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헤로데 왕조 국왕)] [목차] == 개요 == 기원전 20년 전 ~ 기원후 39년 후 [[헤로데 대왕]]의 아들. [[루카 복음서]]에서 예수가 고통받을 때 등장하는 헤로데 왕은 이 헤로데 왕이다. [[갈릴래아]]의 영주로, 형제들 가운데 가장 오래 살았고 왕권도 지킬 수 있었던 인물. == 생애 == ||<-2> [[파일:Herodian_tetrachy.png|width=100%]] || ||<-2> 기원전 4년 헤로데 사두정치 || ||||헤로데 아르켈라오스 || ||||헤로데 안티파스 || ||||헤로데 필립보 2세 || ||||[[살로메 1세]] || [[오순절]] 봉기를 진압하는 등의 강압정책과 [[티베리우스]]의 이름을 딴 티베리아스[* 티베리아스는 [[갈릴래아]]의 주도로 '''지금도 번성'''하는 도시다.] 건설 등의 토목정책을 병행했다. [[사해]] 동쪽 [[나바테아 왕국]] [[아레타스 4세]]의 공주와 결혼했다 [[이혼]]하고, 이복 형제 아리스토불로스 4세의 딸이자 또 다른 이복 형제 헤로데 필립보 '''1세'''[* 헤로데 2세라고도 한다. 헤로데 대왕과 동명이인 미리암의 외아들로 흔히 보에투스라고 한다. 아버지의 지위는 계승하지 못했으며 헤로데 빌립보 2세와 동일인물이란 주장도 있다.]의 부인인 헤로디아(Ἡρωδιάς)와 결혼(!)했다. 어머니는 달랐다지만 조카딸이자 [[제수]]와 결혼한 것. 물론 근친혼의 개념이 넓은 편인 한국의 시각으로 막장일 뿐, 성경에 이스라엘에선 원래 사촌끼리의 결혼은 일반적이었으며 [[형사취수제]] 또한 남아있었기에[* 부활 개념을 인정하지 않았던 사두개 인들이 예수에게 형사취수로 형제들이랑 결혼한 여자가 나중에 다 같이 부활하면 누구의 부인이 되는 거냐 물어보기도 했다.] 그 정도 혈연은 별로 문제될 것은 아니었다. 아까 얘기했지만, 헤로디아와 전 남편과의 관계도 숙질간이다. [[세례자 요한]]이 헤로디아와의 결혼으로 헤로데 임금을 비판했다가 감옥에 갇히고 목을 베여 죽는데, [[마태오 복음서]]와 [[마르코 복음서]]에 따르면 이 때 헤로디아와 딸이 주요하게 개입한 것으로 나온다. 당대의 역사가 [[플라비우스 요세푸스]]에 따르면 그 딸은 헤로데 필립보 1세의 친딸인 '''[[살로메 3세]]'''였다고 한다. 성경에는 이름이 나오지 않는[* 전술 했듯 살로메의 이름은 플라비우스의 기록에만 나온다.] 헤로데 왕의 의붓딸이 매혹적인 춤을 춰 헤로데 임금에게 호감을 샀고, 그 때 어머니와 상의하여 은쟁반에 요한의 목을 가져오기를 요구했다고 나온다.[* 그러나 요세푸스의 기록에는 헤로디아와 그녀의 딸의 춤에 대한 기록은 없다. 아마 요한의 죽음이 민간으로 전해지면서 당시 민간에서 안 좋게 본 헤로디아 모녀에게 모든 죄를 뒤집어 씌우는 루머를 만들었을 가능성이 크고, 성경에도 그대로 들어간 것으로 보인다.][* 오해와 달리 헤로데가 근친상간 돋게 살로메에게 '네 어미의 자리도 주리라'라고 한 적은 없다. 헤로데가 한 말은 '나라의 절반이라도 주겠다'이다.][* 그리고 복음서에서는 예수의 죽음 이후로 추정되는 요한의 죽음의 선후가 반대다. 그래서 오히려 헤로데 임금이 예수를 두고 "허걱, 세례자 요한이 도로 살아났구나! 그러니 그런 기적의 힘이 일어나지!" 