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동명의 1910년생 정치인, rd1=홍익표(1910))]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 || {{{#fff '''홍익표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5> [[대한민국 국회|[[파일:국회휘장.svg|width=30]]]] {{{#cfa547 '''[[대한민국 국회의원|{{{#cfa547 대한민국 국회의원}}}]] ([[서울특별시|{{{#cfa547 서울}}}]] [[중구·성동구 갑|{{{#cfa547 중구·성동구 갑}}}]])'''}}} || || ''선거구 개편'' [br] '''홍익표'''[*A] || → || '''제20-21대 [br] 홍익표''' || → || 현직 || ---- ||<-5> [[대한민국 국회|[[파일:국회휘장(9대-19대).svg|width=30]]]] {{{#cfa547 '''[[대한민국 국회의원|{{{#cfa547 대한민국 국회의원}}}]] ([[서울특별시|{{{#cfa547 서울}}}]] [[성동구 을|{{{#cfa547 성동구 을}}}]])'''}}} || || 제18대 [br] [[김동성(1971)|김동성]] || → || '''제19대 [br] 홍익표''' || → || ''선거구 개편'' [br] '''홍익표'''[*A [[제20대 국회]]에서 [[성동구 을]] 선거구가 [[중구·성동구 갑]]으로 개편되었다.] || ---- ||<-5> [[대한민국 국회|[[파일:국회휘장.svg|width=30px]]]] {{{#580009,#fe8f9a '''[[대한민국|{{{#cfa547 대한민국}}}]] [[대한민국 국회|{{{#cfa547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cfa547 문화체육관광위원장}}}]]'''}}} || || 제21대 전반기[br][[이채익]] || → || '''제21대 후반기[br]홍익표''' || → || 제21대 후반기[br][[이상헌]]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정책위원회 의장)] ---- [include(틀:민주연구원 원장)]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지역위원장/서울특별시)]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8AC452 0%, #00AA7D 10%, #008CCD 20%, #004EA2 30%, #004EA2)" '''{{{#fff 제10대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br]{{{+1 홍익표}}}[br]洪翼杓 | Hong Ihk-pyo}}}'''}}}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홍익표.jpg|width=100%]]}}} || ||<|2> '''출생''' ||[[1967년]] [[11월 20일]] ([age(1967-11-20)]세) || ||[[서울특별시]] [[관악구]][* [[전라남도]] [[보성군]]이라는 설도 꽤나 있다.] || || '''거주지''' ||[[서울특별시]] [[서초구]] [[방배동]] 신동아아파트 || || '''본관''' ||[[남양 홍씨]] 당홍계[* 남양 홍씨 당홍계 34세손 '杓'자 항렬이다. [[홍영표]], [[홍준표]]와 항렬이 같다. ] || || '''현직'''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br][[제21대 국회의원]][br][[더불어민주당]] [[서초구 을]] 지역위원장[br]남북경제문화협력재단 이사[br][[경제민주화와 평화통일을 위한 국민연대]] 회장 || || '''서명'''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background: #FFF; border-radius: 4px" [[파일:홍익표_서명.svg|width=125]]}}} || || '''링크''' ||[[https://facebook.com/peacehong|[[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0]]]] | [[https://instagram.com/peacehong|[[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홍익표 본인이 아니라 홍의원 측 관계자가 운영한다.]