최연소 득점(외국 국적 선수로서는 최연소 기록)기록의 희생양이 된 것은 덤이었다. 또한 [[알빈 엑달]]이 부상으로 쓰러졌고, [[피에르-미셀 라소가]]도 부상이 의심되어 전반에 나왔고 교체된 스벤 쉽록은 일대일 찬스를 결정장애로 날렸다. [[레네 아들러]]의 퇴장에 [[니콜라이 뮐러]]도 부상이 의심되어 나오는 등 수많은 악재가 겹친 상황이었다. 31라운드 대망의 노르트 더비에서 [[베르더 브레멘]]을 홈에서 맞아들여 2:1로 승리하며 11위로 올라섰다. 후반기 들어서는 그 동안 벤치 신세를 면치 못 했던 라소가가 2골을 몰아치며 오랜만에 활약했다. 이날 골키퍼로 나선 드로브니도 주루의 수비 실수로 인한 [[클라우디오 피사로]]의 페널티킥을 막아내며 지난 라운드 때 퇴장으로 출장하지 못 한 아들러의 공백을 잘 메워줬다. 32라운드 마인츠와의 원정전에서 0:0으로 무승부를 기록했다. 매우 근소한 승점 차이로 추격해오는 하위 강등권 팀들의 추격을 제대로 뿌리치지 못 해 안심하긴 이른 상황이어서 다음 라운드 결과에 따라 자력 잔류의 여부가 확실해지게 됐다. 33라운드 볼프스부르크와의 홈경기에서 0:1로 패해 12위로 순위가 떨어졌으나 최종전 결과에 상관없이 승점 38점을 확보하여 하노버, 슈투트가르트는 확실히 따돌렸고, 아래 있는 팀들 중 하필이면 브레멘과 프랑크푸르트가 맞대결을 벌이게 되면서 두 팀 모두가 38점에 도달할 순 없게 되었기 때문에 최소 15위를 확보하여 이번 시즌도 잔류에 성공하게 되었다. 34라운드 아우크스부르크와의 원정경기에서 선제골을 내 주었으나, 그레고리츠의 멀티골과 니콜라이 뮐러의 골로 3:1로 역전승을 거두면서 유종의 미를 거두게 되었다. 최종 순위는 10위를 기록했다. 한편, 비가 내리는 가운데 아우크스부르크의 마닝거 골키퍼와 플로리안 마이어 주심의 마지막 경기[* 1996년부터 DFB 소속으로 심판을 맡아왔으며, 06/07 시즌 챔피언스리그 결승전 주심을 본 경력도 있다. DFB의 심판 연령 규정에 따라 은퇴하게 되는 것이라고 한다.] 라는 감동도 있었던, 훌륭한 시즌 마지막 경기를 치렀다. ==== 2016-17 시즌 ==== 시즌을 앞두고 바르셀로나의 유망주 [[알렌 할릴로비치]]를 4.25m[* 바이백 포함]에 영입했다. 또 [[필립 코스티치]]를 슈투트가르트에서 11.9m으로 구단 최고 이적료를 갱신하며 영입했으며, 같은팀의 유망주인 아리아니트 페라티도 0.7m에 영입했다. 유니온 베를린의 공격수 [[바비 우드]]를 2.98m에 영입했으며 프랑크푸르트의 공격수인 발트슈미트를 1.11m, [[다름슈타트]]의 골키퍼 [[크리스티안 마테니아]]를 0.68m에 영입했다. 데미르바이는 1.45m에 호펜하임으로 떠났고 일리세비치, 카차르, 루드네우스 등이 계약연장을 하지 않음으로 무적신분이 되었다. [[야로슬라프 드로브니]]는 함부르크 최대의 라이벌 베르더 브레멘으로 이적하며 팬들을 당황시켰다. [[이비차 올리치]]는 [[1860 뮌헨]]으로 이적했다. [[DFB-포칼]] FSV 츠비카우와의 1라운드에서 [[알렌 할릴로비치]]의 골이 결승골이 되어 1-0으로 승리하여 2라운드에 진출했다. 리그 1라운드에서는 잉골슈타트를 맞아 전반 30분 우드의 골로 앞서고 있었으나 70분의 실점 이후 추가 득점에 실패하면서 1:1로 비겼다. 2라운드부터 레버쿠젠에 1:3, 라이프치히에게 0:4, 프라이부르크에게 0:1, 뮌헨에게 0:1로 연패를 당하며 1무 4패라는 굴욕적인 성적으로 17위를 기록하게된 함부르크는 결국 9월 25일 [[브루노 라바디아]] 감독을 경질했다. 그리고 그 후임으로 [[마르쿠스 기스돌]] 감독을 임명했다. 감독 교체에도 6라운드 헤르타 베를린에게 0:2로 패배하며 최하위로 떨어졌고, 7라운드 보루시아 묀헨글라트바흐와의 경기에선 상대가 페널티킥 2개를 실축하는 행운으로 0:0으로 비기면서 17위로 올라갔다. 글라트바흐는 홈 10연승이 깨졌다. 8라운드 프랑크푸르트전에서도 0:3으로 패하며 2무 6패를 기록, 다시 최하위로 떨어졌다. [[DFB-포칼]] 2라운드에서는 3.리가에 소속되어 있는 할레 셔 FC를 맞아 4:0으로 대승하며 16강에 진출했다. 16강 상대는 [[1.FC 쾰른]]이었다. 7라운드부터 3경기 연속으로 선수가 1명씩 퇴장 당하며 경기를 말리게 만들었다. 기스돌 감독 부임 이후 좀 대등한 공격 전개가 가능했다는 현지 팬들의 평가가 함부르크 SNS에 있었으나 수비진이 알아서 경기장을 나가며 무너졌다. 그나마 묀헨글라트바흐전은 0:0 행운의 무승부를 기록헀지만 그 다음을 이은 프랑크푸르트와 쾰른과의 경기에서 연속으로 0:3 대패를 기록했다. 이호 인해 2무 7패 2득점 18실점을 찍으며 3경기 연속으로 최하위에 머물렀다. 10라운드 도르트문트와의 경기는 오바메양에게 무려 4골이나 허용하고, 뎀벨레의 골과 합해 2:5로 3경기 연속 3점차 대패를 기록했다. 그나마 니콜라이 뮐러가 2골을 넣으며 영봉패는 면했다. 항상 홈에서 도르트문트만 만나면 이겼던 함부르크가 홈에서 오랜만에 패했다. 3연속 3점차 대패로 인해 2무 8패로 여전히 최하위에 머물게 됐는데, 자칫하면 클럽 역사상 최초의 강등을 경험하는 시즌이 될 지도 모르는 상황에서 기스돌 감독은 11라운드를 앞두고 분위기 쇄신 차원에서 풀백 사카이 고토쿠를 신임 주장으로 임명했다. 그리고 11라운드 호펜하임과의 원정경기에서 2:2로 무승부를 거두며 연패는 탈출하여 그나마 나은 모습을 보여주었다. 거기에 오랜만에 선제골까지 넣었다. 하지만 17위인 잉골슈타트도 1승을 거두었으나 함부르크는 여전히 무승 상태였다. 12라운드, 대망의 노르트 더비에서 2:2로 또 다시 무를 캐며 4무 8패로 여전히 무승에 최하위에 머물러 있다. 