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동작구의 법정동)] ||<-2> '''[[동작구|{{{#000000,#dddddd 동작구}}}]]의 [[행정동|{{{#000000,#dddddd 행정동}}}]]'''[br]'''{{{+1 흑석동}}}'''[br]黑石洞 | Heukseok-dong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동작구 흑석동, 너비=100%, 높이=100%)]}}} || || '''광역자치단체''' || 서울특별시 || || '''기초자치단체''' || 동작구 || || '''행정표준코드''' || 3190113 || || '''관할 법정동''' || 흑석동 || || '''하위 행정구역''' || 61통 371반 || || '''면적''' || 1.68㎢ || || '''인구''' || 27,936명[* 2023년 2월 주민등록인구] || || '''인구밀도''' || 16,628.57명/㎢ || || '''정치''' ||<^|1>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2> '''국회의원 | 동작구 을'''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이수진(1969년 11월)|이수진]] ,,(초선),, || ||<-2> '''서울특별시의원 | 제4선거구'''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이희원(정치인)|이희원]] ,,(초선),, || ||<-2> '''동작구의원 | 사 선거구'''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노성철 ,,(초선),,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변종득 ,,(초선),,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이미연 ,,(재선),, ||}}}}}}}}} || ||<|2> [[행정복지센터|{{{#ffffff '''행정복지센터'''}}}]] || 흑석한강로 11 (흑석동 335-2) || || [[http://www.dongjak.go.kr/dong/main/main.do?dongCd=07|흑석동 주민센터]] || [목차][clearfix] == 개요 == [[서울특별시]] [[동작구]]의 [[법정동]]이자 [[행정동]]. ([[법정동]]과 [[행정동]]이 일치함) 흑석동(黑石洞) 이라는 동명은 흑석 제1동사무소 남쪽 일대에서 나오는 돌의 빛이 검은색을 띠므로 [[http://tour.dongjak.go.kr/tour/main/contents.do?menuNo=900202| '검은돌(黑石)' 마을이라 한데서 유래한다. ]] [[흑석뉴타운|뉴타운]] 사업이 활발히 진행되어 신축 아파트가 들어서면서 동작구 내의 [[부촌]]으로 자리잡았다. 특히 서울의 3대 업무지구인 광화문, 강남, 여의도로의 접근성이 모두 우수한 것이 장점으로 꼽힌다.[* 그래서 집값도 당연히 비싼동네다. 흑석 마크힐스 아파트는 40억넘는 매매가를 자랑하기도 한다.] == 변천 == || [[과천시|과천군]] 하북면[br]흑석리[br]果川郡 下北面[br]黑石里[br]1896 || → || 시흥군 북면[br]흑석리[br]始興郡 北面[br]黑石里[br]1914 || → || [[경성부]] 영등포출장소[br]흑석정[br]京城府 永登浦出張所[br]黑石町[br]1936 || → || 경성부 [[영등포구]][br]흑석정[br]京城府 永登浦區[br]黑石町[br]1943 || → || [[서울특별시|서울특별자유시]][br]영등포구 흑석동[br]永登浦區 黑石洞[br]1946 || → || 서울특별시[br]영등포구 흑석동[br]永登浦區 黑石洞[br]1949 || → || 서울특별시[br][[영등포구]] 흑석제1,2,3동[br]永登浦區 黑石第1,2,3洞[br]1955 || → || 서울특별시[br][[관악구]] 흑석동[br]冠岳區 黑石洞[br]1973 || → || 서울특별시[br][[동작구]] 흑석제1,2,3동[br]銅雀區 黑石第1,2,3洞[br]1980 || → || '''서울특별시[br][[동작구]] 흑석동[br]銅雀區 黑石洞[br]2008''' || == 지리·행정 == [[한강]]을 사이로 두고 [[용산구]] [[이촌동]]과 마주 보는 동네로, 강을 바라보는 한 면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산으로 가로막힌 계곡 지형이다. 