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peace_hong, 크기=20)] | [[https://m.youtube.com/user/hongcamp|[[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https://blog.naver.com/peace_hong|[[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width=20]]]]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학력''' ||[[관악고등학교]] {{{-2 (졸업 / 9회)}}}[br][[한양대학교/서울캠퍼스/학부|한양대학교 사회과학대학]] {{{-2 ([[정치외교학]] / [[학사]])}}}[br][[한양대학교 대학원]] {{{-2 ([[정치학]] / [[석사]][* 석사 학위 논문 : [[http://www.riss.kr/link?id=T2169307|北韓의 '社會主義的 民主主義'에 關한硏究 : 理論과 實際的 適用을 中心으로]](1991).] · [[박사]][* 박사 학위 논문 : [[http://www.riss.kr/link?id=T11323049|김정일체제의 경제개혁에 관한 연구 : 시장사회주의로의 이행을 중심으로]](2005).])}}} || || '''병역''' ||[[대한민국 육군]] [[중위]] 전역 || || '''종교''' ||[[가톨릭|천주교]] {{{-2 ([[세례명]]: [[안드레아]])}}} || || '''신체''' ||175cm, B형 || || '''소속 정당'''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 '''지역구''' ||[[서울특별시|서울]] [[중구·성동구 갑]] || || '''의원 선수''' ||'''3''' || || '''의원 대수''' ||'''[[제19대 국회의원|19]], [[제20대 국회의원|20]], [[제21대 국회의원|21]]''' || || '''소속 위원회''' ||[[국회운영위원회]][br][[문화체육관광위원회]][br][[정보위원회]] || || '''경력'''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전문연구원[br]우리겨레하나되기운동본부 정책자문위원[br]일본동북아경제연구소 객원연구원[br][[통일부]] 정책보좌관 {{{-2 ([[참여정부]])}}}[br][[북한대학원대학교]] 겸임교수[br][[인천광역시]] 남북교류협력위원회 위원[br][[통일부]] 통일교육위원 {{{-2 ([[이명박 정부]])}}}[br][[민주통합당]]·[[민주당(2013년)|민주당]]·[[새정치민주연합]]·[[더불어민주당]] [[성동구 을]] 지역위원장[br][[제19대 국회의원]] {{{-2 ([[성동구 을|서울 성동구 을]] / [[민주통합당]])}}}[br][[민주통합당]] 전략기획위원장[br][[민주당(2013년)|민주당]] 원내대변인[br]민주당 원내부대표[br][[새정치민주연합]] 비례대표선출규정TF 팀장[br][[더불어민주당]] 비례대표선출규정TF 팀장[br][[더불어민주당]] 전기요금개선TF 팀장[br][[제20대 국회의원]] {{{-2 ([[중구·성동구 갑|서울 중구·성동구 갑]] / [[더불어민주당]])}}}[br]더불어민주당 정책위원회 수석부의장[br][[제20대 국회]] 전반기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간사[br]국정기획자문위원회 기획분과 자문위원[br][[더불어민주당]] 지방선거기획단 위원[br][[더불어민주당]] [[대변인|수석대변인]][br][[제21대 국회의원]] {{{-2 (서울 중구·성동구 갑 / [[더불어민주당]])}}}[br]제8대 [[민주연구원|민주연구원장]][br][[더불어민주당]] 정책위원회 의장[br][[더불어민주당]] [[중구·성동구 갑]] 지역위원장[br][[언론·미디어제도개선 특별위원회]] 위원장[br][[제21대 국회]] 후반기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위원장[br][[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 ||}}}}}}}}} ||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23홍익표서초초.jpg|width=100%]]}}} || >'''변화의 시작, 새로운 미래''' [[대한민국]]의 정치인, 제19대~21대 국회의원으로 소속 정당은 [[더불어민주당]]이다. 