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레이너 특공대]][[분류:테란 자치령]][[분류:전투순양함]][[분류:스타크래프트 시리즈/유닛]] [목차]{{{#!wiki style="float:right; max-width:600px" [[파일:external/images4.wikia.nocookie.net/Battlecruiser_SC1_Art1.jpg]] ▲ [[스타크래프트]] 1 캠페인 컷신 [[파일:리마스터 전투순양함.png]] ▲ [[스타크래프트: 리마스터]], 전체적으로 2편과 흡사한 모습으로 표현 [[파일:external/kr.media.blizzard.com/loading-hyperion4-full.jpg]] ▲ [[스타크래프트 2: 자유의 날개]] 캠페인 컷신 중 하나}}}[clearfix] == 개요 == [include(틀:스타크래프트 2/캠페인: 자유의 날개)] [include(틀:스타크래프트 2 주인공의 기함)] >[[타이커스 핀들레이]]: 오, 함선 죽이는데. 어디서 이런 날아다니는 성을 구하셨나?[* 이때 타이커스는 뉴 폴섬에 종신형에 처해 있었기 때문에 아예 모르고 있는 상태였다.] >{{{-2 One helluva ship y'got here, Jimmy. How'd you get a hold of a floating palace like this?}}} > >[[짐 레이너]]: 히페리온은 원래 [[아크튜러스 멩스크|멩스크]]의 기함이었어. 멩스크랑 손 끊으면서 슬쩍 빌려온 거지.[* 사실은 다일라리안 조선소에서 훔친것이기 때문에 레이너가 그냥 빌린거라고 둘러댄 것이다. 근데 아이러니하게도 레이너 특공대가 자치령에 귀순하면서 히페리온이 멩스크에게 돌아오긴 했다. 다른 [[발레리안 멩스크|멩스크]]지만.] 좀 구식이긴 하지만 이게 없었으면 벌써 우리 몇 번은 죽었을걸. 이젠 뗄레야 뗄 수 없는 사이야. >{{{-2 The Hyperion was Mengsk's flagship back in the day. Me and Matt decided to 'borrow' her[* 영어에서는 her를 사물의 인칭대명사로 쓰는 경우가 간혹 있다. 즉 여기서 her가 가리키는 것은 히페리온.] when we parted company with him. This old baby's seen us through some tight spots.}}} {{{+2 '''[[hyperion|Hyperion]]'''}}}, 영어 발음은 '[[하이페리온|하이피(어)리언]]'이다.[[http://starcraft.wikia.com/wiki/Hyperion|스타크래프트 위키의 설명]][* 영어식 발음을 한글로 적는 경우 '하이페리온'이 제일 일반적이다.(대표적으로 기동전사 건담 SEED의 하이페리온 건담.) 2019년 기준에서 '하이피어리온'이라는 표기는 문학동네판 [[햄릿]]만이 검색된다. 다만, 이름의 원조가 영어가 아니라 고대 그리스 신화라서 그쪽을 차용한듯 하다.] [[스타크래프트(오리지널)|스타크래프트 오리지널]], [[스타크래프트: 브루드 워|브루드 워]], [[스타크래프트 2: 자유의 날개|자유의 날개]], [[스타크래프트 2: 군단의 심장|군단의 심장]], [[스타크래프트 2: 공허의 유산|공허의 유산]], [[스타크래프트 2: 노바 비밀 작전]]까지 모두 개근한 [[전투순양함]]으로, [[짐 레이너]]가 이끄는 [[레이너 특공대]]의 기함으로 활동 중이다. 테란 연합 시절에 만들어진 베헤모스 급의 구형 전투순양함이지만 로리 스완이 수 차례나 개조를 해서 미노타우로스 급과 헤라클레스 급에 크게 밀리지 않는다. [[스타크래프트 2: 자유의 날개]] 싱글 캠페인의 주 무대이기도 하다, 저그에게 공격받는 [[마 사라]]를 탈출하는 미션에서 [[간지폭풍]]을 보여주며 저그 기지를 쓸어버리기도 했다. 일반 전투순양함의 단발식 레이저와는 달리 이때의 히페리온의 공격은 사방으로 플라즈마 포를 무빙샷+난사하며 전진한다.[* 이 플라즈마 공격은 스타크래프트 2 개발 당시의 전투순양함에 새롭게 추가될 기술 중 하나였다. 야마토 포와 이것 중 하나를 선택하는 방식으로 개발될 예정이였지만, 결국은 삭제되었다. 그리고 행성요새의 기술로 히페리온 같은 전투순양함을 부르는 것도 있었다. 물론 삭제됐다.] 게임상에서는 묘사되지 않지만, 인게임 영상에서 공격 받을때 승무원들이 방어막 손상 보고를 하는걸 보면 방어막도 있는 모양.[* 소설에서도 방어막에 대한 이야기가 나와 사실상 공식 설정이다. 소설에서 히페리온이 전투하는 장면에서는 거의 대부분 보호막 관련 얘기가 나온다. 게임 내에선 방어막이래봐야 상대해야하는 종족들이 정신나간 피지컬의 저그와 그 정도의 방어막은 따위로 여기는 방어막으로 전 종족이 도배된 프로토스에 비하면 의미가 없는 수준이라서 그런지 묘사가 안되어 있다. 또한 물량빨에 심각한 너프를 먹은 저그나 실질적인 병기와 전사들의 화력이 심각하게 너프를 먹은 프로토스에 비해 테란은 게임 내적으로 이미 설정에 비해 상당히 상향조정 받은 종족이라 함선 실드 장치 정도는 빼놨을 가능성이 높다. 실드를 프로토스 자체의 고유한 종족 특성으로 돋보이게 하면서 다소나마 벨런스를 맞춘 조치로 보이며 애초에 수세기가 지난 미래시대의 SF판타지에 프레임 시프트를 구사하는 함선이 실드 같은 보호 장치가 없다는 것이 더 이상할 지경이라 아무도 이를 딱히 트집 잡진 않는다.][* 무엇보다 테란도 스타크래프트 1의 과학선이나, 자유의 날개 캠페인의 전투순양함 업그레이드로 보호막 생성 기능이 인게임으로도 버젓이 존재한다.] 다만 캠페인에서 시네마틱 동영상(케리건이 멩스크에게 배신당하는), 중간중간 나오는 일러스트와 실제 게임상 모델은 스1이든 스2든 일반 전순과 같은 모델을 써서 구분되지 않는다. 유닛 자체에 대한 디자인 변경일 수 있고 모델링 돌려쓰기일 수도 있다.[* 제작진들 입장에선 인게임 컷씬에서 잠깐 나오고 그 마저도 딱 한번 쓰이는 유닛을 따로 모델링하기는 시간과 자원이 낭비이니 대충 기본 전투순양함 모델링을 크기만 키우고 공격 이펙트만 바꿔 단 다음 히페리온으로 퉁친것. 이를 증명하듯이 직접 조작이 가능한 군단의 심장부턴 히페리온이 고유 모델링을 가지며 시네마틱, 이벤트 컷신의 고화질 모델의 모습과 유사해진다.] [[파일:SC2Pic_2HOTS_hots_hyperion_exterior.png]] ▲ 간혹 나오는 히페리온의 고화질 모델. 