행정동이 흑석 1~3동 으로 나뉘어 있었으나 2008년 흑석동으로 통합되며 법정동과 일치하게 되었다. 동네의 구조가 서달산을 등지고 한강을 마주보는 전형적인 배산임수의 지역인데 방위가 정반대다. 간단히 말해서 겨울철의 북서풍을 그대로 맞는 구조이다. 등지고 있는 서달산의 영향력이 상당해서 흑석동을 외부와 단절시킨 주 요인으로 노들길(現 [[노들로]]) [* 노들로는 사실 장거리 연결에는 큰 도움이 된다.]과 함께 손꼽힌다. 흑석동에 몇 안되는 평야지대에 주요 상업시설들이 밀집해 있고 나머지 구릉 지역에 주거지가 위치하는데 이 때문에 이동로의 경사가 상당해 불편을 주고 재개발되는 아파트들은 엄청난 토목기술을 요구받게 된다. 서달산을 넘으면 상도 래미안 2차를 기점으로 상도동으로 넘어가지만 앞서 말한 경사의 압박으로 기점 바로 위인 상도 래미안 2차에서도 흑석동을 주 생활권으로 삼는다.[* 일종의 분수계라 봐도 된다.] 한강대교 남단을 기점으로 하는 현충로가 동서로 지나고, 북쪽 강변으로는 [[노량대교(서울)|노량대교]] 교량을 통해 올림픽대로가 지난다. [[원불교]] [[소태산기념관]]과 [[원음방송]]도 길 건너 있다. 한강을 조망하기 적절한 효사정도 원음방송 옆에 있다. [[동양중학교(서울)|동양중학교]] 옆의 [[용양봉저정]] 역시 한강을 조망하기 좋다. === 상권 === [[중앙대학교]] 정문, [[중앙대학교병원]], [[흑석역]]을 중심으로 번화가를 이루고 있다. 사실 노후된 건물이 굉장히 많아 대학가, 번화가에 어울리는 비주얼은 아니지만 어쨌든 번화가로 쳐 주는 편. 현재는 흑석동 내에 영화관이 없다. 흑석2구역 재개발이 완료되면 대규모 상업시설이 들어설 예정으로, 이후 멀티플렉스 입점을 기대해 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중앙대 대학상권 중앙대 정문, 중앙대병원 사이와 맞은편에 [[흑석로(서울)|흑석로]]를 따라 상권이 형성되어 있으며, 골목골목 음식점과 카페, 술집이 들어서 있다. * 흑리단길 2018년 경부터 흑석역 3번출구 일대의 서달로14길에 '''흑리단길'''이라는 별명이 붙었다. [[https://www.joongang.co.kr/article/23509468|여기가 중앙대 앞 맞아? 허름한 아재 느낌 싹 뺀 '흑리단길']] 낙후되고 올드한 이미지였던 흑석동 상권에 젊은 층을 타켓으로 한 음식점, 술집들이 하나둘 들어서며 자리를 잡고 있다. * 흑석시장 시장의 일부는 해가든 주상복합아파트로 재개발되었다. == 의료 == * [[중앙대학교병원]] 800여 병상 규모의 상급종합병원인 중앙대학교병원이 흑석동의 중앙에 위치한다. 흑석동의 랜드마크와 같은 역할을 하고 있다. == 정치 == 국회의원 선거구는 '''을(乙) 선거구'''에 속하며, 성향은 동작구에서 보수성향이 가장 강한 동네다. [[21대 총선]]에서 [[나경원]] 후보가 [[이수진(1969년 11월)|이수진]] 후보에 과반을 넘겨 앞섰다. [[2021년 재보궐선거]]에서도 [[오세훈]] 후보가 60%를 넘는 득표율로 앞섰다. [[20대 대선]]에서도 [[윤석열]] 후보가 59%의 득표율로 크게 앞섰다. == 교통 == === 철도 === * [[서울 지하철 9호선|[[파일:Seoulmetro9_icon.svg|width=25]]]] [[흑석역]] === 도로 === * [[올림픽대로]] * [[현충로(서울)|현충로]] * [[흑석로(서울)|흑석로]] * [[서달로(서울)|서달로]] * 흑석한강로 [[한강]]변에서 달리는 [[올림픽대로]] 아래로 [[한강대교]]~[[동작역]]을 달리는 [[현충로(서울)|현충로]]에서 차례로 흑석로, 서달로, 흑석한강로가 뻗어나가는 모습으로 형성되어 있다. 