그래도 11라운드를 기점으로 경기력이 서서히 나아졌으며, 기스돌 감독 부임이후 공격전개가 괜찮아 졌다는걸 증명하듯이 3경기 연속 2골씩을 넣어주기도 했고, [[사카이 고토쿠]]가 주장으로 선임된후 수비형 미드필더로 나오는데 좋은 수비가담을 보여주면서 불안한 수비진을 어찌어찌 끌고 다니기는 했다. 오른쪽에는 어차피 [[데니스 디크마이어]]가 있기도 하고. 공격에는 부진하는 [[아론 헌트]]와 [[피에르-미셀 라소가]]대신에 [[미하일 그레고리치]]가 톱으로, [[마티아스 오스트르졸렉]]이 미들로 나왔다. 하지만 아직 [[요한 주루]]와 기데온 융의 수비조합은 아쉬움이 많았다. 13라운드 다름슈타트와의 원정경기에서 2:0 승리로 13경기만에 리그 첫 승을 했다. 그리고 승점 7점이 되어 승점 6점인 잉골슈타트를 넘고 17위가 되었다. 14라운드 아우크스부르크와의 홈경기에서 전반 막판에 루이스 홀트비의 퇴장으로 수적 열세에 처했으나 후반 20분경 상대팀 코어가 퇴장당하고, 얼마 안 가 필립 코스티치가 넣은 골을 끝까지 잘 지켜내며 2연승에 성공했다. 이 경기로 같은 시각 프라이부르크에게 진 다름슈타트를 넘어 16위로 순위가 상승, 자동 강등권에서는 일단 탈출했다. 15라운드 마인츠와의 원정경기에서 바비 우드가 선취골을 넣었으나 이후 라차에게 해트트릭을 얻어 맞으며 1:3으로 패배하며 다시 17위로 미끄러졌다. 16라운드 살케와의 홈경기에서 2:1로 승리하며 전반기는 16위로 마무리했다. 겨울 이적시장에서 쾰른 수비의 중핵이자 전반기 분데스리가 최고의 센터백 중 하나로 평가받던 메르짐 마브라이를 영입했고 라이프치히에서 벤치로 밀린 [[키리아코스 파파도풀로스]]를 임대해오면서 수비진을 보강했다. 또한 클레베르를 산토스로 이적시켰다. 알렌 할릴로비치는 라스팔마스로 임대이적했다. 후반기를 시작하는 17라운드 볼프스부르크와의 원정경기에서는 0:1로 패했다. 순위는 그대로 16위를 유지했다. 18라운드 잉골슈타트와의 원정경기에서 1:3으로 패하며 순위가 다시 17위로 미끄러졌다. 하지만 19라운드 레버쿠젠을 홈에서 1:0으로 이기며 16위로 다시 올라갔다. 임대로 온 파파도풀로스가 헤더로 결승골을 넣으며 친정팀에 비수를 꽂아버렸다. DFB-포칼 16강에서 기데온 융과 바비 우드의 골로 쾰른을 2:0으로 이기며 8강에 올랐다. 8강 상대는 [[보루시아 묀헨글라트바흐]]였다. 1라운드에서 4부리그 팀에게 덜미를 잡히며 탈락했던 전 시즌과 비교하면 엄청난 발전이었다. 20라운드 RB라이프치히 원정. 대부분의 사람들이 라이프치히의 승리를 예상했다. 그러나 파파도풀로스와 신입생 발라스가 머리로 두 골을 전반에 몰아쳤고, 아론 훈트가 종료직전 3번째 골을 터뜨리며 승리를 확인사살하며 3:0으로 대승을 거두는 이변을 보였다. 니콜라이 뮐러는 도움 헤트트릭을 기록하였다. 이로써 전반기의 굴욕을 갚았다. 때마침 바이언이 잉골슈타트의 늪축구를 종료 직전 두 골로 태워버리며 합작하여, 바이언은 1위 굳히기를, 함부르크는 브레멘을 깔고 15위로 강등권 탈출을 이루었다. 21라운드 프라이부르크전에서 2:2로 비겼다. 순위가 변동되진 않았으나 16위 브레멘과 승점차이가 1점, 17위 잉골슈타트와 승점이 단 2점밖에 차이가 안나서 함부르크 입장에선 굉장히 어려워졌다. 다음 경기를 이겨야 좋은 상황었지만 하필 상대가 바이에른 뮌헨이었다. 그나마 안첼로티 감독 이후 득점력이 줄었다는 게 위안이었다. 하지만 2월 25일 뮌헨 원정에서 결국 뮌헨에게 0-8로 대패를 당했다. 2-9로 패했던 12-13 시즌과 똑같이 0-8로 패했던 14-15 시즌 때처럼 또 다시 뮌헨에게 대패를 당하는 흑역사가 생겨버렸다. DFB-포칼 8강전에서 묀헨글라트바흐에게 1-2로 패배하며 탈락했다. 2골을 먹히고 막판에 바비 우드의 만회골이 터졌다. 바이언 원정에서의 치욕적인 대패에도 불구하고 23라운드 헤르타 베를린전에서 1:0으로 승리하면서 일단 한숨 돌렸다. 포칼에서 부상당한 마브라이의 빈자리를 알빈 에크달이 땜빵했는데 코너킥에서 결승골을 넣었다. 수비로 울던 전반기와 달리 후반기 멱살은 중앙 수비로 나온 선수들이 잘 이끌었으며 결국 무실점으로 경기를 마쳤다. 그동안 부진에 빠져있었던 아론 훈트도 도움을 기록하며 폼을 어느정도 되찾았다. 보루시아 묀헨글라트바흐와 24라운드 경기에서는 크리스텐센에게 선제골을 먹혔으나 코스티치와 우드의 골로 2:1로 역전승했다. 25라운드 프랑크푸르트전에서 수비적인 경기로 0:0으로 비겼다. 3경기에서 2승 1무라는 좋은 성적을 거두었지만 그동안 까먹은 승점이 많아서 순위는 16위를 유지했다. 26라운드 쾰른을 홀트비의 극장골로 2:1로 이겼고, 순위가 14위까지 상승하면서 마침내 강등권을 탈출했다. 27라운드 도르트문트와의 경기에서 총체적 난국 수준의 공수를 보여주며 3:0으로 패했다. 그나마 순위는 그대로 유지했다. 28라운드 호펜하임과의 홈 경기에서 훈트의 2골을 넣는 활약에 힘입어 2:1로 승리했고, 순위를 13위로 한 층 끌어올렸다. 북독일 라이벌전으로 치뤄진 29라운드 브레멘 원정 경기에서 그레고리치의 선제골에도 불구하고 막스 크루제와 플로리안 카인츠에 연속골을 내주며 1:2로 역전패했다. 홈에서와 달리 원정에서는 고전을 면치 못했다. 30라운드 다름슈타트와의 홈 경기에서 1:2로 패배하며 2연패를 기록해 15위로 떨어졌다. 31라운드 상대가 함부르크와 마찬가지로 강등권 탈출이 절실한 아우크스부르크로, 이 경기에서 패할 경우 강등 플레이오프 순위인 16위로 밀려나게 된다. 결국 아우크스부르크 원정을 떠나 4:0으로 대패하여 3연패를 기록하여 끝내 16위로 밀려나며 발등에 불이 떨어졌다. 이어진 32라운드 역시 15위 마인츠와의 승점 6점짜리 경기였는데 0-0으로 비기며 16위를 벗어나지 못했다. 