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000 호시노 노부유키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br][[파일:오릭스 블루웨이브 심볼.svg|width=70]][br][br]'''NPB 일본시리즈''' '''{{{우승반지}}}''' || || '''[[1996년 일본시리즈|{{{#FFC74B 1996}}}]]''' || ---- || [[퍼시픽 리그|[[파일:퍼시픽 리그 로고.svg|width=45]]]][br] '''{{{#ffffff 1989, 1996년 퍼시픽 리그 최고 승률}}}''' || ---- ||<-5> '''{{{#ffffff [[한큐 브레이브스|{{{#ffffff 한큐 브레이브스}}}]] 등번호 53번}}}''' || || 후지모토 마사하루[* 본명은 코데라 마사하루(小寺昌治)][br](1972~1983) || {{{+1 →}}} || '''{{{#B21E38 호시노 노부유키[br](1984~1986)}}}''' || {{{+1 →}}} || [[나카지마 사토시]][br](1987~1988) || ||<-5> '''{{{#FFC74B [[한큐 브레이브스|{{{#FFC74B 한큐 브레이브스-오릭스 브레이브스-오릭스 블루웨이브}}}]] 등번호 28번}}}''' || || 이케우치 유타카[br](1986) || {{{+1 →}}} || '''{{{#660000 호시노 노부유키[br](1987~1999)}}}''' || {{{+1 →}}} || 카세 토시히로[br](2001~2004) || ||<-5> '''{{{#000 [[한신 타이거스|{{{#000 한신 타이거스}}}]] 등번호 34번}}}''' || || 나카노세 유키야스[br](1996~1999) || {{{+1 →}}} || '''{{{#fff 호시노 노부유키[br](2000~2002)}}}''' || {{{+1 →}}} || 하시모토 타카히로[br](2003) || ||<-5> '''{{{#000 [[한신 타이거스|{{{#000 한신 타이거스}}}]] 등번호 70번}}}''' || || 키도 카츠히코[br](1997~2005) || {{{+1 →}}} || '''{{{#fff 호시노 노부유키[br](2006~2009)}}}''' || {{{+1 →}}} || 키도 카츠히코[br](2010~2011) || ||<-5> '''{{{#ffffff [[오릭스 버팔로즈|'''{{{#ffffff 오릭스 버팔로즈}}}''']] 등번호 71번}}}''' || || 후루야 히데오[br](2008~2009) || → || '''{{{#ffffff 호시노 노부유키[br](2010~2017)}}}''' || → || 후지이 야스오[br](2018~2019)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호시노 노부유키 오릭스 시절 클로즈업.jpg|width=100%]]}}} || ||<-2> '''{{{+2 호시노 노부유키}}}[br]星野伸之 | Nobuyuki Hoshino''' || || '''생년월일''' ||[[1966년]] [[1월 31일]] ([age(1966-01-31)]세) || || '''국적''' ||[[파일:일본 국기.svg|width=30]] [[일본]] || || '''출신지''' ||[[홋카이도]] [[아사히카와시]] || || '''학력''' ||홋카이도 아사히카와 공업 고교 (홋카이도) || || '''신체''' ||183cm, 74kg || || '''포지션''' ||[[투수]] || || '''투타''' ||[[좌투좌타]] || || '''프로입단''' ||1983년 드래프트 5라운드 (한큐) || || '''소속팀''' ||'''{{{-1 [[한큐 브레이브스|한큐-오릭스 브레이브스-오릭스 블루웨이브]]}}} (1984~1999)''' [br][[한신 타이거스]] (2000~2002) || || '''지도자''' ||[[한신 타이거스]] 2군 투수코치 (2006~2009) [br][[오릭스 버팔로즈]] 1군 투수코치 (2010) [br][[오릭스 버팔로즈]] 2군 투수코치 (2011~2012) [br][[오릭스 