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경춘선의 폐지된 동명의 역, rd1=화랑대역(경춘선))] ||<-3> {{{+2 '''화랑대'''}}}'''(서울여대입구)'''{{{+2 '''역'''}}} || ||<-3> [[서울 지하철 6호선|[[파일:Seoulmetro6_icon.svg|width=30]]]] || || [[응암역|{{{#!html
응암순환}}}]][[태릉입구역|태릉입구]][br]← 0.9 ㎞ || [[서울 지하철 6호선|{{{#!html
6호선
(646)
}}}]] || [[신내역|{{{#!html
신내 방면}}}]][[봉화산역|봉화산]][br]0.7 ㎞ → || ||<-3>[include(틀:지도, 장소=6호선화랑대역, 너비=100%, 높이=225px)]|| ||<-3> '''다른 문자 표기''' || || [[로마자]] |||| {{{#!wiki style="letter-spacing: -.5px" Hwarangdae {{{-2 (Seoul Women's Univ.)}}}}}} || || [[한자]] ||<-2> 花郞臺(서울女大入口) || || [[간체자]] ||<-2> 花郎台(首尔女子大学) || || [[가나(문자)|가나]] ||<-2> [ruby(花郎台, ruby=ファランデ)] || ||<-3> '''주소''' || ||<-3> [[서울특별시]] [[노원구]] [[화랑로(서울)|화랑로]] 지하510 ([[공릉동]] 285-2) || ||<-3> '''운영 기관''' || || [[서울 지하철 6호선|{{{#ffffff 6호선}}}]] ||<-2> [[서울교통공사]] || ||<-3> '''개업일''' || || [[서울 지하철 6호선|{{{#ffffff 6호선}}}]] ||<-2> 2000년 8월 7일 || ||<-3> '''역사 구조''' || ||<-3> 지하 2층 || ||<-3> '''승강장 구조''' || ||<-3> [[복선]] [[상대식 승강장]] (횡단 가능) || [목차] [clearfix] == 개요 == [[서울 지하철 6호선]] 646번. [[서울특별시]] [[노원구]] [[화랑로(서울)|화랑로]] 지하510 ([[공릉동]] 285-2) 소재. == 역 정보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화랑대역 안내도.jpg|width=100%]]}}}|| || {{{#ffffff '''역 안내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화랑대역 6호선.jpg|width=100%]]}}}|| || {{{#ffffff '''대합실'''}}} || 본래 1991년에 정식 역명으로 정해진 이름은 태릉앞이었으나 1995년에 이름이 바뀌어 태릉 이름은 현재의 [[태릉입구역]]으로 갔고, 대신 육군사관학교에서 따온 화랑대가 정식 역명이 되었다.[*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5122100239143005&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95-12-21&officeId=00023&pageNo=43&printNo=23235&publishType=00010|다시「가양대교」로(조선일보)]]] 역명의 유래가 된 화랑대(花郞臺)는 [[육군사관학교]]의 별칭이다. 육군사관학교는 일반 학교가 아닌 군사시설이기 때문에 군법상 일반 지도에 직접적으로 표기할 수 없어 어쩔 수 없이 역명으로 별칭을 쓴 것이다. 그렇다고 병기역명인 '''[[서울여대]]입구'''를 주역명으로 쓰자니 [[역 관련 정보/대학교 역명|개정된 도시철도법]]에 맞지 않아 쓸 수가 없었다. 이칭(異稱)이라 틀린 건 아니긴 한데 정확한 명칭은 아닌 셈이다. [[육군사관학교]]가 대학교 취급되기 때문에 '대'를 '大'자로 오해하는 경우가 있지만 '대(臺)'가 맞다. 주로 국직·육직부대 이름에 들어가는 별칭이다. [[육군훈련소|연무대]], [[계룡대]], [[국군체육부대|상무대]], [[자운대]], [[제2작전사령부|무열대]], [[지상작전사령부|선봉대]], [[육군3사관학교|충성대]], [[육군군수사령부|칠성대]], [[육군학생군사학교|문무대]] 등. 5, 6, 7번 출구가 [[묵동]]에 있기 때문에 건설 당시엔 묵동역이라는 가칭을 사용했다.[* 즉, 역의 위치는 노원구 공릉동과 중랑구 묵동의 경계선상에 있다.] 병기역명은 '''서울여대입구'''로, 인근에 [[서울여자대학교]]가 있어서 유래했다. == 역 주변 정보 == 옛 [[경춘선]] 선로와 인접해 있으며, 역 주변은 주거지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선로 부지 북쪽으로는 아파트가 많이 조성되어 있다. 화랑대역 2번 출구 바로 앞에 [[묵동역]]이, 북동동쪽으로 800m 떨어진 곳에 경춘선 [[화랑대역(경춘선)|화랑대역]]이 있었다. 