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한국의 온천)] {{{+1 海雲臺溫泉 / Haeundae Hot Spring }}} [목차] == 개요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우동(부산)|우동]]과 [[중동(부산)|중동]]에 있는 [[온천]]. == 온도 및 성분 == 45~50도 의 알칼리성 단순식염천이며 라듐도 포함되어 있다. == 역사 == [[신라]]의 [[수도(행정구역)|수도]]였던 [[경주시]]와 가까운 위치 때문에 일찍이 [[신라시대]]부터 알려진 온천이었다. 당시에는 구남온천으로 불린 이곳은 진성여왕이 천연두를 앓아 찾았었다고 한다. 온천욕을 좋아하는 [[일본인]]들에 의해 본격적으로 개발되었고 지금까지 이르고 있다. == 교통 == * 도시철도 * [[파일:Busan2.svg|width=17]] [[부산 도시철도 2호선]] [[센텀시티역]], [[해운대역]] * 시내버스 (해운대온천지구, 해운대온천사거리 일대 버스정류장) * [[부산 버스 31|31번]] * [[부산 버스 39|39번]] * [[부산 버스 100|100번]] * [[부산 버스 115-1|115-1번]] * [[부산 버스 139|139번]] * [[부산 버스 141|141번]] * [[부산 버스 141|141번(심야)]] * [[부산 버스 180|180번]][* 오전 3회 노선 한정] * [[부산 버스 200|200번]] * [[부산 버스 307|307번]] * [[부산 버스 1003|1003번]] * [[부산 버스 1003|1003번(심야)]] * 마을버스 * [[부산 버스 해운대2|해운대 2번]] * [[부산 버스 해운대7|해운대 7번]][* 해운대 방향 한정] * [[부산 버스 해운대8|해운대 8번]][* 해운대신시가지 방향 한정] * [[부산 버스 해운대10|해운대 10번]] == 여담 == * [[동래온천]]과 다르게 해운대온천은 [[센텀시티]]와 [[마린시티]], [[중동(부산)|중동]], 좌동에 각각 서로 다른 성분들의 온천이 분포되어 있다. * 급수 시설에서 물을 한꺼번에 뽑아 올려 각 온천장으로 공급을 하고 있으나 일부 업소는 직접 온천공을 개발하여 사용하는 곳이 있다. * [[인제대학교 해운대백병원]]은 국내 대학병원 최초로 온천수를 사용하고 있는 병원이다. 지하수를 확인하던 중 우연히 온천수를 발견하였다. == 목록 == === 영업중 === * [[중동(부산)|중동]] 해운대온천지구 * 금호온천 * 베니키아호텔(구. 서울온천) - 서울온천탕이었으나 재개발을 하여 베니키아호텔 내 목욕탕으로 개장했다. * 송도탕 * 청풍가족탕 * 파라다이스호텔 * 해운온천 * 해운대온천센터(구 할매탕) - 해운대온천의 90년을 이어온 전통있는 원탕이라고 불리던 곳이었다. 시설이 매우 오래되어 재개발을 했고, 2006년 해운대온천센터로 새롭게 개장했다. * [[우동(부산)|우동]] * 스파마린 - 우3동 [[마린시티]] 내에 있는 온천탕으로 암반해수온천이다. * 신세계 [[스파랜드]] - 2005년에 [[신세계백화점 센텀시티점]]을 공사하던 도중 탄산온천과 식염온천이 각각 발견되었다. === 폐업 === * 고려 온천탕 - 중동 소재인 고려탕은 2017년 1월 2일부로 폐업 * 청풍해수원탕 - 할매탕과 함께 이곳도 원탕이라고 불리던 곳이다. 원탕과 온탕이 있으며 원탕은 말 그대로 온천수를 식히지 않고 그대로 탕에 공급하는 까닭에 매우 뜨겁다. 2019년 7월 부로 대중탕은 폐업되고 설렁탕집으로 업종을 변경하여 영업중이다. 다만 가족탕은 그대로 운영되고 있다. * 해운대온천호텔 * 힐스파 - 구.베스타온천이다. [[달맞이 고개]]에 위치해 있어서 해운대 온천중에 유일하게 경치가 가장 좋은 온천으로 알려져 있으나 시기미상 폐업하였다. [[분류:대한민국의 온천]][[분류:해운대구의 건축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