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1888년 출생]] [[분류:1965년 사망]] [[분류:미국 부통령]] [[분류:미국의 남성 정치인]][[분류:어데어 카운티(아이오와) 출신 인물]][[분류:미국 민주당 소속]][[분류:미국 공화당 소속]] [include(틀:역대 미합중국 부통령)]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CECEC, #FFF 20%, #FFF 80%, #ECECEC)" {{{#000047 '''헨리 A. 월리스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역대 미합중국 상무장관)]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CECEC, #FFF 20%, #FFF 80%, #ECECEC)" '''[[미국 부통령|{{{#0d1635 미합중국 제33대 부통령}}}]][br]{{{#0d1635 {{{+1 헨리 아거드 월리스}}}[br]Henry Agard Wallace }}}'''}}} || ||<-2>{{{#!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헨리 월리스 부통령.jpg|width=100%]]}}} || ||<|2> '''출생''' ||[[1888년]] [[10월 7일]] || ||[[미국]] [[아이오와주]] 오리엔트 || ||<|2> '''사망''' ||[[1965년]] [[11월 18일]] (향년 77세) || ||[[미국]] [[코네티컷주]] 댄버리 || || '''국적''' ||[[파일:미국 국기.svg|width=28]] 미국 || || '''정당''' ||[include(틀:공화당(미국))] {{{-2 (1909-1924)}}}[br][include(틀:진보당(미국 1912년))] {{{-2 (1912)}}}[br][include(틀:진보당(미국 1924년))] {{{-2 (1924-1932)}}}[br][include(틀:민주당(미국))] {{{-2 (1936-1947,1964-1965)}}}[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ed171; font-size: .9em" [[진보당(미국 1948년)|{{{#fff '''진보당'''}}}]]}}} {{{-2 (1947-1950)}}}|| || '''서명''' ||[[파일:헨리 A. 월리스 서명.svg|width=150]] || ||<|6> '''재임기간''' ||제11대 [[미국 농무부|농무장관]] || ||1933년 3월 4일 ~ 1940년 9월 4일 || ||[[미국 부통령|제33대 부통령]] || ||1941년 1월 20일 ~ 1945년 1월 20일 || ||[[미국 상무부|제10대 상무장관]] || ||1945년 3월 2일 ~ 1946년 9월 20일 || || '''학력''' ||[[아이오와 주립대학교]] || || '''종교''' ||[[성공회]] || || '''부모''' ||아버지 헨리 C. 월리스 || || '''배우자''' ||일로 브라운 월리스 || [목차] [clearfix] == 개요 == 미국의 정치인으로 제33대 부통령이다. == 정치활동 == 당대 미국에서 진보주의 정치인으로 유명했지만 정치활동은 공화당에서 시작했다. 그러나 공화당원이라고 해도 진보적인 스탠스에 있었고 특히 농업 관련 입법에서 맥너리-호겐 농장구호법(McNary–Haugen Farm Relief Bill)에 거부권을 행사한 [[캘빈 쿨리지]] 대통령을 비판했다. 이미 1924년 대선에서 [[로버트 M. 라폴레트]]를 따라 진보당에 입당한 상황이었고, 1928년 대선에서 이 이유 때문에 [[앨 스미스]]를 지지했으며, 1932년 대선에서도 마찬가지로 프랭클린 루스벨트를 지지하고, 여러 진보적인 정책 입안에 참여했다. 프랭클린 루스벨트가 대통령일 때, 농무장관, 부통령, 상무장관 등을 지냈다. 부통령으로서 갖은 논란에 시달리는 것과 달리 농무장관 시절에는 미국 농업을 그야말로 되살려내는 업적을 세운다. 1940년 루즈벨트의 부통령 존 가너가 은퇴하자 후임자로서 부통령에 당선된 그는 [[맨하탄 계획]]에 깊게 관여했고, 또 민주당 내에서 대단히 진보적이었으며 [[소련]]에도 가장 우호적인 정치인이었다. 당시 민주당의 텃밭인 남부의 흑인 민권 문제에도 관심이 많아 보수파의 반발을 샀다. 그러나 점차 루즈벨트와 불화를 보였고 무엇보다 민주당 지도자들이 루즈벨트 사후 월리스가 대통령이 되어 급진적인 정책을 펼칠 것을 우려해 1944년 대선에서 부통령으로 지명되지 못했다. 결과적으로 재선 직후 루즈벨트가 사망하였으므로 계속 부통령 자리를 지켰으면 미국의 33대 대통령이 되었을 것이다. 이후 대통령이 된 해리 트루먼을 상대하여 [[1948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 출마하고 [[트루먼 독트린]]을 비판하는 등, [[해리 S. 트루먼]]과도 대립하였다. 위험하게 여겨질정도로 친소적인 인물이었고 그때문에 코앞에서 대통령자리를 놓쳤지만 그래도 한국전쟁 당시에 유엔군의 한국 파병을 지지했다.[* 이때문에 소속정당이던 미국 진보당에서 쫓겨났다(...). 반대로 이야기하면, 소련이 묵인했기에 지지한 것이지 만일 반대하는 상황에서도 파병 지지를 수행할 수 있었을지는 의문이다.] 이후 민간인으로 돌아가 사업에 성공해서 떼돈을 벌고 1965년 사망한다. == 평가 == 내치에 관해서는 예외 없이 호평이 자자하나 외교와 관련해 평가가 많이 깎인다. 하지만 미국에서는 월리스가 대통령이 되었다면 냉전 없이 평화로운 소련과 미국의 관계가 펼쳐졌을 것이라는 평가도 있다.[* 월리스가 소련과의 관계개선을 희망했어도 [[반공주의]] 열풍이 분 1946년 중간선거의 결과 때문에 마음대로 됐을 가능성은 적다.] == 소속 정당 == ||