버팔로즈]] 1군 투수코치 (2012~2015) [br][[오릭스 버팔로즈]] 2군 육성코치 (2016) [br][[오릭스 버팔로즈]] 1군 투수코치 (2016~2017) || || '''SNS''' ||[[https://www.youtube.com/channel/UCkfIQc2a8iw0gXZLrxEX3XQ| [[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 || [목차] [clearfix] == 개요 == 前 [[일본프로야구]] 선수이자 야구 지도자. == 현역 시절 == [[파일:external/art62.photozou.jp/106627149_624.jpg]] '''120km대의 [[속구]]와 80km대의 [[커브볼]]'''을 던지는 느림보 투수로 유명했다.[* 그런데 또 투구폼은 꽤나 하이키킹해서 던지는 폼이라..불같은 강속구를 생각하며 보다가 체인지업같은게 날아가고 알고 보니 그게 패스트볼이였단걸 깨닫게 되면 꽤나 뭔지 모를 괴리감이 생긴다(..)] [[삼성 라이온즈]]의 [[성준(야구선수)|성준]]이나 [[전병호]], [[두산 베어스]]의 [[유희관]] 등 '[[흑마구]]' 투수들과 비슷한 스타일. 다만 그 엄청 느린 슬로우 커브뿐만 아니라 포심과 거의 구속차이가 나지 않는 [[포크볼]] 또한 주무기였다. 느린 구속에 비해 그 많은 탈삼진[* 2011년 시점에서 역대 18위.]은 오히려 포크볼 덕을 많이 보았다. 얼마나 공이 느렸나 하면, 1990년 [[도쿄돔]]에서 열린 [[닛폰햄 파이터즈]]와의 경기에서 [[배터리]]를 이뤘던 [[포수]] [[나카지마 사토시]][* 무려 2015년까지 현역이었다. 오릭스 블루웨이브도 아닌 '''한큐 브레이브스'''의 유니폼을 입어본 적이 있는 최후의 현역선수로 남았다.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에서 1군 배터리 코치를 겸임하며 교체할 포수가 소진된다거나 하는 긴급 상황에서 백업 포수로 간간히 출장했다. 게다가 이쪽은 전성기에 [[올스타전]]의 스피드왕 콘테스트에서 '''146km/h'''를 찍기도 한 강견의 포수로 유명했다. 2021년부터 [[오릭스 버팔로스]]의 감독을 맡아 부임 첫해부터 리그 우승, 이듬해 리그 우승과 '''일본시리즈 우승''', 3년차에 '''리그 3연패'''를 달성하며 명장의 반열로 올라섰다.]가 호시노 노부유키의 공을 '''맨손'''으로 받아낸 적이 있을 정도. 또한 경기중에 가끔 포심의 구속이 130km를 넘어가면 오히려 중계진으로부터 '호시노 선수 오늘 컨디션이 나쁜가보군요'라는 소리를 듣기도 했다(…). 입단 후 2년간은 별 활약이 없었으나 1986년 9승을 올린 것을 시작으로, 1991년 16승을 올린 것을 포함해 1987년부터 1997년까지 '''11년 연속 두자리 승수'''를 거두며 [[사토 요시노리]], 노다 코지[* 포크볼러로 일본프로야구 1경기 최다탈삼진(19개) 기록 보유자이다. 2위는 [[다나카 마사히로]]이며 18개를 기록했다.]등과 함께 선발진의 기둥으로 자리매김했다. [[스즈키 이치로]], [[다구치 소]], [[후지이 야스오]] 등과 함께 [[오기 아키라]] 감독이 이끄는 블루웨이브의 1995년, 1996년 [[퍼시픽리그]] 우승과 1996년 [[일본시리즈]] 우승의 주역이 되었다. 60kg 후반 ~ 70kg 전후의 비리비리한 체구에 순해보이는 인상[* 80년대 말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세이부]]의 [[와타나베 히사노부]],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닛폰햄]]의 [[니시자키 유키히로]], [[오사카 긴테쓰 버팔로즈|긴테쓰]]의 [[아와노 히데유키]] 등과 함께 달달한 인상으로 여심을 울리는 퍼시픽 리그의 '트렌디 에이스'들 중 하나로 언론에 다뤄질 정도였다.][* 키가 꽤 큰 만큼 드래프트 당시에는 몸을 불리면 구속도 붙겠지... 같은 전망도 있었지만 본인이 좀 심하게 살이 안 찌는 체질이라 결국 완급조절과 제구를 중시하는 스타일로 육성되었고 그게 먹혔다고 한다. 