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7급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분류:일본의 상용한자]] ##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育}}}기를 육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肉|{{{#000,#fff 肉}}}]], 4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8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중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7급 한자|{{{#000,#fff 7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イク{{{#c88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そだ-つ, そだ-てる, はぐく-む{{{#c88 }}}}}}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yù{{{#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育은 ''''기를 육''''이라는 [[한자]]로, '기르다', '키우다'를 뜻한다. ||[[파일:위 대만.jpg]]|| || 대만에선 ㄊ를 3획으로 쓴다. || == 상세 == ||<-3><#e6e6e6,#27292d>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2> '''[[한국어]]''' || {{{-1 '''훈'''}}} ||기르다 || || {{{-1 '''음'''}}} ||육 || ||<-3> || ||<|7> '''[[중국어]]''' || {{{-1 '''[[표준 중국어|표준어]]'''}}} ||yù || || {{{-1 '''[[광동어]]'''}}} ||juk6 || || {{{-1 '''[[객가어]]'''}}} ||yuk || || {{{-1 '''[[민북어]]'''}}} ||ṳ̆ || || {{{-1 '''[[민동어]]'''}}} ||ṳ̆k || || {{{-1 '''[[민남어]]'''}}} ||io̍k || || {{{-1 '''[[오어]]'''}}} ||hhioq (T5), hhyq(T5) || ||<-3> || ||<|2> '''[[일본어]]''' || {{{-1 '''음독'''}}} ||イク || || {{{-1 '''훈독'''}}} ||そだ-つ, そだ-てる, はぐく-む || ||<-3> || ||<-2> '''[[베트남어]]''' ||dục || [[유니코드]]에는 U+80B2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YIB(卜戈月)로 입력한다. [[파일:育.png|width=400]] 이 글자는 {{{+2 毓}}}의 이체자인데, {{{+3 毓}}}자는 [[每]](매양 매)와 㐬([[流]]의 오른쪽)로 이루어진 [[회의자]]이다. [[갑골문]]에서 이 글자는 주로 여자(현재의 [[每]])가 무릎을 구부리고, 엉덩이 쪽에 아이가 거꾸로 누워 있는 모습(현재의 㐬)으로 그려져 있다. 여자는 每 자, [[女]] 자, [[人]] 자 등의 이형태가 있고, 아이 쪽도 거꾸로 누워 있는 모습과 바로 누워 있는 모습(즉 [[子]])의 이형태가 있다. 그러나 어떤 형태이든 기본적으로 '여자가 아이를 낳은 모습'을 그렸다. 즉 아이를 순조롭게 낳은 모습에서 '기르다'라는 뜻이 생겨난 것이다. 㐬에서 밑부분의 획 세 개는 [[양수]]를 뜻하며, 이는 갑골문에서 아이 주위에 있는 점들로 확인할 수 있다. 每+㐬의 형태는 [[금문]]까지는 계속 이어져 왔으나, [[전서]]에 와서는 왼쪽의 每 자와 오른쪽의 㐬 아래 부분에 있는 획 세 개가 사라지고, 그 대신 밑에 [[肉]](고기 육) 자가 변형된 형태인 月이 추가되어서 현재의 자형을 가지게 되었다. == 용례 == === [[단어]] === * [[교육]]([[敎]]育) * [[교육부]]([[敎]]育[[部]]) * [[교육부장관]]([[敎]]育[[部]][[長]][[官]]) * [[교육청]]([[敎]]育[[廳]]) * [[교육학]]([[敎]]育[[學]]) * [[교육학과]]([[敎]]育[[學]][[科]]) * 조기교육([[早]][[期]][[敎]]育) * 사육([[飼]]育) * 발육([[發]]育) * 보육([[保]]育) * [[보육교사]]([[保]]育[[敎]][[師]]) * [[보육원]]([[保]]育[[院]]) * [[육성]](育[[成]]) * [[육아]](育[[兒]]) * [[양육]]([[養]]育) * [[체육]]([[體]]育) === [[고사성어]]/[[숙어]] === * 부생아신 모육오신([[父]][[生]][[我]][[身]] [[母]]育[[吾]][[身]]) === [[인명]] === * [[스즈시로 이쿠조]]([[鈴]][[白]] 育[[三]]) * [[스토 이쿠]]([[須]][[藤]] 育) * [[오이쿠라 소다치]]([[老]][[倉]] 育) * [[우나기야 이쿠미]]([[鰻]][[屋]] 育[[美]]) * [[이츠카 이쿠야]]([[伊]][[塚]] 育[[也]]) * [[타니 이쿠코]]([[谷]] 育[[子]]) === [[지명#s-2]] === * [[강원특별자치도]] [[횡성군]] [[횡성읍]] 문화체육로([[文]][[化]][[體]]育[[路]]) * [[경기도]] [[과천시]] [[교육원로]]([[敎]]育[[院]][[路]]) * [[포천시]] 삼육사로([[三]]育[[社]][[路]]) * [[구리시]] 체육관로([[體]]育[[館]][[路]]) * [[동두천시]] 삼육사로([[三]]育[[社]][[路]]) * [[양주시]] [[남면(양주)|남면]] 삼육사로([[三]]育[[社]][[路]]) * [[은현면]] 삼육사로([[三]]育[[社]][[路]]) * [[양평군]] 양평읍 양평체육공원길([[楊]][[平]][[體]]育[[公]][[園]]길) * [[의정부시]] 체육로([[體]]育[[路]]) * [[대구광역시]] [[북구(대구)|북구]] 대구체육관로([[大]][[邱]][[體]]育[[館]][[路]]) === [[창작물]] === * [[育成スキルはもういらないと勇者パーティを解雇されたので、退職金がわりにもらった【領地】を強くしてみる]]([[육성 스킬은 이제 필요 없다고 용사 파티에서 해고당했기 때문에, 퇴직금 대신 받은 [영지]를 강하게 만들어본다]]) === 기타 === * [[육휴]](育[[休]]) * [[입시 위주 교육]]([[入]][[試]] [[爲]][[主]] [[敎]]育) == 유의자 == * [[飼]](기를 사) * [[養]](기를 양) * [[毓]](기를 육) * [[豢]](기를 환)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棄]](버릴 기) * [[盲]](소경 맹) * [[充]](채울 충) * [[肓]](명치끝 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