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해군력)] [목차] == 개요 == 이 항목은 국가별 해군의 총합에 대하여 기술하는 항목이다. 전 세계 해군력은 특히 연안국 등 특수한 지리적 환경을 갖춘 경우에만 획득 가능하며, 더우기 그러한 지리적 특성조차도 주변국의 제한을 받지 않는 대양과 직접 이어진 경우에만 대규모의 강력한 해군력을 획득, 보유, 유지할 정치적 명분을 획득하게 된다. 따라서 이런 지리적, 지정학적, 정치적 입지를 고루 갖춘 국가는 전 세계 220여개 국 가운데 40여개 국에 불과하며 이들 국가들이 전 세계 해군력의 98%를 운용하고 있다. == GFP 기준 해군력 분석 == 터키인들이 중심이 되어 미국의 CIA 팩트북과 미 재무부의 그린북 자료를 가지고 정리한 GFP라는 싸이트의 자료가 하기된 내용의 출처이다. ||<-6> '''국가별 군함 단순 총합''' || || 순위 || [[국가]] || 군함 총합 (비전투함 포함) || 구축함 || 호위함 || 잠수함 || || 1위 || [[중국]] || 777|| 50|| 46|| 79|| || 2위 || [[러시아]] || 603|| 15|| 11|| 64|| || 3위 || [[북한]] || 492|| || 9|| 36|| || 4위 || [[미국]] || 490|| 92|| || 68|| || 5위 || [[콜롬비아]] || 453|| || 4|| 11|| || 6위 || [[이란]] || 398|| || 6|| 29|| || 7위 || [[이집트]] || 316|| || 9|| 8|| || 8위 || [[태국]] || 292|| || 7|| || || 9위 || [[인도]] || 285|| 10|| 13|| 17|| || 10위 || [[인도네시아]] || 282|| || 7|| 5|| || 11위 || [[이탈리아]] || 249|| 4|| 12|| 8|| || 12위 || [[핀란드]] || 246|| || || || || 13위 || [[대한민국]] || 202|| 13|| 17|| 21|| || 14위 || [[알제리]] || 201|| || 8|| 8|| || 15위 || [[멕시코]] || 189|| || 5|| || || 16위 || [[미얀마]] || 187|| || 5|| 1|| || 17위 || [[프랑스]] || 180|| 11|| 11|| 10|| || 18위 || [[볼리비아]] || 173|| || || || 19위 || [[일본]] || 155|| 37|| || 20|| || 20위 || [[터키]] || 149|| || 16|| 12|| || 21위 || [[모로코]] || 121|| || 6|| || || 22위 || [[대만]] || 117|| 4|| 22|| 4|| || 23위 || [[그리스]] || 116|| || 13|| 11|| || 24위 || [[방글라데시]] || 112|| || 7|| 2|| || 25위 || [[브라질]] || 112|| || 7|| 6|| || 26위 || [[필리핀]] || 103|| || 2|| || || 27위 || [[파키스탄]] || 100|| || 8|| 9|| || 28위 || [[영국]] || 88|| 6|| 13|| 11|| || 29위 || [[폴란드]] || 87|| || 2|| 3|| || 30위 || [[카타르]] || 86|| || || || || 31위 || [[독일]] || 80|| || 10|| 6|| || 32위 || [[스페인]] || 77|| || 11|| 2|| || 33위 || [[나이지리아]] || 75|| || 1|| || || 34위 || [[아랍에미리트]] || 75|| || || || || 35위 || [[덴마크]] || 74|| || 9|| || || 36위 || [[칠레]] || 69|| || 8|| 4|| || 37위 || [[이스라엘]] || 65|| || || 5|| || 38위 || [[베트남]] || 65|| || 9|| 6|| || 39위 || [[카메룬]] || 64|| || || || || 40위 || [[캐나다]] || 64|| || 12|| 4|| || 41위 || [[네덜란드]] || 63|| || 6|| 4|| || 42위 || [[스웨덴]] || 63|| || || 5|| || 43위 || [[노르웨이]] || 62|| || 4|| 6|| || 44위 || [[말레이시아]] || 61|| || 10|| 2|| || 45위 || [[이라크]] || 60|| || || || || 