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화성시)] [include(틀:수원시의 행정구역 변천사)] [목차] == 개요 == [[https://www.hscity.go.kr/www/intro/gnrlSttus/ctyhllHist.jsp|링크]] 이 링크된 사이트에서도 화성시의 역사를 알아볼 수 있다. == [[삼국시대]] ~ [[남북국시대]] == [[마한]]의 54소국 중의 하나인 모수국(牟水國)이었다. 이후 [[백제]] 땅이었다가, [[고구려]]가 백제를 [[한강]] 유역에서 몰아낸 이후 매홀군(買忽郡)으로 이름을 바꿨다. [[고구려]] 때 화성 동부는 매홀군(買忽郡), 화성 서부는 당성군(唐城郡)이었다. 당항포(唐項浦) 또는 당항성(唐項城)[* '[[당나라]](唐)로 가는 길목(項)'이란 뜻. [[충청남도|아랫동네]]에도 [[당진시|같은 이유로 붙여진 지명]]이 현재까지 쓰이고 있다.]이라고도 불렸으며, 군사적 요충지로서 [[신라]]와 [[고구려]], [[백제]]가 다툼을 벌인 곳으로 유명하다. [[진흥왕]] 이래로 신라가 차지했고, 당항성은 [[당나라]]와 신라를 잇는 항구도시로 번영했다.[* 삼국시대 후반 신라 전성기 지도나 [[남북국시대]] 지도를 보면 다른 많은 도시가 생략되는 간단한 지도라도 당항성은 당시의 중요성을 감안해 대부분 표시된다.] [[통일신라]] [[경덕왕]] 때 동부는 수성군(水城郡), 서부는 당은군(唐恩郡)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 [[고려]] == 동부는 [[왕건|태조왕건]] 때 수주군(水州郡)으로, 서부는 [[충선왕]] 때 남양부(南陽府)로 개편되었다. == [[조선]] == 조선 초기 수원도호부(현재 수원시, 오산시, 화성시 동부와 남부, 평택시 서부)와 남양도호부(현재 화성시 북서부, 안산시 대부도, [[인천광역시]] 옹진군 영흥면)로 개편되었다. 수원도호부의 읍치는 현재 화산동에, 남양도호부의 읍치는 현재 남양읍에 있었다. 그러다가 [[정조(조선)|정조]] 때 아버지 [[사도세자]]의 능침인 현륭원(융릉)을 만들기 위해 수원도호부의 읍치를 새로 축조한 [[수원화성]], 즉 현 [[수원시]] 일대로 이전했다. 즉, 정조 때까지 수원의 중심지는 현재 수원시 지역이 아닌 현재 화성시 화산동 일대였다. [[1413년]]([[태종(조선)|태종]] 13년) 수원도호부(水原都護府)로 개편되어, 현재의 수원이란 명칭이 확립되었다. [[조선시대]] 중기까지 한적한 촌락에 불과하던 수원은 [[정조(조선)|정조]](正祖)가 아버지인 [[사도세자]](思悼世子)의 무덤 영우원(永祐園)을 양주에서 수원의 화산(華山/花山)으로 이전해 현륭원(顯隆園)으로 개칭하면서 본격적으로 발전하기 시작했다. 원래 있던 수원부 치소와 시가지를 현재의 [[수원화성]]으로 옮겨버리고, 그 자리에 현륭원을 지은 것. 그 때문에 연구가들이 옛 수원의 연구에 애를 먹고 있다. 그 와중인 [[1789년]] [[광주시/역사|광주유수부]]의 일용면[* 현재의 [[장안구]] 영화동, 조원동, 송죽동, 정자동, 파장동] 과 송동면[* 현재의 화성시 [[매송면]] 야목리, 송라리, 원리]을 편입했다. 이원(移園)과 함께 도시 방어를 위한 수원 화성과 왕의 능행차 시 묵었던 [[화성행궁]]이 건립되었다. 그리고 정조는 자신의 친위 부대인 장용영을 수원에도 배치시키고, 상업을 발전시켰다. 수원 역시 수원도호부에서 화성유수부로 승격되어 대도시로 성장했다. 또한 다른 곳에서는 종2품을 두던 유수부였지만, 화성유수는 정2품으로 한성부판윤과 동급이었다.[* 이것은 오늘날로 치면 수원광역시를 사실상 수원특별시로 승격, 취급한 셈이다.] 그러나 정조의 죽음으로 수원은 쇠퇴하고, 정조가 수원에 베풀던 특권 역시 폐지되었다. 다만 유수부라는 지위는 박탈당하진 않았다...만 이마저도 [[1895년]] [[23부제]] 시행으로 인해 인천부 수원군으로 강등된다(...) [[구한말]] 수원군과 [[남양군]]으로 개편되었다. 