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홍대입구역 일대에 위치한 상권, rd1=홍대거리)] ||<-3> {{{+2 '''홍대입구역'''}}} || ||<-3> [[서울 지하철 2호선|[[파일:Seoulmetro2_icon.svg|width=30]]]]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파일:GJLine_icon.svg|width=30]]]] [[인천국제공항철도|[[파일:AREX_icon.svg|width=30]]]] || ||<-3>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수도권 전철 노선 보기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서울 지하철 2호선|{{{-1 {{{#585858,#a7a7a7 외선순환}}}}}}]][br][[합정역|합 정]][br]← 1.1 ㎞ || [[서울 지하철 2호선|{{{#ffffff {{{-1 2호선[br](239)}}}}}}]] || [[서울 지하철 2호선|{{{-1 {{{#585858,#a7a7a7 내선순환}}}}}}]][br][[신촌역(도시철도)|신촌{{{-3 (지하)}}}]][br]1.3 ㎞ → || ||<|2> [[문산역|{{{-1 {{{#585858,#a7a7a7 문산 방면}}}}}}]][br][[가좌역|가 좌]][br]← 1.7 ㎞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ffffff {{{-1 경의·중앙선[br](K314)}}}}}}]] || [[지평역|{{{-1 {{{#585858,#a7a7a7 지평 방면}}}}}}]][br][[서강대역|서강대]][br]0.9 ㎞ → ||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ffffff {{{-1 경의·중앙선}}}}}}[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0000; font-size: .9em" {{{#ffffff '''경의선 급행 B'''}}}}}}]] || [[용문역(중앙선)|{{{-1 {{{#585858,#a7a7a7 용문 방면}}}}}}]][br][[공덕역|공 덕]][br]2.8 ㎞ → || || [[서울역|{{{-1 {{{#585858,#a7a7a7 서울 방면}}}}}}]][br][[공덕역|공 덕]][br]← 2.8 ㎞ || [[인천국제공항철도|{{{#ffffff {{{-1 공항철도[br](A03)}}}}}}]] || [[인천공항2터미널역|{{{#!wiki style="letter-spacing: -1.35px" {{{#!wiki style="margin: -0px -10px" {{{-2 {{{#585858,#a7a7a7 인천공항2터미널 방면}}}}}}}}}}}}]][[디지털미디어시티역|디지털[br]미디어시티]][br]3.4 ㎞ → || ||<-3>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미개통 전철 노선 보기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3> [[대장홍대선|{{{#!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797979; font-size: .9em;" {{{#ffffff '''대장홍대선'''}}}}}}]] || || --[[대장역|{{{-1 {{{#191919,#a7a7a7 대장 방면}}}}}}]][br][[성산역(서울)|성 산]]--[br]← -.- ㎞ || [[대장홍대선|{{{#ffffff {{{-1 대장홍대선[br](미개통)}}}}}}]][br] || {{{-1 시종착}}} ||}}}}}}}}} ||}}}}}}}}} || ||<-3> {{{#!wiki style="margin: -6px -10px -5px" [include(틀:지도, 장소=홍대입구역, 너비=100%, 높이=100%)]}}} || ||<-3> '''다른 문자 표기''' || ||<-3>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로마자]]{{{-3 ([[영어]])}}} || Hongik Univ. || || [[한자]] || 弘大入口 || || [[간체자]] || 弘益大学[*공항 弘大入口] || || [[가나(문자)|가나]] || [ruby(弘大入口, ruby=ホンデイック)] ||}}}}}}}}} || ||<-3> '''주소''' || ||<-3>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2> [[서울 지하철 2호선|{{{#ffffff 2호선}}}]] || ||<-2> [[서울특별시]] [[마포구]] [[양화로]] 지하160 [br] ([[동교동]] 165) || || [[인천국제공항철도|{{{#ffffff 공항철도}}}]] || [[용산선]] || ||<-2> [[서울특별시]] [[마포구]] [[양화로]] 지하188 [br] ([[동교동]] 190-1) ||}}}}}}}}} || ||<-3> '''관리역 등급''' || || [[용산선]] ||<-2> [[배치간이역]][br]{{{-3 ([[수색역]] 관리 / [[한국철도공사|코레일]] 서울본부)}}} || ||<-3> '''운영 기관''' || ||<-3>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서울 지하철 2호선|{{{#ffffff 2호선}}}]] || [[서울교통공사]] || || [[인천국제공항철도|{{{#ffffff 공항철도}}}]] || [[공항철도(기업)|공항철도(주)]] || || [[용산선]] || [[한국철도공사]] ||}}}}}}}}} || ||<-3> '''개업일''' || ||<-3>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서울 지하철 2호선|{{{#ffffff 2호선}}}]] || 1984년 5월 22일 || || [[인천국제공항철도|{{{#ffffff 공항철도}}}]] || 2010년 12월 29일 || || [[용산선]] ||<|2> 2012년 12월 15일 || || [[수도권 전철 경의선|{{{#ffffff 경의선}}}]] ||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ffffff 경의·중앙선}}}]] || 2014년 12월 27일 || || --[[대장홍대선|{{{#ffffff 대장홍대선}}}]]-- ||<-2> 2031년 예정 ||}}}}}}}}} || ||<-3> '''역사 구조''' || ||<-3>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지하 2층 ([[서울 지하철 2호선|2호선]])[br]지하 1층 ([[용산선]])[br]지하 4층 ([[인천국제공항철도|공항철도]]) ||}}}}}}}}} || ||<-3> '''승강장 구조''' || ||<-3>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복선 [[섬식 승강장]] ([[서울 지하철 2호선|2호선]])[br]복선 [[상대식 승강장]] ([[용산선]], [[인천국제공항철도|공항철도]]) ||}}}}}}}}} || ||<-3> '''철도거리표''' || ||<-1> [[용산역|{{{-1 {{{#585858,#a7a7a7 용산 방면}}}}}}]][br][[서강대역|서강대]][br]← 0.9 ㎞ || '''[[용산선]]'''[br]홍대입구 || [[가좌역|{{{-1 {{{#585858,#a7a7a7 가좌 방면}}}}}}]][br][[가좌역|가 좌]][br]1.7 ㎞ → || || [[서울역|{{{-1 {{{#585858,#a7a7a7 서울 방면}}}}}}]][br][[공덕역|공 덕]][br]← 2.8 ㎞ || '''[[인천국제공항철도|{{{-1 인천국제공항선}}}]]'''[br]홍대입구 || [[인천공항2터미널역|{{{#!wiki style="letter-spacing: -1.35px" {{{#!wiki style="margin: -0px -10px" {{{-2 {{{#585858,#a7a7a7 인천공항2터미널 방면}}}}}}}}}}}}]][[디지털미디어시티역|디지털[br]미디어시티]][br]3.4 ㎞ → || [목차] [clearfix] == 개요 == >'''개성과 젊음의 상징, 신개념 민자역사''' >홍대입구역은 1984년 서울 지하철 2호선 개통으로 영업을 개시하였다. 2010년 인천국제공항철도 2단계 구간 개통, 2012년 수도권 광역전철 경의선 2단계 구간이 개통되면서 서울지하철과 공항철도, 경의중앙선 등 세 개의 노선이 연결되는 여객수송의 중심역으로 떠올랐다. 개성과 젊음의 랜드마크인 홍대입구역은 2018년 공덕역 등 경의선 일부 역사들과 함께 수익형 민자사업 'BOT(Build Operate Transfer)'로 지어졌다. 2만 844㎡의 넓은 부지에 300실 규모의 호텔과 쇼핑몰, 회사 사옥이 지하 역사와 어우러진 새로운 형태의 현대식 복합민자역사로 경의선 숲길과 더불어 시민의 사랑을 받고 있다. >---- >[[국가철도공단]] 공식 소개 문구 * [[서울 지하철 2호선]] 239번.[* 개정 전 39번.] [[서울특별시]] [[마포구]] [[양화로]] 지하160 ([[동교동]] 165) 소재.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K314번, [[인천국제공항철도]] A03번. [[서울특별시]] [[마포구]] [[양화로]] 지하188 ([[동교동]] 190-1) 소재. == 역 정보 == || [[파일:동교행.jpg]] || || [[대림역]] 플랩식 [[행선기]]에 '동교행'이 표시된 모습 || 본래 2호선 개통 당시에는 동교동에 역이 있어서 '''동교역'''(東橋驛)이라는 이름으로 개통이 예정되어 있었으나, [[홍익대학교]] 측의 요구로 개통 5일 전인 1984년 5월 18일에 지금의 이름이 되었다. 서울지하철 2호선 건설지에 따르면 당시 홍익대생들이 역명을 바꿔달라는 시위를 벌였고 지하철 시설물을 훼손하는 등의 강경한 행동이 있었다. 대학 측의 요청으로 개통 5일 전에 역명을 바꾼 것이기에 개통 당시에는 동교라고 표기된 경우를 종종 볼 수 있었다. 당시 노선도에는 동교라고 인쇄되었던 역이 홍대입구로 이름이 바뀌면서 스티커를 덧붙였고[*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84112900239101007|「萬物相」]], 조선일보, 1984-11-29], [[당산철교]]가 재시공되던 시기 전동차 측면롤식 행선지는 동교와 홍대입구가 같이 쓰였다. 같은 편성인데 칸마다 동교와 홍대입구로 표기가 달랐다. 이후 역명에 대학 이름 붙이기 열풍이 시작되었다. 홍대입구역은 대학 이름이 붙은 역명 중 가장 성공한 사례로 손꼽힌다. 주변 상권이 홍대라고 불리며 지명이 되었고, 공항철도의 개통으로 외국인들이 공항에서 서울 도심으로 들어갈 때 처음 접하게 되는 대학역명이 되었다. 줄여서 부를 때는 홍대생들은 주로 '홍입역' 혹은 '홍대역'으로 부른다. 오히려 '홍대로 와'라고 하면 진짜 홍대가 아니라 홍대입구역을 지칭하기도 한다. 2022년 [[서울교통공사]]의 대대적인 [[부역명 유상판매 정책]]에 따라 부역명으로 [[에듀윌]]이 붙었다.[*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2080210110213138|「"50개 지하철역 중 16개만 팔려"..서울교통공사 시청역 다시 판다」]], 머니투데이, 2022-08-02] 4번 출구에 공인중개사 학원 지점이 하나 있지만 그룹의 거점 장소라고 하기는 어려운 곳인데, 기존 에듀윌이 부역명 구매를 추진하던 [[노량진역]]이 주민 반대에 부딪혀 실패한 데다 홍대입구역의 상징성을 통한 브랜드 인지도 강화의 전략으로 풀이된다. 하지만 2023년에 홍대입구역 부역명이 재낙찰 대상에 올랐고, "에듀윌학원" 부역명이 1년도 되지 않아서 삭제되었다. [[대장홍대선]]의 종점으로 계획되어 있다. === [[서울 지하철 2호선]] === || [[파일:홍대입구역 2호선 .jpg|width=400]] || || {{{#fff 2호선 대합실}}} || [[서울 지하철 2호선]] 개통 당시부터 [[섬식 승강장]]으로 설계하고 합정역 방향에 Y자 유치선을 만들어놨다. 