흑석로와 서달로가 각각 [[중앙대학교]], [[중앙대학교병원]]을 감싸며 옆으로는 서달로와 흑석한강로가 낮은 층들의 단독주택들을 감싸고 있는 모습이다. === 버스 === * [[서울 버스 151]] * [[서울 버스 350]] * [[서울 버스 360]] * [[서울 버스 361]] * [[서울 버스 452]] * [[서울 버스 640]] * [[서울 버스 752]] * [[서울 버스 5511]] * [[서울 버스 5517]] * [[서울 버스 5524]] * [[서울 버스 6411]] * [[서울 버스 동작01]] * [[서울 버스 동작10]] * [[서울 버스 동작14]] * [[서울 버스 동작21]] * [[광역급행버스 M6427]] - 김포 한강신도시 방향만 편도로 경유한다. * [[김포 버스 6427]] * [[김포 버스 이음2]] * [[공항버스 6000|공항버스 6000·N6000]] * [[공항버스 6016]] == 교육 == === 초등학교 === * [[서울은로초등학교]] * 서울흑석초등학교 * [[중앙대학교사범대학부속초등학교|중앙대학교 사범대학 부속초등학교]][* 서울중대초등학교와는 완전히 다른 학교이다. 중대초등학교는 [[송파구]] [[송파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이다.] === 중학교 === * [[동양중학교(서울)|동양중학교]][* [[남자중학교]]이다.] * [[중앙대학교사범대학부속중학교|중앙대학교 사범대학 부속중학교]] === 고등학교 === 1997년, [[중앙대학교 사범대학 부속고등학교]]와 [[중앙대학교사범대학부속여자고등학교|중앙대학교 사범대학 부속여자고등학교]]가 통합되어 [[도곡동]]으로 이전하였다. 이후 관내에 고등학교가 없어 주민들이 학교 설립을 지속적으로 요구하였다. [[http://www.thedj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3042|흑석동에도 고등학교가 필요해요]] 흑석9구역의 동편에 위치한 부지에 고등학교 설립(이전)이 확정되었다. === 대학교 === * [[중앙대학교]] == 아파트 == || 건설사 || 아파트명 || 입주 || 규모 || 난방방식/연료 || || [[현대산업개발]] || 명수대아파트 || 1976.01. || 1개동 총 51세대(3-5층) || 중앙난방/도시가스 || || [[현대건설]] || 명수대현대아파트 || 1988.09. || 8개동 총 660세대(15층) || 중앙난방/도시가스 || || [[현대건설]] || 한강현대아파트 || 1988.09. || 13개동 총 960세대(15층) || 중앙난방/도시가스 || || (주)한양 || 명수대한양아파트 || 1991.03. || 2개동 총 85세대(5층) || 개별난방/도시가스 || || (주)해강 || 청호아파트 || 1997.11. || 5개동 총 346세대(13-14층) || 개별난방/도시가스 || || 영림종합건설 || 한진리버타운 || 2001.09. || 1개동 총 18세대(3-5층) || 지역난방/도시가스 || || 동양메이저건설 || 흑석동양아파트 || 2003.11. || 7개동 총 423세대(15-17층) || 개별난방/도시가스 || || 우리건설 || 우리유앤미아파트 || 2003.12. || 2개동 총 206세대(10-17층) || 개별난방/도시가스 || || 메가마크 || 마크힐스아파트 || 2009.03. || 1개동 총 18세대(10층) || 개별난방/도시가스 || || 이랜드건설 || 이랜드해가든 || 2010.03. || 1개동 총 154세대(22층) || 개별난방/도시가스 || || [[동부건설]] || [[흑석 한강 센트레빌 1차]] || 2011.03. || 10개동 총 655세대(8-20층) || 개별난방/도시가스 || || [[동부건설]] || [[흑석 한강 센트레빌 2차]] || 2012.12. || 14개동 총 963세대(11-20층) || 개별난방/도시가스 || || [[대우건설]] || [[흑석 한강 푸르지오]] || 2012. 