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1 [[대통령비서실|[[파일:청와대 흰색 로고.svg|height=40]]]] [[대통령비서실|{{{#ffc224,#db9e00 '''대통령비서실'''}}}]] [[수석비서관|{{{#ffc224,#db9e00 '''사정수석비서관'''}}}]]}}} || ||<-5> [[대한민국 제5공화국|{{{#ffffff,#191919 '''전두환 정부'''}}}]] || || ''신설'' || → || '''초대[br]허삼수''' || → || 2대[br][[정관용(정치인)|정관용]] || ---- || '''{{{#ffffff 역임한 지위 }}}'''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5> [[대한민국 국회|[[파일:국회휘장(9대-19대).svg|width=30]]]] {{{#cfa547 '''[[대한민국 국회의원|{{{#cfa547 대한민국 국회의원}}}]] ([[부산광역시|{{{#cfa547 부산}}}]] [[중구·동구|{{{#cfa547 동구}}}]])'''}}} || || 제13대[br][[노무현]] || → || '''제14대[br]허삼수''' || → || ''선거구 개편''[br][[정의화]][*A 부산 [[중구·동구]] 선거구의 [[제15대 국회의원]]이다.] || }}} || ---- ||<-2> '''{{{#ffffff 전두환 정부 초대 사정수석비서관}}}[br]{{{#ffffff {{{+1 허삼수}}}[br]許三守 | Heo Sam-soo}}}'''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허삼수 프로필.jpg|width=100%]]}}} || ||<|2> '''출생''' ||[[1936년]] [[9월 18일]] ([age(1936-09-18)]세) || ||[[경상남도]] [[부산광역시|부산부]][br](現 부산광역시) || || '''본관''' ||[[허(성씨)|김해 허씨]] || ||<|2> '''재임기간''' ||[[대통령비서실]] [[수석비서관|사정수석비서관]] || ||[[1980년]] [[9월 9일]] ~ [[1982년]] [[12월 20일]]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배우자''' ||박무생 || || '''자녀''' ||3명 || || '''학력''' ||중앙국민학교 {{{-2 (졸업)}}}[br][[부산중학교]] {{{-2 (졸업)}}}[br][[부산고등학교]] {{{-2 (졸업)}}}[br][[육군보병학교]] {{{-2 (졸업)}}}[br][[육군포병학교]] {{{-2 (졸업)}}}[br][[육군공병학교]] {{{-2 (졸업)}}}[br][[육군대학]] {{{-2 (졸업)}}}[br][[연세대학교]] 경영대학원 {{{-2 (석사 / 수료)}}} || || '''종교''' ||[[가톨릭|천주교]] {{{-2 ([[세례명]]: 요셉)}}} || || '''소속 정당''' ||[include(틀:무소속)] || || '''의원 선수''' ||'''1''' || || '''의원 대수''' ||[[제14대 국회의원|'''14''']] || || '''경력''' ||[[국군기무사령부|보안사령부]] 인사처장[br]국가보위비상대책위원회 정화분과위원회 간사[br][[대통령비서실]] 사정수석비서관[br][[스탠퍼드 대학교]] 후버연구소 연구원[br][[민주정의당]] 국책평가위원[br]한국문화연구원 이사장[br][[제14대 국회의원]] {{{-2 ([[부산광역시|부산]] [[동구(부산광역시)|동구]] / [[민주자유당]])}}}[br]한국청소년연맹 총재[br]사단법인 국제장애인협의회 이사장[br][[자유민주연합]] 특임위원 || ||<-2> '''군사 경력''' || || '''임관''' ||[[육군사관학교]] {{{-2 (17기)}}} || ||<|2> '''복무''' ||[[대한민국 육군]] || ||1961년 3월 ~ 1980년 9월 || || '''최종 계급''' ||[[준장]] {{{-2 (대한민국 육군)}}} ||}}}}}}}}}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군인]], [[관료]], [[정치인]]. [[허화평]], [[허문도]]와 함께 [[전두환 정부]] 초기에 활약한 '''쓰리 허'''의 한 사람이다. == 생애 == [[1936년]] [[9월 18일]]에 [[부산광역시]]에서 태어났다. 부모가 일제에 의해 강제징용을 당하자 일본으로 가서 10세 무렵까지 일본에서 거주하였다. 