홍대입구역 개통 당시에는 2호선 북부와 남부 간 수요에 차이가 컸기 때문에 7분 간격으로 운행되는 순환 전동차와 함께 7분 간격으로 홍대입구 - [[삼성역(도시철도)|삼성]] 간을 오가는 전동차가 운행되었고, 이 전동차의 회차에 Y자 유치선이 사용되었다. 홍대입구 - 삼성 반복 열차는 1986년 2월에 사라졌지만[* 출처: 서울특별시 도시기반건설본부(2003), 서울지하철건설삼십년사], 지금도 이 역에서 시종착하는 첫차와 막차가 양방향 한 대씩 존재하고 이 역에 주박한다. 홍대입구역과 홍대 상권이 흥한 현재 이 Y자 회차선은 꽤 유용한데, 주말 이 역에서 시발하는 첫차는 클럽에서 나온 인원들로 입석까지 발생하는 정도라고 한다.[* [[http://web.archive.org/web/20190810012448/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2/06/25/2012062500197.html|「[술에 너그러운 문화, 범죄 키우는 한국] 서울 홍대앞 새벽 5시반, 첫 지하철은 '취객들 귀가 열차'」]], 조선일보, 2012-06-25, 2019년 8월 10일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2/06/25/2012062500197.html|원본 페이지]]에서 보존된 페이지] [[당산철교]]가 재시공될 때 2호선을 합정 - 성수 - 당산 간 편도 노선의 형태로 운영했는데, [[합정역]]에는 회차선이 없었기 때문에 많은 열차를 받을 수 없었다. 그래서 합정역은 20분 간격으로 최소한의 열차만을 들여보내고 회차선이 있는 이 역에서 대부분의 [[서울 지하철 2호선]] 열차가 종착하였다. 이 기간 운영했던 [[당산역]]~[[합정역]]~홍대입구역 간 무료 셔틀버스 역시 열차가 많은 홍대입구역까지 운행하였다. 개통 당시에는 역 대합실과 한참 떨어진 곳, 현재의 3번 출구 자리에 3번 출구와 4번 출구가 있었으며, 대합실과는 긴 통로로 연결되어 있었다. 이 통로는 1981년 서울시에서 홍대입구역(당시명 동교역)에 [[용산선]]과 환승 통로로 쓰려고 미리 만들어 두었던 것이다.[*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81091700329210020|「地下鐵·철도역 乘換시설」]], 경향신문, 1981-09-17] 용산선의 복선 전철화 및 [[수도권 전철]] 운행 계획은 [[1976년]]~[[1977년]]부터 계획되었으며, 동교역 신설도 계획되고 있었다.[*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77071900209207005|「龍山~城北 7개驛増設 水色·龍山사이는複線化」]], 동아일보, 1977-07-19] 舊 3번 출구는 용산선 지하화 및 공항철도 공사에 따라 [[2004년]] 폐지되었고 [[인천국제공항철도]]가 개통하는 [[2010년]]에 舊 3번 출구와 거의 비슷한 자리에 新 3번 출구가 생겼으며, 3번 출구는 공항철도 관할로 넘어갔다. 舊 4번 출구는 [[2006년]] 폐지되었고 그 자리는 [[서울 지하철 2호선]]과 [[인천국제공항철도]]-[[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의 환승통로로 사용되고 있다. 新 4번 출구는 원래 없었던 출구이다.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경의·중앙선]], [[인천국제공항철도|공항철도]] === || [[파일:홍대입구역 용산선, 인천국제공항철도.jpg|width=400]] || || 경의·중앙선 & 인천국제공항철도 대합실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경의·중앙선]]과 [[인천국제공항철도]] 홍대입구역은 통합 설계되어 대합실을 같은 층에서 공유한다. 경의·중앙선 역사는 지하역사이면서도 [[수도권 전철 1호선|1호선]]의 [[청량리역]]처럼 승강장보다 대합실이 아래층에 있는 몇 없는 역사이다. 환승통로와 대합실이 같은 층에 있다 보니 열차에서 내리면 무조건 내려가게끔 되어 있는데, 환승 가능한 곳은 승강장 끝에만 있다(문산 방면은 맨 앞칸, 용산 방면은 맨 뒷칸). 경의·중앙선 게이트는 찍고 들어가서 승강장으로 올라간 다음 끝단의 환승통로에서 다시 내려가야 공항철도나 2호선을 탈 수 있는데, 그 게이트를 찍지 않고 7번 출구 아래의 공항철도 게이트를 찍으면 경의·중앙선 승강장을 거치지 않게 되어서 하차량에 비해 승차량이 적게 나온다. 경의·중앙선은 6, 7번 출구만 관리하는데 6번 출구가 상당히 외져서 승차량이 적게 나오는 요인이 된다. [[인천국제공항철도]]의 경우 경의·중앙선과 복층으로 있다. 3~5번 출구를 관리하는데 비운임구역이 출구별로 달라서 출구 간의 횡단이 불가능하다. 운임구역에 비해 비운임구역이 상당히 협소하다. 3, 4번 출구는 2호선 대합실(1, 2, 8, 9번 출구)과 연결되어 있어서 공항철도를 이용한 뒤 2호선 쪽 출구를 이용할 경우 3, 4번 출구 쪽으로 나가는 것이 편하다. 환승통로를 경유한다고 돈이 더 드는 것은 아니지만, 공항철도가 민자노선이어서 환승통로를 경유해서 출구로 나간다면 필연적으로 카드를 두 번 체크하고 나가는 번거로움도 있고 환승역 특성상 환승통로는 언제나 혼잡하다. 이곳도 비슷한 환승단절의 가능성이 있는데, 환승 게이트 양 옆으로 각각 3, 4번 출구로 나가는 게이트와 5번 출구로 나가는 게이트가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경의·중앙선 대합실(6, 7번 출구) 방향으로도 나가는 게이트가 있는데 게이트 바깥으로 한국철도공사의 경의·중앙선 달대형 안내사인이 있다. 이곳으로 가면 운임이 추가로 부여되므로 반대편 환승 게이트를 이용해야 한다. [[인천국제공항철도]],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의 5~7번 출구는 홍대보다 [[신촌]]과 가까운 곳에 뚫려 있다. 왜냐하면 동교동삼거리에서 신촌 방향으로 출구가 5번, 6번, 7번 출구가 있기 때문이다. 단, 4번 출구는 2호선 홍대입구역 근처이다. [[인천국제공항철도]]를 타고 와서 신촌이나, 홍대와 신촌 사이에 있는 산울림 소극장 쪽으로 갈 경우 6~7번 출구로 나오는 것이 유리하다. 2호선을 타게 된다면 버스를 타고 한 정거장을 가는 편이 낫다. 운임구획이 상하행선으로 분리되어 있어 횡단이 불가능하다. 하지만 공항철도 쪽 환승통로를 이용하면 건널 수 있다. === [[막장환승]] === 2호선 홍대입구역은 [[홍익대학교]]로 올라가는 쪽의 서교로와 양화로가 만나는 곳에 있다.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경의·중앙선]]과 [[인천국제공항철도]]는 연남동 쪽의 동교동삼거리 근처에 위치하기 때문에 환승 거리가 355m에 달한다.[* [[https://newsis.com/view/?id=NISX20151221_0010490545|「"홍대입구역, 지하철 갈아타는 시간 가장 길어"」]], 뉴시스, 2015-12-21][*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55/0000360411?sid=103|「380m 걸어야 탑승…멀고 먼 지하철 환승」]], SBS, 2015-12-21] 이는 [[노원역]](294m), [[종로3가역]](312m, 1호선 ↔ 5호선), [[고속터미널역]](314m, 7호선 ↔ 9호선) 보다도 긴 환승거리이다. 2호선 승강장에서 중층으로 올라와서 2호선 역을 벗어나 [[국가철도공단]] 관리라고 표시된 시점에 오면 280m라고 표기된 표지판이 보인다. 하지만 [[서울역]], [[디지털미디어시티역]], [[노원역]], [[종로3가역]], [[고속터미널역]], [[대림역]], [[신길역]], [[동작역]] 등 막장환승으로 꼽히는 역들이 환승노선 간 고저차가 매우 심한 편이라는 점을 생각하면 홍대입구역의 2호선과 타 노선 간 환승은 그렇게 심하지 않은 편이라고 볼 수 있다. 2호선 승강장은 지하 2층,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경의·중앙선]] 승강장은 지하 1층, [[인천국제공항철도]] 승강장은 지하 4층에 있다. 이렇듯 환승 시에는 10계단 정도의 짧은 [[에스컬레이터]]만 거쳐가기에 이용 노선 간 고저차가 높은 편이 아니다. 중간에 [[무빙워크]]도 있기에 체감 환승 난도는 [[막장환승]]역 중에서는 비교적 낮은 편이다. 경의·중앙선과 공항철도 간 환승은 무난한 편이다. 다만 경의·중앙선과 공항철도의 대합실이 같은 층에 위치해 있다 보니 비운임구역에 보이는 표시를 오해해 환승단절이 될 수 있다. 엘리베이터가 완비되어 있어서 휠체어나 유모차 승객도 거리는 단축되지 않으나 돌아가는 일 없이 환승할 수 있다. 2호선 개통 당시 구 3번 출구/4번 출구와 2호선 대합실을 연결하는 긴 통로는 환승통로 역할을 염두에 둔 것이지만, 공항철도의 환승통로는 이 통로를 그대로 쓰지 않고 통로 중간 지점에서 별도로 환승통로를 개설했다. 기존 통로가 2호선에서 양화로 서쪽으로 나있는 데 반해 공항철도 역사는 양화로 동쪽에 들어섰기 때문이다. 이 역에서 2호선 ↔ 공항철도/경의·중앙선의 환승은 합정역(2호선 ↔ 6호선) ↔ 공덕역(6호선 ↔ 공항철도/경의·중앙선)의 2회 환승으로 대체할 수 있다. === 지하철 [[팬덤 광고]]의 성지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홍대입구역_지하철광고_(2).jpg|width=100%]]}}}|| || '''[[2016년]] [[몬스타엑스]] [[형원]] 홍대입구역(2호선) 광고'''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Ff_GxCaakAEFEBV.jpg|width=100%]]}}}|| || '''[[2022년|{{{#ffffff 2022년}}}]] [[뱅드림|{{{#ffffff 뱅드림}}}]] [[미나토 유키나|{{{#ffffff 미나토 유키나}}}]] 홍대입구역(공항철도) 생일 광고판을 찾아서 사진을 남긴 미나토 유키나 담당 [[성우|{{{#ffffff 성우}}}]] [[아이바 아이나|{{{#ffffff 아이바 아이나}}}]]''' || 홍대입구역은 [[아이돌]]이나 [[애니메이션]] 캐릭터 등 [[팬덤]] [[광고]]의 [[성지]]이다. 홍대입구역의 어느 곳을 봐도 광고판에 [[아이돌]] 광고나 [[오타쿠]] [[캐릭터]] 광고가 한 개쯤은 걸려있다. 홍대입구역은 젊은 유동인구가 많고, [[디지털미디어시티]]에 인접해 있는 곳이다 보니 젊은 층이 [[아이돌]]이나 [[오타쿠]] [[캐릭터]] 광고를 내기 좋다. 특히 [[애니메이트]] 홍대점이 공항철도+경의·중앙선 홍대입구역 쪽에 있어서 오타쿠 캐릭터 광고는 공항철도 홍대입구역 쪽이 많다. 공항철도~2호선 사이의 환승통로, 3·4번 출구 쪽 통로에 많이 붙어 있다. 지하철 팬덤 광고는 보통 대상이 되는 아이돌 혹은 캐릭터의 [[생일]]을 맞아서 올린다. [[서울 지하철 2호선]] 쪽 라이트박스가 매우 단가가 높다. 2호선 역들이 대체로 단가가 높은데 그들 중에서도 홍대입구역은 강남역, 삼성역, 신촌역과 함께 최상위권이다. 반면 [[인천국제공항철도]]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쪽은 저렴하다. 2호선 쪽 라이트박스는 1개월(30일) 임차에 대략 '''700만 원'''([[부가가치세]] 포함)[* [[2023년]] 700만원으로 인상됐다.] 정도 소요되는 반면, 공항철도+경의·중앙선 쪽은 1개월(30일) 임차에 대략 220만 원(VAT 포함) 정도이다. 2호선은 [[서울교통공사]]에서 광고사업자를 모집하여 사용료를 받고 광고판을 걸고, 공항철도+경의·중앙선 쪽은 [[인천국제공항철도]]([[공항철도주식회사]])에서 광고 사업자를 모집해서 사용료를 받고 광고판을 걸고 있다. == 역 주변 정보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홍대거리)] 홍대입구역 지상을 [[6번 국도]]([[양화로]]-[[신촌로(서울)|신촌로]])가 통과한다. [[서울특별시]]를 통과하는 [[국도]] 중 6번 국도와 [[48번 국도]]만이 [[광화문]] [[도로원표]]까지 진입하는데, [[1990년대]] 이전에는 [[1번 국도]]와 [[46번 국도]]도 광화문을 거쳐갔으나 [[1기 신도시]] 개발 당시 국도 노선이 변경되어 광화문을 거치지 않는다. 6번 국도는 홍대입구역과 [[서울 지하철 2호선]] [[신촌역(도시철도)|신촌역]]을 지나가는 반면, 48번 국도는 한 블럭 북쪽인 [[경의선]] [[신촌역(경의선)|신촌역]]을 지나간다. 