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크리시아미디어)] [include(틀:성우 유튜브)]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2> '''{{{+2 성우 홍시호의 홍SHOW!}}}''' || ||<-2> {{{#!wiki style="margin: +10px -10px" [[파일:오프닝&엔딩 이미지_축소(1080p).png|width=100%]]}}} || ||<-2> {{{#191919,#dddddd {{{-2 왼쪽부터 [[강백호(슬램덩크)|강백호]]^^[[슬램덩크(만화)|슬램덩크]]^^ | [[저스티 우에키 테일러|테일러]]^^[[무책임함장 테일러|캡틴 테일러]]^^ | [[현장 삼장]]^^[[최유기]]^^ | [[나라쿠|나락]]^^[[이누야샤]]^^ | [[페가수스 J. 크로포드|페가수스]]^^[[유희왕]]^^ | [[텐타몬]]^^[[디지몬 어드벤처]]^^ [* 모두 [[홍시호]]가 더빙한 대표 캐릭터들이다.]}}}}}} || || '''진행''' ||[[홍시호]] || || '''장르''' ||[[토크쇼]], [[성우 개그]] || || '''가입일''' ||[[2018년]] [[7월 25일]] || || '''구독자 수''' ||8.26만[*기준 2021년 8월 2일 기준] || || '''누적 조회수''' ||15,597,805회[*기준] || || '''소속''' ||[[크리시아미디어]] || || '''채널 링크''' ||[[https://www.youtube.com/channel/UC4RDXQ1kDHrt3Tpfqu-QqpQ|[[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hongshow_twt, 크기=24)]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HongSHOWww, 크기=24)][*사용중단 홍쇼 초창기에 PD로 일했던 분이 운영하던 트위터 계정으로, 2019년 1월 전태열 성우 편 홍보 글을 올린 이후로 방치 상태다.] | [[https://www.instagram.com/hongshow_insta|[[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4]]]] || }}} [목차] [clearfix] == 개요 == > 대한민국 대성우 [[홍시호]]의 목소리 컨텐츠! [[https://www.youtube.com/channel/UC4RDXQ1kDHrt3Tpfqu-QqpQ|'''『홍시호의 홍SHOW』''']] 한국 [[성우]] [[홍시호]]가 2018년 8월 3일부터 [[유튜브]]에서 진행하는 성우 전문 토크쇼[* 홍시호를 빨리 말하면 홍쇼가 되는 점을 노리고 지은 이름이다.]이면서, 홍시호의 제 2의 전성기를 만들어준 채널이다. 팬들과의 소통을 목적으로 시작하게 되었다고 한다. 처음에는 본인이 성우로서 지낸 여정을 얘기하는 수준으로 끝냈지만, 4화부터는 본격적으로 한국 프로성우들을 게스트로 초청해서 토크쇼를 진행하는 컨셉으로 변경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당연히 성우팬들 사이에서도 대호평이며 조회수나 구독자도 점진적으로 늘어나면서 대성황이다.