다만 이포면(지금의 화성시 남양읍 신외리/정전리, 비봉면 유포리/삼화리)은 조선 말기까지는 [[인천광역시|인천도호부]]의 [[월경지]]였다가, [[1906년]] 월경지 정리 개편으로 남양군에 편입되었다. == [[일제강점기]] == [[1914년]] [[부군면 통폐합|일제의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수원군과 [[남양군]]이 '''수원군'''으로 통합되었다. 이와 함께 현 [[안산시]] [[상록구]] 일부[* 구 안산군 대곡면·북방면·성곶면. [[1914년]] 수원군 편입 이후 [[반월면]]으로 통합. [[1906년]] 이전에는 이 지역까지도 [[광주군]] 관할이었다.]와 [[의왕시]][* 구 광주군 의곡면·왕륜면, 편입 이후 의왕면] 일대가 수원군으로 편입되었다. 기존 수원군과 [[남양군]]의 수많은 면들도 서로 통합됐다. 이와 함께 원래 남양군 관할이었던 [[대부도]], [[영흥도]] 등 도서 지역은 부천군에, 종덕면·토진면·수북면·청룡면·감미면·율북면·포내면·승량면·숙성면·언북면·오정면·안외면·광덕면·가사면·현암면은 [[평택시|진위군]]에 편입되었다. [[1931년]] 수원면이 수원읍으로 승격되고, [[1936년]] 일형면, 안룡면, 태장면의 각 일부가 수원읍에 편입되었다. 이와 함께 일형면과 의왕면이 일왕면으로 통합되었다. [[1941년]] 성호면이 오산면으로 개칭되었다. == [[대한민국]] == === [[화성군]] === ||<-4> '''[[경기도|{{{#000000,#dddddd 경기도}}}]]의 폐지된 [[자치군|{{{#000000,#dddddd 자치군}}}]]'''[br]{{{#!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wiki style="margin: -5px 0" [[파일:화성군 CI.svg|height=65]]}}}||{{{#!wiki style="margin: -5px 0" '''{{{+1 화성군}}}'''[br]華城郡[br]{{{-1 Hwaseong County}}}}}} ||}}} || ||<-4>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화성시, 너비=100%, 높이=100%)]}}} || ||<-2> '''군청 소재지''' ||<-2> [[오산시]] || ||<-2> '''광역자치단체''' ||<-2> [[경기도]] || ||<-2> '''면적''' ||<-2> 698.19㎢ || ||<-2> '''인구''' ||<-2> 185,979명[* 2000년 주민등록인구] || ||<-2> '''인구밀도''' ||<-2> 266.37명/㎢[* 2000년 기준] || ||<-2> '''군수''' || [include(틀:한나라당(1997~2004))] || [[우호태]] ,,(초선),, || ||<-2> '''국회의원''' || [include(틀:새천년민주당)] || [[강성구]] ,,(초선),,[* [[내귀에 도청장치]]의 그 강성구 맞다.] || ||<-2> [[지역번호|{{{#ffffff '''지역번호'''}}}]] ||<-2> '''0339''' || [include(틀:다른 뜻1, other1=과거에 이름이 화성군이었던 함경북도의 군, rd1=명간군)] >'''창조하는 군민, 웅비하는 화성''' >- 민선 2기 슬로건 [clearfix] 1949년 8월 수원군 수원읍이 수원부(시)로 떨어져 나가면서, 수원군의 나머지 지역이 '''화성군'''이 됐다. 이와 함께 음덕면이 남양면으로 개칭되었다. 1960년 1월 1일 오산면이 오산읍으로 승격되었다. 1963년 1월 1일 일왕면, 태장면, 안용면의 각 일부를 수원시에 편입시키면서 수원시의 영역을 대폭 넓히는 데 일조하였고, 일왕면 중 수원시에 편입되지 않은 나머지(구 의왕면 영역과 동일)는 의왕면(현 [[의왕시]])으로 명칭을 환원하고 [[시흥군]]으로 넘어갔다. 