주변 시설은 [[홍익대학교]], 서교초등학교, [[서울특별시교육청마포평생학습관]], [[삼성전자]]디지털플라자 홍대점, [[LG전자]] 베스트샵 동교점, [[KT]] 신촌지사, [[다이소]] 홍대2호점, [[영풍문고]] 홍대점, 머큐어앰배서더 홍대 [[호텔]], [[롯데호텔]] L7 호텔 등이 있다. 통칭 '''[[홍대거리]](홍대)'''라 불리는 대형 번화가를 끼고 있어 이용객이 매우 많은 역이다. 미대로 유명한 홍대로 한때는 인디 밴드 공연장과 미술품 갤러리를 중심으로 한 예술의 거리로 유명했다. 다만 홍대는 바로 붙어있지 않고 가장 가까운 9번 출구 기준 정문까지 약 500m 정도 떨어져 있다. [[버스킹]]으로 유명한 지역이기도 한데, 상업지가 확대되면서 [[젠트리피케이션]]도 일어나는 등 버스킹 일대도 변화하고 있지만 명맥은 유지되고 있다. 다만 큰 소음 등 민폐 버스킹을 하다가 주민과 상인들의 [[민원]] 폭탄을 맞고 쫓겨나는 경우도 있다. 2000년대의 홍대라고 하면 떠오르던 분위기의 가게나 공연장들은 2010년대 이후 대부분 [[합정역]], [[상수역]], 산울림 소극장 근처 등으로 이전하거나 폐업한 상태이다. 2000년대 중반 이후 홍대입구역 인근 지역은 상업화되어 새벽까지 근처의 [[클럽]]이나 [[술집]]에 오는 유동인구로 북적이고 있다. 물론 [[의류]] 가게 등 쇼핑 번화가 느낌도 유지되고 있다. [youtube(DreoJOl3Kco)] [[2020년]]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를 거치고, [[젠트리피케이션]]이 본격화하면서 홍대거리는 메인 스트리트는 3.3㎡(1평)당 임대료가 200만 원에 달해 [[대한민국]]에서 가장 비싼 곳에 등극했고, 이 때문에 메인 스트리트 이외의 지역에서는 공실이 급증하고 있다. [[신촌역(도시철도)|신촌역]] 일대 상권이 붕괴한 길을 정확히 따라가고 있다. [[금융]] 업체로는 [[SC제일은행]] 서교동지점, SC제일은행 동교동지점, [[KDB산업은행]] 마포지점, [[IBK기업은행]] 홍대역지점, [[부산은행]] 홍대역지점, [[하나은행]] 홍대역지점, 하나은행 서교동지점(홍대 앞), [[KB국민은행]] 서교동종합금융센터, [[신한은행]] 서교동지점, [[우리은행]] 서교중앙금융센터, [[수협은행]] 홍대역금융센터, [[NH농협은행]] 서교동지점(홍대 앞), [[신한은행]] 홍익대학교지점이 있다. [[제1금융권]] 시중은행 전부가 이 역 근처에 몰려 있다. 특히 [[SC제일은행]]은 홍대입구역 근처에 점포가 2개 있고, [[합정역]] 앞에도 점포가 하나 더 있다. [[지방은행]]은 [[부산은행]]만 홍대역 근처에 점포를 내고 있다. 서울 시내에 계속해서 들어서고 있는 [[전북은행]]은 홍대입구역 근처에 점포가 없다. [[제2금융권]]으로 가면 성암[[새마을금고]] 연남지점, 금모래[[신용협동조합]] 성산지점, 서서울[[농협]] 홍대역지점, [[JT친애저축은행]] 홍대역지점, [[NH투자증권]] 홍대역WM센터가 있다. 새마을금고, 신협, 농협 등은 [[가좌역]] 방면으로 걸어 들어가야 하는 곳에 있다. [[증권사]]는 [[신촌역(도시철도)|2호선 신촌역]]과 [[합정역]] 주변에 많고 홍대입구역 주변에는 NH투자증권 하나뿐이다. [[보험사]]는 [[삼성화재]] 신촌지점이 이 근처에서 유일하다. 반면 [[보험설계사]]들이 많은 보험판매법인 (GA)는 홍대입구역 일대에 30여 곳이 있다. 2000년대 후반에 들어서면서, 1980~1990년대까지 인근 지역의 중심지역할을 하던 [[신촌]]과 이대 상권을 완전히 밀어내고 [[강남역]], [[명동]]과 함께 서울 3대 번화가로서 젊음의 성지가 되고 있다. 반면에 [[합정역]], [[상수역]] 주변은 이곳의 영향으로 점점 더 번창하고 있다. 심지어 [[망원역]] 일대까지 [[망리단길]]로 불리면서 상권이 더 커지고 있다. 실제로 2000년대 중반까지는 [[신촌역(도시철도)|신촌역]]의 승하차량이 홍대입구역보다 3~4만 명 많았다. 이것이 2009~2010년을 기점으로 역전되어 현재는 홍대 쪽이 4만 명 이상 많다. 신사동 [[가로수길]], [[경리단길]]과 함께 전형적인 젠트리피케이션이 가속화된 대표적인 지역이다. [[오타쿠]]들의 성지가 될 만한 장소나 일식점이 많이 있어 [[일본]] 문화를 느낄 수 있는 거리이기도 하다. 주말과 퇴근시간대의 홍대입구역은 이용객이 매우 많이 붐빈다. 특히 [[홍익대학교]] 및 인근 유흥가에 가장 가까운 9번 출구는 계단을 올라가기 위해 줄을 서 있기도 하다. 9번 출구로 나가는 지점에서 반층 아래로 내려가면 나오는 LG팰리스빌딩, [[KFC]]와 [[GS25]]가 있는 그 건물의 내부통로를 이용하거나 길건너 1번 출구로 나와서 사거리의 횡단보도를 건너거나, 또는 하차한 위치(외선에서는 뒷쪽, 내선이라면 앞쪽)나 목적지에 따라 8번 출구를 이용할 수 있다. 공항철도 지하 5번 출구 근처에는 [[KB국민은행]] 환전센터가 영업하고 있다. 취급 통화는 [[미국 달러]], [[일본 엔]], [[중국 위안]], [[유로]], [[홍콩 달러]], [[싱가포르 달러]], [[대만 달러]], [[태국 바트]], [[베트남 동]], [[필리핀 페소]], [[인도네시아 루피아]], [[말레이시아 링깃]], [[브루나이 달러]], [[사우디아라비아 리얄]], [[아랍에미리트 디르함]], [[쿠웨이트 디나르]], [[바레인 디나르]], [[요르단 디나르]], [[이스라엘 세켈]], [[파운드 스털링]], [[스위스 프랑]], [[덴마크 크로네]], [[노르웨이 크로네]], [[스웨덴 크로나]], [[러시아 루블]], [[체코 코루나]], [[헝가리 포린트]], [[폴란드 즈워티]], [[튀르키예 리라]], [[캐나다 달러]], [[멕시코 페소]], [[브라질 헤알]], [[호주 달러]], [[뉴질랜드 달러]], [[남아프리카 공화국 랜드]]이며, 35개 통화를 취급하고 있다. 다만 서울역과는 달리 평일 9:30 ~ 17:30에 영업하고, 주말에는 영업하지 않는다. 8번 출구 근처에는 한때 [[북새통문고]]라는 유명한 만화 총판이 있었으며, 9번 출구 근처에는 [[코믹월드]] 사무실이 있다. 그러나 최근 사무실은 [[디지털미디어시티역]]으로 옮겨져 표를 구매하는 경우에는 7번 출구에 내려서 구매할 수 있다. 그러나 북새통문고는 애니메이트 홍대점에 흡수되어서 지금은 애니메이트 입구의 홍보판에 있는 북새통 로고와 애니메이트의 국내 서적 코너에서 북새통의 흔적을 찾을 수 있다. 보드게임 카페도 매우 흔하며 보드게임 판매처인 다이브다이스 샵도 역시 홍대입구역 일대에 자리잡고 있다. 대한민국의 유일한 워해머 전문매장인 [[오크타운]]도 9번 출구 인근에 있었다. 대규모 프라모델 도-소매점인 네이버하비코리아도 20XX년 5월 초에 3번 출구 근처에서 한국특허정보원빌딩 1층으로 이전하였다. 애니메이트 홍대점도 YZ파크에서 이사해 오면서 4번 출구의 AK& 5층에 들어섰다. 9번 출구 방향에 위치한 [[헌혈의 집]] 외에도 8번 출구와 4번 출구 사이에 [[한마음혈액원]] [[헌혈카페]] [[예그리나]]가 들어서 있다. 근처에 [[복싱]] 체육관, [[유도]] 및 [[용무도]] 도장 외에도 [[영춘권]] 수련원, [[극진공수도]] 마포도장, 싸비 [[종합격투기|MMA]]등의 무술도장이 다양하게 들어서 있다. 8번 출구와 가까운 어울마당로나 와우산로29길(29가, 나, 다, 라, 마길 포함) 쪽의 식당, 카페 등으로 가는 경우, 7번 출구와도 가까우므로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경의·중앙선]]이나 [[인천국제공항철도]]를 이용하였다면 7번 출구로 나오는 것이 유리하다. 7번 출구의 위치가 다소 외진 데 있어 유동인구가 8번 출구에 비해 상당히 적은 편이다. 이 역 근처에는 [[도를 아십니까]] 일행이 오가기도 한다. [[파일:Upoef0u.jpg]] [[2015년]] [[서울특별시]]에서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경의·중앙선]] 홍대입구역 뿐만 아니라 [[서울 지하철 2호선]] 홍대입구역 방면의 공터, 원래는 청기와 주유소라는 꽤 오래된 주유소 자리에도 [[호텔]]을 건립하였다. 롯데호텔의 부띠끄 호텔 브랜드 [[L7#s-1]]이 들어섰다. [[2017년]] [[10월]] 개장하였다. 3개 노선 [[환승역]]이 된 이후 홍대입구역 주변 [[땅]]값은 가파르게 치솟고 있는데, 이에 따라 여러 가지 업무, 상업시설들이 채산성이 맞게 되면서 급속도로 [[재개발]]이 되는 것이다. 청기와 주유소는 2010년 폐업하기 전까지 43년 동안 있었다. '청기와 주유소'라는 이름은 주유소 건물 지붕이 커다란 청기와였던 것에서 유래하였다. 청기와라는 이름은 주유소 부지 건너편에 위치한 이디야커피 홍대청기와점에 남아있다.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경의·중앙선]]은 이 역과 [[가좌역]] 사이에 34퍼밀의 급[[철도의 구배|구배]] 구간이 있다. 이는 효창공원앞 - 용산 구간의 급구배(34.5퍼밀)과 비슷한 수치이다. ||<-3> 홍대입구역 근방의 영화관 || || [[CGV]] || [[롯데시네마]] || [[메가박스]] || || [[CGV 홍대]][br][[CGV 연남]] || [[롯데시네마 홍대입구]] || [[메가박스 홍대]] || [[영화관]]으로는 [[롯데시네마]] 홍대입구점이 8번 출구 인근 스타피카소 건물에 들어서 있다. 롯데시네마 홍대입구점은 홍대 상권에서 가장 먼저 들어온 영화관이다. [[CGV]]는 1번 출구에 연결된 토로스 쇼핑센터에 들어섰다. 메가박스는 구 무선국관리사업단([[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 건물을 헐고 [[재건축]]하여 아일렉스 빌딩을 세웠다. 여기에 [[메가박스]]가 [[2019년]] [[메가박스 홍대]]점을 세웠다. [[CGV]]는 CGV 홍대점이 노후점포라 [[애경그룹]] 건물 옆 [[국가철도공단]] 부지를 추가로 매입하여 [[CGV 연남]] (구. CGV 홍대입구역점)을 별도로 건설했다. 개장일은 [[2021년]] [[8월]]이다. 1, 2, 3번 출구 쪽으로 나가면 [[연남동]]으로 갈 수 있다. * 1번 출구: 서교동, [[양화로]] * 2번 출구: [[연남동]], kt신촌지사, [[한국특허정보원]]빌딩 * 3번 출구: [[경의선 숲길]], 연남동주민센터, 연남치안센터, 동교동삼거리, 연희동 방면, 동방사회복지회 * 4번 출구: AK& 쇼핑몰, 동교동삼거리, 신촌오거리 방면, 김대중도서관, [[에듀윌]] 공인중개사 홍대학원 * 5번 출구: 경의선 숲길, 동교치안센터 * 6번 출구: 경의선책거리, 신촌오거리 방면 * 7번 출구: 윗잔다리어린이공원, 홍대거리 * 8번 출구: [[서울서교초등학교]], 동교동삼거리 * 9번 출구: [[극동방송]], 마포평생학습관, [[홍익대학교]], 서교푸르지오아파트 === 구 용산선 부지 개발 === || [[파일:attachment/qerfgdfadfasdf.jpg|width=92%]] || [[파일:attachment/2013082901776_1.jpg|width=100%]] || ||<-2> [[조감도]] || 2010년 6월, [[한국철도공사]]가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경의·중앙선]]/[[인천국제공항철도]] 홍대입구역 지상에 800실 규모의 [[호텔]]을 짓겠다는 [[역세권개발사업]] 발표를 했다.[* [[https://www.hankyung.com/article/201006172430e|「경의선 홍대입구역사(驛舍)에 800실 규모 호텔 들어선다」]], 한국경제, 2010-06-07][* [[https://gall.dcinside.com/board/view/?id=train&no=100642|관련 게시글]], 출처: 디시인사이드 철도(지하철) 갤러리] 참고로 현재 세교리역 자리였던 7번 출구 앞에는 2011년에 윗잔다리 어린이공원이라는 공원을 조성해 놓았다. 하지만 호텔을 짓는 자리에 칼국수집 '두리반'의 농성 장소가 있어서 난항을 겪었다. 자원봉사자는 물론 사회파 비주류 인디밴드들까지 참여했다. 