[* 참고로 한국 프로성우가 개설한 유튜브 채널 구독자 순위 1위 기록은 [[쓰복만]] 김보민 성우의 17.8만 명, [[이용신]]이 16.4만명으로 2위, 남도형 성우의 [[남도형의 블루클럽]]이 10.4만명으로 3위, [[서유리]]가 9.4만명으로 4위, 홍쇼는 5위 랭크 중이다.] 우정신 3편부터는 오프닝 영상이 추가되었으며, 이현진 2편부터 완전히 새로운 로고를 사용하고 있다. 2020 김영선 성우편부터 만화가 [[박병주(할아버지)]][* 홍쇼에 본인이 직접 메일과 이미지를 보내 연락을 하였으며, 홍시호가 연기한 '테일러'를 제일 사랑한다고 함.]에 의하여 새로운 타이틀 및 로고, 썸네일 등이 추가 변경되었다. == 업로드 영상 목록 == === [[홍시호의 홍SHOW/게스트 목록|홍쇼 게스트 목록]]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홍시호의 홍SHOW/게스트 목록)] === 홍쇼 ASMR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 '''#''' || '''영상 업로드 날짜''' || '''영상 제목''' || '''PD''' || '''비고''' || || 001||2018년 8월 14일 ||성우 홍시호의 ASMR! ||(1기) || || || 002||2019년 5월 17일 ||홍쇼 ASMR - 1부 (세상에 오직 단 하나뿐인 성우홍시호 asmr) ||(2기) || [* 홍쇼의 로고가 파란색으로 변경되었다.] || }}} === [[홍시호의 홍SHOW/홍쇼 더빙 목록|홍쇼 더빙]]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홍시호의 홍SHOW/홍쇼 더빙 목록)] === 홍쇼 라이브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 '''#''' || '''영상 업로드 날짜''' || '''영상 제목''' || '''PD''' || '''비고''' || || 001||2018년 11월 24일 ||기습공격 ||<|4>(1기) || || || 002||2018년 12월 7일 ||2018 KBS 라디오 연기대상 / 최덕희 서혜정 정미숙 김옥경 남도형 성우 || || || 003||2018년 12월 7일 ||2차 기습공격 - 성우 엄상현 || || || 004||2018년 12월 12일 ||성우 이선 || || }}} === 반려견 테리아가씨 === 홍시호 성우의 개인일상을 다루는 코너. 주로 그가 키우고 있는 반려견인 [[포메라니안]] 암컷 '테리'에 관한 영상 혹은 썰들을 다룬다. === 기타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 '''#''' || '''영상 업로드 날짜''' || '''영상 제목''' || '''PD''' || '''비고''' || || 001||2018년 11월 21일 ||성우 [[김일(성우)|김일]][* 두 사람 모두 [[성룡]] 전담 외화더빙 성우였고, 애니에서는 [[원피스(만화)|원피스]], [[포켓몬스터]] 등을 함께 더빙했었다.], 영원히 꺼지지 않을 열정의 목소리 ||<|5>(1기) || [* 11월 18일, 심장마비로 급사한 김일을 추모하는 영상이다.] || || 002||2018년 11월 22일 ||[성우 홍시호] 창세기전 3 : Part 1 철가면 스페셜 || || || 003||2018년 11월 27일 ||최유기) 대한민국 초월 더빙이란 이런 