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해동용궁사 금강반야바라밀경론.jpg]] [목차] == 개요 == 海東龍宮寺 金剛般若波羅密經論. [[고려]] [[고종(고려)|고종]] 30년(1243)에 처음 발간했고 [[조선]] [[세조(조선)|세조]]가 복원한 불경. 현재 [[부산광역시]] [[기장군]]의 [[해동용궁사]]에서 소장하였고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47호로 지정되었다. == 내용 == [[고려]] 후기 [[고종(고려)|고종]] 23년(1236) [[팔만대장경|해인사 대장경판]]을 만들기 위해 설치한 대장도감에서 고려대장경에 편입시키기 위해 간행한 불경이다. 책에는 계묘세고려국대장도감봉칙조조(癸卯歲高麗國大藏都監奉勅雕造) 라는 간기가 있다. 현존하는 이 책은 훗날 조선 세조가 간경도감에서 별도로 판본을 인출하여 간행한 것이다. 해동용궁사 금강반야바라밀경론과 같이 만들어진 불경으로 [[보림사 사천왕상 복장 금강반야론]]이 있다. ==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47호 == *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21,01470000,21|문화재청 홈페이지 : 해동용궁사 금강반야바라밀경론 (海東龍宮寺 金剛般若波羅密經論)]] >금강반야바라밀경론은 금강반야바라밀경에 대한 주석으로, 4세기 말경에 바수반두(Vasubandhu)가 지었고, 6세기 초에 보리유지(Bodhiruci)가 번역하였다. 모두 3권으로 된 금강반야바라밀경론은 허무한 세상의 이치를 깨달으려면 부처의 교리에 대한 믿음을 굳게 하고 자기 자신과 인간 세상에 대한 애착과 미련을 버리며, 일체의 고통을 참고 견뎌내야 한다는 것을 설법하고 있다. > >해동용궁사 금강반야바라밀경론은 상․중․하 3권 1책의 목판본으로, 광곽(匡郭)의 묵흔(墨痕), 장정법과 그에 따른 인출방법, 종이 등을 보아 조선시대의 후인본으로 추정된다. 침습의 흔적이 조금 있으나, 보존 상태는 대체로 양호한 편이다. 해동용궁사 소장 금강반야바라밀경론의 각 권말에는 ‘계묘세고려국대장도감봉칙조조(癸卯歲高麗國大藏都監奉勅雕造)’라는 간기가 있는 것으로 볼 때 고려 고종 30년(1243)에 대장도감에서 간행한 재조대장경(일명 팔만대장경)으로 인쇄한 것임을 알 수 있는데, 처음 인쇄한 초쇄본(初刷本)은 아니고 1243년에 대장도감에서 간행한 판목으로 뒤에 인쇄한 후인본(後印本)이다. > >해동용궁사 소장 금강반야바라밀경론은 보존 상태가 좋고, 초기에 인출한 권자본이나 절첩본 형태의 재조대장경판 경전들이 보물로 지정되어 있다는 점, 세계기록유산인 재조대장경판으로 인출하였다는 점, 현재까지 전해지는 동일 경전이 드물다는 점 등에서 희소성 및 서지학적 가치가 뛰어난 유물이다. [[분류:부산광역시의 유형문화재]] [[분류:고려의 불경]] [[분류:조선의 불경]] [[분류:부산광역시의 문화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