'''{{{#0d1635 소속}}}''' || '''{{{#0d1635 기간}}}''' || '''{{{#0d1635 비고}}}''' || || [include(틀:공화당(미국))] || 1909 - 1912 || 입당[br]정계 입문 || || [include(틀:진보당(미국 1912년))] || 1912 || 입당[* [[1912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시어도어 루스벨트]] 지지] || || [include(틀:공화당(미국))] || 1912 - 1924 || 복당 || || [include(틀:진보당(미국 1924년))] || 1924 - 1936 || 입당 || || [include(틀:민주당(미국))] || 1936 - 1947 || 입당 ||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ed171; font-size: .9em" [[진보당(미국 1948년)|{{{#fff '''진보당'''}}}]]}}} || 1947 - 1950 || 창당[br]정계 은퇴 || || [include(틀:무소속)] || 1950 - 1964 || 탈당 || || [include(틀:민주당(미국))] || 1964 - 1965 || 복당[br]사망 || 소속 정당은 많았지만 일관된 [[진보주의]] 정책을 지지했다. == 선거 이력 == ##당 내부 선거가 아닌 미합중국 연방 선출직 공직자 선거 결과만 기록한다. || {{{#0D1635 '''연도'''}}} || {{{#0D1635 '''선거 종류'''}}} || {{{#0D1635 '''선거구'''}}} || {{{#0D1635 '''소속 정당'''}}} || {{{#0D1635 '''득표수 (득표율, 필요시 선거인단)'''}}} || {{{#0D1635 '''당선 여부'''}}} || {{{#0D1635 '''비고'''}}} || || 1940 || [[1940년 미국 대통령 선거|미국 부통령 선거]][* 대통령 후보는 [[프랭클린 D. 루즈벨트]]] ||<|2> [[미합중국]] || [include(틀:민주당(미국))] || '''27,313,945 (54.74%, 449명)''' || '''당선 (1위)''' || '''초선''' || || 1948 || [[1948년 미국 대통령 선거|미국 대통령 선거]]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ed171; font-size: .9em" [[진보당(미국 1948년)|{{{#fff '''진보당'''}}}]]}}} || 1,157,328 (2.37%, 0명) || 낙선 (4위) || || == 대중매체 == 임기 중 병사한 FDR의 이전 부통령이었다는 점 때문에 2차 대전기를 다루는 [[대체역사물]]에서 트루먼을 대신해 미국 대통령이 되는 것으로 자주 등장한다. 대체로 소련에 우호적이며, 이 때문에 미국 내에서는 빨갱이라는 욕을 얻어먹는 포지션. 어느 진영이 주인공이냐에 따라서 사람 좋고 개념있는 지도자로 나오기도 하고 정치 감각이라고는 없는 답답한 인간으로도 나온다. 한국 대체역사 웹소설 [[검은머리 미군 대원수]]에서 등장, 원역사에서의 4선과 달리 3선 대통령 임기 중 사망한 [[FDR]]의 지위를 승계하여 [[미국 대통령]]이 되었다. 처참한 정치적 감각, 화려했던 전임자와 자신을 비교하며 느끼는 자괴감 등으로 똥볼을 차며 독자들의 혈압을 올렸지만, [[유진 킴]]과 장성들의 반발로 자신감을 잃고 재선에도 실패하자 오히려 마음의 짐을 내려놓고 고향으로 떠난다. [[나, 스탈린이 되었다?!]]에서도 루즈벨트 사후 대통령직을 승계하는데 여기서는 소련과 스탈린이 선역인 관계로 말이 잘 통하는 양심적인 대통령으로 등장한다. 주인공과 죽이 잘 맞아서 소아마비 백신 개발에 협력하고, [[인도네시아 독립전쟁]]에서 독립군 진영을 지지하는가 하면 공작정치에 반대하는 모습도 보인다. 맥아더와 매카시에게 패배해 [[지미 카터|재선은 실패하나 퇴임 후 개도국 집짓기 봉사활동에 참여한다.]] [[내 독일에 나치는 필요없다]]에서는 다른 작품들처럼 FDR의 사망으로 승계하지 않고 선거로 대통령이 되었다. 삼선에 실패한 FDR 이후 공화당의 [[웬델 윌키]], 샤를 맥너리의 뒤를 이어 민주당 후보로 출마하여 당선된다. 그러나 소설이 마무리되어가는 시점에 당선되어 전후 수습을 잘 했다는 것 외에 별 등장은 없었다. [[The New Order: Last Days of Europe]]에서는 루즈벨트 재선 실패후 보수화 되어가는 민주당에 실망하여 1940년대선에 [[진보당(미국 1948년)|진보당]]을 이끌고 대선에 나가지만 오히려 민주당의 분열을 불러와 [[토마스 듀이]]의 재선에 한몫한다. 전쟁 후 연합국의 패배로 혼란스러운 미국 정치판에서 전쟁 영웅이라는 명성을 이용하여 [[딕시크랫]]을 이끌고 우익 정당인 국민당을 창당한 [[조지 S 패튼]]과 자신의 정당을 통합하여 국민진보동맹이라는 정당을 만든다. [[카이저라이히: 대전의 유산]]에서 미국의 [[사회 민주주의]] 대통령 중 하나로 등장한다. == 둘러보기 == [include(틀:미국 사회주의 관련 문서)] [include(틀:미국 현대자유주의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