것! || || || 004||2019년 2월 8일 ||미라큘러스 레이디버그&블랙캣 더빙 촬영! || || || 005||2019년 3월 26일 ||술마시자 술마시자 했는데 진짜 모였다!? / 홍쇼 특별편 - 식샤를 합시다 || || || 006||2019년 12월 25일 ||신년특집, 이누야샤 나락 성대모사 최후의 1인 컨테스트를 개최합니다! ||<|2>(2기) || || || 007||2020년 1월 11일 ||신년특집, 이누야샤 나락 성대모사 끝판왕 결승전!!! || || }}} == 진행 == * '''{{{#ffdf2c {{{+2 홍쇼 메인 토크쇼}}}}}}''' 이름 그대로 홍쇼의 간판코너. 한국 프로성우들을 게스트로 초청해 토크 및 이런저런 썰을 푸는데, 성우로서 살아온 이야기를 비롯해 대표배역과 관련된 뒷이야기, 한국 성우업계에 대한 생각, 연기 철학 등 성우 팬이 좋아할 얘기가 많이 나온다. 방송매체의 발달로 팟캐스트/인터넷 방송 등을 통해 한국 프로성우들이 팬들과 소통하는 프로그램이 과거 및 현재에도 있지만 게스트 라인업에 한계가 있었는데,[* 예를들어 KBS에서 자체적으로 제작한 [[더빙의 신]]은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KBS 성우극회]] 출신만 나왔다.] 홍쇼는 한국 성우계에서 알아주는 베테랑인 홍시호 성우가 인맥을 이용해 경력/출신 극회 등을 초월해 직접 섭외하는터라 출연진들의 라인업이 한국 성우계 올스타급으로 화려하다는게 최대의 강점. 한국 성우관련 방송을 통틀어 이 부분에선 독보적인 위치에 있다고 봐도 무방하다. 그래서인지 유튜브 댓글에 특정 성우의 출연을 바란다는 팬들의 요청이 엄청 쇄도하고 있으며, 홍시호 성우와 제작진 측에서도 최대한 의견을 수렴해 섭외하겠다고 공지했다.[* 참고로 이런류의 미디어물에 직접적으로 출연하는 걸 꺼리는 성우들이 있어서 100% 원활하게 섭외가 이뤄지는 건 아닌듯 하다. 대표적으로 대선배인 [[유강진]] 성우 편에서도 원래는 안나오려고 했지만, 홍시호 성우의 간곡한 부탁을 받고 응했다는 언급이 나왔다.] 현재까지 홍쇼 메인 토크쇼에 게스트로 출연한 성우들은 각 [[성우극회]]별로 다음과 같다. || [[KBS 성우극회]] || 28명[* MC인 [[홍시호]]를 포함, [[강수진(KBS 성우)|강수진]], [[강희선]], [[구자형]], [[김승준(성우)|김승준]], [[김영진(성우)|김영진]], [[김옥경]], [[김환진]], [[남도형]], [[노민]], [[문선희]], [[배한성]], [[서혜정]], [[성완경]], [[소연(성우)|소연]], [[유강진]], [[유해무]], [[이규화]], [[이선(성우)|이선]], [[이정구]], [[임채헌]], [[장광]], [[장민혁]], [[정미숙]], [[차명화(성우)|차명화]], [[최덕희]], [[최수민]], [[홍진욱]]. 이외에도 [[오인성]]이 이누야샤 관련 더빙으로 출연했지만 게스트로 출연하지는 않았다.] || || [[MBC 성우극회]] || 6명[* [[김영선(성우)|김영선]], [[류승곤]], [[송준석(성우)|송준석]], [[안지환]], [[우정신]], [[정재헌]]. 