07. || 14개동 총 863세대(19층) || 개별난방/도시가스 || || [[대림산업]] || [[아크로 리버하임]] || 2018. 11. || 20개동 총 1073세대(7-28층) || 개별난방/도시가스 || || [[롯데건설]] || [[롯데캐슬 에듀포레]] || 2018. 11. || 7개동 총 545세대(8-23층) || 개별난방/도시가스 || 위의 아파트들은 현재 [[흑석뉴타운]] 사업으로 입주가 완료된 아파트이거나, 원래부터 있었던 아파트들이다. == [[흑석뉴타운]]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흑석뉴타운)] == 사건사고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김의겸/비판 및 논란, 문단=2.6)] [[김의겸]] 전 청와대 대변인이 이곳에 있는 [[흑석뉴타운]]에 부동산 투기를 했고, 결국 거액의 시세차익을 거두었다. 그래서 붙은 별명이 흑석 김의겸(...). == 출신 인물 == * [[Zion.T]] * [[권오중]] * [[김소영(1991)]] * [[김창완]] * [[데드피]] * [[심훈]] * [[양종광]] * [[이빈]] * [[진지희]] * [[한지민]] == 기타 == * 전통적으로 서울 안의 달동네에 가까운 취급을 받을만큼 낙후되어 있는 동네였지만, [[흑석뉴타운]] 사업이 진행되며 환골탈태하고 있다. * [[대전광역시]] [[서구(대전)|서구]], [[충청북도]] [[제천시]], [[광주광역시]] [[광산구]]에도 같은 이름의 동이 있다. 이 동네들 모두 흑석동과 같이 黑石洞을 사용한다.[* --사실 그렇게 따지자면, 검은색을 띠는 돌이 없는 동네는 없다는게 함정--] * 흑석동 주민센터 옆에는 일반인의 출입을 통제하고 있는 큰 시설이 있는데, 그 정체는 [[조선일보]] 방씨네 집안이 사는 대저택이다. [[중앙대학교병원]]과 더불어 동네 랜드마크라 할 수 있을 정도의 규모를 자랑한다. 대지 약 5,000㎡, 임야 약 7,300㎡가 넘는 엄청난 규모의 단독 주택이며, 2012년에는 서울 내 공시지가 1위를 차지했다. 방씨네 저택을 기준으로 흑석동과 [[비계(동음이의어)#s-3|비계]]를 구분하기도 한다. * 왠지 TV프로그램들과 인연이라면 인연이 있는 동네이다. 일단 [[안녕 자두야]]의 주무대이고[* 실제로 [[이빈]]씨가 자두 나이 때 살던 동네라고 한다. 안녕 자두야의 에피소드 중 하나를 보면 자두가 자신을 '흑석동 날다람쥐'라고 칭하는 장면이 나온다.], [[거침없이 하이킥]]에서는 설정상 [[이순재(거침없이 하이킥)|이순재]] 일가가 살던 곳이다.[* 실제 촬영은 [[일산신도시]]에서 진행되었다.] * 신호등이 그냥 허수아비 수준으로 작동을 하지 않고 신호등이 없는 횡단보도가 매우 많다. 많은 교통량과 좁은 차로 때문에 보행자들과 운전자들이 불편을 호소하여 이루어진 조치.[* 그러나 언젠가 교통사고가 일어났을때 며칠간은 신호등을 가동하기도 했었다.] 현재는 작동하는 신호등 중 일부가 버튼을 눌렀을 때 신호가 바뀌는 시스템이 적용되어 있다. 때문에 무단횡단이 문화가 되어버린 곳으로, 타지인에게는 [[컬쳐쇼크]]. 향후 흑석2구역 개발사업이 진행되어 도로개편이 이뤄진 뒤에는 정상적으로 신호등을 운용할 계획이라고 한다.[* 중앙대병원부터 중대부중 방면의 서달로에는 신호등이 정상작동 하고 있다.] * 가끔씩 [[올림픽대로]] 흑석동 구간을 지나갈 때 타지인들이 한강현대아파트를 보고 강남(서초구)으로 착각하는 경우도 있다.[* 한강옆에 있는 아파트여서 그런지 대개 좋아보이니까 무심코 강남으로 착각하기 쉽다. 물론 아파트값은 한강옆에 있는 만큼 비싼편이다.] * [[김만출]]의 별명인 흑석동 머리두개의 흑석동이 여기인것으로 보인다. [[분류:동작구의 법정동]][[분류:동작구의 행정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