이 모델을 붙여서 야마토 포를 사용하거나 캠페인에 집어넣으면 [[https://www.youtube.com/watch?v=GXZ7LWto400|모션이 간지폭풍 그 자체]]다. == 작중 활약 == === 종족 전쟁 이전 === 원래 [[테란 연합]]의 전투순양함이었으나, 항법 계산 기기의 오류로 [[우모자 보호령]]에 불시착한 후 우모자 보호령이 승조원들을 [[뇌물]]로 꾀고, [[꺼어억|대외적으로는 승조원 전원 사망에 함체가 소실되었다고 발표한 뒤에 차지했다]]. 당시 테란 연합은 '[[무죄추정의 원칙|심증은 있는데 물증이 없어서]]' 골머리를 썩였다. 그리고 이때가 조합 전쟁이 끝난 지 얼마 안 돼서 우모자 보호령을 자극하고 싶지 않았던 것도 이유 중 하나라고 한다. ||<-5> [[아크튜러스 멩스크]]의 기함 목록 || || '''히페리온''' || [[노라드 Ⅱ]] || [[노라드 Ⅲ]] || [[부세팔루스(스타크래프트 2)|부세팔루스]] || [[하얀 별]] || 이후 우모자와 [[밀월]][* 테란 연합이 건재하던 당시 멩스크와 우모자 보호령은 비밀스러운 연합 관계였다. 실제로도 멩스크가 '코랄의 후예'를 이끌던 시절 그 본부가 우모자 보호령에 위치해 있었다. 멩스크의 장인이 우모자의 이름 높은 외교관이었으니 말 다했다. 그러나 멩스크가 자치령의 황제가 된 이후 둘 사이의 관계는 극도로 악화되었다고 한다.] 관계였던 [[아크튜러스 멩스크]]가 넘겨받아 '''[[코랄의 후예]]의 [[기함]]'''이 되었다. 히페리온이라는 이름도 멩스크가 붙인 것. 이후 듀크가 합류하고 듀크의 [[노라드 Ⅱ]]가 코랄의 후예 소속이 되면서 기함 자리를 내주고 히페리온은 그냥 주요 전함으로 운용하게 되었다. 공식 소설 에 의하면 멩스크의 기함이던 시절, 공성 전차 포격으로 [[노라드 Ⅱ]]를 엿 먹인 전적이 있다. === 레이너 특공대의 기함 === [[파일:external/images4.wikia.nocookie.net/Hyperion_SC1_CineReturnAiur1.jpg]] [[짐 레이너]]가 [[사라 케리건]]을 뉴 게티스버그에 매정하게 버려두고 떠나버리는 멩스크에게 반발해서 코랄의 후예를 뛰쳐나올 때 자신과 뜻을 같이하는 사람들과 함께 다일라리언 조선소[* 스타크래프트 브루드워 테란 미션 2에 나온 그 곳이 맞다.]에 정박했던 히페리온을 발견, 탈취했고 이후 쭉 레이너가 이끄는 [[레이너 특공대]]의 기함이 된다. 레이너 특공대가 [[태사다르]]를 중심으로 한 원정대 프로토스와 [[제라툴]]이 이끄는 [[네라짐]]과 연합했을 때도 프로토스 원정 기사단과 함께 움직이면서 [[아이어]]에서도 대활약한다. 게임 상에서는 오리지널 프로토스 캠페인 8화와 10화에 등장하며,[* 다만 프로토스 캠페인 8에서는 히페리온이 피해를 입으면 수리해 줄 건설로봇이 없어서 애물단지가 될 확률이 높다. 적으로 등장하는 프로토스는 전투순양함인 히페리온을 잘 잡는 유닛들을 골고루 가졌으니 자칫하다가는 히페리온이 터져서 처음부터 다시 하는 상황이 발생. 기지 안전한 곳에 고이 놔두는 것이 좋다. 그래도 야마토 포의 위력 덕분에 후방 지원이나 방어용, [[광자포]] 철거용으로는 그럭저럭 쓰인다. 다만 캠페인 10에서는 테란 건물과 유닛들도 다룰 수 있고, 수리도 가능해져 쓸만해지고, 그 미션에서 애물단지는 어떻게 보면 [[간트리서]]다. 히페리온은 영웅 유닛답게 공격력이 높고 마법도 있는데다 수리도 가능하지만 간트리서는 요격기로 공격하는 특성상 그냥 체력만 높은 [[우주모함]]에 불과한데다 스타크래프트 1은 스타크래프트 2와 달리 아군 건설로봇이 아군 프로토스 유닛을 고쳐주는 것이 불가능해서 간수를 잘못하면 만신창이가 된다.대신에 스카이 토스를 할 경우 맷집도 어느 정도 있고 실드도 500이나 되기에 보호막 충전소로 일일이 채워줄수 있다는게 다행.] 브루드 워 테란 캠페인에서도 [[지구 집정 연합|UED]] 함대에 포위된 아크튜러스 멩스크를 구하기 위해 잠깐 등장한다. 다만 히페리온이 레이너 특공대의 기함이기는 하지만 그렇다고 유일한 전함은 아니다. 탈옥 미션 후 영상에서 뉴 폴섬 궤도에 여러 척의 전투순양함이 있는 것을 볼 수 있는데 레이너 특공대와 같은 색상인데다가 레이너와 호너가 자화자찬이나 하고 있던 것과 결정적으로 그들끼리 싸우는 장면이 아닌 것으로 보아 이 전투순양함들도 결국은 레이너 특공대의 전투순양함이라고 보는 것이 옳아보인다. 히페리온이 전투순양함이기는 하지만 스타크래프트 2 기준으로 전투에서 사용된 것은 마 사라, 망자의 항구, 코랄 뿐이다.[* 이때 히페리온은 사령선으로 쓰였기 때문에 나서지 않았고 직접 나선것은 망자의 항구 와 마 사라 그리고 코랄IV 뿐이다.] == 구성 == || [[파일:btn-tips-hyperion.png]] [br] 히페리온 || [[파일:btn-tips-armory.png]] [br] 무기고 || [[파일:btn-tips-starmap.png]] [br] 함교 || [[파일:btn-tips-cantina.png]] [br] 휴게실 || [[파일:btn-tips-lab.png]] [br] 연구실 || 군단의 심장의 거대괴수와 공허의 유산의 아둔의 창과는 달리, 자유의 날개는 4개의 패널 전부 고유한 함선의 화면이 있으며 누를 수 있는 오브젝트도 제일 많고 다양하다. 군심은 사실상 2곳말고는 거대괴수 내부를 볼 수 없으며 공유도 패널 하나를 일급 보고서로 때웠다. 결정적으로 오브젝트 수가 둘 다 합쳐도 자날과 비교하면 거의 없다시피 한다. === 엔진 === 히페리온의 엔진은 홀짝번호 1, 3, 4, 5번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2번과 6번 엔진은 차원 도약 엔진이다. 차원 도약은 [[마 사라]] 탈출 동영상에서 묘사된 것처럼 엔진 가동시 허공으로 빨려들어가듯 튀어나가는 느낌이다. 여러 SF물에 등장하는 워프나 차원 도약 시의 연출과 비슷한 느낌이다. === 함교 === [[파일:external/kr.media.blizzard.com/wings_001-full.jpg]] || [[파일:btn-tips-starmap.png]] [br] 우주 지도[* 히페리온에 타기전 [[마 사라]]에 있을 때는 [[파일:btn-tips-missioncase.png]] 임무 상자가 대신한다.] || [[파일:btn-tips-battlereport.png]] [br] 임무 보고서 || 함장인 맷 호너가 함선을 지휘한다. 함교에서는 우주 지도에서 해금된 임무를 확인하고 원하는 행성(임무)으로 이동할 수 있고, 임무 보고서로 이미 완료한 임무를 다시 할 수도 있고 동영상을 시청할 수도 있으며 분기가 나눠지는 임무에서 자신이 선택하지 않은 임무를 플레이할 수도 있다. 