그러나 묵동역은 1944년 3월 31일, 구) 화랑대역은 2010년 12월 21일을 마지막으로 폐지되었다. 현재 묵동역의 흔적은 전혀 찾아볼 수 없다. 병기역명인 [[서울여자대학교]]와의 거리는 남문 1km + α 정도다. 남문에서 가장 가까운 바롬교육관조차도 5분은 걸어야 한다. 학생들이 수업을 듣는 제 1, 2과학관만 가도 힘들지만, 인문사회관 정도만 되면 이제부터는 총체적 난국이 시작된다. 다니면 다닐수록 어째서 서울여대입구라는 별칭이 붙어있는지 이해하지 못하게 되다, 종국엔 [[석계역]](1호선 유저 한정)이나 [[태릉입구역]]에서 버스 타고 등교한다. 1학기 초반, 신입생들이 뭣도 모르고 걸어다닐 때와, 슬슬 시일이 지나 이게 걷기엔 무리가 오는 거리라는걸 알게 되면서부터의 기간 이후의 화랑대역 사용 인구 차가 꽤 크다. 일요일 오후에는 [[육군사관학교]] 생도들이 제복입고 007가방 들고 이 역에 대거 몰려와서 [[서울 버스 1155|1155번]], [[서울 버스 2212|2212번]], [[남양주 버스 115|남양주 115번]]을 타고 학교로 들어가는 광경도 볼 수 있다. 육사 정문은 경춘선 화랑대역 쪽이지만, 육사 생도 및 관람객들은 전부 [[서울여대]] 옆의 문으로 들어가고 나온다. 화랑대역에서 서울여대를 가려면 환승으로 버스를 탄 뒤 두 정거장을 지난 화랑타운아파트 정류장(후문)이나 세 정거장을 지나 서울여대정문 정류장(정문)에 내리면 유용하니 참고하도록 하자. 화랑대역 6, 7번 출구에서 [[태릉고등학교]] 후문은 '''50m도 안 되는 거리'''에 위치해있어 사실상 태릉고등학교의 입구이다. 어느정도냐면 밑의 사진을 보면 알 수 있다. [* 심지어 엘리베이터는 후문 '''바로 옆'''에 있다.] 그리고 화랑대역이 오히려 태릉입구역보다 [[태릉(문정왕후)|태릉]]에서 가깝고, [[태릉입구역]]은 태릉과 한참 떨어져 있다. 태릉입구역의 경우 개통 이전 '불암역' 이라는 임시역명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태릉고등학교와 태릉의 거리도 꽤 먼데, 애초에 태릉고등학교는 '''[[중랑구]] 묵동'''에 있다. 그래서 화랑대에서 이름을 따서 화랑고등학교로 바꾸자는 드립이 가끔 먹힌다. 참고로 [[화랑초등학교(서울)|화랑초등학교]]는 존재한다. [[서울여자대학교/캠퍼스|서울여자대학교 캠퍼스]] 안에 있으며, 동일 재단에서 운영하는 '''[[사립]]'''초등학교이다. 화랑대역과 한참 멀리 떨어져 있는 [[별내신도시]] 주민이나 [[삼육대학교]] 학생들, 또는 [[서울 버스 202|202번]] 종점 근처 주민이나 군인들은 거의 항상 변함없이 이 역을 이용하는 편이다. 이 역을 연계해주는 버스노선들이 대개 [[석계역]]에서 출발하고 태릉입구역을 거치기 때문에 앞의 두 역에서 먼저 버스를 타는 경우가 상당수다[* 지하철 6호선은 석계역에서 태릉입구역, 화랑대역을 거쳐 봉화산역과 신내역으로 이어지지만, 봉화산~신내역 구간은 화랑로를 따라가던 석계~화랑대 구간으로 옆으로 빠져 신내로 방향으로 뻗어있다. 따라서 화랑로를 따라가야 하는 육사생도 및 군인, 삼육대생 및 서울여대생, 별내신도시 주민들은 늦어도 화랑대역에서는 내려야 가려던 길을 따라 갈 수 있다. 물론 어차피 지하철에서 내려 버스로 한번 갈아타야 하는 것은 마찬가지이고 이 버스들은 당연히 화랑로를 따라가면서 석계, 태릉입구, 화랑대역 정거장에 한번씩 정차하니 눈치껏 자리 잡기 쉬워보이는 역에서 내려서 버스로 환승하면 된다.]. 하지만 요즘 들어 [[서울 버스 1132|1132번 버스]]를 중심으로 중계동의 출퇴근 인구가 화랑대역으로 몰리고 있어서 출퇴근시간 한정으로 유동인구가 굉장히 많다[* 1132번 버스가 화랑대역에서 중계동 쪽으로 넘어가는 길은 노원로인데, 노원로의 화랑대역(북부간선도로 태릉IC)~공릉터널 구간은 평소에는 그럭저럭 괜찮지만 가끔 막힐 경우 운전자의 이가 박박 갈릴 정도로 꼼짝도 안하는 상황에 빠지는 경우가 있다. 일년에 몇번정도이기는 하지만 걸어서도 20분이 안 걸리는 거리를 통과하는데 30~40분이 넘게 걸려서 미치는 상황도 발생할 정도. 특히 북부간선도로를 통해 구리-남양주쪽으로 이어지는 해당 구간의 특성상 평일 출퇴근시간이나 휴일 나들이시즌에는 교통량이 상당히 많아져서 체증의 우려가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태릉고등학교 교복을 입은 학생들이 공릉동 아파트단지와 연결된 '''3번 출구에서 6,7번 출구로 걸어서''' 등교하거나 반대로 가서 하교하는 경우가 많다. 공릉동 아파트단지에서 태릉고등학교까지의 지름길이기 때문이다. 경춘선이 길을 막고 있어서 공릉동 학생들은 지하로 갈 수 밖에 없는 구조이다. 이후 경춘선이 이설되면서 화랑대역을 통해서 가지 않아도 태릉고등학교로 갈 순 있다. 하지만 횡단보도를 2개를 건너야 하는 건 함정이다. 육군사관학교가 그리 멀지 않은 곳에 있기 때문에, 사관학교 입학시험을 치는 날 유동인구가 매우 많아진다. 