이외에도 [[표영재]]가 이누야샤 관련 더빙이랑, [[이미자(성우)|이미자]]가 아따맘마 관련 더빙으로 출연했지만 게스트로 출연하지는 않았다.] || || [[EBS 성우극회]] || 4명[* [[김보민(성우)|김보민]], [[엄상현]], [[장은숙(성우)|장은숙]], [[전태열]].] || || [[CJ ENM 성우극회]] || 12명[* [[김선혜]], [[김장(성우)|김장]], [[김현심]], [[시영준]], [[신용우]], [[여민정]], [[이계윤]], [[이용신]], [[이현진(성우)|이현진]], [[이호산]], [[한신(성우)|한신]], [[홍범기]]. 이외에도 [[양정화]]가 이누야샤 관련 더빙으로 출연했지만 게스트로 출연하지는 않았다.] || || [[대원방송 성우극회]] || 8명[* [[강시현(성우)|강시현]], [[김나율]], [[김연우(성우)|김연우]], [[심규혁]], [[이경태(성우)|이경태]], [[이다은]], [[조경이]], [[최낙윤]][* 성우 [[신용우]] 편에서 마지막에 잠깐 출연하였다.].] || || [[CBS 성우극회]] || 2명[* [[민응식(성우)|민응식]], [[지미애]].] || || [[대교방송 성우극회]] || 0명[* [[전광주]]가 스폰지밥 관련 더빙으로 출연했지만 게스트로 출연하지는 않았다.] || || [[CPBC 성우극회]] || 0명 || [[대교방송 성우극회]][* 3번째 게스트였던 김영선이 본래는 대교 1기로 활동을 시작했으나 금방 퇴사하고 MBC 성우극회로 재입사해 본격적인 활동을 했기 때문에 제외.], [[CPBC 성우극회]] 소속 성우들은 아직까지 단 한 명도 출연하지 않았다.[* 대교의 경우 규모는 작지만 소속 성우들이 각종 미디어에서 많이 활동하고 있어 섭외만 잘 된다면 출연이 가능하지만, CPBC는 갓 개국한 1990년에 한 번 공채를 뽑고 그만둔데다 소속중인 사람들도 미디어 출연은 거의 없고 인지도가 매우 낮아서 사실상 섭외도 어렵다는 의견이 많다.][* 그밖에도 잘 알려지지 않았지만 MBC-CM(MBC에서 1973~1983년에 별도로 CM 성우를 뽑았으며, MBC 성우극회와는 별도의 극회로 취급된다.)도 아직 게스트 성우들이 없다. 참고로 이쪽은 CM이라는 이름에 맞게 더빙보다는 내레이션 등에서 활동이 많은 편.] [[CBS 성우극회]]의 경우 2020년 4월 25일 [[지미애]] 성우의 영상이 업로드되면서 출연 극회 목록에 오르게 되었다.[* 참고로 4번째 게스트인 최덕희 성우가 CBS 15기로 입사했지만, 9개월만에 퇴사하고 KBS 21기로 재입사해 본격적인 활동을 했기 때문에 제외.] 2020년 10월엔 [[민응식]] 성우도 출연. * '''{{{#ffdf2c {{{+2 시청자 Q&A}}}}}}''' 위의 토크쇼에서 시간을 따로 쪼개서 진행하는 코너로 2020년 4월에 업로드된 지미애&최덕희 성우 편부터 시작했다. 유튜브 커뮤니티란을 통해 특정 성우의 출연예고를 하면서 게스트에게 질문할 내용을 댓글로 달면, 이걸 제작진에서 추려가지고 질문 리스트를 만드는 방식. 이미 한 번 출연한 성우도 이 코너를 위해 다시 나오도록 섭외중에 있다. * '''{{{#ffdf2c {{{+2 홍쇼 더빙}}}}}}'''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ZsxrdpWDhB0)]}}} || 출연한 게스트들과 홍시호 성우의 주요 캐릭터인 마다라, 나락과 게스트들의 대표 캐릭터와 이런저런 연기를 선보이는 코너로 이른바 '''병맛더빙'''. 이름에서 보이듯 코믹한 내용이 주를 이루는데, 그중 대표적인 것이 바로 [[나라쿠]](나락)와 [[키쿄우]](금강)를 이용한 상황극.