만약 캠페인 진행 중 보너스 목표 몇 가지를 수행하지 못해서 연구 점수가 미달되거나[* 토시 분기에서 추가 자금도 포함.] '''언론의 힘에서 비밀 서류 발견을 깜빡하는 바람에''' 장막을 뚫고 임무가 해금 안 됐다면 이를 통해 다시 플레이해서 해결 가능하다. 단 분기 선택에서 자신이 선택 안 한 임무를 플레이해서 거기서 주어지는 연구 점수나 추가 자금을 얻을 수는 없다. 그리고 캠페인 완료 후 메뉴에서 계속 버튼을 누르면 다른 시설은 다 봉인되고 임무 보고서만 '''그대로''' 나온다. === 무기고 === [[파일:external/images3.wikia.nocookie.net/HyperionArmory_SC2-WoL_Story1.jpg]] ||<|3> [[파일:btn-tips-armory.png]] [br] 무기고 콘솔 ||<-4> 유닛 배치 || || [[크루시오 공성 전차|공성 전차]] || [[의료선]] || [[바이킹(스타크래프트 2)|바이킹]] || [[밴시(스타크래프트 2)|밴시]] || || [[화염방사병(스타크래프트 시리즈)|화염방사병]] || [[거미 지뢰]][* 스완이 [[시체매]]의 위험성 때문에 싫어해서 배치를 꺼린듯하다. 얼마나 싫어하냐면 레이너가 '''무기 역사의 한 장을 장식할 무기'''라면서 극찬하는 걸 '''"(전략) 유압 밸브가 얼어붙었다 하면 폭발하기 일쑤고, 연료 전지에서는 방사능 폐기물이 줄줄 새는 그런 기계를 무슨... 아하, 무기 역사의 한 장을 비극으로 장식했다는 말이지? 하하하..."''' 라면서 비꼴 정도다...] || 비밀 침투 요원([[유령(스타크래프트 시리즈)|유령]], [[악령(스타크래프트 2)|악령]])[* 토시 임무 마지막에 분기가 있는데 이를 클리어하면 유령과 악령 중 하나의 유닛이 배치된다. 유령은 무기만 있지만 잠시 기다리면 [[노바 테라|노바]]가 자세를 잡고 은폐를 풀고 있는 걸 보여주며 악령은 그냥 악령 요원 2명이 대기한다.] || [[불곰(스타크래프트 2)|불곰]] || 로리 스완이 각종 무기와 장비를 생산, 정비한다. 무기고에서는 유닛의 업그레이드를 선택할 수 있다. 무기고에 배치된 유닛은 위와 같다. 맨 뒤의 우주공간 배경은 마지막으로 플레이한 임무에 따라 달라진다.[* 예를 들어 최근에 수행한 임무가 탈옥 임무였다면 뉴 폴섬 행성이 배경으로 나타난다.] 단, 0시를 향하여를 완료한 직후이거나 예언 임무를 수행했다면 그냥 빈 공간으로만 나타난다. === 휴게실 === [[파일:external/upload2.inven.co.kr/i12764982461.png]] || [[파일:btn-tips-mercenary.png]] [br] 용병 || 전함 안에 바(Bar)가 있다. 정식 명칭은 휴게실(Cantine). 게임 메뉴 중 하나로 나오는데, [[짐 레이너]]는 별다른 일이 없을 때에는 여기서 죽치고 앉아서 술만 퍼마시며 사는 모양이다. TV에는 '''"화면 쏘면 맞는다`_´"'''[* 영문판에서는 DON'T ShooT AT SCReeN. 보다시피 대소문자가 섞여있다. 정확히는 대문자를 바탕으로 같은 문자가 바로 뒤에 붙으면 소문자로 썼다.]라는 메모가 붙어 있고[* 조이레이 주점에서 TV로 아크튜러스 멩스크의 연설을 보다가 레이너가 분개해서 TV에 총을 쏴버린 것이 오프닝에 나오는데, 바(Bar)의 우측 상단에 있는 저그 뼈를 클릭하면 'TV 수리 비용을 레이너에게 물렸다'고 나온다. 놀랍게도 그 TV는 총에 맞았지만 '''멀쩡하게 돌아간다.''' 사업제안 부분 전에 레이너와 타이커스가 있는 장면에서 큰 TV 왼쪽 아래 화면 중앙에 구멍이 난 TV가 있다.] 그 TV에는 뉴스와 함께 온갖 괴악한 광고들이 나온다. 그리고 [[나이트 엘프]] 여성 캐릭터가 홀로그램 스트립퍼로 춤추는 곳([[월드 오브 워크래프트]]에서 보여주던 /춤 모션 그대로다. 이 춤의 원본은 [[알리제]]의 [[https://www.youtube.com/watch?v=xzTG_1Xun54&t=198s|J'en ai marre!]]) 미션을 진행하다 토시를 만나게 되면 토시는 항상 휴게실 안에서 짱박혀 있으며 맨날 저 붉은 홀로그렘 스트립퍼 옆에 2층 난간에 팔을 괴고 가만히 서있는다. 음악도 그렇고 [[스파게티 웨스턴]] 분위기가 풍기는 곳이다. 참고로 맨 왼쪽 아래의 오락기로 미니 슈팅 게임(이름은 '[[길 잃은 바이킹]]')을 할 수 있는데 획득 점수에 따라 [[스타크래프트 2/업적|업적]]도 있다. 또한 우측 상단에는 임무 한 개 시리즈를 마무리할 때마다 그 임무를 상징하는 장식물이 걸린다. 클릭하면 그 임무와 관련 깊은 인물이 남긴 말이 나오는데 그 임무의 내용과 주제를 간결하면서도 멋들어지게 요약하는 말들이니 시리즈를 마무리할 때마다 확인하도록 하자.[* 유물 임무 제외. 이 임무를 완료하면 가지고 있던 유물을 모두 발레리안에게 주고 함선에는 아무 것도 안 남는다. 예언 임무는 장식물이 따로 추가되지 않지만 연구실에 있는 이한 수정이 역할을 대신한다.] 이곳에 머무르는 [[그레이븐 힐]]로부터 [[스타크래프트 2: 자유의 날개/용병|용병]]을 고용할 수 있기에 새 용병이 나왔다고 하면 반드시 들러야 하는 곳이기도 하다. 여담으로 이 주크박스의 수록곡들은 [[Revolution Overdrive: Songs of Liberty]]라는 앨범으로 정식발매되었다!~~게임내 미션을 진행하면서 술도 마시고 tv도 보고 음악고듣고 오락도 즐기는등 가상현실속 나만의 안락하고 정다운 휴식처에 느낌이 든다~~[* 다음작 에피소드인 군단의 심장과 공허의 유산 미션 캠페인에서 승선할 거대괴수, 아둔의 창은 히페리온보다 수배에서 수십 배 가량 크지만 [[그런거 없다|이런 즐거운 장소는 없다]]. [[테란]]의 성향이 드러나는 부분. 물론 아둔의 창에 이런 즐거운 분위기의 장소가 있다고 해도 수복하려던 고향도 수복하지 못하고 네라짐의 고향 샤쿠라스가 폭발했는데 하하호호 웃을 리가 없으니 큰 의미는 없을지도 모른다.] === 연구실 === [[파일:external/vignette3.wikia.nocookie.net/HyperionLab.jpg]] || [[파일:btn-tips-research.png]] [br] 연구 || [[파일:btn-tips-crystal.png]] [br] 수정 || 그 외에 [[프로토스]], [[저그]]를 연구하는 연구실이 있는데, 각각 튜브에 케이다린 수정 결정과 저그 생체 표본을 넣어두고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타 종족 유닛 개발 메뉴로 나오는 곳. [[제라툴]]이 전해준 이한 수정이 여기에 설치되어서 예언 임무만은 연구실에서 진행한다. 