태릉고등학교 역시 수능시험장으로 지정되기 때문에 [[대학수학능력시험]] 당일 날에도 유동인구가 많아진다. 2000년대 초반에 [[상봉터미널]]을 폐쇄하고 이 역 주차장 부지에 임시 터미널을 만들 계획이 있었지만 무산되었던 일이 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00028723|#]] 참고로 기사에서 언급된 이전 검토 예정지 중 [[국군병원|국군창동병원]] 부지에는 [[서울북부지방법원]]과 [[서울북부지방검찰청]]이, 망우동 삼표연탄 부지에는 현대프레미어스 엠코라는 [[주상복합]] 아파트가 들어섰다. 2019년 12월에 6호선 [[신내역]]이 개통하면서 [[수도권 전철 경춘선]]과 환승이 가능해짐에 따라, 이 역이 옛 경춘선 화랑대역의 역할을 어느 정도 대체할 수 있게 되었다. === 출구 정보 === ||<-2> {{{#000,#fff [[파일:Seoulmetro6_icon.svg|width=20]] 화랑대(서울여대입구)역 출구 정보}}} || ||{{{#ffffff 1}}}||태릉사거리[br]공릉119안전센터[br]삼육대학교 방면[br]다운복지관|| ||{{{#ffffff 2}}}||원자력병원[br]서울생활사박물관[br]태릉사거리[br]경춘선 숲길|| ||{{{#ffffff 3}}}||서울여자대학교[br]공릉2동·공릉2동주민센터[br]태릉초등학교[br]공릉중학교[br]공릉청소년정보문화센터|| ||{{{#ffffff 4}}}||태릉선수촌 방면[br]육군사관학교 방면[br]서울둘레길 1코스|| ||{{{#ffffff 5}}}||공릉근린공원[br]화랑대역환승주차장|| ||{{{#ffffff 6}}}||중랑정보도서관[br]중랑구민체육센터[br]원묵고등학교|| ||{{{#ffffff 7}}}||묵1동[br]원묵초·중학교[br]태릉고등학교|| == 일평균 이용객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 {{{#ffffff '''연도'''}}} || [[서울 지하철 6호선|[[파일:Seoulmetro6_icon.svg|width=25]]]] || {{{#ffffff '''비고'''}}} || ||<^|1><-3>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2000년~2009년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 2000년 || 7,407명 || [* 개통일인 8월 7일부터 12월 31일까지 147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 || || 2001년 || 15,380명 || || || 2002년 || 19,368명 || {{{#fff,#1f2023 비고}}} || || 2003년 || 20,525명 || || || 2004년 || 22,185명 || || || 2005년 || 21,959명 || || || 2006년 || 21,828명 || || || 2007년 || 21,492명 || || || 2008년 || 21,140명 || || || 2009년 || 20,628명 || ||}}}}}}}}} || || 2010년 || 21,018명 || || || 2011년 || 21,101명 || || || 2012년 || 21,910명 || || || 2013년 || 23,200명 || || || 2014년 || {{{#cd7c2f 23,737명}}} || || || 2015년 || 23,596명 || || || 2016년 || 23,462명 || || || 2017년 || 23,284명 || || || 2018년 || 23,016명 || || || 2019년 || 23,232명 || || || 2020년 || 16,459명 || || || 2021년 || 16,660명 || || || 2022년 || 18,910명 || || || 2023년 || || || ||<-3> {{{#ffffff '''출처'''}}} || ||<-3> [[http://www.seoulmetro.co.kr/kr/board.do?menuIdx=548|서울교통공사 자료실]] || }}} 육군사관학교, 서울여자대학교, [[태릉선수촌]]으로 가는 길목에 있어 이와 관련된 군인, 운동선수, 대학생들의 잠재적 수요가 많다. 게다가 [[화랑로(서울)|화랑로]]를 통해 [[남양주시]]의 [[별내신도시]]와 직결되어, 별내를 포함해 [[퇴계원읍]], [[진건읍]], [[진접읍]], [[오남읍]] 일대에서 서울로 넘어오는 길목이기도 하다. 이렇게 유리한 입지를 차지한 덕분에 2022년 기준으로 하루 평균 18,910명이 이용하여 6호선 내에서 이용객이 전체 12위로 중상위권이다. 