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영국의 물리학자]][[분류:1887년 출생]][[분류:1915년 사망]][[분류:도싯주 출신 인물]][[분류:제1차 세계 대전/군인]][[분류:제1차 세계 대전/사망자]][[분류:옥스퍼드 대학교 출신]] [include(틀:다른 뜻1, from=모즐리, other1=영국의 파시스트, rd1=오스왈드 모슬리, other2=영국의 남배우, rd2=윌리엄 모즐리)] ||<-2> '''{{{+1 헨리 귄 제프리스 모즐리}}}[br]Henry Gwyn Jeffreys Moseley'''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Henry_Moseley.jpg|width=100%]]}}} || ||<|2> '''출생''' ||[[1887년]] [[11월 23일]]|| ||[[잉글랜드]] 도싯주 웨이머스|| ||<|2> '''사망''' ||[[1915년]] [[8월 10일]] (향년 27세)|| ||[[오스만 제국]] [[갈리폴리]]||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영국)]|| || '''직업''' ||[[물리학자]]|| || '''학력''' ||[[옥스퍼드 대학교]] 트리니티 칼리지 {{{-2 ([[물리학]] / 졸업)}}}|| || '''소속''' ||[[맨체스터 대학교]] ^^(–1910)^^|| || '''수상''' ||마테우치 메달 {{{-2 (1919)}}}|| [목차] [clearfix] == 개요 == [[영국]]의 [[물리학자]].[* [[화학자]]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물론 이 사람의 연구가 현대 화학의 발전에 지대한 공을 끼치긴 했지만 본인은 물리학자로서 물리학 연구를 한 것이기 때문에 물리학자라고 부르는 것이 맞을 것이다.] == 그의 생애와 업적 == 박물학자인 헨리 노티지 모즐리(Henry Nottidge Moseley)의 아들로 출생했다. [[옥스퍼드 대학교]]의 트리니티 칼리지를 졸업하고, 1910년 맨체스터 대학 강사로 있었다. 그가 대학 강사로 있을 때 [[어니스트 러더퍼드]]의 지도로 [[X선]] 연구를 하였다. 연구 초기에는 [[라듐]] B 및 라듐 C의 원자 1개의 붕괴에 의해서 방출되는 알파 입자 평균 개수의 측정 등에 관한 실험을 하였다. 그러다 독일의 이론물리학자 [[막스 폰 라우에]]의 X선 산란(散亂) 실험에 흥미를 가지게 되어, 친구 찰스 골턴 다윈(Sir Charles Galton Darwin)과 협력하여 X선 산란 연구를 시작, 특성 X선의 연구결과 '모즐리의 법칙'을 발견하였다. 이것은 여러 원소의 특성X선 스펙트럼을 실험적으로 연구하여 그 파장과 원자번호 사이에 간단한 관계(파장의 제곱근이 원자번호에 반비례)가 성립한다는 것을 발견한 것으로서 원자구조론에 크게 기여하고 현대 [[주기율표]] 자체의 이론상 근거가 된다. 또한 주기율상의 미발견원소의 확인, 미측정 [[스펙트럼]]의 파장 예측 등 X선 연구에 큰 업적을 남겼다. 그러나 [[제1차 세계 대전]]에 [[공병]] [[장교]]로 자원 입대하였으며,[* 헬리콥터 조종사로 입대했다는 말도 있지만, 그 시기에는 극히 원시적인 형태의 시험적인 헬리콥터만 존재했던 것을 고려하면 잘못된 정보다. 1차 세계대전 당시에는 느려터진 복엽, 삼엽기들이 날아다니던 시대였고 헬리콥터가 본격적으로 전장에 투입되기 시작한 건 [[6.25 전쟁]]부터다.] 1915년에 [[갈리폴리 전투]]에 투입되어 그곳에서 전사하였다. 관련된 연구주제를 연구한 다른 학자들은 전부 노벨상을 받았고, 살아있었다면 모즐리도 분명 [[노벨상]]을 받았을 것이기에 아쉬운 죽음이다. 모즐리를 아꼈던 스승 러더퍼드는 모즐리의 전사 통지를 받고는 "이것이 [[제1차 세계 대전]]이 [[영국]]에 입힌 최대의 타격"이라며 크게 슬퍼했다고 한다. 이 소식을 듣고 [[윈스턴 처칠|처칠]]에게 직접 편지를 보내 "과학 기술의 꿈나무들이 전쟁에서 죽는 꼴을 볼 수 없다"라고 한 것이 현재의 [[전문연구요원]] 제도의 시작이라고 한다. == 여담 == 모즐리의 모교인 영국 [[옥스퍼드 대학교]]의 물리학과에는 '모즐리의 저주'라는 말이 있다. 앞서 설명한 대로 노벨상 수상이 확실시 되었으나 [[갈리폴리 전투|일찍 전사하는 바람]]에 원통하게 노벨상을 받지 못한 모즐리의 한맺힌 저주(?) 때문에 옥스퍼드 물리학과에서는 노벨상 수상자가 나오지 못한다는 내용이다. 영국 내에서 옥스퍼드는 학생의 수준이나 연구비 지원 및 학교 시스템이 케임브리지와 별반 다르지 않은데도, 모즐리 사후 20세기가 끝날 때까지 케임브리지 물리학과에서 수십 명의 노벨물리학상 수상자가 배출되는 동안 옥스퍼드 물리학과에서는 졸업자 중 수상자가 한 명도 나오지 않았다. 일반적으로 옥스퍼드는 문과 쪽이 강하고 케임브리지는 이과 쪽이 강하다는 것을 고려하더라도, 화학이나 생물학(+의학) 분야에서는 옥스퍼드 출신 노벨상 수상자가 (케임브리지 만큼은 아니지만) 수십 명 배출되었고, 영국 내 다른 대학의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도 결코 적지 않으며, 옥스퍼드 물리학과가 유별나게 수준이 낮거나 망한 것도 아니어서 졸업생 가운데 노벨상만 못 받았지 노벨상 바로 직전까지 가는 수준의 권위자들이 득시글거렸다는 점을 생각해 보면, 확실히 저주라는 말이 어색하지 않을 정도로 묘한 현상이었다. 학사부터 박사과정까지 전부 옥스퍼드 물리학과에서 공부한 [[앤서니 레깃]] 경이 2003년에 노벨 물리학상을 받으면서, 모즐리의 저주는 거의 한 세기가 지나서야 깨어졌다. == 관련 문서 == * [[주기율표]]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