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현대전/일본 항공병기)] [Include(틀:항공병기 둘러보기)] [[파일:1t1b.jpg]] [[파일:5t1_sp1s.jpg]] '''[ruby(富士, ruby=ふじ)] [ruby(T-1, ruby=ティーワン)] [ruby(初鷹, ruby=はつたか)]''' '''Fuji T-1''' [목차] == 개요 == [[후지 중공업]](현 스바루)에서 만든 [[일본]] [[항공자위대]]가 사용했던 [[훈련기]]이자 전후 처음으로 제작한 자국산 제트기다. 1955년 11월 4일 여태동안 잘 쓰고왔던 중등훈련기인 [[노스 아메리칸 T-6 텍산|T-6 텍산]]이 노후화에 [[레시프로엔진]] 탑재한 [[프롭기]]의 한계 상으로 인해 여러가지 [[애로사항]]이 생기면서 일본인 체형에 안 맞으니까 국산화에 절실한 이유까지 더해져 새롭게 국산 제트 중등훈련기를 개발하게 되었다. [[방위청]](현. 방위성)과 [[항자대]](空自)가 제시한 요구안을 [[미쓰비시 중공업]] • [[카와사키 중공업]] • [[후지 중공업]]에게 보여주어 각 시제기를 만드는 경합을 하게 하였다. 그 제시한 요구안은 * 탠덤형식 복좌형 중등훈련기로 할 것. * 추력 1t 부터 1.2t 엔진으로 장비할 것. * 최대 속도 420 노트(778km/h): 제한 마하 0.85 * 고도상승한도 4만 피트(12190m) 이상으로 할 것. * 고도상승시간은 고도 3만 피트(9144m)까지 13분 이내로 할 것. * 연속항속 2시간으로 할 것. * 착륙속도 • [[실속]]속도 75 노트(139km/h). * 이착륙거리 600m 이내로 할 것. * 제한가압 +8G로 할 것. 2006년 3월 3일에 전기체가 퇴역하였다. == 특징 == T-1의 후퇴익은 과거 나카지마에서 개발했던 [[R2Y 케이운]] 시리즈의 층류익을 발전시킨 형태로 설계되었다. [[훈련기]]이기에 고정무장은 없으나 탈부착이 가능한 12.7mm 기총을 1정 달수 있었으며 단거리 공대공 미사일 2발이나 폭탄 4발을 탑재할수 있었다. == 여담 == 애칭은 '첫 날개짓을 하는 매'라는 의미로 "하츠타카"(初鷹)로 칭한다. T-1을 개발 및 제작하기 위해 일본은 T-28B와 [[드 해빌랜드 뱀파이어|뱀파이어의 훈련용인 T55]]까지 이용하여 기동특성 등의 부족한 데이터를 축적했다. [[J9Y|킷카]]와 관련이 깊은데, 당시 킷카 개발에 참여했던 나이토 기사까지 제작에 참여하였으며[* 다만 항공금지령이 풀린지 4년이나 지났고 당시 후지사도 설립된지 3년밖에 안되어서 깃카같은 제국시절 미완성 제트기의 관련 자료까지 모두 소실된지 오래라 나이토 기사의 제작경험이 빛을 내진 못했다.] 해당기의 처녀비행을 한 파일럿은 다카오카 1등공좌로 그는 킷카의 테스트 비행을 한적 있었다. == 변형 및 파생기종 == * T1F1: T-1B의 원형으로 T1F2,T-1A에서 각각1대씩 총2대 개조(801[* T1F2의1호기],810호[* T-1A의 10호기]) * T1F2: 오르페우스 제트엔진을 장착한 시제기, T-1A의원형(801~806호) * T-1A: 자국산 제트엔진의 개발지연으로 오르페우스 제트엔진을 장착한 양산형(801~846호)46대생산 2001년퇴역 * T-1B: 엔진을 자국산 엔진으로 교체하였다.(847~866호)20대생산 2006년퇴역, 총66대생산 == 제원 == ||||||<:><#B76E79> {{{#FFFFFF '''후지 T-1 중등훈련기''' }}} || || 형식 || 단발 복좌 훈련기 || || 전폭 || 10.5m || || 전장 || 12.12m || || 전고 || 4.08m || || 주익면적 || 22.22㎡ || || 엔진 || 브리스톨 오르페우스 MK805 터보제트[br]B형: IHI J3-IHI-7B || || 최대속도 || 925km/h || || 최대항속거리 || 1,300~1,950km || || 무장 || 12.7mm 기관총 1정(탈부착식)[br]외부무장 최대 1,150kg 탑재 가능(공대공 미사일 2발 혹은 무유도폭탄) || [[분류:훈련기]][[분류:항공 병기/현대전]][[분류:자위대/항공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