마인츠와 함부르크는 동승점이지만 득실차 격차가 18골이나 나고 있어서 반드시 승리가 필요했던 경기였다. 잔여일정은 샬케 원정 - 볼프스부르크 홈경기의 두 경기가 남았다. 33라운드 샬케 원정. 상대 감독이 지난 라운드를 직관하며 벼르고 있었고 메르짐 마브라이가 경고 누적으로 나오지 못한 경기였다. 전반 25분 부르그스탈러에게 실점했다. 기스돌 감독은 후반에 발트 슈미트, 미카엘 그레고리츠, 피에르 미셸 라소가를 줄줄이 몰아넣으며 승부수를 던졌다. 샬케가 공들인 역습을 수비수들이 모두 막아냈고 슈팅을 쏟아내며 기어코 라소가가 후반 추가시간 2분에 극적인 동점골을 성공시켰다. 슈팅 수에서 12개로 두배 앞섰고, 골키퍼 선방은 샬케에서만 나왔다. 이겼다면 잔류를 확정했겠으나, 아쉽게 잉골슈타트만 일단 2부 리가로 보내 놓았다. 승강 플레이오프를 두고 승점 2점 앞선 15위 볼프스부르크를 불러 [[단두대 매치]]를 가지게 됐다. 함부르크가 이기면 함부르크가 잔류하며 볼프스부르크나 아우크스부르크 중 한 팀이 플레이오프로 밀려나며, 비기거나 지면 함부르크가 2년만에 승강 플레이오프로 향하게 된다. 니콜라이 뮬러가 복귀한 만큼 홈인 폴프스파르크 슈타디온에서 마지막 칼을 갈게 되었다. [[파일:external/pbs.twimg.com/DAR74zsXkAAL4pt.jpg]] [[http://goal91.com/soccer-highlight/video-hamburger-sv-vs-wolfsburg-bundesliga-highlights_17395.html| 그리고 마지막 34라운드, 함부르크는 기적같은 역전승을 일구며 2-1로 볼프스부르크와의 경기에서 승리, 다시 한 번 잔류를 확정지었다.]] 오랜만에 낯선 위치로 내려온 볼프스부르크는 함부르크와 전쟁에 가까운 육탄전을 벌여야 했다. 볼프스부르크의 수비수 [[로빈 크노헤]]가 롱스로인 이후 우겨넣은 크로스를 밀어 넣으며 23분 리드를 가져갔으나 함부르크는 기어코 32분에 [[필립 코스티치]]의 골로 따라붙었다. 볼프스부르크 선수들은 육탄전에서 밀리면서 슈팅은 앞서지만 점유를 내어주었다. 균형이 이어지는 후반. 함부르크는 [[미하엘 그레고리치]], 신인급 오른쪽 윙포워드 야타, [[루카 발트슈미트]]를 밀어넣었다. 반면 비겨도 되는 볼프스부르크는 공격수와 미드필더를 유지하는 쪽으로 보강했는데 기어코 루카 발트슈미트가 88분 코스티치의 크로스를 극장 헤더로 밀어넣었다. 이로서 볼프스부르크가 승강 플레이오프의 나락에 떨어졌다. 최종 성적은 10승 8무 16패, 승점 38점, 14위. ==== [[함부르크 SV/2017-18 시즌|2017-18 시즌]]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hamburg-cropped_12m4nvgliukk71ncgzsgbrertm.jpg|width=100%]]}}}|| || '''{{{#0054a6 자세한 내용은 [[함부르크 SV/2017-18 시즌|{{{#d0021b 함부르크 SV/2017-18 시즌}}}]] 문서를 참조하기 바랍니다.}}}''' || * [[분데스리가]]: 17위(강등) * [[DFB-포칼]]: 1R VS [[VfL 오스나브뤼크]] === [[2. 분데스리가]] === ==== [[함부르크 SV/2018-19 시즌|2018-19 시즌]] ==== || '''{{{#0054a6 자세한 내용은 [[함부르크 SV/2018-19 시즌|{{{#d0021b 함부르크 SV/2018-19 시즌}}}]] 문서를 참조하기 바랍니다.}}}''' || * [[2. 분데스리가]]: 4위 * [[DFB-포칼]]: 4강 2부 리그에서도 고전하면서 결국 승격에 실패했다. ==== 2019-20 시즌 ==== * [[2. 분데스리가]]: 4위 * [[DFB-포칼]]: 2라운드 시즌 내내 3위 이상의 성적을 유지했으나 마지막 2경기에서 연달아 패하며 미끌어졌다. 34라운드에서 3위인 하이덴하임이 빌레펠트에게 패배해 비기기만 하더라도 3위로 확정짓고 1부 리그 16위와 승격 플레이오프를 치룰 기회를 제 발로 걷어차버려 결국엔 또 다시 1부 리그 승격에 실패했고, 시즌 종료 후 [[디터 헤킹]] 감독과 결별하였다. '''{{{+1 리그}}}''' ---- 1라운드 다름슈타트와의 경기에서 후반 시작과 동시에 선제골을 허용하고 0-1로 끌려다니다가 후반 98분에 가까스로 얻은 페널티킥을 [[아론 헌트]]가 성공시켜 1-1로 비겼다. 이후 2라운드에서는 뉘른베르크에게 4-0 대승을 거뒀다. 3라운드 보훔과의 경기에서 1-0으로 승리하며 선두로 올라섰다. 칼스루헤와 하노버를 연달아 잡으면서 1위를 계속 유지했지만 함부르크 더비에서 장크트파울리에게 패하면서 2위로 내려앉았다. 이후엔 다소 불안한 모습을 보이며 선두를 탈환했다 빼앗겼다를 반복했다. 전반기가 끝났을 때는 슈투트가르트와 승점이 같지만 골득실에서 앞선 2위에 올라 있었다. 후반기 시작 후에도 한동안 2위를 유지했지만 23라운드에서 또 다시 라이벌 장크트파울리에게 일격을 당하며 3위로 내려앉았다. 이후 계속해서 미끄러지며 1. FC 하이덴하임에게도 밀렸으나 다시 3위 자리를 탈환했다. 이후에는 2위와 3위를 오가면서 승격을 향한 불씨를 꺼뜨리지 않고 있었다. 하지만 33라운드 1. FC 하이덴하임에게 1-2로 패배하면서 승점 54점에 머물러 4위로 미끄러졌다. 첫 라운드를 제외하면 처음으로 승격권 밑으로 떨어졌다. 이 경기 패배로 최종 라운드에 승리를 따내도 2위 슈투트가르트의 승점을 넘을 수 없게 되어 다이렉트 승격은 불가능해졌고 플레이오프를 노려야 하는 상황이 되었다. 1부리가 16위가 라이벌 [[SV 베르더 브레멘]]으로 결정되어 최종전 결과에 따라 [[노르트 더비]]가 성사될 수도 있었다. 