사실 신장도 2020년대 기준으로는 183cm도 투수로서는 작은편. 그러나 일본인들의 평균신장이 한국인 보다 작다는걸 감안해야한다.]을 보면 그렇지 않을 것 같지만, 의외로 잔부상도 별로 없이 수 년간 꾸준히 많은 이닝을 소화하였다. 한큐-오릭스에서 선수생활을 하던 1985년부터 1999년 중 150이닝 이하를 소화한 시즌은 단 4번에 불과하며 140이닝 미만을 소화한 시즌은 단 2번에 불과하다. 통산 129경기를 완투했고, 최다 완봉을 기록한 해가 2번(1987, 1992)이나 있었다. ~~느린 구속이 내구성에는 도움을 주었던 것인지...~~ 2000년 FA를 선언해 [[한신 타이거스]]로 이적했지만 부진 및 심장질환 때문에 결국 2002년 시즌을 끝으로 은퇴하였다. 통산 성적은 427경기(384선발) 2669.1이닝 176승 140패 2세이브 [[평균자책점]] 3.64, 2041탈[[삼진(야구)|삼진]]. 느린 공에도 불구하고 꾸준히 A급 성적을 낸 뛰어난 선발 투수였다. == 은퇴 이후 == 잠시 야구 평론가로 지내다가 2005년부터 [[한신 타이거즈]]의 2군 투수코치로 부임하여 2009년까지 재직. 그 동안 매년 [[노우미 아츠시]] 등 꼬박꼬박 영건을 만들어냈다. [[오릭스 버팔로즈]] 감독으로 부임한 [[오카다 아키노부]]를 따라서 친정팀 오릭스로 적을 옮겨갔다. == 여담 == [[1997년]] 11월, 한일 친선야구 경기를 위해 방한한 적이 있다.[* [[오릭스 블루웨이브]]와 [[주니치 드래곤즈]]의 연합팀.] 그리고 1차전에 선발등판했다.[* 장소는 [[잠실야구장]], 상대팀은 [[LG 트윈스]]와 [[현대 유니콘스]]의 연합팀.][* 2차전의 일본팀 선발투수는 당시 주니치 소속이었던 [[카도쿠라 켄]]이다.] 참고로 이 경기를 위해 팀동료인 [[스즈키 이치로]]도 함께 방한했다가 경기 직전에 일본으로 돌아가는 사건도 있었다. 해설자로 활동하던 2005년에 [[미국]]에서 후배였던 [[스즈키 이치로]]가 출전한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올스타전]]을 취재한 적이 있었다. 그때 호시노가 이치로에게 [[홈런 더비]]를 안 나가냐고 물어봤었는데, "선배가 강속구 콘테스트에 안 나가는 것과 같은 이치”라고 이치로가 말하였다고 한다. [* 그 이치로는 1996년 올스타전에 마무리 투수로 등판해(!) 141km/h의 속구를 던진 적이 있다. 그 공에 아웃된 타자는 당시 야쿠르트의 마무리 투수 [[다카쓰 신고]]... 또 경기에서는 슬랩히터지만 타격 연습에서는 또 곧잘 홈런을 쳐서 말년인 말린스 시절엔 타격코치인 [[배리 본즈]]로부터 이치로가 홈런 더비에 나가면 우승할 수 있을거란 말도 들은 적이 있다.] [[실황 파워풀 프로야구]]에서는 94부터 9결정판까지는 현역으로, 그 이후로는 OB선수로 나오는데 변화구 칸수가 후덜덜하며 키레4라는 특능도 있고 컨트롤도 만점. 하지만 최고구속이 132km에 불과하다. 저 최고구속도 최고 컨디션인 절호조 상태에서 직구를 X보턴 죽어라 연타해서 전력으로 던져야 저정도다. 통상적인 직구는 126km 전후. 사실 [[코나미]]에서 저 구속도 후하게 준것인데 130km 이하로 해버리면 게임상에서 아무리 투수의 파란특능을 도배해도 속절없이 맞아나가기 때문이란다... 하지만 호시노 노부유키는 현직 코치이기 때문에 OB 선수로 표기될때 연도표기가 없다. 따라서 어레인지로 페넌트레이스에 활용하면 18세로 시작한다. 속구파(별4칸정도) 코치 붙여서 죽어라 키우면 어떻게든 150km까진 만들수 있을것이다. 다만 괴물성적을 내야한다는 전제가 뒷받침된다. [[홋카이도]]에서는 엄청난 인기를 자랑했는데, 은퇴 전 한신 굿즈샵이 무려 아사히카와시에 들어선 적이 있다. == 관련 문서 == * [[야구 관련 인물(NPB)]] [[분류:일본의 야구 선수]][[분류:좌투좌타]][[분류:좌완 투수]][[분류:야구 해설자]][[분류:1966년 출생]][[분류:1983년 데뷔]][[분류:2002년 은퇴]][[분류:아사히카와시 출신 인물]][[분류:오릭스 버팔로즈/은퇴, 이적]][[분류:한신 타이거스/은퇴, 이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