그리고 캠페인을 진행하면서 얻는 [[중추석|젤나가 유물]]들은 모두 이곳에 보관된다. 나중에 기차 강도 임무를 마치면 기차 강도 임무에서 강탈한 구 연합 [[부관(스타크래프트 시리즈)|부관]]이 오른쪽 공간에 배치되기도 한다. 주민 대피 관련 캠페인(아그리아 → 헤이븐)을 진행하고 있는 상태라면 [[아리엘 핸슨]]이 여기에 서 있다. 이 프로토스 수정의 연구가 히페리온의 성능을 점점 향상시켜주고 있는 모양. 설명대로라면 히페리온이 개조를 거치기는 했지만 구형이라서 호환성이나 성능 면에서 떨어지는데, 이 수정이 그것을 막고 오히려 능력을 올려준다. 게다가 연구 성과가 안 나오는 [[이곤 스텟먼]]에게 은근슬쩍 연구할 만한 것을 던져주기도 한다. 일종의 [[수정탑]] 역할을 하는 셈. 반대로 저그 표본은 어느 정도 성장하고나서부터는 죽은 척을 한다거나 시험관을 녹일 산을 만들어낸다거나 하면서 호시탐탐 탈출의 기회를 노리고 있다. 자세한 것은 [[스타크래프트 2: 자유의 날개/연구 과제]] 문서로. === 사령관실 === 레이너의 개인실이지만 아쉽게도 인게임에는 구현되지 않았다. 레이너는 이래 봬도 대장으로서 꽤 고급스러운 사령관실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 레이너가 만든 것은 아니고 [[아크튜러스 멩스크]]가 자기를 위해서 만들어 놓은 방을 그대로 사용하는 것. 레이너 본인은 사령관실을 가지는 사치를 거부했지만, 존경하는 대장으로서 그만한 위엄은 갖춰야 한다고 부하들이 요청했다고 한다. 물을 절약해야 하는 우주에서도 잠깐이나마 물로 목욕할 수 있을 정도니[* 보통은 강한 풍압이나 음파로 때를 벗겨내는 기술을 사용한다. 도살장에서 뼈와 살을 분리하는 기술을 응용한 것.] 설비가 훌륭한 것은 사실이지만, 레이너는 그런 방을 가지고서도 꼭 필요한 일을 볼 때에만 사용하고 일반 대원들이 이용하는 휴게실을 함께 쓰는 등 검소하게 행동한다. 자유의 날개까지의 레이너 특공대는 군자금 모으기도 빠듯한 가난한 세력이기도 하고, 레이너 개인의 성품도 부하들이 고생하는데 리더라고 혼자 잘 생활하는 것과는 거리가 멀기 때문인 듯. == 게임상에서의 등장 == === 스타크래프트 1 === 스타크래프트1 능력치는 HP 850에 기본 공격력 30, 기본 방어력 4이며 통상 전투순양함에 비해 연사 속도가 빠르다. 또 다른 영웅 전투순양함인 [[노라드 Ⅱ]]와 1:1로 붙으면 지지만, 양쪽 다 공격방어 풀업으로 붙으면 공속빨로 이길 수 있다. [[스타크래프트: 브루드 워|종족 전쟁]]에서 [[지구 집정 연합|UED]] 미션 중 멩스크 체포과정에서 노라드 Ⅲ를 구해주는 히페리온을 클릭해보면 공중 공격력이 250으로 설정되어 있는데, 이는 망령을 한 방에 잡기 위해서 그렇게 해놓은 것. 생산 자체는 못하지만 가격을 보면 미네랄이 '''800''' 가스가 '''600'''으로 설정되어 있으며 생산 시간은 무려 '''320초다.''' [[간트리서]]처럼 작은 이스터 에그가 있는데, 유닛 명칭을 수정하지 않으면 히페리온 밑에 'Captain Raynor(레이너 사령관)이라고 달려있다.[* 리마스터에서는 캡틴을 계급으로 착각했는지 레이너 대위라고 오역되었다. --협동전 레이너의 인성 전략을 생각해보면 수차례 강등당해도 모자르지 않을 것 같지만--] 유닛 명칭을 수정하면 'Admiral(제독)'으로 바뀐다. === 스타크래프트 2 === [include(틀:스타크래프트 2/테란)] [[파일:external/images2.wikia.nocookie.net/ZeroHour_SC2-WoL_Game2.jpg]] ==== 대사 ==== || [youtube(haMc_eebx9o, width=300, height=200)] || [youtube(C0Ekg8s03Xg, width=300, height=200)] || || 영문판: [[브라이언 블룸]] || 한국어판: [[박성태(성우)|박성태]] || {{{#!wiki style="word-break:keep-all" ||<:>등장 ||히페리온, 출동 준비 완료.  /  시스템 이상 무. || ||<:>선택 ||여기는 히페리온.  /  여기는 호너.  /  신호 수신 중.  /  명령 대기 중.  /  통신 장치 가동.  /  통신 상태 이상 무. || ||<:>이동 ||좌표 확인.  /  항로 설정.  /  문제 없습니다.  /  알겠습니다.  /  함선 이동.  /  확인.  /  추진기 가동.  /  전방을 주시하십시오. || ||<:>공격 ||함포 발사!  /  이 함선의 진가를 보여주자!  /  전 대원, 전투 위치로.  /  특공대, 출동!  /  교전 개시!  /  목표물 확인.  /  악감정은 없어.  /  적 목표물 조준 완료. || ||<:>반복 선택 ||하아, 이건 또 왜 먹통이지?  /  [[로리 스완|스완]], 교신 장치에 문제가 생긴 것 같아요.  /  아무도 없어요?  /  [[미라 한|미라]], 너야?  /  [[미라 한|맹세할게, '''다시는 카드에 손 안 댈게.''']][* 한국어판에서는 누군가와 대화하듯이 하는 말이지만 영어판에서는 혼잣말로 "내 맹세코 카드 놀이 절대 안 한다."라는 투로 말한다.]  /  [[C-3PO|우리가 이 소행성 구역을 무사히 빠져나갈 확률은 3720분의 1입니다.]]  /  [[몽테크리스토 백작|과녁의 정중앙을 맞히면 도미노는 추풍낙엽처럼 쓰러질 겁니다. 완벽해.]]  /  망할 해적 놈들.  /  히페리온이 겉은 이래봬도 속은 아주 꽉 찬 녀석입니다.  /  히페리온은 뛰어난 함선입니다. 잠시만요, '''[[안준영(게임 해설가)|죽이는]] [[밴시(스타크래프트 2)|엔진 소릴]]''' 들려드리죠. || ||<:>교전 ||집중 포화를 맞고 있습니다!  /  선체가 파손됐습니다! || ||<:>사망 ||내 함선! 끄아악! 으윽... ||}}} 영웅 유닛에 해당되는 인물은 [[맷 호너]]. {{{#!wiki style="word-break:keep-all" ||<:>전투기 공격 명령 ||전술 편대 출격. / 알았다, 히페리온. 지금 이동 중. / 전술 타격 편대 작전 개시. / 전 편대원 출동했다, 히페리온. / 해양을 시작한다. || ||<:>공격 ||목표물 확인 완료. / 교전 개시. / 꼬리를 잡았다. / 적 다수 발견. / 목표물 확인. || ||<:>사망 ||--공격받고 있다!