비주류 인디밴드들도 [[젠트리피케이션]]으로 인해 홍대에서 공연할 기회를 점점 박탈당하게 되자 동병상련의 심정으로 이들을 도와주기로 한 것이었다. 그러다가 2년 만에 합의를 보았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5103531?sid=102|「'작은 용산' 재개발 두리반 이주대책 합의(종합)」]], 연합뉴스, 2011-06-08][* [[https://www.mbn.co.kr/news/society/1069824|「홍익대 인근 재개발 농성장 '두리반' 이주대책 합의」]], MBN, 2011-06-08] 따라서 [[2012년]] [[서울특별시]]에서 홍대입구역에 호텔을 올리는 것을 승인하였다.[* [[https://www.wowtv.co.kr/NewsCenter/News/Read?articleId=A201208020045|「홍대입구역 주변 15층 관광호텔 들어선다」]], 한국경제TV, 2012-08-02] [[2013년]] [[서울특별시]]에서 통과시켰다.[* [[http://view.asiae.co.kr/news/view.htm?idxno=2013082908575175734|「서울시, 홍대입구역 지상부지에 최고 17층 복합시설 조성」]], 아시아경제, 2013-08-29] 2013년에 착공 예정이었으나, [[2014년]]경 [[민자역사]] 건설에 많이 참여하는 [[애경그룹]]에서 우선 부지만 닦아놨다. [[파일:C7T8ecH.jpg]] [[2015년]]에 [[마포구청]]과 [[애경그룹]]이 합의한 바에 따르면, [[호텔]]을 지으면서 [[기부채납]]하게되는 조경부분에 조경을 하는 것이 아니라 [[책]] 거리를 조성한다고 한다.[* [[http://view.asiae.co.kr/news/view.htm?idxno=2014050809460723995|「홍대입구역에 국내 최초 ‘책 거리’ 조성」]], 아시아경제, 2014-05-08] 시공사는 [[한진중공업]]으로 정해졌다.[* [[http://www.newstomato.com/ReadNews.aspx?no=559936|「한진중공업, 880억 규모 홍대입구역 복합시설 개발 사업 수주」]], 뉴스토마토, 2015-06-02] 책거리공사는 시작되었고[* [[https://www.yna.co.kr/view/PYH20150901134700013|「박홍섭 마포구청장, 경의선 책거리 현장회의 참석」]], 연합뉴스, 2015-09-05], 복합역사도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2017년]] 책거리 사업은 완공되었고, 책거리 사업 완공에 따라 본격적으로 애경복합역사의 건축이 시작되었다. || [[파일:image_readtop_2018_30057_15159081043171088.jpg|width=100%]] || || [[2018년]] [[1월]] 공정 현장[* [[https://www.mk.co.kr/news/business/8152486|「홍대입구역에 올라가는 대형 건물의 정체가…」]], 매일경제, 2018-01-14] || [[애경그룹]]에서는 이 건물을 신 본사로 사용하기로 하였다.[* [[https://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8/01/14/2018011400592.html|「애경, 8월 ‘홍대 시대’ 개막…올해 4600억원 투자·1300명 채용 계획」]], 조선비즈, 2018-01-14] || [[파일:00501756_20180822.jpg]] || 2018년 8월에 완공되었다. [[애경그룹]]은 [[2018년]] [[8월 22일]] 해당 사옥에 입주하였으며, 빌딩 명을 '''애경타워'''로 정하였다. 이후 [[AK플라자]] 계열의 복합 쇼핑몰인 [[AK플라자 홍대점]]과 [[제주항공]]이 운영하는 3성급 호텔인 홀리데이 인 익스프레스 서울 홍대가 들어섰다. == 일평균 이용객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 {{{#ffffff '''연도'''}}} || [[서울 지하철 2호선|[[파일:Seoulmetro2_icon.svg|width=25]]]]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파일:GJLine_icon.svg|width=25]]]] || [[인천국제공항철도|[[파일:AREX_icon.svg|width=25]]]] || {{{#ffffff '''총합'''}}} || {{{#ffffff '''비고'''}}} || ||<^|1><-6>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1994년~2009년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 1994년 || 62,137명 ||<|16> {{{#fff,#1f2023 12,466명}}} ||<|16> {{{#fff,#1f2023 25,072명}}} ||<|16> {{{#fff,#1f2023 205,323명}}} || || || 1995년 || 76,097명 || || || 1996년 || 80,832명 || || || 1997년 || 69,952명 || || || 1998년 || 67,725명 || || || 1999년 || 자료없음 || || || 2000년 || 86,991명 || {{{#fff,#1f2023 비고}}} || || 2001년 || 83,167명 || || || 2002년 || 83,700명 || || || 2003년 || 84,996명 || || || 2004년 || 89,802명 || || || 2005년 || 93,150명 || || || 2006년 || 94,625명 || || || 2007년 || 97,857명 || || || 2008년 || 104,267명 || || || 2009년 || 108,044명 || ||}}}}}}}}} || || 2010년 || 113,551명 ||<|2> || 6,742명 || 120,293명 || [* 공항철도의 자료는 개통일인 12월 29일부터 12월 31일까지 3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 || || 2011년 || 123,841명 || 11,316명 || 135,157명 || || || 2012년 || 126,995명 || 3,548명 || 16,901명 || 147,444명 || [* 경의·중앙선의 자료는 개통일인 12월 15일부터 12월 31일까지 17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 || || 2013년 || 137,019명 || 4,147명 || 17,537명 || 158,703명 || || || 2014년 || 150,249명 || 5,926명 || 18,890명 || 175,065명 || || || 2015년 || 152,317명 || 11,005명 || 21,402명 || 184,724명 || [* 공항철도의 자료는 해당 연도까지 [[http://www.kric.go.kr/jsp/industry/rss/citystapassList.jsp?q_org_cd=A010010029&q_fdate=2017|국토교통부 철도통계]]의 자료를 반영하였으며, 환승인원이 포함되어 있다.] || || 2016년 || 159,024명 || 12,040명 || 16,789명 || 187,853명 || || || 2017년 || 162,547명 || {{{#77c4a3 12,466명}}} || 18,400명 || 193,413명 || || || 2018년 || 165,072명 || 12,443명 || 20,958명 || 198,473명 || || || 2019년 || {{{#00a84d 167,873명}}} || 12,378명 || {{{#0090d2 25,072명}}} || {{{#red 205,323명}}} || || || 2020년 || 95,082명 || 7,465명 || 15,259명 || 117,806명 || || || 2021년 || 92,831명 || 7,522명 || 16,581명 || 116,934명 || || || 2022년 || 118,769명 || 9,377명 || 21,877명 || 150,023명 || || || 2023년 || || || || || || ||<-6> {{{#ffffff '''출처'''}}} || ||<-6>[[서울 지하철 2호선|[[파일:Seoulmetro2_icon.svg|width=17]]]]: [[http://www.seoulmetro.co.kr/kr/board.do?menuIdx=548|서울교통공사 자료실]][* 옛 자료 출처: [[http://www.riss.kr/search/Search.do?isDetailSearch=N&searchGubun=true&viewYn=OP&query=%EC%A7%80%ED%95%98%EC%B2%A0+%EC%88%98%EC%86%A1%EA%B3%84%ED%9A%8D|지하철 수송계획]], [[http://www.riss.kr/search/Search.do?isDetailSearch=N&searchGubun=true&viewYn=OP&query=%EC%A7%80%ED%95%98%EC%B2%A0+%EA%B2%BD%EC%98%81|서울지하철경영]]]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파일:GJLine_icon.svg|width=17]]]]: [[https://info.korail.com/info/selectBbsNttList.do?bbsNo=425&key=867|한국철도공사 광역철도 수송통계 자료실]] [[인천국제공항철도|[[파일:AREX_icon.svg|width=17]]]]: [[http://data.seoul.go.kr/dataList/datasetView.do?infId=OA-12252&srvType=S&serviceKind=1¤tPageNo=1|서울열린데이터광장]] || }}} * 경의·중앙선 이용객 수는 전용 출구인 6, 7번 출구 방면의 경의·중앙선 게이트 이용객만 처리한 숫자이다. 6, 7번 출구의 위치가 매우 외진 곳에 있다는 점과, 2012년 이전과 이후의 2호선 게이트 승하차객 수 증가 추이 변화를 감안하면 실질적으로 경의·중앙선 홍대입구역 승하차 인원은 적어도 2만 명대 이상일 것으로 보인다. 공항철도 역시 환승 게이트가 있지만 보통 환승인원을 승하차 인원에 포함시키지 않음을 고려하면 역시 실질적인 승하차 인원 수는 더 높을 가능성도 있다. 2호선과 공항철도와 경의·중앙선의 승하차량이 급증하면서 2015년에는 수도권 전체 역들 중 승하차수 5위를 기록하였으며, 한강 이북 지역에서 [[서울역]]을 밀어내고 1위를 기록했다. 강남-고속터미널-잠실-사당-홍대입구 순으로, 1~4위는 모두 한강 이남 소재 역들이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8233243?sid=103|「'하루 20만명' 강남역 이용객 1위...홍대입구역은 5위로 껑충」]], 연합뉴스, 2016-03-06] 4개 역 모두 [[강남3구]]에 소재한 역이다. 다만 [[사당역]]은 역 위를 달리는 [[동작대로]] 기준으로 동쪽 절반만 강남3구인 [[서초구]] [[방배동]]이고 서쪽은 5권역인 [[동작구]] [[사당동]]과 [[관악구]] [[남현동(관악구)|남현동]]이므로 강남3구가 아니다. 2019년 기준으로는 수도권 전체 이용객 3위를 기록하면서 일평균 승하차 인원이 20만 명에 달했다. 대한민국의 모든 철도역 중에서 연도별 일평균 승객 20만 명을 기록한 역은 강남역, 잠실역, 홍대입구역, 서울역 4개가 전부이다. 2호선 전체를 통틀어 [[왕십리역]]과 더불어 최근 10년 이내에 극적으로 승객이 늘어난 역이다. 2000년대 후반부터 홍대 예술의거리 및 홍대공연 등 문화적인 부분에서 주목을 받아 상권 자체가 급성장해 많은 수혜를 봤고, 왕십리역도 마찬가지로 2008년 민자역사의 완공으로 상권이 갑자기 비대해지면서 수요가 늘어났다. 또한 바로 옆에 각각 [[신촌]], [[청량리(서울)|청량리]]라는 기존 상권 중심지가 있었는데 이들을 밀어내고 지역 대표 상권으로 발돋움한 것도 공통점이다. 현재는 2호선 내에서도 [[강남역]]과 [[잠실역]]에 이어 이용객 수 3위이며, 또한 두 노선을 모두 합한 [[사당역]]보다 일평균 이용객이 더욱 많다. 대현동 [[이대]] 상권의 몰락으로 [[이대역]]의 승객들을 대거 가져온 것도 있다. 