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현대자동차그룹)] ---- ||<-2> '''{{{#ffffff {{{+2 현대오토에버 주식회사}}}[br]HYUNDAI Autoever Corp.}}}''' || ||<-2> [[파일:현대오토에버 로고.svg|width=90%&theme=light]][[파일:현대오토에버 로고 화이트.svg|width=90%&theme=dark]] || || {{{#ffffff '''설립일'''}}} ||[[2000년]] [[4월 10일]] || || {{{#ffffff '''대표이사'''}}} ||김윤구 || || {{{#ffffff '''업종명'''}}} ||소프트웨어 개발 및 공급업 || || {{{#ffffff '''국가'''}}}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ffffff '''기업 규모'''}}} ||[[대기업/대한민국|대기업]] || || {{{#ffffff '''사원 수'''}}} ||4,263명[* 2023.03. 기준] || || {{{#ffffff '''모기업'''}}} ||[[현대자동차그룹]] || || {{{#ffffff '''상장 여부'''}}} ||[[상장 기업]] || || {{{#ffffff '''상장 시장'''}}} ||[[유가증권시장]] ([[2019년]][* [[3월 28일]] 상장했으며 공모가는 48,000원이었다.]~ ) || || {{{#ffffff '''편입 지수'''}}} ||[[코스피]] || || {{{#ffffff '''주식 코드'''}}} ||307950 || ||<|2> {{{#ffffff '''본사'''}}} ||{{{-1 '''현대오토에버'''[br][[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 510 ([[대치동]])}}}|| || {{{#!wiki style="margin: -5px -9px" [include(틀:지도, 장소=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 510 현대오토에버), 너비=100%, 높이=100%)]}}} || || {{{#ffffff '''웹 사이트'''}}} ||[[http://www.hyundai-autoever.com|[[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http://update.hyundai-autoever.com/|[[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2 (내비게이션 업데이트)}}}^^ | [[https://blog.naver.com/hyundai-autoever|[[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width=25]]]] | [[https://www.youtube.com/channel/UCRBtxwx23bzxyr5R9vFRYhw|[[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 | [[https://www.facebook.com/hyundaiautoever.official/|[[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5]]]] || ||<-2> {{{#ffffff '''관련 전화번호'''}}} || ||<-2> 고객센터: {{{#0a2972,#ddd '''1577-4767'''}}} || [목차] [clearfix] == 개요 == [[현대자동차그룹]] 계열 [[소프트웨어]] 전문업체로 주요 사업분야는 크게 'Vehicle IT'와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서비스'로 나눠볼 수 있다. Vehicle IT 측면으로는 차량 SW 플랫폼, SW 개발 플랫폼, 차량의 클라우드 및 커넥티트 카 서비스 플랫폼, 차량 연동 서비스, OTA, 내비게이션, 정밀지도와 같이 In-Car와 Out-Car 영역 전반의 차량소프트웨어와 인프라를 지원하며,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서비스 측면으로는 스마트 팩토리, 모빌리티 서비스, 스마트시티, 그룹 내 클라우드 및 인공지능 서비스와 더불어 기존 합병 이전의 주요 사업영역이었던 [[시스템 통합]](SI, System Integration)과 업무시스템을 운영 및 유지보수하는 IT 아웃소싱 (ITO, IT Outsourcing) 사업을 주로 다룬다. 소프트웨어 역량을 통합해 급변하는 모빌리티 환경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2021년]] [[4월 1일]]자로 [[현대오트론]]과 [[현대엠엔소프트]]를 흡수합병했으며 이를 통해 모빌리티 산업 및 다양한 산업 영역에 포진해 있는 고객을 지원하며 글로벌 수준의 소프트웨어와 IT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현대자동차]] 및 유수 글로벌 자동차 기업에 적용 가능한 차량용 소프트웨어를 전문적으로 연구개발하여 제공한 이력이 있으며, 클라우드 서비스, 정보시스템 개발 및 유지보수, 네트워크, IDC 운영, 전반적인 시스템 기술 서비스 등의 사업을 진행 중이다. 