[* [[서혜정]] 성우와 가까운 사이여서 출연을 부탁하는데 부담이 덜한듯 하다.]금강의 집에 얹혀살면서 잡일이나 하고 그 보수로 [[사혼의 구슬|반쪽짜리 알사탕]]이나 주워모으고 사는 갓수 나라쿠의 이야기인데 너무 재미있다고 대호평. 다른 홍쇼 더빙 이누야샤 시리즈와는 다르게 실제 이누야샤 장면에 나락과 금강의 입모양에 맞춰 연기를 해서 실제 이누야샤 에피소드의 일부분으로 느껴지는점, 그리고 이누야샤가 방영된지 10년이 넘어감에도 변함없는 성우들의 목소리 등의 요인들이 이런 호평을 받게했다.[* 뜬금없이 [[이누야샤(이누야샤)|이누야샤]]가 [[몽키 D. 루피|해적왕이 되겠다면서 떠났다]]던데, 이건 루피와 이누야샤를 이용한 [[성우 개그]]로, 한국 더빙판에서 이 두 캐릭터를 연기한 게 직속후배인 [[강수진(KBS 성우)| 강수진]] 성우(KBS 21기)이다.] 참고로 이게 홍쇼 최고의 히트 영상으로 2019년 10월 기준 조회수 32만을 넘기고 좋아요도 1만명 이상이다. 아예 약을 빤듯한 컨셉을 잡은 연기가 우수수 쏟아지는 경우도 있는데, 일반적인 방송에선 정말 듣기 어려운 한국 프로성우들의 찰진 욕/비속어/최신 유행어까지 감상이 가능하다. {{{#!wiki style="word-break: keep-all"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GvHS0O_ib2U)]}}}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ytlMnQP7H8U)]}}} || || [[오버워치]]의 단편 애니메이션 재더빙 버전. || [[히어로즈 오브 더 스톰]]의 [[한조(히어로즈 오브 더 스톰)|한조]] & [[겐지(히어로즈 오브 더 스톰)|겐지]] 버전. ||}}} 무조건 병맛 더빙만 하는 건 아니고 진지하게 연기하는 경우도 있다. 오버워치와 히오스 인게임 영상 더빙이 대표적. 한 번은 자신의 대표작 [[샹크스]]의 대원판 성우인 [[김혜성(성우)|김혜성]]의 대표역인 겐지를 더빙해보기도 했다. [[히오스]] --[[시공조아]]-- 버전은 덤. 여담으로 병맛 더빙은 누가봐도 재미를 위해서 하는 코너인데, 몇몇 누리꾼들이 비난을 가하는 일들이 있는 모양이다. 서로 다른작품의 캐릭터가 어떻게 만난다는거나, 캐릭터의 성격이나 특징과 안어울리는 말(비속어나 반말)을 한다는 등. 그래서 홍쇼 제작진측에서 공지를 통해 몇 번이나 해명을 하는 일이 있었으며, 현재는 아예 영상 초입부에 설명을 달아두고 있다. * '''{{{#ffdf2c {{{+2 기타}}}}}}''' 특정 작품의 녹음현장의 모습이나 위의 코너와는 크게 상관없는 주제로 영상이 업로드된다. 아래애 살짝 언급될 회식영상이 대표적. == 드라마 CD 제작 == * 웹툰 [[가담항설(웹툰)|가담항설]]의 [[드라마 CD]] 프로젝트의 시즌1을 진행했다. 7월 22일부터 [[텀블벅]]을 통해 [[https://tumblbug.com/hongshowgdhs|클라우드 펀딩]]을 마쳤으며, '''나흘밖에 안 된 시점에서 이미 목표금액 1억 5천만원을 넘겼다'''. 또한 [[오인성]] 성우를 제외하면 모두 이미 홍쇼에서 게스트로 인터뷰를 하고 간 성우들이다.