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대한민국 국무위원)] [include(틀:해양수산부장관)] ||<-2> {{{+1 '''대한민국 해양수산부장관'''}}}[br]'''大韓民國 海洋水産部長官'''[br]'''The Minister of Oceans and Fisheries[br]of the Republic of Korea'''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조승환|[[파일:조승환 해수부장관.jpg|width=100%]]]]}}} || || '''현직''' ||[[조승환]] {{{-2 / 제22대}}} || || '''취임일''' ||[[2022년]] [[5월 10일]] || || '''정당''' ||[include(틀:무소속)] || [목차] [clearfix] == 개요 == [[해양수산부]]의 장으로 해양 및 항만관리, 수산물 관리 및 감독 등을 맡아온 부처이다. 한때 [[노무현]] [[전 대통령]]이 [[국민의 정부]]에서 해양수산부장관직을 맡은 적이 있었다. 그 외에도 [[자유한국당]] [[원내대표]]와 대표권한대행까지 역임한 [[정우택]]이 역시 국민의 정부에서 역임했다. 당시 공동 여당 격인 자유민주연합 소속의 충북 지역구 국회의원이었으므로 형식상 임명만 김대중이 했을 뿐 김종필이 낙점했다고 봐야 될 듯하다. 마찬가지로 국민의 정부[* 사실 IMF체제 이후였던 시기라 김대중 당선 후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8021700329104001&editNo=40&printCount=1&publishDate=1998-02-17&officeId=00032&pageNo=4&printNo=16358&publishType=00010|해양수산부를 쪼개 수산청과 [[해운항만청]]으로 나누고 [[농림수산부]]와 [[건설교통부]] 산하로 이관]]하려고 했었으나 [[김영삼]] 측에서 반발하여 해양수산부가 생존하게 된다.]에서 임명된 [[정상천]][* 경남 진주시 출신으로 [[내무부]] 치안국장, [[강원특별자치도지사]], 내무부 차관, [[대통령비서실]] 정무제2수석비서관, 서울특별시장, [[한국통신]] 이사장, 자유민주연합 부총재 등을 역임했다.] 장관은 전문성이 없다는 말이 나오자 [[http://legacy.h21.hani.co.kr/h21/data/L990329/1p6k3t0c.html|생선반찬을 좋아하기 때문에 해양수산 업무에 관심이 많았다]][[http://news.joins.com/article/3766113|는]] [[http://m.kyongbuk.co.kr/?mod=news&act=articleView&idxno=621502#05Gn|발언]]을 하기도 했다. 또한, [[대한민국 국방부]], [[행정안전부]]와 마찬가지로 상시 무장하는 [[해양경찰청]]이 휘하에 있다. [[국민의 정부]] 시절 [[해양수산부]] 장관은 공동여당인 [[자유민주연합]]의 몫으로 자민련 추천 장관은 [[김선길]], 이항규, [[정상천]], [[정우택]] 전 장관이었다. 앞 두 장관은 각각 충북 청주와 충남 공주 출신 정치인 출신으로 전문성이 떨어졌다. 실례로 김선길 전 장관은 신한일어업협상에서 쌍끌이어업권을 누락해 어민들의 원성을 샀다. 그 뒤 [[김종필]] 전 자민련 총재는 진주 출신의 자민련 전국구 의원 정상천을 장관으로 앉혀 지분과 명분을 모두 챙기는 노회한 수를 보였다. PK출신 [[김영삼]] 전 대통령이 부처로 승격시킨 이후 시간이 지나면서 뭔가 점점 PK 장관 몫 챙겨주기용으로 변하고 있다. [[문민정부]] 시기 두명의 해수부 장관이 모두 PK였던 걸 시작으로 국민의 정부에서는 김종필과 공동집권하여 --충청당-- 자민련 몫으로 떼어준 장관자리임에도 7명 중 절반이 넘는 4명이 PK 출신, [[참여정부]] 6명 중 4명이 PK였다. 해수부가 부활한 [[박근혜 정부]]에서는 형식상 4명 중 2명인데, PK가 아닌 유기준 장관이 충남 부여 출생이지만 부산에서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한나라당]] 부산시당 위원장을 역임했으며 부산 지역구 4선 의원일 정도로 PK와 관련이 많았다. 해수부 장관 중에는 [[참여정부]] 당시 [[최낙정]] 전 장관이 2003년 해수부 장관 중 최초로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19&aid=0000036443|경질]]당하기도 했다. 그리고 시간이 흘러 2014년 [[박근혜 정부]] 초대 해수부 장관인 [[윤진숙]]이 역대 해수부 장관 중 두 번째이자 해수부 부활 이후로는 첫 번째로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1955340|경질]]되었다. == 역대 장관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 교통부 해운국 {{{-2 (1948.7.)}}} || 상공부 수산국 {{{-2 (1948.7.)}}} || ||<-2> ↓ || ||<-2> 해무청 {{{-2 (1955.2. ~ 1961.5.)