지역구는 19대 시절에는 [[서울]] [[성동구]] 을 지역이었고, 20대 때는 지역 선거구 조정에 따라 [[중구(서울)|중구]] · [[성동구]] 갑 지역으로 바뀌었다. [[20대 대선]] 이후엔 민주당 험지 지역인 [[서초구 을]]로 옮겨 4선에 도전할 것으로 보인다. 본래 정치학자로 [[참여정부]]에서 통일부 행정관으로 일한 적이 있어 2012년 정계입문 당시에는 친노로 알려졌었고 초선의원 때 원내대변인을 거쳐 재선 직후인 2017년 출범한 [[문재인 정부]]의 [[국정기획자문위원회]]에서 일하면서 [[친문재인]] 계파 의원이 되었다. [[이해찬]] 당대표 시절 더불어민주당 수석대변인을 역임했고 [[제20대 대선]]에서는 [[필연캠프]] 공동선대위원장을 맡았다. 2023년 김근태계라는 이름으로도 알려진 [[민평련]] 회장을 맡고 있으며 [[친명계]]가 주류인 민주당 최대 의원모임 더좋은미래 소속이라서 범친명 계파로 분류된다. 2023년 3월 원내대표에 출마하겠다고 밝혔고 4월 투표에서 [[박광온]] 의원에게 졌다. 9월 [[이재명 체포동의안 표결]] 결과에 책임을 지고 지도부가 사퇴하면서 치러진 원내대표 보궐선거에서 원내대표로 당선되었다. [* [[박광온]] 본인이 [[이낙연계]]라서 친명계를 견제하려고 일부러 법조인 출신-비명계를 중용한 것과는 달리 홍익표는 원내대표 선출시까지 계파색이 옅었기 때문에 친명계와 가깝고 비명계와도 접점이 있는 것이 장점이다.] == 생애 == [[1967년]] [[11월 20일]], 서울특별시 관악구에서 태어났다. 이후 [[관악고등학교]](9회)를 졸업했으며,[* 관악고는 이름과는 달리 관악구와는 관계 없이 [[영등포구]] [[양평동]] [[오목교]] 인근에 자리 잡고 있는 학교이다.] 학부부터 박사까지 [[한양대학교]]에서 정치학을 전공했다. 군복무는 육군 정훈[[장교]]로 36개월 복무했다. 전역 이후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전문연구원을 지냈다. [[제1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정치자금법 위반 문제에 걸린 절친 [[임종석]] 대신 [[서울특별시]] [[성동구 을]] 지역구에 후보로 나와, [[새누리당]] [[김동성(1971)|김동성]] 후보를 이기고 당선되었다. [[http://news.joins.com/article/7977385#none|#]]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선거구 획정에 따른 통합 선거구인 [[서울특별시]] 중구·성동구 갑 지역구에 공천받아, 이번에도 김동성 후보와의 재대결에서 승리, 당선되어 재선에 성공하였다. 21대 미래통합당 전수희 후보를 상대로 54.25%를 득표하여 3선에 성공한다. 21대 국회의원 임기중인 2022년 5월 서초을 지역위원장에 지원한 것이 알려졌다.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082289|#]] 지역위원장은 국회의원들이 다음 총선에 나갈 지역구(일반적으로 본인의 현 지역구)에 지원하는 것이 통상 관례였기 때문에 3선이나 한 의원이 자진해서 텃밭을 내놓고 험지로 간다는 점에 대해 당안팎에서 고무적이란 반응이 나왔다. 한국정당사상 유례없는 일이다. === 국회의원 활동 === ==== 19대 국회 ==== 초선 의원으로 원내대변인 등을 지내고, 3년 연속 국정감사 우수 의원에 선정되는 등 왕성하게 활동하였다. 여러 법안을 발의했는데, 대표적으로 <국민 휴일에 관한 법률> 제정안이 있다. 정규직과 비정규직 구분 없이 온 국민 3일 연휴제로 국민 휴식권을 보장 및 경제 활성화를 도모하는 법률이다. 대형마트 출점에 따라 발생되는 지역 중·소상공인 피해 방지를 위한 <유통산업발전법률> 개정안 등 대표발의 법률안 44건·공동발의 법률안 201건 등 총 245건의 법안을 발의했다. >'''"우리(국회)는 효율적이라고 해서 단 한 명의 국민을 포기해서는 안 됩니다."'''[* 민주주의는 기업과 다르게 효율성을 그 잣대로 삼아서는 안 된다고 말하며] * [[국민의당(2016년)|국민의당]]의 [[최원식]] 의원에 이어 [[2016년 테러방지법 반대 필리버스터/진행상황 및 참여의원|2016년 테러방지법 반대 필리버스터]]에 참여하여 7시간 16분 동안 발언을 하였다. * 정치학 박사 출신답게 민주주의의 중요성과 의의를 설명하는 것으로 시작하고 있다. 