[* 물론 오인성 성우 역시 병맛 더빙에는 참여하고 갔다.] || [[파일:홍쇼의 가담행설_캐스팅 목록.jpg|width=300]] || * 2021년 3월 유튜브 커뮤니티 게시물을 통해 [[가담항설(웹툰)|가담항설]] 시즌2를 준비중임을 알리고, 시즌2에서 등장할 새로운 캐릭터들의 성우를 추천받았다. == [[/사건 사고|사건 사고]]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홍시호의 홍SHOW/사건 사고)] == 여담 == * 촬영은 홍시호 성우가 원장으로 있는 성우학원 '''Top Star Academy''' 안에 있는 스튜디오에서 진행하고 있다.[* [[https://www.youtube.com/watch?v=pSXpqgsrgvU|이 영상]] 12분 30초 즈음부터 촬영장소가 어떻게 생겼는지 대강 파악이 가능하다.] 처음엔 음향장비실에서 의자 2개만 놓고 조촐하게 진행하는 형식이였지만, 김영선 성우 편부터 책상을 놓고 나무재질 인테리어가 된 벽을 배경으로 하는 컨셉을 잡아 쭉 유지하는 중. * 프로그램 제목 때문에 오해가 있을 수 있지만 홍쇼는 홍시호 성우 본인이 직접 관리하는 채널이 아니다.[* 가끔 반려견 사진이나 특정 성우들과 만났다 등의 개인 일상관련 게시글을 직접 올리긴 한다.] 관리를 전담중인 스태프가 따로 있는데, 유튜브 채널 커뮤니티 혹은 생방송을 통해 건의사항을 받거나, 컨텐츠 제작에 필요한 정보수집에 도움을 요청하는 경우가 많으니 관심이 있다면 이용해보자. 가끔 본인이 글을 달아주는 경우도 있지만, 여담으로 홍쇼 1기 PD는 성우 지망생 출신인 남성으로 [[한신(성우)|한신]] 성우[* 2010년 [[EBS 성우극회|EBS]] 22기로 먼저 데뷔했다가 2년 뒤인 2012년 [[CJ ENM 성우극회|투니버스]] 8기로 재입사했다.]와 함께 KBS 성우 공채에 응시했다가 떨어진 경험이 있다고 하며, 2019년 중순 [[김장(성우)|김장]] 성우 편을 끝으로 퇴사했다.[* 이 사람이 PD로 있을 땐 스마트폰을 이용해 성우관련 행사장을 실시간 스트리밍을 한 적도 있다.] 이후 바톤을 이어받은 2기 PD는 여성으로 출연한 게스트 성우들도 기억하지 못하는 배역도 줄줄 꿰고 있는 엄청난 성우 덕후로 추정된다.~~[[성덕후|성덕]]인데 [[성공한 덕후|성덕]]이기까지 하다~~ * 홍시호 성우가 한국 성우계에서 알아주는 [[주당]]이다보니 '''[[술]]과 [[음주]]'''에 대한 얘기가 자주 나오며, 출연 게스트 성우들도 술을 잘하는 경우가 많아 관련 썰이 우수수 쏟아지는게 특징. [[https://www.youtube.com/watch?v=KTmKAoRrDoY|2019년 3월 27일 특별편]]에서는 ~~소주를 글라스에 담아 마시는 스폰지밥~~ 전태열 성우 등[* 의사가 건강상 문제가 있으니 하루에 2잔만 하라고 권고했는데, [[거짓말은 하지 않는다|잔의 종류를 지정해주지 않았다는 이유를 들어]] 맥주잔에 소주를 가득 담아서 마신다고(...). --손순효--] 기존 게스트 성우들과 술자리를 갖는 모습이 올라왔다. 특히 시영준 성우는 방송 스케줄까지 캔슬하고 왔다고. 2019년 4월 23일 정재헌 성우 출연분에서는 음주 방송까지 했다. * 한국 성우계와 관련된 이런저런 이벤트 혹은 참여 프로그램에 대한 홍보글도 올라오니 관심이 있다면 참고하자. * 한국 성우계에서도 홍쇼에 대한 소문이 쫘악 퍼져서 직접 시청하는 성우들도 더러 있다고 한다.[* 일부 성우의 개인 유튜브 채널에서 구독자를 공개하는데 거기에 홍쇼가 있는 경우가 몇몇 있다.] * 더빙 소재는 주로 [[이누야샤]], [[최유기]], [[디지몬 어드벤처]] 쪽에서 많이 나오며 가끔씩 [[원피스(만화)|원피스]], [[어벤져스]]를 활용하기도 한다. 