다만 위에서 설명한 대로라면 이보다 승객이 훨씬 많아야 정상인데, 실제로는 그냥저냥 평범한 수준의 이용객에 그친다. 2만 명대 초중반이면 적지는 않아도 딱히 많다고도 볼 수 없는 숫자이다. 6호선이 서울의 [[도심]], [[부도심]]으로 직접 연결해주지 않고 구간 수요에 초점이 맞춰진 환승 유도 노선이기 때문에 화랑대역에서 6호선을 타고 목적지까지 가려면 어차피 다시 한 번 환승을 더 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위에 언급된 지역에서 서울로 오는 승객의 상당수는 화랑대역이 아닌 [[태릉입구역]], [[석계역]]에서 각각 [[서울 지하철 7호선|7호선]], [[서울 지하철 1호선|1호선]]으로 갈아탄다. 즉 육사, 서울여대, 태릉이나 남양주에서 오는 수요를 화랑대역이 온전히 흡수하지는 못한다는 이야기이다. == 승강장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화랑대역 승강장2.jpg|width=100%]]}}}|| || '''{{{#fff 6호선 승강장 }}}''' ||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는 지하로,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스크린도어가 닫힐 때 경고음이 추가되었다.[* 2016년 김포공항역 스크린도어 사망사고 이후로, [[김포공항역]] 새 안전문이 교체 후 모든 역에 문이 닫힐 때 경고음이 울려퍼졌다.] ||<-4> [[태릉입구역|태릉입구]] ↑ || || {{{#ffffff 하}}} || ㅣ || ㅣ || {{{#ffffff 상}}} || ||<-4> ↓ [[봉화산역|봉화산]] || || {{{#ffffff 상}}} ||<|2> [[파일:Seoulmetro6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6호선]] ||[[태릉입구역|태릉입구]]·[[석계역|석계]]·[[효창공원앞역|효창공원앞]]·[[응암역|응암]] 방면|| || {{{#ffffff 하}}} ||[[봉화산역|봉화산]]·[[신내역|신내]] 방면|| == 연계 교통 == [[화랑로(서울)|화랑로]] 정류소와 신내로 정류소를 지나는 노선이 서로 분리되어 있으며, [[서울 버스 1221|1221번]], [[구리 버스 75|75번]]만 양쪽 모두를 경유한다. === 화랑로 정류소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 {{{+1 {{{#373a3c,#dddddd '''화랑대역1번출구(11118·79035)'''}}}}}} {{{#!wiki style="text-align: left" * 1번 출구에 위치한 정류소이며, [[화랑로(서울)|화랑로]] 동쪽 방면으로 운행하는 노선이 정차한다.}}} || ||<^|1>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버스 목록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2> '''화랑타운A 방면''' || || [[지선버스|{{{#ffffff 지선}}}]]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1132|{{{#ffffff 1132(노원역)}}}]]}}} || ||<-2> '''효성A 방면''' || || [[간선버스|{{{#ffffff 간선}}}]]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95em" [[서울 버스 202|{{{#ffffff 202(불암동)}}}]]}}} || || [[지선버스|{{{#ffffff 지선}}}]]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1155|{{{#ffffff 1155(청학리)}}}]]}}} || || [[일반시내버스|{{{#ffffff 일반시내}}}]]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95em" [[남양주 버스 115|{{{#ffffff 115(사릉)}}}]]}}} || || [[마을버스|{{{#ffffff 마을}}}]]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99d1c; font-size: .95em" [[남양주 버스 82|{{{#ffffff 82A(별내하우스토리)}}}]]}}}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99d1c; font-size: .95em" [[남양주 버스 82|{{{#ffffff 82B(별내빙상장)}}}]]}}} || ||<-2> '''북부간선도로 방면''' || || [[일반시내버스|{{{#ffffff 일반시내}}}]]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95em" [[남양주 버스 65-1|{{{#ffffff 