대망의 최종 라운드 SV 잔트하우젠과의 단두대 매치에서 전반전에 릭 판드롱헬런의 자책골로 시작부터 삐걱거렸고, 이후 수비가 완전히 뚫리며 전반전을 0-2로 마쳤다. 후반전에 얻어낸 페널티킥을 성공시키며 추격했으나 84분에 도리어 페널티킥을 내주었고, 3번째 실점 이후 그나마 남아 있었던 추격 의지가 완전히 꺾이며 2골을 추가로 내줘 1-5로 대패했다. 하이덴하임이 빌레펠트와의 경기에서 0-3으로 패하여 승강 플레이오프의 가능성이 높았음에도 스스로 행운을 차 버리며 4위로 밀려났고, 이번 시즌도 승격을 코앞에 두고 막판에 미끄러지며 놓쳤다. '''{{{+1 DFB-포칼}}}''' ---- 1라운드 [[켐니츠 FC]]전에서는 2-2로 승부를 내지 못했고, 승무차기에서 6-5로 승리하며 2라운드에 진출했다. 2라운드 [[VfB 슈투트가르트]]전에서는 1-2로 패하며 탈락했다. ==== 2020-21 시즌 ==== * [[2. 분데스리가]]: 4위 * [[DFB-포칼]]: 1라운드 지난 시즌 [[VfL 오스나브뤼크]]의 수장이었던 [[다니엘 튠]]이 감독으로 임명되었다. '''{{{+1 리그}}}''' ---- 2. 분데스리가 개막전에서 [[포르투나 뒤셀도르프]]를 상대로 [[지몬 테로데]]의 멀티골로 2-1로 승리했다. 2라운드에서 파더보른과의 경기에서 전반전에 먼저 2-0으로 앞서나갔으나 34분부터 38분까지 4분만에 3실점하며 2-3으로 끌려갔다. 후반전 56분 테로테의 동점골이 터지고, 82분 훈트의 페널티킥으로 재역전에 성공, 4-3 리드를 지켜내며 끝내 승리했다. [[FC 바이에른 뮌헨]]에서 [[스벤 울라이히]]를 영입했다. 주급은 바이언에서 부담했다. 리가 3라운드 [[그로이터 퓌르트]]와의 경기에서는 굉장히 거친 경기가 지속되다가 나레이의 선제골로 1-0으로 앞서나갔다. 그러나 거친 경기는 계속되며 결국 [[토니 라이스트너]]가 퇴장당하기까지 했다. 다행히 그 뒤에 수비진과 울라이히의 활약으로 1-0 스코어를 지켜냈다. 4라운드는 [[FC 에르츠게비르게 아우에]]를 만나 3-0으로 완승했다. 이로써 리가 4연승을 기록하며 2위 홀슈타인 킬을 승점 2점차로 제치고 단독 선두가 되었다. 5라운드 [[FC 뷔르츠부르거 키커스]]와의 경기에서 3-1로 승리해 5연승을 질주했다. 그리고 2위 홀슈타인 킬과 승점차를 5점으로 벌리며 선두 굳히기에 들어갔다. 그러나 이후 5연전에서 2무 3패를 기록하며 10라운드 기준 [[홀슈타인 킬]], [[SpVgg 그로이터 퓌르트]], [[VfL 보훔]]에게 추월당해 4위까지 떨어졌다. 12라운드 [[SV 잔트하우젠]]전 [[지몬 테로데]]의 멀티골에 힘입어 4-0 대승을 거뒀다. 그리고 동시에 승격권 경쟁중이던 [[SpVgg 그로이터 퓌르트]], [[VfL 보훔]]이 모두 패하며 1위 탈환에 성공했다. 하지만 홀슈타인 킬이 승리하며 다시 2위로 내려갔다. 14라운드에서 홀슈타인 킬이 홈에서 오스나브뤼크에게 덜미를 잡히고 함부르크는 승리하면서 1위를 탈환했다. 17라운드 [[아인트라흐트 브라운슈바이크]] 원정경기에서 전반전에 2골을 허용하며 2-1로 끌려갔지만, 후반에 3골을 몰아치며 4-2 역전에 성공하며 전반기를 1위로 마쳤다. 이후 한동안 1위에 머무르다 22라운드 최하위 [[FC 뷔르츠부르거 키커스]]에게 덜미를 잡히며 [[SpVgg 그로이터 퓌르트]], [[홀슈타인 킬]], [[VfL 보훔]] 세 팀과 함께 승점 42로 동률을 이뤘다. 23라운드 [[함부르크 더비]]에서 경기 막판에 실점하며 1대0으로 패했다. 순위도 1위에서 순식간에 4위로 추락했다. 24라운드에서는 홈에서 [[홀슈타인 킬]]을 만나 [[이재성]]에게 선제골을 내줬다가 시몬 테로데의 동점골로 1대1로 비기며 그로이터 퓌르트에 골득실이 앞선 3위가 되었다. 25라운드 [[VfL 보훔]]과의 중요한 원정경기를 치뤘다. [[아마두 오나나]]가 산뜻한 선제골을 기록했고, 보훔의 [[대니 블룸]]의 퇴장이 겹치며 수월하게 경기를 풀어갔다. 결국 경기 막판 칼레드 나라이의 쐐기골까지 나오며 2:0으로 깔끔하게 승리했다. 순위는 1위 보훔에 이은 2위까지 상승하여 다시금 승격에 대한 희망을 가질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또다시 5경기 연속 승리를 거두지 못하며(3무 2패) 다시 3위로 밀려났다. 결국 5월 3일 다니엘 튠 감독이 경질되었고 남은 일정은 육성단장인 [[호르스트 흐루베슈]]가 임시 감독으로 이끌었다. 승점을 쌓지 못한 사이 홀슈타인 킬에게 밀려 31라운드에서 4위로 내려앉았다. 게다가 킬은 시즌 도중 연기된 경기가 많아 함부르크보다 경기를 덜 치렀음에도 승점이 높았다. 33라운드 [[VfL 오스나브뤼크]]와의 원정 경기에서 2대3으로 패하며 5위로 추락, 3위 그로이터 퓌르트와의 승점차가 6점으로 벌어지며 최종전 경기 결과와 관계없이 승격에 실패하였다. 34라운드 [[아인트라흐트 브라운슈바이크]]와의 경기에서는 4-0으로 완승하며 유종의 미는 거두고 시즌을 마치게 되었다. 최종 순위는 4위. 3시즌 연속 4위를 기록하며 승격에 실패하는 기록을 세웠다. [[SV 베르더 브레멘]]이 최종 라운드 [[보루시아 묀헨글라트바흐]]전 패배로 강등이 확정되면서, 다음 시즌에는 2. 분데스리가에서 [[노르트 더비]]가 열리게 되었다. 거기에 [[FC 샬케 04]] 또한 2부 리그로 강등되면서, 다음 시즌 승격 경쟁이 더욱 어려워지게 되었다. 이 세 팀의 팬들은 불과 몇 시즌 전까지만 해도 1부에서 아무리 못해도 중위권 경쟁을 하던 팀들이 이제는 2부에서 승격을 놓고 경쟁하는 신세가 됐다며 한탄해 했다. '''{{{+1 DFB-포칼}}}''' ---- [[DFB-포칼]] 1라운드에서 지난시즌 [[3. 