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화학 결합]] [include(틀:물리화학)] [목차] == 개요 == {{{+1 [[化]][[學]][[結]][[合]] / chemical bond}}} '''화학 결합'''은 [[원자]] 또는 원자단의 집합체에서 그 구성 원자들 간에 작용하여, 이를 하나의 단위체로 간주할 수 있게 하는 힘 혹은 결합을 말한다. 이 결합을 이용하여 화학적 [[합성]]을 수행할 수 있다. 구성 원자가 적을 경우에는 [[수소 결합]]이나 [[반 데르 발스 힘]] 등은 분자 간 인력(및 척력)으로만 간주된다. 하지만 [[단백질]] 분자와 같은 [[고분자]] 물질들에서는 이러한 분자 간 인력 역시 화학 결합으로 간주할 수 있다. 18족이 아닌 원소들은 화학결합을 통해서 [[비활성 기체]]([[헬륨]], [[네온]], [[아르곤]], [[크립톤]] 등)들과 같은 전자 배치를 이룬다. 여기서 화학 결합이 형성되는 까닭은 물질을 이루는 원소들의 원자 배치가 비활성 기체와 같아지는 것으로 설명할 수 있으며, 금속 원소의 원자는 전자를 잃은 양이온, 비금속 원소의 원자는 전자를 얻은 음이온이 되는 빈도가 더 높다. 그러나 한편 [[화학반응]]의 결과로 화학 결합을 이해해본다면 이들은 원자들의 재배열(rearrangement)이라는 점에서 이러한 분자들이 재형성하는 구조형태가 물리적인 면에서뿐만아니라 생화학적으로 시사하는 바가 크다는 사실은 매우 중요하다.[* Campbell Biology (9th Edition) by Jane B. Reece (Author), Lisa A. Urry (Author), Michael L. Cain (Author), & 3 more[[https://www.amazon.com/Campbell-Biology-9th-Jane-Reece/dp/0321558235]]] 대표적으로는 [[광합성]]이 잘 알려져 있다. 이러한 재배열(rearrangement)이 "분해와 재조립"이라는 이슈를 보여준다는 점도 참고해볼수있다. == 구성 == * [[공유 결합]] * [[금속 결합]] * [[배위 결합]] - [[배위자]] * [[이온 결합]] == 시그마 결합 == [[시그마 결합]](sigma 결합)은 하나의 전자쌍을 가정할때 이 두 개의 전자 사이에 만들어지는 화학 결합에서 결합축을 중심축으로 회전 대칭성을 갖는 단일 결합을 가리킨다. == 생화학 == || 화학결합 || 예 || || 공유결합 || 물(극성), 메테인(비극성), 포도당 || || 수소결합 || 물, DNA || || 소수결합 || 세포막, 단백질 구조 || == 관련 문서 == * [[이온(화학)|이온]] * [[분자]] * [[화합물]] * [[분자 오비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