최근에는 스마트시티, 스마트팩토리 등으로도 사업을 확장 중이며 ‘모빌리티 소프트웨어 프로바이더’ 로서 모빌리티 소프트웨어 플랫폼을 구축하여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유연하게 연결하여 다가올 모빌리티 생태계를 만들어가고 있다. == 연혁 == 2000년 * 현대오토에버(오토에버닷컴) 설립 2002년 * 현대차그룹 중국 공장 생산시스템 구축 2004년 * 해외사업 진출(미주법인 설립) 2005년 * 현대차그룹 미국 공장 생산시스템 구축 2006년 * 해외사업 확대(인도/중국법인 설립) 2007년 * 현대차그룹 유럽공장 생산시스템 구축 * 해외사업 확대(유럽법인 설립) 2008년 * 의왕 데이터센터 오픈 2010년 * 현대차그룹 미국 공장 생산시스템 구축 * 해외사업 확대(러시아법인 설립) 2011년 * ‘현대오토에버’로 사명 변경 * 해외사업 확대(브라질법인 설립) 2012년 * 파주 데이터센터 오픈 2013년 * 현대차그룹 순정 내비게이션 소프트웨어 개발 및 공급 2014년 * 현대씨엔아이 소규모 합병 * 중국사업 강화(중국 합자법인 설립) 2015년 * 해외사업 강화(멕시코법인 설립) * 광주 데이터센터 오픈 2016년 * 그랜저 1세대 전자아키텍처, mobilgene Classic 2017년 * 부품 계열사 통합 운영 * 쏘나타 뉴라이즈· 코나 VCI 엔진 제어기, GDI 2018년 * 엔진제어용 통합반도체 양산 * 서비스 IT 지원 조직 신설 (웹/앱센터) 2019년 * 주식 거래소 상장 * 국내 자율 주행용 자동차 전용도로 정밀지도16,000km 구축 2020년 * 제네시스 SUV GV80 이더넷 통신 미들웨어 양산 * 해외사업 확대(인도네시아법인 설립) mobilgene Adaptive 기술 공개 (미국 CES) 2021년 * '''현대오토에버'''-[[현대엠엔소프트]]-[[현대오트론]] 3사 합병 == 역대 대표이사 == * 정순원 (2000.04.~2002.03.) * 김채원 (2002.03.~2002.12.) * 김익교 (2003.01.~2010.01.) * 김선태 (2010.01.~2012.07.) * 박성근 (2012.07.~2015.12.) * 장영욱 (2015.12.~2018.04.) * 정영철 (2018.04.~2018.10.) * 오일석 (2018.10.~2021.03.) * 서정식 (2021.04.~2023.11.) * 김윤구 (2024.01.~ ) == 지배 구조 == [[2023년]] [[4월 5일]] 기준 || {{{#fff '''주주명'''}}} || {{{#fff '''지분율'''}}} ||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현대자동차]]''' || 31.59% ||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현대모비스]] || 20.13% ||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기아]] || 16.24% ||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정의선]] || 7.33% ||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국민연금공단]] || 7.04% || == 사업 == 2021년 현대엠엔소프트와 현대오트론을 합병하면서 기존에 영위하던 SI, ITO 부문 이외에 차량SW 부문을 추가했다. || {{{#fff '''사업 부문'''}}} || {{{#fff '''2019년 매출'''}}} || {{{#fff '''2020년 매출'''}}} || {{{#fff '''2021년 매출'''}}} || || SI || 7,215억 원 || 6,575억 원 || 7,449억 원 || || ITO || 8,503억 원 || 9,050억 원 || 1조 361억 원 || || 차량 SW || - || - || 2,892억 원 || || 합계 || 1조 5718억 원 || 1조 5625억 원 || 2조 703억 원 || == 사건·사고 == [[공정거래위원회]]는 현대오토에버가 지난 [[2018년]] [[1월]]경에 수급사업자에게 기술자료를 정당한 사유 없이 요구한 행위를 적발하여 시정명령 및 과징금 이천만원을 부과하기로 결정하였다. [[https://ftc.go.kr/www/selectReportUserView.do?key=10&rpttype=1&report_data_no=10062|#]] [[분류:현대오토에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