65-1(차산리)}}}]]}}}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95em" [[남양주 버스 76|{{{#ffffff 76(구리수택)}}}]]}}} || ||<-2> '''봉화산역 방면''' || || [[지선버스|{{{#ffffff 지선}}}]]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1221|{{{#ffffff 1221(서울의료원)}}}]]}}} || || [[일반시내버스|{{{#ffffff 일반시내}}}]]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95em" [[구리 버스 75|{{{#ffffff 75(갈매역)}}}]]}}} || }}}}}}}}} ||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 {{{+1 {{{#373a3c,#dddddd '''화랑대역2번출구(11139·79036)'''}}}}}} {{{#!wiki style="text-align: left" * 2번 출구에 위치한 정류소이며, [[화랑로(서울)|화랑로]] 서쪽 방면으로 운행하는 노선이 정차한다.}}} || ||<^|1>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버스 목록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2> '''태릉입구역 방면''' || || [[지선버스|{{{#ffffff 지선}}}]]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1132|{{{#ffffff 1132(월계동)}}}]]}}}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1155|{{{#ffffff 1155(석계역)}}}]]}}}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1221|{{{#ffffff 1221(중계동)}}}]]}}} || || [[일반시내버스|{{{#ffffff 일반시내}}}]]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95em" [[남양주 버스 65-1|{{{#ffffff 65-1(석계역)}}}]]}}}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95em" [[구리 버스 75|{{{#ffffff 75(석계역)}}}]]}}}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95em" [[남양주 버스 76|{{{#ffffff 76(석계역)}}}]]}}}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95em" [[남양주 버스 115|{{{#ffffff 115(석계역)}}}]]}}} || ||<-2> '''목동구길 방면''' || || [[간선버스|{{{#ffffff 간선}}}]]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95em" [[서울 버스 202|{{{#ffffff 202(후암동)}}}]]}}} || || [[마을버스|{{{#ffffff 마을}}}]]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99d1c; font-size: .95em" [[남양주 버스 82|{{{#ffffff 82A(태릉입구역)}}}]]}}}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99d1c; font-size: .95em" [[남양주 버스 82|{{{#ffffff 82B(태릉입구역)}}}]]}}} || }}}}}}}}} || }}} === 신내로 정류소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 {{{+1 {{{#373a3c,#dddddd '''지하철6호선화랑대역(07295)'''}}}}}} {{{#!wiki style="text-align: left" * 5번 출구에 위치한 정류소이며, [[신내로]] 서쪽 방면으로 운행하는 노선이 정차한다. * [[구리 버스 75|75번]]은 건너편 6번 출구 정류소에 곧바로 정차한다.