귀국하고 국민학교에 입학할 당시에는 한국어가 서투르고 경제사정이 어려워서 집안일을 돕는 바람에 동년배들보다 국민학교에 2년 늦게 입학하였다. 그러나 뒤늦게 학업을 시작한 허삼수는 학습에 뛰어난 소질을 보이며 국민학교와 중학교를 우수한 성적으로 졸업하고 명문 학교인 [[부산고등학교]]를 졸업한다. 육군사관학교 동기인 [[김진영(군인)|김진영]]과 그의 소개로 안면을 튼 [[허문도]]와는 부산고등학교 10기 동기이다.[* 고등학교 동문이라고 해서 무조건 안면식이 있던 사이라고 단정할 수는 없다. 소수 정예 학교가 아닌 이상 3년 동안 전교생 얼굴을 다 알고 졸업하는 것도 아니다. 드라마 [[제5공화국(드라마)|제5공화국]]에서는 [[절친]]으로 묘사되었으며 극 중에서 허삼수는 허문도, [[허화평]]과 반말을 주고 받지만 허문도와 허화평은 서로에게 존대한다. 실제로 허화평은 이는 전혀 사실이 아니며 허문도를 처음 만났을때 허삼수에게 허문도에 대해 물어봤지만 허삼수도 같은 학교 동문이지만 전혀 모르는 사이라 말했다고 인터뷰[[https://youtu.be/xodHnVwntuE?t=3389|56:30]]에서 증언했다. ] 이후 경쟁률이 37:1에 육박하는 육군사관학교에 합격하고 입학하여 우수한 성적을 자랑하였고 특히 육군사관학교 입학과 동시에 시작했던 [[유도]]는 졸업 당시에 2단을 땄을 정도였다.[* 지금은 고령인 관계로 유도는 그만두었지만 체력 유지의 원동력이 되었다고 한다. 지금도 운동을 좋아해서 [[수영]]을 통해 꾸준히 체력 관리를 한다고 한다.] 이후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육군사관학교 동기인 [[김진영(군인)|김진영]], [[허화평]] 등과 [[하나회]]에 가입하였는데 특히 허화평과 단짝이었다. 이후 방첩대에 들어가 [[윤필용]]을 상관으로 모시게 되었고 허삼수의 능력을 알아본 윤필용은 기회가 있을 때마다 그를 적극 추천해 [[월남전]] 방첩장교로 가게 된다. 월남전 참전 당시 [[미군]]의 지원을 업고도 각종 부정부패와 권력형 비리 등으로 몸살을 앓고[* 당시 [[남베트남]]과 지엠 정권의 부정부패는 세계적으로 알아주는 수준이였다. 미군으로부터 원조받은 무기가 다음 날이면 노점상에서 팔리고 있는 일이 비일비재했다.] 월맹군에게 얻어 터지던 [[응오딘지엠|지엠 정권]]과 남배트남을 보며 부패가 나라를 망하게 한다는 생각을 가지게 되었다. 남베트남에서 뛰어난 성과를 올렸던 허삼수는 [[노태우]]의 처남이였던 [[김복동]]에 의해 보안사 인사처장으로 임명되어 [[한국]]으로 돌아왔고 보안사에서도 무능하고 부패한 직원들을 강제 예편시키는 등 [[개혁]]을 단행했다. 1979년 [[10.26 사건]]과 [[12.12 군사반란]] 당시 [[국군기무사령부|국군보안사령부]] 인사처장([[대령]])이었던 그는 12.12 군사반란 당시 육군범죄수사단장 [[우경윤]] 대령과 [[육군참모총장]] [[공관]]에 가서 [[정승화]] 육군참모총장을 [[불법]] 연행하였다. 5.17 내란이 종료되고 1980년 [[준장]] 진급 및 동시 예편하면서 군 생활을 마감하게 된다. 1980년 9월 [[대통령비서실]] 사정[[수석비서관]]에 임명되어 본격적으로 정치판에 뛰어들었다. 이후 [[허화평]], [[허문도]] 등과 ''''쓰리 허''''로 불렸으나 1982년 5월 [[장영자·이철희 금융사기 사건]] 이후 허화평 등과 함께 [[전두환]]의 친인척이 공직에서 물러나야 한다고 건의하였다. 안그래도 [[노태우]]와 불편한 관계에 있던 터에 전두환의 눈 밖에 나, 그 해 12월 사정수석비서관직에서 경질돼[* 허화평은 이 당시 허삼수는 전두환 대통령에게 별 미움을 받지 않았으며, 자신이 경질되어 청와대를 떠나게 되자 허삼수도 사의를 표하고 함께 떠났다고 인터뷰[[https://youtu.be/tF0RJyr_vZE?t=2049|34:10]]에서 주장했다. ] 허화평과 함께 [[미국]]으로 유배 아닌 유배를 갔다. 학자들과 학문을 교류하고 [[대학]]에서 강의를 하는 등 학술 연구에 매진하였다.[* 본인 역시 50살이 넘은 나이에 진지하게 공부를 할 수 있었던 시간이 참으로 행복했고, 정치판에서 쌓인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정신적으로 성장할 수 있었던 시간이였다고 회고한 바 있다.] 5공이 끝나가자 전두환의 명령으로 귀국해 다시 정치판에 뛰어들었다. 1988년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정의당]] 후보로 부산직할시 [[동구(부산)|동구]] 선거구에 출마했으나, 민주화 열기에 힘입은 [[야당]]의 공세와 상대 후보 [[통일민주당]] [[노무현]] 후보에게 밀려 낙선했다.