이 중 홍대입구역은 2010년대 초반에 공항철도, 경의·중앙선의 개통으로 [[인천광역시]], [[고양시]], [[파주시]], [[김포시]]에서 접근이 쉬워진 것이 홍대 상권의 성장과 더불어 이용객 급증에 커다란 영향을 끼쳤다. 또한 기존의 상업 중심지들은 하나같이 주요 도로가 교차하는 교차점에 위치하여 있었다. 예를 들어 [[명동]]은 [[남대문로]]-[[을지로]]-[[퇴계로(서울)|퇴계로]], [[강남역]]은 [[강남대로]]-[[테헤란로]], [[영등포]]는 [[경인로]]-[[영등포로]], [[신촌]]은 [[신촌로(서울)|신촌로]]-[[성산로(서울)|성산로]]-[[연세로]], [[건국대학교]] 상권은 [[아차산로]]-[[능동로(서울)|능동로]], [[잠실]]은 [[송파대로]]-[[올림픽로]], [[사당역]]은 [[동작대로]]-[[남부순환로]]의 교차점이고 비수도권에서도 [[부산]]의 [[서면]], [[대구광역시]]의 [[동성로(대구)|동성로]], [[광주광역시]]의 [[충장로(광주)|충장로]], [[대전광역시]]의 [[은행동(대전)|은행동]] 모두 주요 대로가 교차하는 위치에 있다. 그러나 [[홍대거리]]만큼은 [[양화로]]를 제외하고 붙어있는 주요 도로가 없다. 전통적으로 [[마포구]]의 교통 중심지는 [[신촌]]이었고 따라서 오래 전부터 도로망과 버스 등은 신촌을 중심으로 연계되어 있었기에 홍대로 가는 길은 상대적으로 빈약했다. 대표적으로 7권역(마포구 서부, 고양시, 파주시)에서 오는 거의 모든 버스들은 홍대가 아닌 신촌을 가로지르고, 홍대에는 6권역(영등포구, 강서구, 양천구, 인천광역시, 부천시, 김포시)에서 오는 버스들이 있으나 이들 모두가 신촌을 같이 지나가며, 심지어 이들 노선의 대부분은 7권역과 마찬가지로 신촌이 기점이다. 따라서 자가용 및 버스로 홍대까지 오기는 다른 번화가들에 비해서도 상당히 어려운 일이기에 지하철의 의존도가 비교적 높아질 수밖에 없었고, 홍대입구역은 폭발적인 승객 증가를 경험하였다. 그뿐만 아니라 홍대입구역에서 만나는 이용객들은 지하철에 대한 의존도가 높을 수밖에 없는 것도 한몫하는데, 강남이나 건대거리와 같은 서울의 다른 번화가는 각각 경기도에서 찾아오는 버스가 있지만, 홍대입구역에 오는 버스는 인천이나 고양시, 파주시, 김포시 출발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광명, 안양, 성남 등 경기 남부나 하남, 구리, 남양주와 같은 경기 동부, 의정부 양주와 같은 경기 북부 지역에서는 이 역에 직통하는 버스가 없고, 그만큼 최종 목적지가 홍대입구역일 때는 신도림역, 구로디지털단지역, 사당역, 강남역, 을지로입구역,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 왕십리역 등에서 버스나 타 지하철 노선으로부터 2호선으로 환승해서 와야 하기 때문이다. 특히 안양시나 광명시에서 이 역에 갈 때 거의 전철을 이용하는 것이 주목할 만한데, 서부간선도로의 고질적인 정체로 홍대까지 가는 수요는 꽤 있어도 버스나 자가용으로 가면 시간이 오래 걸린다. 자가용으로 가면 주차 공간 문제도 있다. 이를 단적으로 나타내는 것이 승하차 인원이다. 폭발적으로 증가하기 직전인 2007년에는 홍대입구역을 하루에 이용하는 숫자가 평균 9만 7천 명대로 10만 명에 살짝 못 미치는 정도였지만, 12년이 지난 2019년에는 하루 평균 이용객 205,323명으로 대한민국 모든 철도역 중 승하차 인원이 세 번째로 많은 역이 되었다. 같은 시기에 상권이 급성장한 건대 상권과 비교해도 동시기의 건대입구역이 10년간 108,257명(2007년) → 129,136명(2017년)으로 약 2만 명이 증가하는 동안 홍대입구역은 10만 명 가까이 증가하였음을 고려하면 홍대 인근의 지하철 의존도가 매우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2호선 홍대입구역은 마포구내는 물론 서울 서북권 내 도시철도역 중 이용객이 가장 많은 역이다. 2020년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해서 작년에 비해 승하차객 수가 많이 줄어들었지만 2022년에 코로나가 어느 정도 안정이 돼 승하차 수가 많이 늘어났다. == 승강장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홍대입구역(2) 안내도(2023.7).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45deg, #77C4A3 50%, #0090D2 50%)" '''{{{#ffffff 역 안내도 ([[https://drive.google.com/file/d/1hy30T3h27PXu_dXEF5PzXzoms0DwCnkJ/view?usp=drive_link|{{{#ffffff 크게보기}}}]])}}}'''}}} || === [[서울 지하철 2호선]] === || [[파일:attachment/1111111.jpg|width=100%]]|| || {{{#fff '''서울 지하철 2호선 승강장'''}}} || 80년대에 지어진 승강장으로, 승강장 폭이 좁은 편이다. 당시에는 홍대입구역의 이용객이 이렇게 폭발적으로 증가할 것을 고려하지 못한 채로 지었기 때문이다. 더군다나 섬식 승강장이 완전한 직사각형 형식이 아니라 나뭇잎 모양처럼 양 끝부분의 면적이 전체 면적에 비해서 점점 좁아지는 형식인데, [[섬식 승강장]]이기에 선로를 떨어뜨려 놓아야 하는 특성상 양쪽 끝부분의 승강장이 부득이하게 좁아진 것이다. 승강장 끝부분의 경우 3호선 [[종로3가역]] 승강장의 폭과 비슷하다. 때문에 좁은 승강장인데 끝부분에 승객이 많이 몰리면 [[신도림역]]처럼 혼잡해진다. 이로 인해 지도상으로는 직선 승강장으로 보일 수도 있지만 실제로는 곡선 승강장이다. 승강장 확장 관련 건의 [[민원]]이 지속적으로 올라오지만 섬식 승강장이라 추가 확장이 어렵다. 여름철과 겨울철에 승강장 내 냉난방을 상시로 해 놓는 역이기도 한데 승강장 전체에 냉난방을 하려면 전기 요금이 천문학적으로 들어가나 그만큼 이용객이 매우 많으므로 승객들의 편의를 배려한 것이기도 하다. 비슷한 역으로 [[강남역]]이 있는데 강남역도 승객 편의를 위해 여름철과 겨울철에 상시 냉난방을 한다. 이 역에서 외선순환 열차를 타면 자신이 탄 문(진행 방향 기준 왼쪽)이 다시 열리는 역이 5개 정거장 차이가 나는 [[신도림역]]이다. ||<-4> [[합정역|합정]] ↑ || || ㅣ || {{{#ffffff 내}}} || {{{#ffffff 외}}} || ㅣ || ||<-4> ↓ [[신촌역(도시철도)|신촌]] || || {{{#ffffff 외}}} ||<|2> [[파일:Seoulmetro2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2호선]] ||[[영등포구청역|영등포구청]]·[[신도림역|신도림]]·[[사당역|사당]]·[[교대역(서울)|교대]] 방면|| || {{{#ffffff 내}}} ||[[시청역(서울)|시청]]·[[을지로3가역|을지로3가]]·[[왕십리역|왕십리]]·[[성수역|성수]] 방면|| === [[인천국제공항철도]] === || [[파일:attachment/1111112.jpg|width=100%]]|| || {{{#fff '''인천국제공항철도 승강장'''}}} || || [[파일:공항철도 홍대입구역 역명판.jpg|width=100%]] || || {{{#fff '''인천국제공항철도 역명판'''}}} || ||<-4> ↑ [[공덕역|공덕]] || || {{{#ffffff 상}}} || ㅣ || ㅣ || {{{#ffffff 하}}} || ||<-4> [[디지털미디어시티역|디지털미디어시티]] ↓ || || {{{#ffffff 상}}} ||<|2> [[파일:AREX_icon.svg|width=17]] [[인천국제공항철도]] ||[[공덕역|공덕]]·[[서울역]] 방면|| || {{{#ffffff 하}}} ||[[디지털미디어시티역|디지털미디어시티]]·[[김포공항역|김포공항]]·[[계양역|계양]]·[[인천공항2터미널역|인천공항2터미널]] 방면|| 엄청난 승객 수요를 감안하여 2호선 홍대역 섬식 승강장 너비만큼 상대식 승강장 폭을 매우 넓게 지었다. 이 역은 유일하게 전동차 안에서 열차와 승강장 사이가 넓다는 방송을 한다.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 || [[파일:attachment/ghdeodlqrndurruddmltjs.png|width=100%]] || || {{{#fff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승강장'''}}} || 공항철도, 2호선 환승 시 문산역 방향은 1번 칸, 용문역 방향은 8번 칸 쪽 환승통로를 이용해야 한다. 중간에 있는 에스컬레이터나 엘리베이터를 이용하면 하차하는 통로밖에 없다. ||<-4> ↑ [[가좌역|가좌]] || || {{{#ffffff 1}}} || ㅣ || ㅣ || {{{#ffffff 2}}} || ||<-4> [[서강대역|서강대]] ↓ || || {{{#ffffff 1}}} ||<|2> [[파일:GJLine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디지털미디어시티역|디지털미디어시티]]·[[대곡역(고양)|대곡]]·[[일산역|일산]]·[[문산역|문산]] 방면|| || {{{#ffffff 2}}} ||[[공덕역|공덕]]·[[용산역|용산]]·[[청량리역|청량리]]·[[용문역(중앙선)|용문]] 방면|| 엄청난 승객 수요를 감안하여 2호선 홍대입구역 섬식 승강장 너비만큼 상대식 승강장 폭을 매우 넓게 지었다. ==== 급행열차 시간표 ==== ===== 문산 방면 ===== ||<-18> {{{#ffffff '''문산'''}}} {{{#ff0000 '''급행'''}}} {{{#ffffff '''(경의선 구간)'''}}} || || 열차번호 || [[용문역(중앙선)|용 문]] || [[팔당역|팔 당]] || [[덕소역|덕 소]] ||<|7>'''···'''|| [[용산역|용 산]] || [[공덕역|공 덕]] || '''홍대입구''' || [[디지털미디어시티역|디엠시]] || [[행신역|행 신]] || [[대곡역(고양)|대 곡]] || [[백마역|백 마]] || [[일산역|일 산]] || [[탄현역|탄 현]] || [[운정역|운 정]] || [[금릉역|금 릉]] || [[금촌역|금 촌]] || [[문산역|문 산]] || ||<-4> ||<-13> '''출근 시간대''' || || ①K5702 || 06:11 || 06:53 || 06:59 || 07:50 || 07:55 || '''07:59''' || 08:04 || 08:13 || 08:17 || 08:21 || 08:26 || 08:28 || → || 08:34 || 08:37 || 08:45 || || ②K5704 || 06:36 || 07:16 || 07:24 || 08:20 || 08:26 || '''08:30''' || 08:35 || 08:43 || 08:48 || 08:53 || 08:57 || 09:00 || → || 09:06 || 09:09 || 09:19 || ||<-4> ||<-13> '''퇴근 시간대''' || || ①K5706 || || 17:31 || 17:38 || 18:33 || 18:37 || '''18:40''' || 18:45 || 18:53 || 18:58 || 19:02 || 19:06 || 19:08 || → || 19:15 || 19:18 || 19:25 || || ②K5708 || || || 18:15 || 19:06 || 19:10 || '''19:14''' || 19:18 || 19:28 || 19:33 || 19:37 || 19:41 || 19:43 || 19:47 || 19:50 || 19:52 || 20:02 || ('''용문·팔당·덕소역'''부터 '''용산역'''까지 모든 역에 정차함) ===== 용문 방면 ===== ||<-18> {{{#ffffff '''덕소·팔당·용문'''}}} {{{#ff0000 '''급행'''}}} {{{#ffffff '''(경의선 구간)'''}}} || || 열차번호 || [[문산역|문 산]] || [[금촌역|금 촌]] || [[금릉역|금 릉]] || [[운정역|운 정]] || [[탄현역|탄 현]] || [[일산역|일 산]] || [[백마역|백 마]] || [[대곡역(고양)|대 곡]] || [[행신역|행 신]] || [[디지털미디어시티역|디엠시]] || '''홍대입구''' || [[공덕역|공 