46위 || [[페루]] || 60|| || 7|| 5|| || 47위 || [[온두라스]] || 59|| || || || || 48위 || [[앙골라]] || 57|| || || || || 49위 || [[레바논]] || 57|| || || || || 50위 || [[시리아]] || 56|| || || || || [[2021년]] 현황 || == 실제 유효 전력 중심으로 비교 == 기본적으로 영문위키의 척수, 톤수, 무장 스펙 데이터를 참고하여 작성됨. === 대공 교전 능력 중심으로 비교 === ||<-5> '''대공 교전 능력 중심으로 비교''' || ||<|2> 순위 ||<|2> [[국가]] ||<|2> 준이지스 이상 수상 전투함 ||<-2> 일반 수상 전투함(동시교전능력 제한적) || || 대공 미사일 사거리 40km 이상 || 대공 미사일 사거리 20km 이상 ~ 40km 미만 || || 1위 || [[미국]] || 92|| || || || 2위 || [[중국]] || 30|| 35|| 2|| || 3위 || [[일본]] || 14|| 14|| 8|| || 4위 || [[호주]] || 11|| || || || 5위 || [[이탈리아]] || 10|| 2|| 4|| || 6위 || [[프랑스]] || 9|| 1|| || || 7위 || [[러시아]] || 7|| 1~7[* 스테레구시급 초계함 6척의 9M96 계열 미사일 탑재 여부에 따라 달라짐]|| 7|| || 8위 || [[인도]] || 7|| || 12|| || 8위 || [[영국]] || 6|| || 11|| || 9위 || [[싱가포르]] || 6|| || 8|| || 10위 || [[대한민국]] || 5|| 6|| 11|| || 11위 || [[스페인]] || 5|| 6|| || || 12위 || [[대만]] || 4|| 16|| || || 13위 || [[네덜란드]] || 4|| || 2|| || 14위 || [[노르웨이]] || 4|| || || || 16위 || [[이집트]] || 3|| 4|| 4|| || 17위 || [[독일]] || 3|| 4|| 1|| || 18위 || [[덴마크]] || 3|| 2|| || || 19위 || [[이스라엘]] || 2|| || || || 20위 || [[모로코]] || 1|| || 1|| || 21위 || [[터키]] || || 12|| 4|| || 22위 || [[캐나다]] || || 12|| || || 23위 || [[그리스]] || || 4|| 9|| || 24위 || [[이란]] || || 4|| || || 25위 || [[태국]] || || 3|| || || 26위 || [[칠레]] || || 2|| 2|| || 27위 || [[폴란드]] || || 2|| || || 28위 || [[바레인]] || || 1|| || || 29위 || [[페루]] || || || 7|| || 30위 || [[포르투갈]] || || || 5|| || 31위 || [[브라질]] || || || 5|| || 32위 || [[남아프리카공화국]] || || || 4|| || 33위 || [[아르헨티나]] || || || 4|| || 34위 || [[사우디아라비아]] || || || 3|| || 35위 || [[불가리아]] || || || 3|| || 36위 || [[뉴질랜드]] || || || 2|| || 37위 || [[알제리]] || || || 2|| || 38위 || [[벨기에]] || || || 2|| || 39위 || [[인도네시아]] || || || 2|| || 40위 || [[파키스탄]] || || || 2|| || 41위 || [[베네수엘라]] || || || 2|| || 42위 || [[나이지리아]] || || || 1|| || 43위 || [[멕시코]] || || || 1|| || [[2021년]] 현황, 순위는 단순 금은동 방식, [[원양초계함]]·[[항공모함]] 등은 제외 || === 배수량 중심으로 비교 === GFP 분류보다는 해상 상태(sea state)[* WMO(세계 기상학기구)가 제안하고 IMO(국제해사기구)가 인정하고 있는 글로벌 스탠다드이다. 