-- / --따돌릴 수가 없어!--[* 해당 두 대사들은 미사용됨.] / 꼬리를 잡혔어! / 지원 바람! 지원 바람! / 적들이 온다! '''적들이 온다!''' || ||<:>복귀 명령 ||집으로 돌아간다. / 알았다, 히페리온. 함선으로 복귀한다. / 휴게실이 우리를 기다린다. / 제군들, 전원 귀환한다. || }}} 전투기 공격 시전 시 등장하는 전투기의 성우는 [[이호산]]. ==== 성능 ==== 실제적인 히페리온의 스펙을 따지면 최종병기 급이라고 해도 무방할 정도로 강력하다. 다만 공식 소설을 보면 히페리온은 캠페인에서 버프를 받은 편이다. 소설에서는 [[하얀 별]]은 물론이고 [[고르곤급 전투순양함|자치령 신형 전투순향함]] 하나 이기기 힘들다. 히페리온은 1차 대전쟁(오리지날) 당시에 현역으로 활동하던 베헤모스급인데, 베헤모스급은 2편 시점에서는 이미 미노타우르스급으로 세대교체가 된 상태고 문제의 자치령 신형 전투순양함은 이 미노타우르스급보다도 우수한 성능을 지녔으니 아무리 훌륭한 [[로리 스완|기술자]], [[이곤 스텟먼|과학자]], [[스타크래프트 2: 자유의 날개/연구 과제#2|프로토스]]가 아무리 개수를 해도 성능 차이가 당연히 날 수 밖에 없다. ===== 자유의 날개 ===== [[파일:SC2Pic_Tun_battlecrusier2.png|width=400]] ||
<^|1>{{{#!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btn-unit-terran-battlecruiser.png|width=76]]}}}||{{{+1 '''히페리온'''}}} ,,Hyperion,,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argin:-10px 1px; vertical-align:top" ||
'''체력''' || 3000 || '''방어력''' || 3 || || '''이동 속도''' || 3 || '''시야''' || 10 || || '''등급''' ||<-3> 레이너 특공대 기함 || || '''특성''' ||<-3> 중장갑 - 기계 - 거대 - 영웅 || || '''에너지''' ||<-3> 초기/최대: 300/300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argin:-10px 1px; vertical-align:top" ||
<-4> '''공대지 레이저 포대''' ,,ATS Laser Battery,, || || 공격력 || 25x10 || 사거리 || 10 || || 무기 속도 || 0.8 || 대상 || 지상 || ||<-4> '''공대공 레이저 포대''' ,,ATA Laser Battery,, || || 공격력 || 25x10 || 사거리 || 10 || || 무기 속도 || 0.8 || 대상 || 공중 ||}}} ||
<-4> {{{+1 '''능력'''}}} || ||<^|1>{{{#!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btn-ability-terran-yamatogun-color_테.png|width=76]]}}}||<-3>'''히페리온 야먀토 포''' ,,Hyperion Yamato Cannon,, ({{{#fff Y}}}) 강력한 플라스마 포로 대상을 공격하여 400의 피해를 줍니다.[* 사거리 14, 범위 3] || 컷신과 후속 확장팩에서는 훨씬 디테일하게 묘사한 전용 모델을 쓰지만, 자유의 날개에선 일반 전투순양함의 모델을 크기만 키워서 땜빵했다. [[파일:SC2Pic_Abil_Hyperion_Laser_batteries.gif]] [[파일:SC2Pic_Abil_Hyperion_Yamato_Cannon.gif]] 자유의 날개에서 등장할 때의 능력치는 플레이어가 조종하지 않는다는 점 때문인지 더럽게 강력하게 나온다. 체력이 무려 3000에 받는 평타 피해를 5%로 깎아버리는 신성 장갑(Divine Armor Damage Redux)이라는 패시브를 달고 있는데[* [[워크래프트 3]]의 캠페인 전용 아머 타입인 디바인 아머와 이름, 능력 모두 동일하다.][* 다만 디바우러의 애시드 스포어는 중첩수치만큼 신성장갑을 무시한다. 애시드 스포어의 디버프는 '''중첩수치만큼 별도의 추가피해가 들어가는 판정'''이지 방어력 감소 판정이 아니기 때문으로 추측.], 공격우선 순위 값이 19로 다른 전투유닛의 20보다 작아 웬만해서 적들이 다른 아군을 치지 히페리온을 안친다. 평타는 발당 25의 '''반경 1에 광역딜'''을 주는 레이저를 무빙샷으로 뿌리고 다니는데 공격속도도 스2 전순과 동급이다. 스킬도 정신 나갔는데, 야마토 포는 유닛이 아닌 지점을 대상으로 발사하고 사거리는 14, 명령을 내리고 3초 후에 쏘며 반경 3이라는 넓은 범위에 기술 피해 400을 주는데, 이 피해는 노코스트에 적군-아군-자신을 가리지 않는다. 게다가 중첩 발사가 가능하고 무빙샷 기능이 탑재된지라 야마토를 충전하는 와중에도 평타가 계속 나간다. 물론 이 스펙을 플레이어가 직접 손에 넣는 일은 아케이드를 제외하면 없다. 체험용으로 아케이드에서 불러다놓으면 평타 싸움으로는 일대일로는 [[사라 케리건/유닛|칼날 여왕]][* 기계 유닛 대상 즉사기인 내파는 제외.], 오딘, 로키, 공허의 구도자 등을 포함한 모든 유닛을 이기고, 일대 다도 엥간한 적들은 생채기만 입고 제압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자유의 날개에서는 이렇게 강한 위력을 선보이지만, 아무래도 컷신용으로 만들었다보니 [[군단의 심장]]에서 정식으로 인게임 유닛으로 나올땐 적절한 수준으로 그 위력이 하향되었다. 여담으로 건물 판정이 있는지, 아군 유닛들과 같이 선택하려면 마우스 드래그로는 어림도 없고, 쉬프트키를 누른 상태에서 좌클릭을 해줘야 부대 편성에 포함시킬 수 있다. ===== 군단의 심장 ===== * 이런 친구들과 함께라면... - 히페리온 [[파일:SC2Pic_2HOTS_hots_hyperion.png|width=360]] ||