국정원의 흑역사들을 하나하나 되짚어주면서 국정원이 그동안 얼마나 국가와 개인에게 해악을 끼칠 수 있는지를 상기시켰다. * 개성공단 폐쇄 조치가 법적 근거에 따라 정당하게 행해진 게 아니고 정부의 자의적인 해석에 따라 행해졌다며 법치주의 국가로서 잘못된 행위였음을 지적했다. * 같은 당의 [[홍종학]] 의원처럼 스케치북을 들고 나와 시각자료를 가끔 활용하기도 했으며, 방청객들 특히 여성분들이 귀가할 경우 조심히 들어가라고 걱정해주는 모습을 보이며 여유로운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파일:MoonAssembly1.jpg]] 그러나 [[제19대 국회]]에서 [[문재인]] 다음으로 가장 낮은 법안 처리율을 보이기도 하였다.[* 다만 법안 '처리율'의 특성상 당시 원내 과반을 차지하고 있던 새누리당 의원들이 유리했음은 감안하고 봐야한다는 시각도 있으며 야당에서도 '''특출'''나게 적다는 점에서 국회의원의 업무를 방기했다는 논란을 피할 수 없다.] 아이러니한 것은, 상위 10명 중에서 김성태, 홍영표, 경대수 셋을 빼면 20대 국회에 입성하지 못 했다. 21대 국회에는 홍영표만 남았다.[* 하위 10명을 보면 최하위 문재인은 20대 총선에 나오지 않았지만 19대 대선에 출마하여 19대 대통령이 되었고, 이석현, 김태년, 우원식, 박덕흠, 박지원은 다시 20대 국회에 돌왔다. 이 중 이석현과 박지원은 21대에서는 볼 수 없게 되었다.] ==== 20대 국회 ==== 더불어민주당에서 국민의당으로 옮겨 간 [[이언주]] 의원이 [[이언주/비판 및 논란|여러가지 막말로 물의를 일으키자]], 이에 대해 비판하면서 [[http://v.media.daum.net/v/20170711094943142|"더불어민주당도 책임이 있다. (저런 사람을) 공천해서 당선까지 시켰다. 국민에게 죄송하다"]]라고 밝혔다. 민주당의 잘못을 사과하는 체하면서 국민의당과 [[김종인]]을 정교하게 돌려서 대놓고 깠다는 평가를 받는다. 당시 김종인은 민주당 공천의 총책임자였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언주는 20대 총선에서 첫 공천을 받은 것이 아니라 이미 19대 현역의원으로서, 김종인은 이언주를 공천에서 컷오프하지 않았던 것 뿐이었고, 19대 총선에서의 첫 공천 당시에는 당 대표가 한명숙이었으므로, 비록 의도한 것은 아니라 하더라도 한명숙까지 함께 비난한 셈이 되어 버렸다.] 하지만 본인 역시 [[더불어민주당 설훈·홍익표 국회의원 20대 비하 사건|20대 남성 비하]], [[박정희]] 귀태 및 대통령에 대한막말발언, 김예령 여성기자 비하, [[바른미래당]] 및 [[하태경]] 의원 비하 등 여러 망언과 막말로 논란을 일으켰고, 2020년 2월에는 지역감정을 일으키고 "대구, 경북 봉쇄" 발언이 비판을 받아 사과하고 2020년 2월 26일 더불어민주당 수석대변인 직에서 사퇴했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469&aid=0000471020|#]] ==== 21대 국회 ==== 2020년 3월 8일 공천을 확정받으면서 3선에 도전했고,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25&aid=0002982086|#]] 미래통합당 [[진수희]] 후보를 큰 차이로 꺾으면서 당선되었다. [[윤미향]]을 지지 선언한 15인 중 1명이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119&aid=0002401692|#]] 9월 7일, [[양정철]]의 뒤를 이어 민주연구원의 제8대 연구원장으로 임명되었다. [[http://naver.me/FyNBUaLq|#]] 2021년 1월 4일, [[환경부장관]]에 내정된 [[한정애]]의 후임으로 더불어민주당 정책위의장에 선임되었다. [[https://www.news1.kr/articles/?4169917|#]] 2021년 11월 15일, 제21대 국회 [[언론·미디어제도개선 특별위원회]] 위원장으로 선임되었다.[[https://www.news1.kr/articles/?4493828|#]] 2022년 6월 27일, 오는 8월 전당대회를 앞두고 실시된 지역위원장 공모에서 외연 확장을 명분으로 안정적인 기반을 포기하고 험지인 [[서초구 을]]에 지원했다.