[* [[정치]] 신인이였던 노무현이 허삼수를 "5공 적폐"로 몰며 적극적인 네거티브 전략을 사용했다. [[김영삼]] 역시 "반란군 총잡이"라며 노무현을 적극 밀어줘 당선되는데 큰 도움을 준다. 허삼수는 더욱이 불법 선거운동을 한 사실이 밝혀지기도 했다. ] 낙선하면 으레 그렇듯 지역위원장을 맡아 재기를 꿈꾸던 허삼수는 1992년 [[제1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자유당]] 후보로 [[3당 합당|노태우와 김영삼]]의 막강한 지원을 업고 [[민주당(1991년)|민주당]] 노무현 후보에게 설욕했다.[* 이때 김영삼은 "반란군 총잡이"라며 허삼수를 몰아붙이던 13대 총선에서와 달리 [[3당 합당]] 이후 치러진 14대 총선에서는 그를 "충직한 군인"이라고 치켜세우며 허삼수의 당선에 결정적으로 기여한다.[[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28&aid=0002242888|YS, 그의 미친듯한 깜짝쇼가 그리워라]]] 1996년 [[문민 정부]]의 [[12.12 군사반란]] 및 [[5.18 민주화운동]] 관련 수사로 기소되었다. 1996년 [[신한국당]]을 탈당하여 [[제1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부산 [[중구(부산)|중구]]·[[동구(부산광역시)|동구]] 선거구에 무소속으로 출마하였으나 부산고등학교 후배인 [[신한국당]]의 [[정의화]]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동시에 구속되었으며 5.18 재판에서 징역 6년을 선고받았다가 1997년 [[김대중]]의 대통령 당선 이후 대통령 특사로 전두환 등과 함께 석방됐다. 석방 이후 국제장애인협회의 이사장으로 취임했고 지금은 고문으로 물러났지만 여전히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다. 평생 친구 [[허화평]]이 징역을 계기로 보수 논객으로 전향한 것과는 달리 허삼수의 경우는 장애인을 돕는 사업에 매진하며 정치적으로는 어떠한 의견도 내지 않고 있다. 2014년 내란 전과로 인해 중지된 [[연금]]을 지급해달라고 [[장세동]], [[정호용]] 등과 함께 국가에 소송을 제기한 바 있으며 같은 이유로 서훈이 취소된 훈장 역시 국가에 반납하지 않고 있다. 육사동기인 허화평과 평생친구로 여겨지는 것과는 다르게 허화평은 허삼수와 현재 서로 연락하지 않고 만남을 가진지 상당한 시간이 흘렀다고 최근 인터뷰에서 밝혔다. [[2021년]] 10월 26일에 [[노태우]] 전 대통령이 사망한 이후 [[국가장]]으로 치르게 되었을때 <노태우 전 대통령 장례위원회 위원> 유족 측 장례위원 명단에 [[허화평]], [[박철언]] 등과 같이 포함되었다.[[https://www.yna.co.kr/view/AKR20211028193451530|#]] == 대중매체에서 == * 1995년 [[SBS]] 드라마 <[[코리아게이트(드라마)|코리아게이트]]>에서는 배우 [[이계인]]이 연기했다. * 1996년 [[MBC]] 드라마 <[[제4공화국(드라마)|제4공화국]]>에서는 성우 [[이승환(성우)|이승환]]이 연기했다. * 1998년 [[SBS]] 드라마 <[[삼김시대(드라마)|삼김시대]]>에서는 [[맹상훈]]이 연기했다. * 2005년 [[MBC]] 드라마 <[[제5공화국(드라마)|제5공화국]]> [[파일:제5공화국 허삼수(차광수 분).jpg|width=350]] 배우 [[차광수]][* 2002년 [[SBS]] 드라마 <[[야인시대]]>의 [[정진영(야인시대)|장년 정진영]] 역으로 유명하다.]가 연기했다. 제5공화국의 허삼수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는 부분이 많은데, 방영 당시 감수를 맡으며 제작진에게 자문을 해주는 등 제작에 깊이 관여했던 [[허화평]]과 자신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제공했던 [[장세동]] 그리고 제작진을 상대로 소송을 걸었던 [[박철언]]과는 달리 본인이 어떠한 의견도 표출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래서인지 역을 맡은 차광수와의 [[싱크로율]]도 낮은 편이고, 허삼수가 한 일이 허화평이 한 일처럼 표현되어 있는 등 [[고증오류]]가 심하다고 한다. 실제 행적을 보면 허화평 못지 않은 [[브레인]]에 조용한 성격으로 보이는데... 