리가]]로 강등된 [[SG 디나모 드레스덴]]을 만나 1대4로 대패했다. 경기가 끝나고 [[토니 라이스트너]]와 드레스덴 팬간의 충돌이 있기도 했다.[[https://www.youtube.com/watch?v=ilgmXa9dCew|#]] ==== [[함부르크 SV/2021-22 시즌|2021-22 시즌]] ==== || '''{{{#0054a6 자세한 내용은 [[함부르크 SV/2021-22 시즌|{{{#d0021b 함부르크 SV/2021-22 시즌}}}]] 문서를 참조하기 바랍니다.}}}''' || * [[2. 분데스리가]]: 3위 * [[DFB-포칼]]: 4강 2부리가에서 역대 가장 좋은 성적인 3위로 마무리하며 1부리가 16위 헤르타 베를린과 승강 플레이오프를 치르게 되었고, 1차전 원정에서 1-0으로 승리하며 승격이 눈앞에 보이는 듯 했으나 홈에서 열린 2차전에서 0-2로 패배하며 1부리가 복귀에 실패했다. ==== [[함부르크 SV/2022-23 시즌|2022-23 시즌]] ==== || '''{{{#0054a6 자세한 내용은 [[함부르크 SV/2022-23 시즌|{{{#d0021b 함부르크 SV/2022-23 시즌}}}]] 문서를 참조하기 바랍니다.}}}''' || * [[2. 분데스리가]]: 3위 * [[DFB-포칼]]: 2라운드 [[하이덴하임|1. FC 하이덴하임]]과 마지막 라운드까지 승격 경쟁을 벌이며 5시즌 만의 첫 다이렉트 승격을 노렸으나 하이덴하임의 후반 추가시간 극적인 동점골과 역전골로 3위에 그쳐 슈투트가르트와 승강 플레이오프를 치르게 되었으나 1차전에서 0-3, 2차전에서 1-3으로 패하여 다음 시즌도 2부에서 보내게 됐다. ==== 2023-24 시즌 ==== 리그 초반기부터 승격 경쟁에 뛰어들고 있다. 하지만 최하위 [[VfL 오스나브뤼크]]에게 발목을 잡히며 휘청거렸고, 같이 승격경쟁중이던 [[홀슈타인 킬]]에 한번더 발목을 잡혔다. 15라운드 현재 1위를 달리고 있는 [[FC 장크트파울리]]전 [[다니엘 호이어 페르난드스]] 골키퍼의 환상적인 자책골이 더해지며 2대0으로 끌려갔으나 2점을 따라붙으며 2대2 무승부를 지켜냈다. 하지만 그사이 홀슈타인 킬에게 2위자리를 내주며 3위가 되었다. 16라운드 [[SC 파더보른 07]]에게 패배하며 킬과의 승점차는 4점까지 벌어졌다. == 응원가 == === HSV Forever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fVAFtgWbk54)]}}} || || '''{{{#ffffff 함부르크 SV 공식 응원가 HSV Forever}}}'''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e-HzSqrykK4)]}}} || || '''{{{#ffffff 폴크스파르크슈타디온에서의 응원}}}''' || || [[파일:함부르크 SV 로고.svg|width=50]][br],,'''{{{#0054a6 HSV Forever}}}''',, || 주로 선수단이 입장할 때와 후반전이 시작하기 전에 경기장에 울려 퍼진다. == 여담 == * 함부르크 SV 로고는 파란색을 주된 색깔로 하며 검은색과 흰색을 보조 색깔로 하는데, 팀 유니폼 상의는 전통적으로 흰색 바탕에 빨간색 깃/소매/파이핑이며 하의는 전통적으로 빨간색이다. '''팀 상징 색깔과 유니폼 색깔의 불일치'''를 보이는 드문 축구단인데[* 다른 사례 중 하나로는 같은 나라의 [[하노버 96]]이 있다. 팀 상징색은 녹색인데 홈 유니폼 색깔은 적색이다.], 이는 함부르크 SV의 역사에서 그 이유를 찾을 수 있다. 함부르크 SV는 1차대전 이후 SC 게르마니아, 함부르크 FC, FC 팔케 1906의 세 클럽이 합쳐져서 만들어진 클럽이다. 그런데, 새 클럽의 상징색을 두고 기존 세 클럽들의 의견이 갈렸다. 결국, 세 클럽 중 가장 성공적이며 가장 오래되었고 가장 규모가 큰 클럽인 '''SC 게르마니아의 상징색인 파란색과 검은색에 새롭게 흰색을 더해 구단 로고의 색깔로 채택'''하고, 한 클럽의 색깔에 너무 과중한 무게를 싣지 않으며 함부르크의 대규모 축구 클럽으로서의 새 클럽 출범의 의미를 담아내기 위해 '''[[함부르크]] 시의 상징색인 빨간색과 흰색을 유니폼에 채택하며, 로고 색깔은 양말에 채택'''하기로 하는 합의가 도출되어 지금까지 이어져 오고 있다. 파란색과 빨간색 중 구단의 상징색은 태초부터 파란색인데, 구장의 좌석 색깔과 울트라스의 배너와 깃발에도 주로 채택되는 색이기도 하다. 이에, 함부르크 SV는 '''흰색과 빨간색을 입는{{{-2 (입을 뿐인)}}} 파란색 구단'''으로 정체화하고 있다. [[https://www.bigsoccer.com/threads/hamburger-sv-question.45519/|출처]][* 이런 함부르크 SV의 색채 정체성은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과 상반된다. 로고는 푸른색 위주이며 홈 유니폼이 붉은색 위주인 것은 함부르크 SV와 한국 대표팀이 동일하지만, 함부르크 SV의 상징색은 분명히 푸른색이고 한국 대표팀의 상징색은 분명히 붉은색이다. ] * 이름에 [[햄버거]](Hamburger)가 들어가 있는데, 실제로 햄버거와 [[동원어]]이다. 