덕]] || [[용산역|용 산]] ||<|7>'''···'''|| [[덕소역|덕 소]] || [[팔당역|팔 당]] || [[용문역(중앙선)|용 문]] || ||<-14> '''출근 시간대''' ||<-3> || || ①K5701 || 06:24 || 06:33 || 06:35 || 06:39 || 06:42 || 06:45 || 06:49 || 06:54 || 06:58 || 07:04 || '''07:09''' || 07:14 || 07:19 || 08:09 || 08:16 || || || ②K5703 || 06:52 || 07:00 || 07:03 || 07:06 || 07:10 || 07:12 || 07:16 || 07:21 || 07:24 || 07:30 || '''07:35''' || 07:40 || 07:44 || 08:38 || || || || ③K5705 || 07:15 || 07:23 || 07:26 || 07:29 || 07:33 || 07:35 || 07:40 || 07:44 || 07:48 || 07:54 || '''07:59''' || 08:04 || 08:09 || 09:01 || || || ||<-14> '''퇴근 시간대''' ||<-3> || || ①K5707 || 17:55 || 18:03 || 18:06 || → || 18:13 || 18:15 || 18:19 || 18:24 || 18:27 || 18:33 || '''18:38''' || 18:43 || 18:47 || 19:43 || 19:49 || 20:26 || ('''용산역'''부터 '''덕소·팔당·용문역'''까지 모든 역에 정차함) ||<-17> {{{#ffffff '''용문'''}}} {{{#ff0000 '''급행'''}}} {{{#ffffff '''(중앙선 구간)'''}}} || || 열차번호 || '''홍대입구''' ||<|4>'''···'''|| [[용산역|용 산]] || [[이촌역|이 촌]] || [[옥수역|옥 수]] || [[왕십리역|왕십리]] || [[청량리역|청량리]] || [[회기역|회 기]] || [[상봉역|상 봉]] || [[구리역|구 리]] || [[도농역|도 농]] || [[덕소역|덕 소]] || [[도심역|도 심]] || [[양수역|양 수]] || [[양평역(중앙선)|양 평]] || [[용문역(중앙선)|용 문]] || ||<-2> ||<-14> '''퇴근 시간대''' || || ①K5851 || '''19:18''' || 19:28 || 19:32 || 19:38 || 19:43 || 19:48 || 19:51 || 19:55 || 20:00 || 20:03 || 20:09 || 20:11 || 20:21 || 20:36 || 20:44 || || ②K5853 || '''21:47''' || 21:57 || 22:01 || 22:07 || 22:12 || 22:16 || 22:19 || 22:23 || 22:31 || 22:34 || 22:39 || 22:42 || 22:51 || 23:05 || 23:13 || ('''문산역'''부터 '''이촌역'''까지 모든 역에 정차함) == 연계 버스 == ||<-8> {{{#ffffff '''양화로-신촌로 중앙버스전용차로'''}}} || || {{{#33cc99 일반}}} || 서교동 ||<|2> ← ||<|2> {{{+1 '''홍대입구역'''}}} ||<|2> ↔ ||<|2> {{{+1 '''동교동삼거리'''}}} ||<|2> → ||<|2> 신촌오거리.[br]현대백화점 || || {{{#ff0000 급행}}} || 합정역 || 홍대입구역 정류소는 2호선 역사와 가깝고, 동교동삼거리 정류소는 경의·중앙선/공항철도 역사와 가깝다. 아래 표에서 버스 노선번호 옆의 * 표시는 홍대입구역(중) 정류소에만 정차한다는 뜻이고, ** 표시는 동교동삼거리(중) 정류소에만 정차한다는 뜻이다. ||<-3><#00a3e0> {{{#ffffff '''홍대입구역 연계 버스 정보'''}}} || || '''정류소''' || '''구분''' || '''노선''' || ||<|10> '''홍대입구역(중)'''[br](14015)[br]↓[br]'''동교동삼거리(중)'''[br](14061) ||<#5bb025> 마을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마포09|{{{#fff 마포09(신촌역)}}}]]}}} || ||<#5bb025> 지선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5712|{{{#fff 5712*(종점)}}}]]}}}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5714|{{{#fff 5714(서강대)}}}]]}}}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6712|{{{#fff 6712(서강대)}}}]]}}}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6713|{{{#fff 6713(철산동)}}}]]}}}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6716|{{{#fff 6716(이대역)}}}]]}}}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7016|{{{#fff 7016(상명대)}}}]]}}}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7611|{{{#fff 7611**(여의도)}}}]]}}}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7612|{{{#fff 7612*(명지대)}}}]]}}}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7613|{{{#fff 7613**(여의도)}}}]]}}}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7711|{{{#fff 7711*(종점)}}}]]}}}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7734|{{{#fff 7734*(진관동)}}}]]}}}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7737|{{{#fff 7737*(독립문역)}}}]]}}}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7739|{{{#fff 7739*(수색역)}}}]]}}} || ||<#5bb025> 맞춤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8773|{{{#fff 8773*(녹번역)}}}]]}}} || ||<#3d5bab> 간선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95em" [[서울 버스 110|{{{#fff 110B**(정릉동)}}}]]}}}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95em" [[서울 버스 270|{{{#fff 270**(양원역)}}}]]}}}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95em" [[서울 버스 271|{{{#fff 271(면목동)}}}]]}}}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95em" [[서울 버스 273|{{{#fff 273(신내역)}}}]]}}}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95em" [[서울 버스 602|{{{#fff 602(시청)}}}]]}}}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95em" [[서울 버스 603|{{{#fff 603(서울역)}}}]]}}}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95em" [[서울 버스 604|{{{#fff 604(충무로역)}}}]]}}}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95em" [[서울 버스 721|{{{#fff 721**(건대입구역)}}}]]}}}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95em" [[서울 버스 740|{{{#fff 740**(삼성역)}}}]]}}}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95em" [[서울 버스 753|{{{#fff 753**(숭실대)}}}]]}}}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95em" [[서울 버스 761|{{{#fff 761*(진관동)}}}]]}}} || ||<#3d5bab> {{{#ffc600 심야}}}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95em" [[서울 버스 N26|{{{#ffc600 N26(신내역)}}}]]}}}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95em" [[서울 버스 N51|{{{#ffc600 N51(하계역)}}}]]}}}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95em" [[서울 버스 N62|{{{#ffc600 N62(면목동)}}}]]}}}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95em" [[서울 버스 N72|{{{#ffc600 N72(신내역)}}}]]}}}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95em" [[서울 버스 N73|{{{#ffc600 N73(복정역)}}}]]}}}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95em" [[서울 버스 N75|{{{#ffc600 N75**(신림동)}}}]]}}}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95em" [[서울 버스 심야A21|{{{#ffc600 A21(동대문역)}}}]]}}} || ||<#0075c8> 좌석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75c8; font-size: .95em" [[고양 버스 921|{{{#fff 921(공덕역)}}}]]}}} || ||<#ff0000> 직행좌석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0000; font-size: .95em" [[김포 버스 1004|{{{#fff 1004*(시청)}}}]]}}}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0000; font-size: .95em" [[김포 버스 3000|{{{#fff 3000(신촌역)}}}]]}}}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0000; font-size: .95em" [[파주 버스 3100|{{{#fff 3100*(종점)}}}]]}}}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0000; font-size: .95em" [[파주 버스 3100|{{{#fff 3100N*(종점)}}}]]}}}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0000; font-size: .95em" [[파주 버스 3400|{{{#fff 3400**(공덕역)}}}]]}}}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0000; font-size: .95em" [[김포 버스 G6000|{{{#fff G6000*(서강대)}}}]]}}}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0000; font-size: .95em" [[파주 버스 7101|{{{#fff 7101(혜화역)}}}]]}}}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0000; font-size: .95em" [[김포 버스 이음1|{{{#fff 이음1*(서울역)}}}]]}}} || ||<#f72f08> 광역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72f08; font-size: .95em" [[인천 버스 1000|{{{#fff 1000(서울역)}}}]]}}}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72f08; font-size: .95em" [[인천 버스 1100|{{{#fff 1100(서울역)}}}]]}}}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72f08; font-size: .95em" [[인천 버스 1101|{{{#fff 1101(서울역)}}}]]}}}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72f08; font-size: .95em" [[인천 버스 1200|{{{#fff 1200(서울역)}}}]]}}}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72f08; font-size: .95em" [[인천 버스 1300|{{{#fff 1300(서울역)}}}]]}}}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72f08; font-size: .95em" [[인천 버스 1301|{{{#fff 1301(서울역)}}}]]}}}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72f08; font-size: .95em" [[인천 버스 1302|{{{#fff 1302(서울역)}}}]]}}}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72f08; font-size: .95em" [[인천 버스 1400|{{{#fff 1400**(서울역)}}}]]}}}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72f08; font-size: .95em" [[인천 버스 1500|{{{#fff 1500**(서울역)}}}]]}}}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72f08; font-size: .95em" [[인천 버스 1601|{{{#fff 1601(서울역)}}}]]}}} || ||<#000000> {{{#0ff 광역급행}}}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000; font-size: .95em" [[광역급행버스 M6117|{{{#0ff M6117*(서울역)}}}]]}}}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000; font-size: .95em" [[광역급행버스 M6628|{{{#0ff M6628*(연세대)}}}]]}}}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000; font-size: .95em" [[광역급행버스 M6628|{{{#0ff M6724*(서울역)}}}]]}}}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000; font-size: .95em" [[광역급행버스 M7731|{{{#0ff M7731*(공덕역)}}}]]}}} || ||<#8b4513> 공항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8b4513; font-size: .95em" [[서울 버스 6002|{{{#fff 6002*(청량리역)}}}]]}}} || ||<|10> '''동교동삼거리(중)'''[br](13019)[br]↓[br]'''홍대입구역(중)'''[br](14016) ||<#5bb025> 지선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5712|{{{#fff 5712*(가산동)}}}]]}}}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5714|{{{#fff 5714(하안동)}}}]]}}}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6712|{{{#fff 6712(방화역)}}}]]}}}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6713|{{{#fff 6713(서교동)}}}]]}}}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6716|{{{#fff 6716(온수역)}}}]]}}}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7016|{{{#fff 7016**(수색동)}}}]]}}}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7611|{{{#fff 7611**(수색역)}}}]]}}}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7612|{{{#fff 7612*(영등포구청)}}}]]}}}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7713|{{{#fff 7713**(홍제역)}}}]]}}}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7734|{{{#fff 7734*(종점)}}}]]}}}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7739|{{{#fff 7739*(종점)}}}]]}}}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7737|{{{#fff 7737**(수색동)}}}]]}}} || ||<#5bb025> 맞춤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8773|{{{#fff 8773*(종점)}}}]]}}} || ||<#33cc99> 시내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95em" [[고양 버스 82|{{{#fff 82**(내유동)}}}]]}}} || ||<#3d5bab> 간선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95em" [[서울 버스 270|{{{#fff 270**(상암동)}}}]]}}}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95em" [[서울 버스 271|{{{#fff 271(상암동)}}}]]}}}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95em" [[서울 버스 602|{{{#fff 602(신정동)}}}]]}}}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95em" [[서울 버스 603|{{{#fff 603(신월동)}}}]]}}}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95em" [[서울 버스 604|{{{#fff 604(신월동)}}}]]}}}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95em" [[서울 버스 721|{{{#fff 721**(북가좌동)}}}]]}}}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95em" [[서울 버스 761|{{{#fff 761*(영등포역)}}}]]}}} || ||<#3d5bab> {{{#ffc600 심야}}}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95em" [[서울 버스 N26|{{{#ffc600 N26(개화역)}}}]]}}}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95em" [[서울 버스 N51|{{{#ffc600 N51(시흥동)}}}]]}}}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95em" [[서울 버스 N62|{{{#ffc600 N62(신정동)}}}]]}}}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95em" [[서울 버스 N72|{{{#ffc600 N72(수색동)}}}]]}}}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95em" [[서울 버스 N73|{{{#ffc600 N73(구산동)}}}]]}}}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95em" [[서울 버스 심야A21|{{{#ffc600 A21(합정역)}}}]]}}} || ||<#0075c8> 좌석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75c8; font-size: .95em" [[고양 버스 921|{{{#fff 921(탄현동)}}}]]}}} || ||<#ff0000> 직행좌석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0000; font-size: .95em" [[김포 버스 1004|{{{#fff 1004*(학운리)}}}]]}}}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0000; font-size: .95em" [[김포 버스 3000|{{{#fff 3000(강화도)}}}]]}}}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0000; font-size: .95em" [[파주 버스 3100|{{{#fff 3100*(운정)}}}]]}}}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0000; font-size: .95em" [[파주 버스 3100|{{{#fff 3100N*(운정)}}}]]}}}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0000; font-size: .95em" [[파주 버스 3400|{{{#fff 3400**(운정)}}}]]}}}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0000; font-size: .95em" [[김포 버스 G6000|{{{#fff G6000*(장기동)}}}]]}}}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0000; font-size: .95em" [[김포 버스 G6004|{{{#fff G6004*(학운리)}}}]]}}}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0000; font-size: .95em" [[파주 버스 7101|{{{#fff 7101(금촌)}}}]]}}}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0000; font-size: .95em" [[김포 버스 이음1|{{{#fff 이음1*(구래역)}}}]]}}} || ||<#f72f08> 광역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72f08; font-size: .95em" [[인천 버스 1000|{{{#fff 1000(석남동)}}}]]}}}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72f08; font-size: .95em" [[인천 버스 1100|{{{#fff 1100(검단)}}}]]}}}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72f08; font-size: .95em" [[인천 버스 1101|{{{#fff 1101(마전지구)}}}]]}}}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72f08; font-size: .95em" [[인천 버스 1200|{{{#fff 1200(인천가좌)}}}]]}}}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72f08; font-size: .95em" [[인천 버스 1300|{{{#fff 1300(송도)}}}]]}}}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72f08; font-size: .95em" [[인천 버스 1301|{{{#fff 1301(송도)}}}]]}}}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72f08; font-size: .95em" [[인천 버스 1302|{{{#fff 1302(송도)}}}]]}}}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72f08; font-size: .95em" [[인천 버스 1400|{{{#fff 1400(인천터미널)}}}]]}}}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72f08; font-size: .95em" [[인천 버스 1500|{{{#fff 1500(계산동)}}}]]}}}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72f08; font-size: .95em" [[인천 버스 1601|{{{#fff 1601(인하대)}}}]]}}} || ||<#000000> {{{#0ff 광역급행}}}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000; font-size: .95em" [[광역급행버스 M6117|{{{#0ff M6117*(구래역)}}}]]}}}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000; font-size: .95em" [[광역급행버스 M6628|{{{#0ff M6628*(석남동)}}}]]}}}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000; font-size: .95em" [[광역급행버스 M6628|{{{#0ff M6724*(송도)}}}]]}}}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000; font-size: .95em" [[광역급행버스 M7731|{{{#0ff M7731*(덕이동)}}}]]}}} || ||<#8b4513> 공항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8b4513; font-size: .95em" [[서울 버스 6002|{{{#fff 6002*(인천공항)}}}]]}}} || || '''홍대입구역''' (14224) ||<#5bb025> 지선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7016|{{{#fff 7016(수색동)}}}]]}}}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7711|{{{#fff 7711(덕은동)}}}]]}}}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7737|{{{#fff 7737(수색동)}}}]]}}} || || '''홍대입구역''' (14863) ||<#5bb025> 마을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마포15|{{{#fff 마포15(상암동)}}}]]}}} || || '''홍대입구역''' (14497) ||<#5bb025> 마을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마포06|{{{#fff 마포06(남가좌동)}}}]]}}} || || '''홍대입구역''' (14498) ||<#5bb025> 마을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마포05|{{{#fff 마포05(연남동)}}}]]}}} || ||<|2> '''홍대입구역'''[br](14225) ||<#f72f08> 동행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72f08; font-size: .95em" [[서울 버스 서울03|{{{#fff 서울03(종점)}}}]]}}} || ||<#f72f08> 광역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72f08; font-size: .95em" [[인천 버스 1400|{{{#fff 1400(서울역)}}}]]}}}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72f08; font-size: .95em" [[인천 버스 1500|{{{#fff 1500(서울역)}}}]]}}} || || '''홍대입구역사거리''' (14284) ||<#5bb025> 마을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마포09|{{{#fff 마포09(망원유수지)}}}]]}}} || || '''홍대입구역사거리''' (14832) ||<#5bb025> 마을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마포16|{{{#fff 마포16(망원동)}}}]]}}} || || '''홍대입구역''' (14217) ||<#ff0000> 직행좌석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0000; font-size: .95em" [[파주 버스 200|{{{#fff 200(교하)}}}]]}}}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0000; font-size: .95em" [[파주 버스 2200|{{{#fff 2200(탄현면)}}}]]}}}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0000; font-size: .95em" [[파주 버스 7300|{{{#fff 7300(임진각)}}}]]}}} || ||<|4> '''동교동삼거리연희동방면'''[br](13144) ||<#5bb025> 지선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7613|{{{#fff 7613(구산동)}}}]]}}}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7720|{{{#fff 7720(구산동)}}}]]}}}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7727|{{{#fff 7727(설문동)}}}]]}}}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7728|{{{#fff 7728(탄현역)}}}]]}}} || ||<#33cc99> 시내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95em" [[고양 버스 75|{{{#fff 75(대화동)}}}]]}}} || ||<#3d5bab> 간선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95em" [[서울 버스 110|{{{#fff 110A(정릉동)}}}]]}}}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95em" [[서울 버스 163|{{{#fff 163(우이동)}}}]]}}}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95em" [[서울 버스 740|{{{#fff 740(덕은동)}}}]]}}}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95em" [[서울 버스 753|{{{#fff 753(구산동)}}}]]}}} || ||<#3d5bab> {{{#ffc600 심야}}}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95em" [[서울 버스 N75|{{{#ffc600 N75(진관동)}}}]]}}} || == 사건 사고 == * [[2021년]] [[7월 15일]], 가스 냄새가 나서 119가 출동했었다. * [[2022년]] [[7월 10일]], [[서울 지하철 2호선|2호선]] 역사에 화재가 발생했다. * [[2023년]] [[3월 12일]] 오후 5시 30분경 2번 출구 쪽 [[가림막|가벽]]이 지나가던 [[서울 버스 마포06|마포06번]] [[버스]]로 넘어지는 사고가 발생했다. * 2023년 6월 28일 오후 11시경 [[인천국제공항철도|공항철도]]가 이 역에 있을 때 열차 안에서 70대 남성이 [[소화기]]를 분사해 30여명이 분말을 뒤집어 쓰는 일이 발생했다. 이로 인해 [[디지털미디어시티역]]에 비상 정차하면서 탑승해 있던 승객 100여명이 하차했으며 전체 공항철도 운행이 15분가량 지연됐다.[* [[https://www.youtube.com/watch?v=SP6Qipo4kp8|「"한 명도 제지 안 하더라"…홍대역 지하철서 무슨 일이? (자막뉴스)」]], SBS, 2023-06-29][*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7248876|「심야 열차서 소화기 난사 후 도주…승객들 '봉변'」]], SBS, 2023-06-29]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서울 지하철 2호선 흉기난동 사건)] * 2023년 8월 19일 오후 12시 38분, 홍대입구역에서 합정역으로 가는 열차 내에서 50대 남성이 가방 안에 넣어놨던 흉기를 휘둘러 20대 남성 2명이 찰과상을 입는 사건이 발생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55/0001082758|「서울 지하철 2호선 합정역서 흉기난동…50대 남성 체포」]], SBS, 2023-08-19] == 기타 == 이 역 부근에 연희로와 양화로를 잇는 '동교지하차도'가 위치해 있었으나 경의선 광역철도 공사에 따른 [[용산선]] 지하화 공사로 인해 2007년에 폐쇄되어 현재는 흔적도 없이 매립되었다. [[2016년]] [[8월 7일]], [[미스터리 음악쇼 복면가왕|복면가왕]]에 출연한 가수 [[레이디 제인(가수)|레이디 제인]]이 이 역에서 나오는 안내 방송을 개인기로 선보인 적이 있는데, 이를 본 판정단 [[신봉선]]이 "[[홍대여신]] 중 한 명 같다"고 추측해 방청객의 눈길을 끌었다. 2019년 9월 15일부터 9번 출구 인근에 매 주말마다 [[2019년 홍콩 민주화 운동]] 연대집회를 열고 있다. 토요일은 재한 홍콩인, 일요일은 한국인이 집회를 한다. 2022년 10월에 개봉한 역 주변이 영화 [[거래완료]]의 촬영지가 되었다. 기타리스트로 나온 이교형이 거래를 마치고 나오다가 후배들을 만나는 장면이 나온다. 홍대입구역 중앙차선 승강장이 낡고 오래돼서 낡은 승강장을 2021년 3월 31일에 철거하고 스마트쉘터 설치 공사를 진행했으며, 8월 25일에 완공하여 8월 28일부터 정식으로 개통하여 운행 중이다. 2호선 승강장은 2020년 2월 4일을 시작으로 지하구조물 내진보강공사를 하여 2023년 2월 2일까지 보강작업이 이루어진 바 있다. 2023년 [[12월 24일]] 오후 4∼6시 2만 8000∼3만명이 몰렸다가 7시에 2000명 가량이 빠졌다. [[https://v.daum.net/v/20231224202725504|#]] [각주] == 둘러보기 == [include(틀:서울 지하철 2호선의 역 목록)] [include(틀: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의 역 목록)] [include(틀:인천국제공항철도의 역 목록)] [include(틀:대장홍대선의 역 목록)] [include(틀:용산선의 역 목록)] [[분류:1984년 개업한 철도역]][[분류:2010년 개업한 철도역]][[분류:2012년 개업한 철도역]][[분류:2031년 개업 예정인 철도역]][[분류:마포구의 도시철도역]][[분류:용산선의 도시철도역]][[분류:서울 지하철 2호선]][[분류: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분류:인천국제공항철도]][[분류:대장홍대선]][[분류:홍익대학교]][[분류:대학 명칭 철도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