드라마에서는 [[다혈질]]에 거의 허화평 [[2중대]] 격으로 그려져 있다. * 2013년 [[MBN]] 드라마 <[[대한민국 정치비사]]>에서는 배우 이승준이 연기했다. * 2023년 영화 <[[서울의 봄(영화)|서울의 봄]]>에서는 '하창수'라는 이름으로 등장하며 배우 [[홍서준]]이 연기했다. 제5공화국에서의 모습과는 달리 굉장히 차분한 성격으로 등장하며 영화 내내 차갑고 말없는 모습으로 등장한다.[* 드라마와는 반대로 허화평이 오히려 약싹빠른 성격으로 등장하며 대사 비중도 허화평 쪽이 더 높다. 사실 실존 인물들의 행적도 허화평 쪽이 [[언변]]도 뛰어나고 대외 활동도 압도적으로 많아서 영화 쪽의 [[고증]]이 더 정확한 편이다.] 그래도 총장 공관의 총격전 직후 피를 뒤집어쓴 채 헐떡거리며 웃는 장면은 충분히 긴장감 있게 잘 그려냈다는 평. == 선거 이력 == 당 내부 선거가 아닌 대한민국 선출직 공직자 선거 결과만 기록한다. || {{{#ffffff 연도}}} || {{{#ffffff 선거 종류}}} || {{{#ffffff 선거구}}} || {{{#ffffff 소속 정당}}} || {{{#ffffff 득표수 (득표율)}}} || {{{#ffffff 당선 여부}}} || {{{#ffffff 비고}}} || || 1988 || [[제13대 국회의원 선거]] ||<|2> 부산 [[동구(부산 선거구)|동]] || [include(틀:민주정의당)] || 43,986 (42.27%) || 낙선 (2위) || || || 1992 || [[제14대 국회의원 선거]] || [include(틀:민주자유당)] || '''59,894 (63.55%)''' || '''당선 (1위)''' || '''초선'''[* 1996년 [[신한국당]] 탈당] || || 1996 || [[제15대 국회의원 선거]] || 부산 [[중구·동구|중·동]] || [include(틀:무소속)] || 26,827 (27.11%) || 낙선 (2위) || [* 옥중 출마] || || {{{#fff '''역대 선거 벽보'''}}} || ||<^|1>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3대 총선 허삼수.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허삼수14.jpg|width=100%]]}}} || || [[제13대 국회의원 선거|{{{#000000,#fff 13대 총선}}}]] [[동구(부산 선거구)|{{{#000000,#fff (부산 동구)}}}]] || [[제14대 국회의원 선거|{{{#000000,#fff 14대 총선}}}]] [[동구(부산 선거구)|{{{#000000,#fff (부산 동구)}}}]]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허삼수 15대.jpg|width=100%]]}}} || || [[제15대 국회의원 선거|{{{#000000,#fff 15대 총선}}}]] [[중구·동구|{{{#000000,#fff (부산 중구·동구)}}}]] ||}}}}}}}}} || == 소속 정당 == || '''{{{#fff 소속}}}''' || '''{{{#fff 기간}}}''' || '''{{{#fff 비고}}}''' || || [include(틀:무소속)] || 1980 - 1987 || 정계 입문 || || [include(틀:민주정의당)] || 1987 - 1990 || 입당 || || [include(틀:민주자유당)] || 1990 - 1995 || 합당[* [[통일민주당]], [[신민주공화당]]과 신설 합당, 이른바 [[3당 합당]]] || || [include(틀:신한국당)] || 1995 - 1996 || 당명 변경 || || [include(틀:무소속)] || 1996 - 현재 || 탈당[br]낙선 후 정계 은퇴 || == 둘러보기 == [include(틀:12.12 군사반란 가담자)] ---- [include(틀:제14대 국회의원/부산광역시)] [[분류:대한민국의 남성 정치인]][[분류:대한민국의 군인]][[분류:군인 출신 정치인]][[분류:부산광역시 출신 인물]][[분류:1936년 출생]][[분류:대한민국의 가톨릭 신자]][[분류:사정수석비서관]][[분류:전두환 정부/인사]][[분류:박정희 정부/인사]][[분류:육군사관학교 출신]][[분류:제14대 국회의원]][[분류:민주자유당 국회의원]][[분류:신한국당 국회의원]][[분류:무소속 국회의원]][[분류:하나회]][[분류:12.12 군사반란/관련 인물 및 단체]][[분류:부산고등학교 출신]][[분류:김해 허씨]][[분류:5.18 민주화운동/관련 인물 및 단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