본디는 '함부르크의', '함부르크 사람'이라는 의미이다. * 1979년 내한하여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과 친선전을 가지기도 했다. [[http://newslibrary.naver.com/search/searchByKeyword.nhn#%7B%22mode%22%3A1%2C%22sort%22%3A0%2C%22trans%22%3A1%2C%22pageSize%22%3A10%2C%22keyword%22%3A%22%ED%95%A8%EB%B6%80%EB%A5%B4%ED%81%AC%20sv%22%2C%22status%22%3A%22success%22%2C%22startIndex%22%3A1%2C%22page%22%3A1%2C%22startDate%22%3A%221979-01-01%22%2C%22endDate%22%3A%221979-12-31%22%7D|총 3차전을 가졌다.]] 1994-1999년에는 [[현대]]가 메인 스폰서이기도 했다. 2012년에는 피스컵에 출전하여 성남을 꺾고 우승하기도 하였다. * 여러모로 대한민국과의 인연이 많은 클럽이다. [[손흥민]]이 함부르크 유스 출신이며 [[서영재]]가 2군 선수로 소속되어 있었다. [[황희찬]]이 임대로 와서 뛰었었고 [[최민수(축구선수)|최민수]][* 독일계 한국인 선수이다. 국가대표는 한국을 선택했다.]가 유소년 팀에서 뛰었다. * 전설적인 축구 만화, [[캡틴 츠바사]]의 주역 골키퍼인 [[와카바야시 겐조]]가 이 팀의 주니어 클럽에서부터 프로까지 데뷔하며 소속되어 있다. 참고로 본 작품에서 와카바야시의 독일 내 라이벌로 묘사되는 칼 하인츠 슈나이더는 독일의 절대 강자들이 속해 있는 [[FC 바이에른 뮌헨]] 소속이다. * 남북 더비의 라이벌인 바이에른 뮌헨에게는 만날 때마다 무참하게 당하고 있는 실정이다. 2009년 9월 26일 홈에서 1:0으로 이긴 것을 마지막[* 3년간은 상대 전적이 바이에른 뮌헨보다 우세하였다.]으로 현재까지 한 번도 승리하지 못 하고있다. 2017-18 시즌이 종료될때까지 리그, 포칼에서 바이에른 뮌헨과 20경기를 치뤘고 함부르크는 뮌헨에게 무려 '''2무 18패'''를 당하며 '''7득점 70실점'''이라는 충격적인 스코어를 기록하고 있다. 나름 분데스리가 생존왕이라는 소릴듣지만 뮌헨이 만나면 복날에 개 잡듯이 잡아대서 처량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반면 뮌헨의 유일한 대항마 소리를 들었던 도르트문트에게는 나름 강했다. 2012-13 시즌 더블을 기록하기도 했고, 2013-14 시즌 1승 1패, 2014-15 시즌 1승 1무, 2015-16 시즌 1승 1패로 호각세 이상을 보여주기도 했다. * 국내 팬덤은 [[http://www.bundesmania.com/|분데스매니아에서 활동하는 일부]]와 [[http://m.cafe.daum.net/hsv.kr|다음에 개설된 팬카페가 있다.]] * [[비정상회담]]에 [[독일]] 대표로 나왔었던 [[니클라스 클라분데]]가 이 팀의 팬이며, 고향 또한 [[함부르크]]다. * 독일 선수권 대회 3회 우승을 포함하여, 1963년 시작된 분데스리가까지 모두 6회 우승함으로써 [[FC 샬케 04]]의 뒤를 이은 네 번째 최다 우승 팀이다.[* 그러나 샬케는 분데스리가 출범 이전의 대회에서만 7번 우승하였고 분데스리가 출범 이후 우승 기록이 없다. 그래서 엠블럼 위에 별을 달지 못하고 있다.] * 한국에서는 여기서 성장한 유망주인 [[손흥민]] 덕분으로 인지도가 넓어졌지만, 손흥민 이적 이후에는 그냥 가끔 가다 부진한 활약으로 축구 주요 뉴스에 이름이 오르는 정도의 유명세를 갖고 있다. * 이전에는 이란의 [[바히드 하셰미안]]이 이 팀에서 여러 시즌 활약한 적이 있으며, 2011년 함부르크의 전·현 선수들과 "[[지네딘 지단|지단]]·[[호나우두]]의 친구들"과 경기에서 함부르크 소속으로 나오기도 했다. 하세미안보다 더 이전의 아시아 선수라면 2000년대 초반 부동의 오른쪽 윙어였던 이란의 [[메흐디 마다비키아]]가 있다. 그 밖에 [[제 호베르투]]가 말년에 [[FC 바이에른 뮌헨]]에서 이 팀으로 옮겨 분데스리가 외국인 선수 최다 출장 기록을 경신하기도 했다. === 2017-18 시즌 강등 이후 === 2017-18 시즌 강등되어 이제 [[분데스리가]]에는 개근 팀이 없다. 유럽 주요 5대 상위리그인 [[프리미어 리그]], [[라리가]], [[분데스리가]], [[세리에 A]], [[리그 1]][* 프랑스 리그 앙의 경우 리그 1 시절부터 이어진 개근 팀은 없다. [[파리 생제르맹 FC]]이 개근 팀이라 볼 수 있는지가 애매한데, 기존의 파리 FC가 [[파리 FC]]와 [[파리 생제르맹 FC]]으로 나뉘었고, 파리 FC가 강등된 시즌에 파리 생제르맹 FC가 1부 리그로 승격하였다. 별개의 팀으로 갈라선 데다가 하부리그 경험은 동일하다.] 중 개근 팀이 존재하는 리그는 [[라리가]][* [[레알 마드리드 CF]], [[FC 바르셀로나]], [[아틀레틱 클루브]]], [[세리에 A]][* [[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인데 [[파리 생제르맹 FC]]이 [[파리 FC]]에서 분리되었던 것처럼 [[AC 밀란]]에서 분리된 팀이다. 그리고 이탈리아 최상위 리그 기준이라 보기 어려운, 정비된 시기의 [[세리에 A]] 기록이다. 세리에 A는 1898년에 시작되었으나 아마추어 리그였고, 1921년 리그 개혁을 두고 두 개의 리그로 분열되기도 했다. 1920년대까지 지역리그 우승팀들이 겨루는 토너먼트였고, 오늘날의 전국단위 리그로 재편된 것은 1929-30 시즌부터다.] 뿐이며, [[프리미어 리그]]는 이전 영국 최상위 리그인 리그 1과의 관련성이 있으니 소위 빅클럽들은 프리미어 리그로 개편하고 부터만 따지면 개근 팀에는 해당하지만, 영국 최상위 프로 축구 리그의 개근 팀이라고는 할 수 없다. 이를 볼 때, 2017-18 시즌까지 이어온 개근 기록이 얼마나 큰 가치였는지 알 수 있다. [[에버튼 FC]]와 같이 여전히 최상위 리그에 가장 많이 출석한 팀 타이틀은 아직 가능성이 있으나, 단독 타이틀은 되지 못한다. 