<^|1>{{{#!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btn-unit-terran-hyperion.png]][[파일:btn-hero-hyperion.png]]}}}||[* 전자는 유닛 아이콘, 후자는 임무 중 영웅 선택 UI 아이콘] {{{+1 '''히페리온''' ,,레이너 특공대 기함,,}}} Hyperion ,,Raynor's Raiders Flagship,, 전술 타격기 지원과 근거리 순간이동이 가능하도록 레이너 특공대가 개조한 강력한 전함입니다. {{{#ffff8a 지상 및 공중 유닛 공격 가능}}}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argin:-10px 1px; vertical-align:top" ||
비용 ||<-3> [include(틀:스타크래프트 2/비용, terran=, m=600, t=60)] || || 체력 || 1550 / 1650 / 1800 / 2000 || 방어력 || 3 / 4 / 5 / 6 || || 시야 || 15 || 이동 속도 || 2.5 || || 특성 ||<-3> 중장갑 - 기계 - 거대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argin:-10px 1px; vertical-align:top" ||
<-4> '''원시 레이저 포대'''[* 오역으로, 정확하게 번역하면 "주 레이저 포대"가 맞다.] ,,Primary Laser Battery,, || || 공격력 || 8 / 9 / 11 / 13 || 사거리 || 6 || || 공격 속도 || 0.1 || 대상 || 지상 및 공중 ||}}} ||
<-4> {{{+1 '''능력'''}}} || ||<^|1>{{{#!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btn-status-radar.png|width=76]]}}}||<-3>'''레이더''' ,,Radar,, 레이더 감지 범위 안에 있는 적의 움직임을 포착합니다. 주변 지역은 보이지 않습니다. || ||<^|1>{{{#!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btn-ability-terran-warpjump.png|width=76]]}}}||<-3>'''도약''' ,,Jump,, ({{{#fff Q}}}) 재사용 대기시간: 5 히페리온이 주위의 대상 위치로 순간이동합니다. 위험한 상황에서 벗어날 때 유용합니다.[* 이동 거리 10] || ||<^|1>{{{#!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btn-unit-terran-tacfighter.png|width=76]]}}}||'''전투기 공격 [1,2,3,4단계]''' ,,Fighter Strike [Level 1,2,3,4],, ({{{#fff T}}}) [include(틀:스타크래프트 2/비용,terran=, time=9.9)] 목표 위치로 최대 6 / 8 / 10 / 12기의 전술 타격기를 출격시킵니다. 전술 타격기는 적 전투기와 교전하고 원거리 대상을 공격하는 능력이 뛰어납니다.[* 출격 사거리 15, 전술 타격기 9.9초마다 생산]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btn-command-cancel.png|width=76]]}}}||'''전투기 소환''' ,,Recall Fighters,, ({{{#fff X}}}) 배치한 모든 전술 타격기를 히페리온으로 귀함시킵니다. || ||<^|1>{{{#!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btn-ability-terran-yamatogun-color.png|width=76]]}}}||<-3>'''야마토 [1,2,3,4단계]''' ,,Yamato [Level 1,2,3,4],, ({{{#fff E}}}) 재사용 대기시간: 15 ([include(틀:스타크래프트 2/비용,terran=, time=1)]) 강력한 플라스마 포로 대상을 공격하여 300 / 400 / 500 / 600의 피해를 줍니다.[* 사거리 11] || ||<^|1>{{{#!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btn-ability-terran-electricfield.png|width=76]]}}}||<-3>'''전기장 [1,2,3,4단계]''' ,,Electric Field [Level 1,2,3,4],, ({{{#fff R}}}) 재사용 대기시간: 15 주위의 적 유닛을 3 / 4 / 5 / 6초 동안 무력화시킵니다.[* [[파일:SC2Pic_Abil_Pirate_Capital_Ship_Electric_Field.gif]][br]범위 초기 1, 이후 0.5씩 넓어져 최종 7까지 늘어남, 2,3,4 단계에서는 7.5, 8.0, 8.5까지 늘어남] || - 전술 타격기 [[파일:SC2Pic_2HOTS_hots_tac_fighter.png|width=250&align=right]] ||
<^|1>{{{#!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btn-unit-terran-tacfighter.png|width=76]]}}}||{{{+1 '''전술 타격기'''}}} ,,Tac Fighter,, 히페리온의 전술 타격기는 적 전투기와 교전하고 원거리 대상을 공격하는 능력이 뛰어납니다. {{{#ffff8a 지상 및 공중 유닛 공격 가능}}}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argin:-10px 1px; vertical-align:top" ||
체력 || 150 / 165 / 180 / 195 || 방어력 || 1 || || 시야 || 10 || 이동 속도 || 3.5 || || 특성 ||<-3> 경장갑 - 기계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argin:-10px 1px; vertical-align:top" ||
<-4> '''랜저 유도탄''' ,,Lanzer Torpedoes,, || || 공격력 || 25 (구조물 15) || 사거리 || 3[* 공중-거대-구조물-영웅, 즉 마지막 목표인 '용병 우주 정거장' 대상으로는 사거리 8을, [br] 공중-거대-영웅, 즉 '켈모리안 해적선' 대상으로는 사거리 6의 공격을 한다.] || || 공격 속도 || 2 || 대상 || 공중 ||}}} ----- * 심판 ||