해상 상태 분류, 0~9까지 10단계로 구분되어 있으며 황천과는 반대로 숫자가 올라갈수록 해상 기상이 악화된 것을 의미한다.] 6 혹은 7인, 민간 상선이 항행할 수 있는 최악의 해상 환경(파고 4~6 m/ 파고 6~9 M;유의 파고가 아닌 평균 파고)에서도 해상 무력을 현시할 수 있는 함정 규모인 5,000톤급 이상의 함정을 따로 분류하는 것이 현대 해전이 필요로 하는 전술 장비의 구비 수준과 구사할 수 있는 함정의 전술 능력을 이해하는데 더 편리한 기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5> '''수상 전투함 배수량 중심으로 비교''' || || 순위 || [[국가]] || 5,000톤 이상 수상 전투함 || 3,000톤 이상 ~ 5,000톤 미만 수상 전투함 || 1,000톤 이상 ~ 3,000톤 미만 수상 전투함 || || 1위 || [[미국]] || 92|| 23|| || || 2위 || [[중국]] || 39|| 32|| 80|| || 3위 || [[일본]] || 34|| 8|| 6|| || 4위 || [[러시아]] || 14|| 7|| 10|| || 5위 || [[인도]] || 13|| 16|| 8|| || 6위 || [[이탈리아]] || 13|| 3|| 24|| || 7위 || '''[[대한민국]]''' || 10|| 18|| 7|| || 8위 || [[프랑스]] || 10|| 6|| 12|| || 9위 || [[독일]] || 7|| 4|| 6|| || 10위 || [[영국]] || 6|| 12|| 18|| || 11위 || [[스페인]] || 5|| 6|| 15|| || 12위 || [[덴마크]] || 5|| 4|| 3|| || 13위 || [[대만]] || 4|| 22|| || || 14위 || [[네덜란드]] || 4|| 2|| 4|| || 15위 || [[노르웨이]] || 4|| || || || 16위 || [[호주]] || 3|| 8|| || || 17위 || [[이집트]] || 3|| 6|| 2|| || 18위 || [[루마니아]] || 3|| || 4|| || 19위 || [[칠레]] || 1|| 7|| || || 20위 || [[모로코]] || 1|| 2|| 4|| || 21위 || [[터키]] || || 16|| 10|| || 22위 || [[그리스]] || || 14|| || || 23위 || [[캐나다]] || || 12|| || || 24위 || [[파키스탄]] || || 7|| 2|| || 25위 || [[브라질]] || || 6|| 2|| || 26위 || [[싱가포르]] || || 6|| || || 27위 || [[알제리]] || || 5|| 3|| || 28위 || [[포르투갈]] || || 5|| 2|| || 29위 || [[아르헨티나]] || || 4|| 7|| || 30위 || [[멕시코]] || || 4|| 1|| || 31위 || [[남아프리카공화국]] || || 4|| || || 32위 || [[사우디아라비아]] || || 3|| 8|| || 33위 || [[미얀마]] || || 2|| 6|| || 34위 || [[폴란드]] || || 2|| 2|| || 35위 || [[뉴질랜드]] || || 2|| || || 36위 || [[벨기에]] || || 2|| || || 37위 || [[에콰도르]] || || 2|| || || 38위 || [[태국]] || || 1|| 8|| || 39위 || [[바레인]] || || 1|| || || 40위 || [[나이지리아]] || || 1|| || || 42위 || [[인도네시아]] || || || 17|| || 43위 || [[방글라데시]] || || || 11|| || 44위 || [[베트남]] || || || 11|| || 45위 || [[페루]] || || || 9|| || 46위 || [[이란]] || || || 9|| || 47위 || [[콜롬비아]] || || || 6|| || 48위 || [[이스라엘]] || || || 5|| || 49위 || [[말레이시아]] || || || 4|| || 50위 || [[북한]] || || || 4|| || 51위 || [[불가리아]] || || || 4|| || 52위 || [[필리핀]] || || || 3|| || 53위 || [[베네수엘라]] || || || 2|| || 54위 || [[우루과이]] || || || 1|| || 55위 || [[리비아]] || || || 1|| || 56위 || [[아제르바이잔]] || || || 1|| || 57위 || [[아랍에미리트]] || || || 1|| || [[2021년]] 현황, 순위는 단순 금은동 방식, [[원양초계함]]·[[항공모함]] 등은 제외 || == 관련 항목 == * [[군함/등급]] * [[군함/배수량별 목록]] * [[해상 병기/현대전]] [[분류:해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