하는 대목이 있다. --[[부활]] 두 번 할 기세-- 이 대목은 헤로데가 가지고 있던 죄책감(마르코 복음에선 헤로데가 요한을 의롭게 여겨 그의 극언을 싫어해도 듣기는 얌전히 들었으나, 헤로데가 살로메에게 한 맹세 때문에 억지로 죽였다고 나온다) 등을 반영한다는 해석이 있다.] 헤로데가 까인 이유는 필립보 1세가 죽어서 그 아내를 어쩔 수 없이…가 아니라 '''강탈'''했기 때문이다. 이건 정치적인 계산이 들어있었는데, 헤로디아는 정통 유대인 왕조인 하스몬 왕조의 후손이었기 때문. 정확히는 헤로데 대왕이 찬탈한 정통 유대인 왕조 하스몬 왕조의 공주이자 헤로데 임금의 부인인 미리암[* 첫번째 헤로데 임금 또한 정통성을 위해 미리암과 결혼한다.]의 아들인 아리스토불로스 4세[* 이 사람은 하스몬 왕조의 남성 후손이라 찬탈자였던 아버지 헤로데 대왕에게 처형당했다.]의 딸이다. 어머니가 측실이어서 지지기반이 취약했던 헤로데 안티파스에겐 나름 정통성 강화의 수단이었던 셈. 하지만 이게 헤로데 안티파스에겐 결국 독이 되었는데, 분노한 첫 장인인 나바테아 왕국의 [[아레타스 4세]]가 쳐들어왔고(서기 37년), 이에 로마에 구원을 요청했으나 시리아 총독 [[루키우스 비텔리우스(34년 집정관)|루키우스 비텔리우스]]는 매우 천천히 진압에 임했다고 한다. 이 때 그는 굴욕적인 패배를 맛본 후 헤로디아와 아그리파의 갈등에 따라 자기 [[조카]] [[헤로데 아그리파스 1세]]의 참소로 인해 로마 황제 [[칼리굴라]]에 대한 반역죄로 왕위에서 쫓겨나, 형이 쫓겨난 유배지 [[갈리아]]에서 숨을 거둔다. 이 때문에 흔히 죄 없는 요한을 죽인 대가로 악몽에 시달리다 영화도 잃고 죽었다고 전해진다.[* 외경에 의하면, 요한의 목을 달라고 한 헤로디아의 딸은 갈리아에서 얼음 위를 걷다가 얼음이 무너지면서 물에 빠지는데, 얼음의 날카로운 면에 그만 목이 잘리고 만다.] == 기타 == [[루카 복음서]]에서는 [[유월절]]을 맞아 예루살렘으로 들어와 마침 붙잡힌 예수를 만나 그를 조롱하며 기적을 일으켜 보라며 떠보나, 예수가 듣지 않는 등 대놓고 악역으로 나온다.[* 대신 흥미롭게도 루카 복음서에는 요한을 베는 과정과 살로메의 이야기가 안 나온다(베었다는 얘기는 나온다).] [[외경]]에서는 [[본시오 빌라도]]와 달리 손을 씻지 않으며, [[십자가]]형을 주도하기도 한다.[* 자기가 다스리던 갈릴래아 출신이니 더욱 깔봤을 가능성이 높다.] 여기에 헤로데의 막장, 사치 이미지가 결합하여 [[지저스 크라이스트 슈퍼스타]] 등에서는 아주 코믹하게 나온다. [[https://youtu.be/Z9ALiADrJro|1973년판 영화]] [[https://youtu.be/BaOfBQ5uw6M|2000년판 영상물]] 딱 한 파트 나오지만 의외로 [[카메오]] 격의 주요 배우가 나오는게 특징으로, 30년을 거치면서 점차 복장이 [[브로드웨이]] 쇼 뮤지컬 틱하게 변하는 게 특징. 많은 바리에이션이 있다. [[파일:external/i42.tinypic.com/16llco5.jpg|width=550]] [[잭 블랙]]도 [[2006년]]에 자선공연으로 헤로데를 맡았다. 1977년 영화 [[예수/가공 매체#s-2.8|나사렛 예수]]에서는 [[크리스토퍼 플러머]]가 맡아 권력욕과 색욕에 찌든 권력자의 모습을 보여주었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헤로데, version=79)] [[분류:헤로데 왕조 국왕]][[분류:신약성경/등장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