}}} || ||<^|1>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버스 목록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2> '''화랑타운A 방면''' || || [[지선버스|{{{#ffffff 지선}}}]]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1122|{{{#ffffff 1122(원자력병원)}}}]]}}}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1143|{{{#ffffff 1143(수락리버시티)}}}]]}}} || ||<-2> '''태릉입구역 방면''' || || [[지선버스|{{{#ffffff 지선}}}]]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1221|{{{#ffffff 1221(중계동)}}}]]}}} || || [[일반시내버스|{{{#ffffff 일반시내}}}]]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95em" [[구리 버스 75|{{{#ffffff 75(석계역)}}}]]}}} || ||<-2> '''태릉 방면''' || || [[지선버스|{{{#ffffff 지선}}}]]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2212|{{{#ffffff 2212(불암동)}}}]]}}} || ||<-2> '''U턴 노선''' || || [[일반시내버스|{{{#ffffff 일반시내}}}]]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95em" [[구리 버스 75-1|{{{#ffffff 75-1(갈매역)}}}]]}}} || }}}}}}}}} ||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 {{{+1 {{{#373a3c,#dddddd '''지하철6호선화랑대역(07294)'''}}}}}} {{{#!wiki style="text-align: left" * 6번 출구에 위치한 정류소이며, [[신내로]] 동쪽 방면으로 운행하는 노선이 정차한다.}}} || ||<^|1>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버스 목록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2> '''봉화산역 방면''' || || [[지선버스|{{{#ffffff 지선}}}]]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1221|{{{#ffffff 1221(서울의료원)}}}]]}}}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2212|{{{#ffffff 2212(면목동)}}}]]}}} || || [[일반시내버스|{{{#ffffff 일반시내}}}]]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95em" [[구리 버스 75|{{{#ffffff 75(갈매역)}}}]]}}}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95em" [[구리 버스 75-1|{{{#ffffff 75-1(갈매역)}}}]]}}} || ||<-2> '''신내우체국 방면''' || || [[지선버스|{{{#ffffff 지선}}}]]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1143|{{{#ffffff 1143(중계본동)}}}]]}}} || ||<-2> '''원묵초교 방면''' || || [[지선버스|{{{#ffffff 지선}}}]]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1122|{{{#ffffff 1122(석관동)}}}]]}}}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2113|{{{#ffffff 2113(중랑)}}}]]}}} || }}}}}}}}} || }}} == 사건사고 == * 2023년 12월 1일 오후 1시 30분경부터 3시경까지 1시간 20여 분간 [[서울 지하철 6호선]] 4개역([[석계역]], [[태릉입구역]], [[화랑대역]], [[봉화산역]])에서 동시에 [[정전]]이 일어났다. 이로 인해 복구가 될 때까지 4내역 역내 [[개찰구]], [[에스컬레이터]], [[스크린도어]], [[네트워크]], [[전화]] 등이 작동을 하지 않았으며 [[상점]]에도 전기 공급이 끊겨 이용객들이 여러모로 불편을 겪었다. 다행히 전동차는 정상 운행됐다. 서울 지하철 6호선 관계자는 "4개의 역이 하나의 [[변전소]]에 묶여 있어 문제가 생기면 한꺼번에 전기가 나갈 수 있다"고 전했다. [[https://news.jtbc.co.kr/article/article.aspx?news_id=NB12154541|#1]] [[https://news.kbs.co.kr/news/view.do?ncd=7831792|#2]] == 둘러보기 == [include(틀:서울 지하철 6호선의 역 목록)] [[분류:2000년 개업한 철도역]][[분류:노원구의 도시철도역]][[분류:서울 지하철 6호선]][[분류:대학 명칭 철도역]][[분류:나무위키 철도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