[[https://www.news1.kr/articles/?4724627|#]] [[7월 15일]], 서초구 을 지역위원장에 임명되면서 원래 맡고 있었던 [[중구·성동구 갑]] 지역위원장 자리는 [[정원오]] 성동구청장이 직무대행으로 수행하게 됐다.[[https://www.yna.co.kr/view/AKR20220715100600001|#]] 이후 [[뉴스핌]]과의 인터뷰에서 "강남 지역에서 40% 이상을 안정적으로 획득할 기반을 만들지 않으면 앞으로 서울시 차원의 큰 선거에서 이기기 어렵다"며 책임감이 가장 큰 이유였다고 언급했다.[[https://www.newspim.com/news/view/20220715000966|##]] 586 솔선수범이라는 명분을 챙김과 동시에 성동구에서의 승리를 장담하기 어려운 상황을 해소할 수 있는, 보다 넓은 시각에서 결정한 용단이라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2023년 9월 26일, [[이재명 체포동의안 표결#s-3|이재명 대표에 대한 체포 동의안 가결]]의 여파로 [[박광온]] 원내대표를 포함한 원내지도부가 사퇴하며 공석이 된 원내대표 보궐선거에 출마하여 [[남인순]] 후보와의 결선투표 끝에 신임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로 당선되었다. [[https://www.khan.co.kr/politics/politics-general/article/202309261548001|#]] 이후 바로 다음날인 27일 새벽 이 대표의 구속영장이 법원에서 기각되면서 신임 원내대표로서의 시작을 산뜻하게 끊게 되었다.[* 당선되자 마자 구속영장이 기각이 된셈이라 의원들 사이에 복덩이라는 표현까지 나왔고, 의원총회에서 여러차례 박수를 받았다.] ===== 원내대표 ===== 추석연휴 동안 [[2023년 하반기 재보궐선거]] 강서구청장 [[진교훈]] 후보 유세 오후 스케줄에 동참하였다. 10월 3일 [[이재명]] 대표의 영수회담 제안에 여당이 조롱만 하고 있다며 영수회담이 어렵다면 지도부까지 함께하는 회동으로 추진해볼 수도 있지 않냐고 제안했다. 10월 4일 [[이균용]] 신임 대법원장 후보자에 대해 불신임 표결을 할 것임을 밝히고 " 함량미달 후보를 자꾸 청문회장으로 보낸다면 민주당은 몇 번이고 반대 의견을 낼 것 " 이라고 못박았다. 당원들이 [[한동훈]] 법무장관 탄핵안을 10월 6일 본회의에서 표결 처리해달라고 건의하자 국무위원 탄핵은 국정감사 일정이 끝난 이후에 결정할 일이라고 입장을 밝혔다.[* 당원들의 반발이 있었지만 옳은 말이기도 한데 국정감사 직전에 법무장관을 직무정지 시킬 경우 권한대행인 [[이노공]] 차관에게 모든 질문을 해야 하기 때문이다. ] 10월 6일 국회 본회의 시작 직후 [[이균용]] 대법원장 후보 불신임이 당론으로 채택되었고 임명 저지에 성공했다. 홍익표 의원은 이날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위원장직을 사임했고 민주당 [[이상헌]] 의원이 후임으로 당선되었다. 또한 국회의원으로서 [[채상병 사건]] 특검법 등 패스트트랙으로 여러 중요 법안들을 통과시켰다. 친명계 의원들과 그 지지자들이 이재명 체포동의안 가결파들을 비판하고 처벌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 비명계 의원들과 지지자들이 반발하면서 당 분위기가 다소 어수선해지자 "국회의원들이 당의 단합에 도움이 되지 않는 행동을 한다면 윤리심판원에 회부하여 징계하겠다"고 입장을 밝혔다. 10월 11일 [[김어준의 겸손은 힘들다 뉴스공장]]에 출연하였다. 이재명 대표 수사에 대해 [[홍준표]] 대구시장이 비판한 말을 인용하여 "정치인이나 고위직 수사는 6개월 안에 정리를 끝내고 소명된 혐의를 일괄기소한 뒤에 재판이 이어지는 것인데 , 이재명 대표 수사를 보면 검찰이 무능하거나 또는 정치적 이해관계에 따라 수사하는 것 " 이라고 말했다. 또 [[진교훈]] 후보를 언급하고 추켜세우면서 반대로 [[2023년 하반기 보궐선거]] 국면에서의 여당의 행태를 비판했다. 그리고 저녁에는 강서구 [[진교훈]] 후보 선거사무실에서 [[2023년 하반기 보궐선거]] 개표를 지켜봤다. == [[홍익표/논란|논란]]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홍익표/논란)] == 여담 == * 꽤 미성이다. == 소속 정당 == ||