주연들을 기준으로 최유기는 주연 성우들이 전부 등장했으나 [[이누야샤]]는 [[싯포]] 역의 [[이선호(성우)|이선호]]가 출연하지 않았지만 이누야샤 포에버 4화에서 출연했고, [[디지몬 어드벤처]]의 경우 [[매튜(디지몬 시리즈)|매튜]], [[팔몬]]을 맡은 [[손정아]][* [[네모바지 스폰지밥(네모바지 스폰지밥)|스폰지밥]], [[구우(정글은 언제나 맑음 뒤 흐림)|구루미]], [[키노모토 사쿠라|체리]], [[토우야 아키라|아키라]], [[코야마 미츠키|루나/풀문]]와 함께 더빙한 적이 있다.], [[정석(디지몬 시리즈)|정석]]과 [[파피몬]]을 맡은 [[유지영]], [[리키(디지몬 시리즈)|리키]]와 [[피요몬]]을 맡은 [[배정미]], [[신나리]]를 맡은 [[은영선]]은 아직 출연하지 않았다. * 홍시호 성우와 꽤나 친하다고 알려진 [[강철의 연금술사]], [[쥐라기 월드컵]], [[천사소녀 네티]], [[굿모닝 베트남]], 사이더 하우스 같은 굵직한 작품에 같이 출연했던 선배 [[김정애]] 성우도 아직 출연하지 않았다.[* 친한 사이라고 하는 김정애 성우는 앞에 언급된 성우들과 달리, 근래 2010년대 들어서부턴 활동이 매우 미미한 상태라서 섭외가 아직 쉽지 않은 상태인 듯. 하지만 개인 인스타그램 계정도 따로 운영하고 있고, 친한 동생이자 [[강수진(KBS 성우)|후배]]가 출연하고 있는 [[강수진과 빛의덕후단|유튜브 채널]]에는 아무 이상, 탈 없이 출연한 것을 보면 캐스팅이 아직 따로 가지 않은 듯하다. 아마 제의가 들어온다면 출연할 가능성도 꽤 있을듯.] * 지금은 배우로 전향한 후배 [[한석규]]에 대한 언급이 종종 나오는데, 그가 [[KBS 성우극회]] 22기 출신이기 때문이다.[* 1990년에 공채합격해서 프로성우가 되었지만, 본래 꿈이 배우였던터라 이듬해 1991년 [[MBC]] 공채 탤런트 시험을 치고 합격하여 전직했다. 참고로 이렇게 성우로 활동하다 배우로 전직하는 경우가 상당히 많다.] 동기였던 [[김승준]]과 [[문선희]]는 물론 두 기수 선배였던 [[홍시호]]하고도 일화를 가지고 있다고. 이러한 언급들을 통해 배우로 전향하기 전의 프로성우 시절의 한석규에 대한 이야기를 간접적으로 알 수 있다. * 지금은 고인이 된 성우들에 대한 언급도 종종 나온다. 대표적으로 [[김옥경]] 성우 출연 분에는 홍쇼 유튜브 시작 후 3달 정도 후 타계한 후배 김일 성우에 대한 이야기로 방영 분량 하나를 채웠고, [[김환진]] 성우가 직속선배였던 [[오세홍]] 성우와 관련된 일화+신인시절 자신을 도와준 고마움을 많이 언급했다. 특히나 전설로 꼽히는 [[장세준]] & [[정경애]] 성우 부부에 대한 리스펙트는 KBS 23기 이하 성우들이 게스트로 나오면 높은 확률로 나오는 편이다. * 더빙 연출극에서 종종 언급되기를 홍시호보다 기수가 높은 선배들을 섭외하는 게 쉽지 않은 듯하다. [[https://youtu.be/YhJfpZtGM-E|슬램덩크 편]]에서는 [[홍시호]]가 맡은 [[강백호(슬램덩크)|강백호]]가 [[채치수|고릴라]]는 [[이정구|안 오냐]]고 하자 [[구자형]]이 맡은 [[정대만]]이 언급하기를 "너무 대선배님이셔서 부르기가 애매해"라고 언급했고, [[https://youtu.be/zYMO9ld5if0|이누야샤 포에버 8편]]에서는 [[칠인대]]의 [[반코츠]]가 [[긴코츠]], [[무코츠]], [[렌코츠]]는 부활 안 시키냐고 하니까 [[나라쿠|나락]]이 [[긴코츠]] 역의 [[김환진]]에 대해서 "좀 모시기 어려운 분"이라고 언급했다(...)