함부르크가 강등된 2017-18 시즌 기준으로 1.분데스리가 최다 시즌 출전팀이 55시즌의 함부르크, 2위가 54시즌의 [[SV 베르더 브레멘]]였는데 강등 이후 지금까지 승격을 하고 있지 못한 상태라 이에 따라 베르더 브레멘과 바이에른 뮌헨에게도 밀림은 물론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VfB 슈투트가르트]], [[보루시아 묀헨글라트바흐]]에 마저 역전된 상황이다. 2018-19 시즌에 함부르크가 승격에 성공하더라도 베르더 브레멘이 강등당하지 않는 이상 [[SV 베르더 브레멘]]과 최다 시즌 타이틀 동률이 되는데, 이 시즌에 브레멘은 잔류는 일찌감치 확정지었고 최종전까지 유로파리그 진출 경쟁을 하면서 8위로 마무리한 반면, 함부르크는 시즌 후반기의 극심한 부진으로 4위에 그치며 1부 리그 복귀에 실패했다.[* 최다 시즌 3위가 53시즌의 [[FC 바이에른 뮌헨]]이다. 분데스리가 1부 리그 원년 멤버에 들지 못했고, 분데스리가 3년차에 1부 리그로 승격한 후 현재까지 매 시즌을 1부 리그에서 보냈다.] 2019-20 시즌 기준 남은 타이틀은 [[SV 베르더 브레멘]]과 [[FC 바이에른 뮌헨]]보다 분데스리가에 한 시즌 더 많이 참가한 경력뿐이었지만, 이번 시즌에도 승격에 실패하면서 분데스리가 최다 참가 경력마저 라이벌 [[SV 베르더 브레멘]]에게 넘겨주게 되었다. 2019-20 시즌에도 승격에 실패한다면 [[바이에른 뮌헨]]에게마저 분데스리가 참가 경력이 밀려버리게 되는데, [[2. 분데스리가]] 강등 이후 매 시즌마다 2~3위에서 왔다갔다 하다가 막판에 미끄러지면서 승격에 실패하여 [[FC 바이에른 뮌헨]]에게마저 분데스리가 참가 경력이 밀리게 되었다. 이후 2020-21시즌, 2021-22시즌에서도 1.분데스리가로 승격이 좌절되면서 참가 시즌 경력에서 [[보루시아 도르트문트]]와 [[VfB 슈투트가르트]]에 역전당했고, 2022-23시즌에서도 승격이 좌절되어 [[보루시아 묀헨글라트바흐]]에도 참가 경력이 밀리게 되었다. 분데스리가 참가 횟수는 2023-24 시즌 기준으로 [[SV 베르더 브레멘]][* 2020-21시즌 17위로 2부리가로 강등당하였으나, 2021-22시즌 2.분데스리가에서 2위를 기록하면서 1시즌만에 1부리가로 복귀하였다.]과 [[FC 바이에른 뮌헨]]이 59시즌, [[보루시아 도르트문트]]와 [[VfB 슈투트가르트]]가 57시즌, [[보루시아 묀헨글라트바흐]]가 56시즌, [[함부르크 SV]] 와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가 55시즌이며, 54시즌의 [[FC 샬케 04]][* 2022-23시즌 17위로 2부리가로 다시 강등당하면서 함부르크의 시즌 참가 기록에 도달하지 못했다.]가 그 뒤를 잇고 있다. 강등 이후 홈 구장의 시계는 창단 이후의 시간을 표시하는 시계로 바뀌었다. 그러나 [[VfL 보훔]], [[1. FC 하이덴하임]], [[SSV 울름 1846]] 등 앞에서는 그저 빛이 바랠 뿐이었다. 결국 2019년에 시계가 철거되고 말았다. [[https://www.sportbuzzer.de/artikel/hsv-uhr-abgebaut-hamburger-sv-volksparkstadion-koordinaten-nordkurve-2-liga/|#]] == 팀 위상 == 잘 알려져 있지는 않지만 외부에서의 위상보다 독일 내에서의 위상이 많이 높은 팀이다. 독일 내에서의 위상은 [[FC 바이에른 뮌헨]]에 버금가며, [[SV 베르더 브레멘]]과 함께 북독일의 자존심으로 손꼽히는 팀이다.[* 그렇기 때문에 HSV는 바이에른과의 라이벌 의식도 강하지만 베르더에 대한 라이벌 의식도 정말 장난이 아니다.] 1919년 이래로 줄곧 1부 리그에서만 활동해왔으며 '''2017-18 시즌 종료 전까지는 분데스리가에 참가한 적이 있는 모든 클럽들 중에서 전 시즌 개근 기록을 가지고 있었던 유일한 클럽'''으로 [[FC 바이에른 뮌헨]]조차도 원년 참여를 못하고 리그 출범 2년 뒤에 합류한 걸 감안하면 상당한 기록이다. 2022-23 시즌은 분데스리가 출범 이후 60번째 시즌인데 분데스리가에는 모든 시즌에 참가한 팀이 없다. 바이에른 뮌헨 조차 같은 뮌헨을 연고로 한 지역 라이벌인 TSV 1860 뮌헨이 오베르리가 우승을 거둠에 따라 (독일 축구협회의 결정으로 같은 연고지의 2팀을 1부 리그에 넣는 것을 거부함) 다다음 시즌에서야 참가를 할 수 있었고, 분데스리가 출범 원년 멤버들 모두 강등 당한 역사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리그 내에서의 성적도 좋은 편으로, 1부 리그를 유지했던 2017-18시즌 기준으로 역대 분데스리가 승점 3위를 기록하고 있었다.[* 2017-18시즌 기준으로 2위가 베르더 브레멘(2771점), 3위가 함부르크(2733점), 4위가 도르트문트(2730점)였다가, 함부르크의 강등과 브레멘의 부진으로 도르트문트가 2위로 올라섰다. 2021-22시즌 종료 시점을 기준으로 누적 승점 3위가 베르더 브레멘(2886점), 4위가 함부르크(2733점), 5위는 [[VfB 슈투트가르트]](2732점), 6위는 [[보루시아 묀헨글라트바흐]](2716점)인데, 2022-23시즌 9라운드 기준으로 슈투트가르트가 함부르크를 역전했고, 묀헨글라트바흐 역시 13라운드를 기준으로 함부르크의 누적 승점을 넘어섬에 따라 역대 누점 승점 6위로 뒤쳐지게 되었다. 