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冷}}}찰 랭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冫|{{{#000,#fff 冫}}}]], 5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7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중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5급 한자|{{{#000,#fff 5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レイ{{{#c88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つめ-たい, ひ-える, ひ-や,[br]ひ-やす, ひ-やかす, さ-める,[br]さ-ます, {{{#c88 すさ-まじい, ひ-やける}}}}}}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lěng{{{#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상세 == ||<-3><#e6e6e6,#27292d>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2> '''[[한국어]]''' || {{{-1 '''훈'''}}} ||차갑다 || || {{{-1 '''음'''}}} ||냉, 랭 || ||<-3> || ||<|5> '''[[중국어]]''' || {{{-1 '''[[표준 중국어|표준어]]'''}}} ||lěng || || {{{-1 '''[[광동어]]'''}}} ||laang^^5^^ || || {{{-1 '''[[객가어]]'''}}} ||lâng || || {{{-1 '''[[민남어]]'''}}} ||léng || || {{{-1 '''[[오어]]'''}}} ||lan (T3) || ||<-3> || ||<|2> '''[[일본어]]''' || {{{-1 '''음독'''}}} ||レイ || || {{{-1 '''훈독'''}}} ||つめ-たい, ひ-える, ひ-や,[br]ひ-やす, ひ-やかす, さ-める,[br]さ-ます, {{{#c88 すさ-まじい, ひ-やける}}} || ||<-3> || ||<-2> '''[[베트남어]]''' ||lãnh || [[유니코드]]에는 U+51B7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IMOII(戈一人戈戈)로 입력한다. 뜻을 나타내는 [[冫]](얼음 빙)과 소리를 나타내는 [[令]](하여금 령)이 합쳐진 [[형성자]]이다. == 용례 == === [[단어]] === * 고랭지([[高]]冷[[地]]) * [[공랭]]([[空]]冷)[*냉❌ 본음이 '랭'인 것에 주의. [[두음 법칙]]으로 인한 혼란으로 보인다.] * 냉가슴(冷-) * 냉감(冷[[感]]) * 냉감증(冷[[感]][[症]]) * 냉감(冷[[疳]]) * 냉감창(冷[[疳]][[瘡]]) * [[냉각]](冷[[却]]) * [[냉각기]](冷[[却]][[機]]) * [[냉각수]](冷[[却]][[水]]) * [[냉기]](冷[[氣]]) * 냉담(冷[[淡]]) * 냉대(冷[[待]]/冷[[帶]]) - 전자는 '쌀쌀맞게 대한다'는 뜻이고, 후자는 기후의 일종으로, 온대와 한대의 중간이다. * [[냉대기후]](冷[[帶]][[氣]][[候]]) * [[냉동]](冷[[凍]]) * [[냉동식품]](冷[[凍]][[食]][[品]]) * 냉랭(冷冷) * [[냉매]](冷[[媒]]) * [[냉면]](冷[[麵]]) * [[냉방]](冷[[房]]) * [[냉방병]](冷[[房]][[病]]) * [[냉소]](冷[[笑]]) * 냉소적(冷[[笑]][[的]]) * [[냉소주의]](冷[[笑]][[主]][[義]]) * 냉수(冷[[水]]) * [[냉수마찰]](冷[[水]][[摩]][[擦]]) * 냉장(冷[[藏]]) * [[냉장고]](冷[[藏]][[庫]]) * [[냉전]](冷[[戰]]) * [[냉정]](冷[[靜]]/冷[[情]]) - 뉘앙스에 차이가 있는데, 전자는 '침착하다', 후자는 '쌀쌀맞다'란 뜻이다. 그리고 명사로도 쓰이는 전자와는 달리, 후자는 형용사로써 어미 없이 단독으로 쓰이지 않는다. * [[냉증]](冷[[症]]) * 냉철(冷[[徹]]) * 냉혈(冷[[血]]) * [[냉혈동물]](冷[[血]][[動]][[物]]) * [[냉혈한]](冷[[血]][[漢]]) * [[냉혹]](冷[[酷]]) * [[수랭]]([[水]]冷)[*냉❌ 본음이 '랭'인 것에 주의. [[두음 법칙]]으로 인한 혼란으로 보인다.] * 유랭([[油]]冷)[*냉❌ 본음이 '랭'인 것에 주의. [[두음 법칙]]으로 인한 혼란으로 보인다.] === [[고사성어]]/[[숙어]] === * 냉면한철(冷[[面]][[寒]][[鐵]]) * 냉어침인(冷[[語]][[侵]][[人]]) * 미랭시([[未]]冷[[尸]]) * 인정냉난([[人]][[情]]冷[[暖]]) === [[인명]] === * [[냉포]](冷[[苞]]) * [[레이제이 마코]](冷[[泉]] [[麻]][[子]]) * [[레이제이 아와유키]](冷[[泉]] [[淡]][[雪]]) * [[메카루 레이]]([[銘]][[苅]] 冷) * [[서진랭]]([[徐]][[鎭]]冷) * [[토도로키 레이]]([[轟]] 冷) * [[하세쿠라 레이리]]([[支]][[倉]] 冷[[理]]) === [[지명#s-2]] === * [[냉정역]](冷[[井]][[驛]]) === [[창작물]] === * [[冷たい風と片思い /ENDLESS SKY /One and Only]] === 기타 === * [[냉장고를 부탁해|냉부]](冷[[付]]) * [[평냉]]([[平]]冷) == 유의자 == * [[凉]](서늘할 량) * [[凜]](찰 름) * [[凄]](찰 처) * [[寒]](찰 한) == 반대자 == * [[暖]](따뜻한, 뜨거울 난) * [[溫]](따뜻한, 뜨거울 온)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汵]](배에물들 감) * [[蛉]](고추잠자리 령) * [[齡]](나이 령) * [[聆]](들을 령) * [[鈴]](방울 령) * [[姈]](슬기로울 령) * [[伶]]/[[怜]](영리할 령) * [[羚]](영양 령) * [[玲]](옥 소리 령) * [[昤]](햇빛 령) [[분류:5급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분류:일본의 상용한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