{{{#fff '''소속'''}}} || {{{#fff '''기간'''}}} || {{{#fff '''비고'''}}} || || [include(틀:민주통합당)] || 2012 - 2013 || 정계 입문 || || [include(틀:민주당(2013년))] || 2013 - 2014 || 당명 변경 || || [include(틀:새정치민주연합)] || 2014 - 2015 || 합당[* [[새정치민주연합]]에 흡수 합당.]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2015 - || 당명 변경 || == 선거 이력 == ##당 내부 선거가 아닌 대한민국 선출직 공직자 선거 결과만 기록한다. || '''연도''' || '''선거 종류''' || '''선거구''' || '''소속 정당''' || '''득표수 (득표율)''' || '''당선 여부''' || '''비고''' || || 2012 ||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 서울 [[성동구 을|성동 을]] || [include(틀:민주통합당)] || '''31,564 (49.66%)''' ||<|3> '''당선 (1위)''' || '''초선''' || || 2016 ||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2> 서울 [[중구·성동구 갑|중·성동 갑]] ||<|2>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50,630 (45.07%)''' || '''재선''' || || 2020 ||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 '''70,387 (54.25%)''' || '''3선''' || || {{{#FFF '''역대 선거 벽보'''}}} || ||<^|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9대 총선 홍익표.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대 총선 홍익표.jpg|width=100%]]}}} || || [[제19대 국회의원 선거|{{{#000000,#fff 19대 총선}}}]] [[성동구 을|{{{#000000,#fff (서울 성동구 을)}}}]] || [[제20대 국회의원 선거|{{{#000000,#fff 20대 총선}}}]] [[중구·성동구 갑|{{{#000000,#fff (서울 중구·성동구 갑)}}}]]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1대 총선 홍익표.jpg|width=100%]]}}} || || [[제21대 국회의원 선거|{{{#000000,#fff 21대 총선}}}]] [[중구·성동구 갑|{{{#000000,#fff (서울 중구·성동구 갑)}}}]] || }}}}}}}}} || == 둘러보기 == [include(틀:대한민국의 원내대표)]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중앙당)] [include(틀:제19대 국회의원/서울특별시)] [include(틀:제20대 국회의원/서울특별시)] [include(틀:제21대 국회의원/서울특별시)] [include(틀:제19대 국회의원/더불어민주당)] [include(틀:제20대 국회의원/더불어민주당)] [include(틀:제21대 국회의원/더불어민주당)]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홍익표, version=18)] [[분류:대한민국의 가톨릭 신자]][[분류:대한민국의 남성 정치인]][[분류:관악고등학교 출신]][[분류:한양대학교 출신]][[분류:관악구 출신 인물]][[분류:이명박 정부/인사]][[분류:참여정부/인사]][[분류:1967년 출생]][[분류:제19대 국회의원]][[분류:제20대 국회의원]][[분류:제21대 국회의원]][[분류:민주통합당 국회의원]][[분류:민주당(2013년) 국회의원]][[분류:새정치민주연합 국회의원]][[분류: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분류:학자 출신 정치인]][[분류:남양 홍씨(당홍)]][[분류:장교 출신]][[분류:더불어민주당 소속]][[분류: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