<^|1>{{{#!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btn-unit-terran-battlecruiser.png|width=76]]}}}||{{{+1 '''히페리온''' ,,레이너 특공대 기함,,}}} Hyperion ,,Raynor's Raiders Flagship,, 레이너 특공대의 기함입니다. 자치령으로부터 보호하십시오.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argin:-10px 1px; vertical-align:top" ||
비용 ||<-3> [include(틀:스타크래프트 2/비용, terran=, m=500, g=500, t=180)] || || '''체력''' || 5000 || '''방어력''' || 3 || || '''이동 속도''' || 3 || '''시야''' || 10 || || '''등급''' ||<-3> 레이너 특공대 기함 || || '''특성''' ||<-3> 중장갑 - 기계 - 거대 - 영웅 || || '''에너지''' ||<-3> 초기/최대: 200/200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argin:-10px 1px; vertical-align:top" ||
<-4> '''공대지 레이저 포대''' ,,ATS Laser Battery,, || || 공격력 || 10 || 사거리 || 6 || || 무기 속도 || 0.2 || 대상 || 지상 || ||<-4> '''공대공 레이저 포대''' ,,ATA Laser Battery,, || || 공격력 || 10 || 사거리 || 6 || || 무기 속도 || 0.2 || 대상 || 공중 ||}}} ||
<-4> {{{+1 '''능력'''}}} || ||<^|1>{{{#!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btn-ability-terran-yamatogun-color_테.png|width=76]]}}}||<-3>'''야먀토 포''' ,,Yamato Cannon,, ({{{#fff Y}}}) 강력한 플라스마 포로 대상을 공격하여 300의 피해를 줍니다.[* 사거리 10, 시전 시간 3초] || ||<^|1>{{{#!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btn-ability-terran-repair.png|width=76]]}}}||'''수리''' ,,Repair,, ({{{#fff R}}}) 히페리온이 동력을 낮춰 피해를 복구합니다.[* 0.07초당 33.3281 체력 회복]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btn-ability-terran-weaponsfree.png|width=76]]}}}||'''수리 중지''' ,,Halt Repairs,, 현재 진행 중인 수리를 취소합니다. || 군단의 심장에서 [[올란]] 대령을 넘겨주지 않는 '''[[미라 한]]'''에게 무력시위를 하기 위해 직접 사용할 수 있는데 이때는 히페리온이 일반 전투순양함과 다른 독자적인[* 시네마틱 모델과 비슷한 디자인으로 변경되었다. 야마토 포의 포신은 좀 더 길어져서 게임 내 일반 전투순양함보다는 잭슨의 복수단에 더 가까워진 데다가 구멍이 뚫린 데는 다 막혔고 추진부 위의 함교는 낮아졌고 날개는 시네마틱이나 게임 내 컷신에 나오는 전투순양함과 비슷하게 변했다.] 전용 모델링을 갖추고 나타난다. 일반 전투순양함과 달리 이동 중에도 공격을 가할 수 있으며 초기 체력은 1550에 달한다. 거기다 손상을 입어도 체력이 조금씩 회복된다.[* 1단계 기준 초당 3] 계속 진행할 때마다 함선의 여러 기능이 튜토리얼을 진행하는 식으로 추가되는데, 도약과 전술 타격기 출격 그리고 야마토 포 순으로 추가된다. 도약은 일시적으로 사라지면서 지정한 방향으로 최대 10만큼 이동할 수 있는 기능이다. 소행성 지대를 뛰어넘을 때 처음 등장한다. 기동으로 피할 수 없는 각도로 오는 지뢰를 급히 피할 때, 일시적으로 적의 포화를 벗어날 때 쓰면 유용하다. 적 전투순양함이 야마토 포를 조준할 때 도약을 쓰면 취소시킬 수 있으며 야마토 포를 포함한 모든 투사체를 피할 수 있다. 일시적으로 어그로도 풀리기 때문에 적 전투기에 둘러싸여도 단거리 도약만 잘 쓰면 탈출하기 어렵지 않다. 전술 타격기 출격은 [[우주모함]]이 요격기를 내보내는 것과 비슷한 기능이다.[* 출격했을때 전술 타격기에 대사가 있는데, "목포물 발견", "꼬리를 잡았다." 해서 "적들이 포위되었다.", "지원 바람. 지원 바람" 하는 둥 여러 상황이 생길때마다 나온다.][* 회수시 "제군들 전원 귀환한다"등의 대사가 출력된다.] 적의 전투기 수가 많을 때 출격시키면 어그로가 그쪽으로 다 몰린다. 심지어 전투순양함의 야마토 포도 대신 맞아준다. 전술 타격기들은 전투 중 파괴되어도 히페리온에서 자동생산되며 생산된 전술 타격기를 다시 출격시킬 수 있다.[* 전투순양함 역시 우주모함 처럼 비슷하게 함재기를 탑재해서 항공모함 역할을 할수있지만 이렇게 되면 우주모함 과 역할이 겹치는것은 물론 벨런스가 붕괴되기 때문에 함포 공격만 하게 되어 버렸다.] 야마토는 [[전투순양함]]의 야마토 포와 거의 비슷한 기능. 일반 야마토 포보다 파괴력도 높고 캐스팅 속도도 빠르다. 함포탑이나 적 전투순양함 등을 처리할 때 쓰면 좋다. 보조 임무인 해적 주력함 파괴를 달성할 경우 전자기 방출 기능을 추가한다. 맵에 퍼져있는 광물을 긁어모으면[* 참고로 이때 전 맵의 광물을 다 긁어모을 경우 뜨는 업적이 '''[[마인크래프트]]'''.] 공, 방, 체력, 야마토포의 공격력이 높아지고 전자기 방출이 작용하는 시간은 1초씩 범위는 0.5씩 늘어나며, 전술 타격기도 2기씩 더 많이 출격시킬 수 있게되며 타격기의 체력도 15씩 늘어난다. 3단계 업그레이드 상태에선 함포탑이 야마토 포에 한방이며 풀 업그레이드가 완료된 상태의 히페리온은 적 전투순양함을 야마토 포로 일격에 날려버릴 수 있다. 이 미션에서는 맵 곳곳에 깔린 자기 지뢰에 히페리온이 피격당하지 않고 미션을 클리어하는 업적이 있다. 에디터에서 해당 히페리온을 꺼낼 수 있는데 이름은 '(우주) - 히페리온'이며 '''프로토스 유닛'''으로 되어 있다. 마지막 미션에서 짐 레이너가 직접 몰고와 자치령 기지 일부를 초토화시키며 재등장. 이 때는 포트레이트가 해병 버전 레이너이며 체력도 다시 3000으로 불어나 있다. 단 여기서는 지상에 착륙하여 사실상 기지로 쓰인다. 