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커뮤니케이션학의 네 비조)] ||[[파일:external/communicationtheory.org/harolddwightlasswell.png]]|| ||<:>Harold Dwight Lasswell[br](1902.2.13~1978.12.18)|| [목차] == 개요 == >"[[정치]]란... 누가 누구에게 무엇을 줄 것인가에 대한 것이다." >- H.Lasswell 해럴드 라스웰은 미국의 정치학자이자 [[커뮤니케이션학]]의 네 비조 중 하나다. [[정책학]]을 개척, 연구한 것으로도 유명하다. == 생애 == 1902년 [[일리노이]] 주에서 출생, [[시카고 대학교]]를 거쳐, 런던·제네바·파리·베를린 등 유럽 각 대학에서 유학했다. 1926년 "[[제1차 세계대전]]에서 [[프로파간다#s-1]] 기술(Propaganda Technique in the World War)"(1927)이란 논문으로 [[박사#s-1]] 학위를 얻어 대학 [[교수#s-3.1.1|조교수]]가 되었다. 1932년에는 [[교수#s-3.1.1|부교수]]가 되었다. 1937년부터 국회 도서관 연구 감독관, [[국무부]] 고문 등 역할을 했다. 1946년 [[예일 대학교]] 법학과 [[교수#s-3.1.1.|정교수]]가 되었다. 1970~1976년 동안에도 여러 대학교에서 교수 생활을 했다. 1976년 은퇴 후에도 집필·연구 활동을 하다가, 1978년 12월 18일 사망했다. == 커뮤니케이션학에 끼친 영향 == 라스웰은 1948년 "사회 내 커뮤니케이션의 구조와 기능(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communication in society)"이라는 논문을 통해 커뮤니케이션학의 기틀이 되는 SMCRE 모델을 만들었다. [[커뮤니케이션]]이란 송신자(Source or Sender)가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Message)를 적절한 수단, 곧 채널(Channel)을 통해 수신자(Receiver)에게 전달하는 과정이다. 이 과정에서 수신자가 송신자에게 보이는 반응(Effect)이 나타나며, 이러한 [[피드백#s-1.1]](feedback) 과정은 반복적으로 일어난다. 이러한 SMCRE 모델은 이후 미디어와 광고로 대표되는 커뮤니케이션학의 발전에 많은 이바지를 하게 된다. == 대표 저서 == * 『정신병리학과 정치학(Psychopathology and Politics)』(1930): 인간의 지배욕을 건전한 목표로 전향시키는 방법을 모색. * 『권력과 인성(Power and Personality)』(1948): 개인적 좌절을 권력을 통해 보상받으려는 권력 추구자들의 문제 분석. * 『권력과 사회(Power and Society)』(1950) [[분류:미국의 사회학자]][[분류:1902년 출생]][[분류:1978년 사망]][[분류:몽고메리 카운티(일리노이 주) 출신 인물]] [[분류:시카고 대학교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