다만 누적승점 7위 샬케04(22-23시즌 종료 2563점)와 8위 프랑크푸르트(22-23시즌 종료 2488점)와의 격차는 제법 있으므로 당분간 누적승점 변동은 없을 듯 하다. 분데스리가 누적승점에 대한 자료는 [[https://www.fussballdaten.de/bundesliga/ewige-tabelle/]] 참고.] 이 기록에 대해 강한 자부심을 느끼는지 구장과 홈페이지에 분데스리가에 머무른 시간을 표시하는 시계가 걸려 있었다. 그러나 2018년 5월 결국 강등이 확정되며 시계는 구단 창단(1887년 9월 29일)부터 날짜를 세는 시계로 곧바로 바뀌었는데, 함부르크보다 역사에서 앞서는 [[VfL 보훔]](1848년 7월 26일 창단),[[TSV 1860 뮌헨]](팀 명칭처럼 1860년 5월 17일 창단)등도 있다보니 함부르크가 독일에서 역사가 가장 긴 클럽이 아니기 때문에 이 역시도 상당히 자존심 상하는 일이라 할 수 있다. 결국 18-19 시즌 종료와 함께 함부르크 측에서는 시계를 철거하였다. 독일 제 2의 도시인 [[함부르크]]가 연고지이기에 열정적인 지지와 성원을 받는다. 그 성원을 바탕으로 2000년대 들어서 한 때 [[다니엘 반부이텐|다니엘 판바위턴]], [[라파엘 판데르파르트]] 등을 앞세워서 중위권 팀에서 탈피하여 [[UEFA 챔피언스 리그]]에도 진출하는 기염을 토했으며, 특히 이 당시 다수의 [[네덜란드 축구 국가대표팀|네덜란드]] 선수들이 중용되어 네덜란드 커넥션을 이루었다. 하지만 2000년대 중반 이후 좋지 않은 성적을 거두면서 판데르파르트는 [[레알 마드리드 CF]]로, 판바위턴은 [[FC 바이에른 뮌헨]]으로 이적하게 되었고, 그 후로 다시 중위권 정도로 전락하여 [[UEFA 유로파 리그]]나 간간히 나가는 팀이 되었다. 한국 야구의 [[롯데 자이언츠]]와 일본 야구의 [[한신 타이거즈]]와 비슷한 느낌이 있다. 성원에 비해 성적이 잘 안 나오는 것과, 자국 제 2의 도시가 본거지인 것 등이 있다. == 라이벌 == 함부르크 울트라즈들은 극성으로 유명해서 독일에서 가장 많은 안티를 만드는 팀이기도 하다. 함부르크가 2017-18 시즌 최종전에 강등이 확정되자, 전통적으로 라이벌이었던 브레멘 팬은 물론, [[헤르타 BSC]] 팬들까지도 경기장에서 엄청나게 환호하는 모습이 나왔다. * [[SV 베르더 브레멘]]: '''[[노르트 더비]]'''. 독일 북부의 패권을 놓고 오랫동안 자웅을 겨뤄왔던 클럽으로 '''분데스리가 역대 최다 매치업'''이라는 기록도 가지고 있으며, 리그 내에서도 손꼽히는 치열한 더비이다. * [[FC 장크트파울리]]: '''[[함부르크 더비]]'''. 같은 [[함부르크]]를 연고지로 하고있다. * [[FC 바이에른 뮌헨]]: 독일 북부를 대표했던 함부르크와 남부를 대표하는 바이에른 뮌헨 사이 지역감정으로 인해 생겨난 라이벌리이다. * [[바이어 04 레버쿠젠]]: --손흥민 더비--2010년대 들어 [[손흥민]], [[하칸 찰하노글루]], [[조나단 타]] 등의 유망주를 빼간 레버쿠젠과 사이가 나빠졌다. 양 팀 팬들 간의 분위기가 험악한 것은 물론이고, 경기 중에 선수들 간에 충돌이 발생한 적도 있다. == 엠블럼 == 아주 단순한 디자인의 엠블럼으로, 누가 디자인했는지는 알려져 있지 않다. 상선 위에서 '전원 승선'이라는 의미로 사용된 신호용 깃발 '파란 페터' (Blaue Peter)에 SC 게르마니아를 상징하는 파란색과 검정색을 활용해 디자인된 엠블럼이다. 시기에 따라 그 크기나 비율 등이 조금씩 달라지긴 했으나, 근본적인 변화가 사실상 없었다는 점에서 분데스리가에서 유일하게 엠블럼의 변화가 없었던 팀이라고 할 수 있다. == 홈 구장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폴크스파르크슈타디온)] 홈구장은 5만 7000명의 인원 수용이 가능한 규모의, 폴크스파르크슈타디온 (Volksparkstadion)이나, 2010년부터 2014년까지는 그 명칭을 임테흐 아레나 (Imtech Arena)라고 불렸다. 그리고 2015년 7월부터 다시 본래 이름인 폴크스파르크슈타디온으로 명칭이 바뀌게 되었다. == 스폰서 == [include(틀:함부르크 SV/스폰서)] == 과거 주요 선수 == * 빌리 슐츠 * [[우베 젤러]] * [[케빈 키건]] * [[펠릭스 마가트]] * 울리 슈타인 * [[만프레트 칼츠]] * [[호르스트 흐루베슈]] * 게르트 되르펠 * 디트마어 야콥스 * 하랄트 스푀를 * [[루돌프 노아크]] * [[리하르트 골츠]] * [[마르셀 얀센]] * 콜린 벤자민 * [[다비트 야롤림]] * [[톨가이 아슬란]] * [[손흥민]] * [[뤼트 판니스텔로이]] * [[라파엘 판데르파르트]] * [[이비차 올리치]] * [[뱅상 콩파니]] * [[제롬 보아텡]] * [[하칸 찰하놀루|하칸 찰한오을루]] * [[제 호베르투]] * [[후안 파블로 소린]] * [[세르게이 바르바레즈]] * [[니코 코바치]] * [[피오트르 트로호프스키]] * [[다니엘 반부이텐|다니엘 판바위턴]] * [[할리드 불라루즈]] * [[에릭 막심 추포모팅|에리크 막심 슈포모팅]] * [[나이젤 더용]] * [[요리스 마테이선]] * [[마르셀로 디아즈|마르셀로 디아스]] * [[메흐디 마다비키아]] * 로메오 카스텔렌 * 조나탕 피트로이파 * [[엘례로 엘리아]] * [[믈라덴 페트리치]] * [[데니스 아오고]] * 르네 아들러 * [[황희찬]] == 같이 보기 == [include(틀:UEFA 챔피언스 리그 우승팀 목록)] [include(틀:UEFA 컵위너스컵 우승팀 목록)] [include(틀:분데스리가 원년 멤버)] [[분류:함부르크 S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