어려움 이상 난이도에서 오딘이 히페리온을 공격하러 가기 전 제거하는 업적이 있다. ===== 공허의 유산 ===== 에필로그 임무에서도 이벤트에서 레이너가 타고 와서 미션 내에서도 레이너의 기지로 등장한다. 다만 '공허 속으로' 임무 한정이고 나머지 2개 임무에서는 기지로도 나오지 않는다. ===== 노바 비밀 작전 ===== 마지막 임무에서도 등장. 호너 제독이 몰고 와서 간간히 인류의 수호자 기지를 공격해준다. 호너가 히페리온이 어느 방향으로 공격하러 가니 같이 협공할 거면 합류하라고 말하며, 일정 시간이 지나거나 체력이 떨어지면 로리 스완에게 수리를 맡겨야겠다며 잠시 퇴각한다. 히페리온의 공세와 같이 전진하면 상당한 화력 보너스를 받을 수 있다. ==== 협동전 ==== 협동전에서는 [[짐 레이너/협동전 임무|레이너]]가 소환하는 패널 스킬 궁극기로 등장한다. 공격력이 20으로 올랐고 히페리온이 무빙샷을 할 수 있지만 쿨타임 360초[* 최초 300초] 60초 지속시간 때문에 재사용 대기시간이 15초인 야마토 포 발사와 전술 차원 도약 타이밍은 한정되어 있다. 대신 야마토 포가 좁은 지역에 방사 피해를 줄 수 있으며 14레벨 특성이 해금되면 히페리온 반경 18내의 모든 유닛에게 +2의 공격력을 더하는 패시브를 부여하면서, 한번 소환될 때마다 4개씩 쓸 수 있는 국지 방어기로 무장했다. 또한 영웅 유닛들 중에서는 드물게 공방업을 적용받는다.(공업당 +1) 또한 공격속도가 0.3[* 정지했을 때의 공격 속도로, 이동 시엔 2배 이상 빨라지니 가급적 무빙샷으로 때리는 것이 좋다.]으로 살짝 떨어졌지만 사거리는 오히려 10으로 올라서 별 의미는 없다. 이동속도도 2.5에서 일반 전투순양함과 같은 1.88이지만 도약이 전술 차원 도약[* 맵 전체를 이동할 수 있는 글로벌 이동기]으로 강화되어 기동성의 저하는 별로 체감되지 않는다. 체력 2000에 방어력 3은 기존과 동일. 여담으로 초창기에는 대사 및 초상화가 군단의 심장처럼 호너였지만, 이후 한과 호너 사령관이 추가되면서, 현재는 레이너의 초상화와 대사를 사용한다. == 히페리온에 탑승한 인물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레이너 특공대)] == 기타 == * 포트레이트는 스타크래프트 2로 넘어오면서 더 이상 [[짐 레이너]]가 아닌, 히페리온의 [[함장]]인 [[맷 호너]]가 뜬다.[* 단 군단의 심장 마지막 미션과 협동전에서는 다시 짐 레이너 초상화가 나온다.] * 자유의 날개 시절엔 전투순양함 모델링의 크기를 확 키우고 플라스마 어뢰[* 스타크래프트 2 개발 당시 전투순양함에게 추가될 예정이었던 기술.]를 기본 무기로 장착한 그냥 무식할 정도로 강한 함선이었지만[* 이 때는 유닛이 아니라 '''건물''' 취급을 받았다.] 군단의 심장과에서는 독자적인 모델링을 가지게 되었다. * [[히어로즈 오브 더 스톰]]에서 [[레이너(히어로즈 오브 더 스톰)|레이너]]의 두 궁극기 중 하나로 등장. 히페리온의 그림자가 느린 속도로 전진하며 범위 내 지상에 무작위 적에게 폭격을 가하고, 구조물에는 야마토 포를 발사하는 기술이 되었다. 자세한 사항은 [[레이너(히어로즈 오브 더 스톰)#s-5.4.1|해당 문서]]로. * 협동전 임무의 히페리온에는 음성은 맷 호너인데 정작 포트레이트는 레이너인 버그가 초기에 있었다. 현재는 음성까지 레이너로 바뀌었다. 원래는 맷 호너가 함장 역할을 맡을 계획이였다가 추후 호너가 협동전의 테란 사령관으로 나오는 것으로 예정이 변경돼서 그런듯. * 원래 함선이 구형인 것도 그렇지만 개조에 개조를 거쳐 [[마개조]]의 영역에 들어간지라 운용하는데 상당한 애로사항이 있어야 하지만, 프로토스의 수정 샘플을 함선에 태운 이후로 수정이 자신의 에너지 일부를 함선에 전달해 밸런스를 조정, 크고 작은 잔고장 따위는 거의 없어진 수준이 되었다고 한다. [[로리 스완]]은 영문은 잘 모르지만 히페리온이 근래 들어 아주 잘 굴러간다고 좋아라 하고 있고, [[이곤 스텟먼]]은 이를 비밀로 하기로 한다. 그래서인지 히페리온이 직접 크게 공격당한 것을 제외하고 잔고장 때문에 문제가 되었다는 묘사되는 부분은 없다. * 재미있게도 [[은하영웅전설]]에서도 [[히페리온(은하영웅전설)|똑같은 이름의 주인공급 기함]]이 있다. 이쪽도 작 중에서 [[양 웬리|자유와 민주주의를 지키기 위해 노력하는 주인공 영웅]]이 타고 있다는 것이 재미있는 점. 하지만 이쪽에서는 주인이 딴 기함으로 옮겨탄데다가 최종전에서는 결국 파괴된다. 아이러니하게도 그 파괴된 시점에 있던 사람은 [[빌리바르트 요아힘 폰 메르카츠|구 왕조에 충성해 민주정과는 연관없던 인물이면서도 그러면서도 자신의 나라를 무너뜨린 전제군주국에도 충성하지 않는 어중간한 인물이라는 것]] * 작중 활약과는 별개로 주인을 잘 만나서 명줄이 긴 함선 중 하난데 [[아크튜러스 멩스크]]의 기함 자리에서 밀려나고 레이너의 수중에 들어간 덕분에 스타크래프트 시리즈에서 모두 개근하는 업적을 이룰 수 있었다. 잘 알다시피 후에 등장한 멩스크의 기함인 [[노라드 III]]는 종족 전쟁 도중 케리건의 공격에 의해 [[에드먼드 듀크]]와 함께 격침되었으며 히페리온이 정박해있던 다일라리안 조선소는 레이너가 히페리온을 강탈해간 곳이기도 한데 [[UED]] 또한 다일라리안 조선소를 습격해 전투순양함을 털어갔고 이 빼앗긴 함선들 대부분이 종족 전쟁 막바지에 케리건에 의해 모조리 격추당하는 수모를 겪었다. 만약 레이너에게 넘어가지 않았다면 결국엔 케리건에게 처참히 박살나거나 UED에게 빼앗겨 이리저리 굴려지다 박살나는 말로를 맞았을지도 모른다. 아몬의 죽음 이후 히페리온은 여전히 [[테란 자치령]]에서 현역을 유지하고 있다.[* 노라드 2호 와 노라드 3호는 케리건의 기습으로 인해 전부 작살나버렸기 때문에 티라도 기사단의 전투순양함 말고도 자치령에서 운용하는 유일한 베헤모스급 전투순양함은 히페리온 밖에 없다.] * [[http://blog.naver.com/galfeel/140115636953|나무젓가락으로 히페리온을 제작한 사람이 있다.]] * [[https://www.flickr.com/photos/31194766@N08/sets/72157628560420137|그리고 15,000조각의 레고 블록으로 히페리온을 만든 사람도 있다.]] * 스타2가 나오면서 공식 명칭이 확정되기 이전에는 하이퍼리온이라는 명칭도 자주 쓰였다. 현재도 일부 프로게이머나 유튜버들은 하이퍼리온, 하이페리온 등으로 부르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