}}} || || ↓ || ↓ || || 수산청 {{{-2 (1966.2.)}}} || 해운항만청 {{{-2 (1976.3.)}}} || ||<-2> ↓ || ||<-2> 해양수산부 {{{-2 (1996.8.)}}} || || ↓ || ↓ || || 농림수산식품부 {{{-2 (2008.2.)}}} || 국토해양부 {{{-2 (2008.2.)}}} || ||<-2> ↓ || ||<-2> '''해양수산부 {{{-2 (2013.3.)}}}''' ||}}} === [[파일:해양수산부(1996-2008) 심볼.svg|width=30]] 해양수산부(1996~2008) === || '''정부''' || '''대수''' || '''이름''' || '''임기''' || ||<|2> [[김영삼 정부]] || 초대 || [[신상우]](辛相佑) || 1996년 8월 8일 ~ 1997년 8월 6일 || || 2대 || [[조정제(1939)|조정제]](趙正濟) || 1997년 8월 7일 ~ 1998년 3월 2일 || ||<|7> [[국민의 정부]] || 3대 || [[김선길]](金善吉) || 1998년 3월 3일 ~ 1999년 3월 22일 || || 4대 || [[정상천]](鄭相千) || 1999년 3월 23일 ~ 2000년 1월 13일 || || 5대 || [[이항규]](李恒圭) || 2000년 1월 14일 ~ 2000년 8월 6일 || || 6대 || [[노무현]](盧武鉉) || 2000년 8월 7일 ~ 2001년 3월 25일 || || 7대 || [[정우택]](鄭宇澤) || 2001년 3월 26일 ~ 2001년 9월 6일 || || 8대 || [[유삼남]](柳三男) || 2001년 9월 7일 ~ 2002년 7월 11일 || || 9대 || [[김호식]](金昊植) || 2002년 7월 12일 ~ 2003년 2월 26일 || ||<|6> [[참여정부]] || 10대 || [[허성관]](許成寬) || 2003년 2월 27일 ~ 2003년 9월 18일 || || 11대 || [[최낙정]](崔洛正) || 2003년 9월 18일 ~ 2003년 10월 2일 || || 12대 || [[장승우]](張丞玗) || 2003년 10월 14일 ~ 2005년 1월 4일 || || 13대 || [[오거돈]](吳巨敦) || 2005년 1월 5일 ~ 2006년 3월 26일 || || 14대 || [[김성진(1949)|김성진]](金成珍) || 2006년 3월 27일 ~ 2007년 5월 10일 || || 15대 || [[강무현]](姜武賢) || 2007년 5월 11일 ~ 2008년 2월 29일 || === 국토해양부 / 농림수산식품부 === ==== [[파일:국토해양부 MI.svg|width=30]] 국토해양부 ==== || '''정부''' || '''대수''' || '''이름''' || '''임기''' || ||<|2> [[이명박 정부]] || 초대 || [[정종환]](鄭鍾煥) || 2008년 2월 29일 ~ 2011년 6월 1일 || || 2대 || [[권도엽]](權度燁) || 2011년 6월 2일 ~ 2013년 3월 11일 || ==== 농림수산식품부 ==== || '''정부''' || '''대수''' || '''이름''' || '''임기''' || ||<|4> [[이명박 정부]] || 초대 || [[정운천]](鄭雲天) || 2008년 2월 29일~2008년 8월 5일 || || 2대 || [[장태평]](張太平) || 2008년 8월 6일 ~ 2010년 8월 30일 || || 3대 || [[유정복]](劉正福) || 2010년 8월 31일 ~ 2011년 6월 1일 || || 4대 || [[서규용]](徐圭龍) || 2011년 6월 2일 ~ 2013년 3월 11일 || === 해양수산부(2013~현재) === || '''정부''' || '''대수''' || '''이름''' || '''임기''' || ||<|4> [[박근혜 정부]] || 16대 || [[윤진숙]](尹珍淑) || 2013년 04월 17일 ~ 2014년 02월 06일 || || 17대 || [[이주영(정치인)|이주영]](李柱榮) || 2014년 03월 05일 ~ 2014년 12월 24일 || || 18대 || [[유기준]](兪奇濬) || 2015년 03월 16일 ~ 2015년 11월 10일 || || 19대 || [[김영석(1959)|김영석]](金榮錫) || 2015년 11월 11일 ~ 2017년 06월 15일 || ||<|2> [[문재인 정부]] || 20대 || [[김영춘]](金榮春) || 2017년 06월 16일 ~ 2019년 04월 02일 || || 21대 || [[문성혁]](文成赫) || 2019년 04월 03일 ~ 2022년 05월 10일 || || [[윤석열 정부]] || 22대 || [[조승환]](趙承煥) || 2022년 05월 10일 ~ 현재 || == 둘러보기 == [include(틀:대한민국의 중앙행정기관장)] ---- [include(틀:대한민국 국무회의의 배석)]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해양수산부, version=191)] [[분류:해양수산부 장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