태장면과 안용면은 태안면으로 통합되어 훗날의 태안읍, 지금의 [[병점]] 일대가 되었다. 1970년 수원시 내에 있던 화성군청[* 현재 이 자리에는 [[화성행궁]] 동쪽, 지금의 후생한의원 자리에 있었다. [[http://map.naver.com/?menu=location&mapMode=0&lat=37.2818831&lng=127.017281&dlevel=14&vrpanotype=3&vrpanoid=%2BsTUhCkjPMQm9qqnHjGebg%3D%3D&vrpanopan=1.9&vrpanotilt=-12.18&vrpanofov=40&vrpanolat=37.2818827&vrpanolng=127.0172816&street=on&vrpanosky=off&vrpanopoi=off&rpanel=n-f&enc=b64|군청이 있었음을 알리는 표석]]]을 오산읍으로 이전하였다.[* 현재 이 자리에는 [[롯데마트]] 오산점이 들어섰다.] 1983년 [[반월면]] 초평리, 월암리가 시흥군 의왕읍에 편입되었고 비봉면 상기리가 봉담면에 편입되었다. 1985년 10월 1일 태안면이 [[태안읍(화성)|읍]]으로 승격되었다. 1986년 1월 1일 [[반월면]] 일부(현 [[안산시]] [[상록구]] 일동, 이동, 사동, 본오동 등)가 신설된 [[안산시]]에 편입되었다. 1987년 매송면 금곡리, 호매실리가 [[수원시]]에 편입되었다. 1989년 1월 1일 오산읍이 [[오산시]]로 승격, 분리되었다. 1994년 12월 26일 [[반월면]]이 [[안산시]][* 현 [[안산시]] [[상록구]] 반월동], [[군포시]][* 현 군포시 대야동], [[수원시]][* 현 [[수원시]] [[권선구]] 입북동]에 분할 편입되어 사라지고([[반월면]]에 대한 것은 해당 문서 참조), 태안읍 영통리, 신리, 망포리 일대가 영통신도시로 개발되면서 [[수원시]]에 편입되었다. 1997년경에 전체 인구 16만 명에 유일한 읍인 태안읍이 5만 명이 넘지 않자, 화성군에서 생활권이 같은 장안면과 우정면을 합쳐 삼괴읍을 만들고 시 승격을 하려고 했으나, [[행정안전부|내무부]](현 [[행정안전부]])의 반려로 무산되었다. 1998년 4월 1일 봉담면이 봉담읍으로 승격되었다. === 화성시 === [[파일:화성시 CI(2001-2008).svg|width=200]] 2001년 시 승격 이후 2008년까지 사용한 로고 2000년 11월 화성군청이 남양면으로 이전했다. 2001년 3월 21일 [[화성시]]로 승격되면서, [[화성시청]]이 있는 남양면이 남양동으로 전환되었다.[* 보통 도농복합시로 승격될 때에는 관내에서 가장 큰 읍을 분동시키는 것이 관례이지만 당시 가장 대규모의 읍이었던 [[태안읍(화성)|태안읍]]이 분동을 반대했던 탓에 차선책으로 시청 소재지였던 남양면 주민들을 설득하여 남양면을 남양동으로 전환한 것이다.] 2003년 6월 우정면이 [[우정읍]]으로 승격되었다. 2006년에는 [[태안읍(화성)|태안읍]]이 폐지되고 동으로 전환되었으며, 2007년 향남면이 [[향남읍]]으로 승격되었다. 2014년 10월에는 남양동이 남양읍으로 전환되었다.[* 한국 역사상 최초로 동이 읍으로 전환된 사례이다.] 2015년 1월 2일 [[동탄신도시|동탄2신도시]] 개발지인 동탄면 영천리·오산리·청계리·중리 일부·산척리 일부·방교리 일부가 동탄4동(법정동 영천동, 청계동, 오산동)으로 분리 신설됐으며, 2018년 1월 22일 [[동탄면]]이 폐지되고 동탄5동(법정동 영천동, 중동)과 동탄6동(법정동 오산동, 신동, 목동, 산척동, 장지동, 송동, 방교동, 금곡동)이, 송산그린시티 동측지구 관할로 하는 새솔동이 신설됐다. 2020년 7월 24일 [[반정동]]의 일부가 수원시 [[영통구]] [[망포동]]으로 편입된 대신, 수원시 [[영통구]] [[망포동]]의 일부가 [[반정동]]으로 넘어왔다. 2023년 7월 3일 동탄7동의 일부가 동탄9동으로 분동되었다. == 관련 문서 == * [[수원시/역사]] * [[남양군]] [각주][[분류:화성시의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