[* 이후 [[반코츠]]는 미래에 90도로 머리 박고 엎드려서 절해야할 거 같다고 언급했고 [[스이코츠]], [[교코츠]]는 [[표영재|자신 앞에서]] [[시영준|숨도 못 쉰다며]] [[양정화|경력 부심을 하던]] [[쟈코츠]]는 자신은 절대 부활하지 않았을 거라며 얌전해졌다(...).]. 인터뷰에서는 어찌저찌 섭외할 수 있었지만 더빙 연출극까지 부탁하는 건 쉽지 않을 듯하다.[* 다만 이누야샤 포에버에 출연하지 않은 김환진, 김영선은 먼저 최유기 더빙 연출극을 따로 했었던걸 보면 그냥 스케줄 문제로 출연하지 못했던걸로 보인다.][* 성우들도 사람인지라 더빙한지 꽤 오래된 작품같은 경우는 기억이 잘 안 나실수도 있고, 성우 또한 나이가 들어가면서 목소리도 젊은 시절인 예전에 비하면 많이 낮아지기 때문에 이런 문제를 고려한 듯 싶다.][* 그리고 애석하게도 현시점에서는 국내판이든 원판이든 [[칠인대]]의 성우진은 온전하게 모일수가 없다. 국내판은 [[무코츠]] [[박조호|담당 성우]]가 [[폭행|사고]]를 쳐서 [[흑역사]]가 되어 버려서 섭외가 불가능하고, 원판은 [[교코츠]]역의 [[고리 다이스케]]가 사망한 상태이기 때문.][* 홍시호의 윗 기수 혹은 연차가 높은 성우들 같은 경우에는 고인이 되신 분들도 많고 요즘에는 거의 활동이 미미한 상태인 성우들도 많을뿐더러, 일부 유명 성우는 여전히 활동을 하고 있어도 얼굴 노출을 꺼리고 있어(예를 들면 대표적으로 선배인 '''[[이인성(성우)|이인성]]''' 성우.) 섭외가 많이 힘들수도 있다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 * [[2020년]] [[7월 28일]], 보이스멘토소리방송 유튜브에서 [[홍시호]] 성우가 홍쇼 운영에 대한 인터뷰를 진행했다. [youtube(na1fwaFfSQY)] * 2021년 1월에 한국에서 개봉된 [[극장판 귀멸의 칼날: 무한열차 편]]의 대흥행에 영향을 받았는지 홍쇼에서 [[귀멸의 칼날]] 비공식 더빙을 한다는 공지를 올렸다. [[키부츠지 무잔|무잔]]은 [[홍시호]] 본인이 [[카마도 네즈코|네즈코]]는 [[정미숙]]이 담당해서 진행할 예정이라고 한다.[[https://www.youtube.com/post/UgwDlKSKQvpoNFq74u14AaABCQ|#]](현재 해당 커뮤니티 글 삭제) [[https://youtu.be/eFH_dWnJXng|몇달 전에 나온 해당 가상캐스팅을 보고 참조한 듯 하다는 반응이 있다.] 총 3편을 공개했는데, 꽤나 고퀄리티라며 호평을 받았으나 저작권 위반으로 신고되어 전부 삭제된 상태다. 자세한 사항은 [[홍시호의 홍SHOW/사건 사고]] 문서 참고. * 오랜 시간동안 채널을 방치하다가, 최근인 2023년부터 다시 인터뷰 영상을 재업로드할 계획이라고 한다. 아직 나오지못한 위에서 언급된 선배 성우나, 후배 성우들이 많이 나올수도 있을듯. 첫번째 게스트는 직속 극회 후배인 [[박지윤(성우)]]이다. [각주] [[분류:성우 유튜버]][[분류:유튜브 채널]][[분류:토크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