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2차 세계대전/독일 기갑차량)] [include(틀: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독일의 제식 전차)]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Deutsches_Panzermuseum_Munster_Panzerkampfwagen_I_Ausf.A.jpg|width=100%]]}}} || ||<:>'''Panzerkampfwagen I'''||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cpCp8Xwn_V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N2uX2HGRrw4)]}}} || || '''문스터 전차 박물관 소장 1호 전차 A형 기동 영상''' ||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베르사유 조약]]에 묶여있던 [[나치 독일]]이 전간기 동안 개발한 [[경전차]]. == 제원 == ||||
<:>Panzerkampfwagen I Sd.Kfz.101|| ||<:>중량||<(>5.4t|| ||<:>전장||<(>4.02m|| ||<:>전폭||<(>2.06m|| ||<:>전고||<(>1.72m|| ||<:>승무원||<(>2명 (전차장, 조종수)|| ||<:>장갑||<(>7 ~ 13mm|| ||<:>무장||<(>7.92mm [[MG13]] 기관총 2정 (Ausf A~B), 7.92mm EW 141 (Ausf C), 7.92mm [[MG34]] 기관총 2정 (Ausf F) || ||<:>엔진||<(>Krupp M 305 4행정 공랭식 가솔린 엔진. 60PS (59hp, 44kW)|| ||<:>출력비||<(>11.1 PS/t|| ||<:>현가장치||<(>Quarter-elliptical leaf spring suspension.|| ||<:>항속거리||<(>200km (도로), 175km (야지)|| ||<:>속도||<(>50km/h (도로), 37km/h (야지)|| === 형식별 제원 === ||
- || A || B || C(VK 6.01) || D(VK 6.02)[[http://www.wardrawings.be/WW2/Files/1-Vehicles/Axis/1-Germany/01-lePanzers/PzKpfw1/Data/PzKpfw-1D.htm|참고]] || F(VK 18.01) || || 생산량 || 818 || 675 || 40 || 2 || 30 || || 중량 || 5.4t || 6t || 8t || 8t || 21t || || 엔진마력 || 57hp || 100hp || 150hp || 188hp || 180hp || || 최고속도 || 37km/h || 40km/h || 79km/h || ? || 25km/h || || 주행거리 || 145km || 170km || 300km || ? || 150km || || 무장 ||<-2> 7.92mm MG 13 x 2 ||<-2> 7.92mm EW 141 and 7.92mm MG 34 || 7.92mm MG 34 x 2 || || 전면 ||<-2> 13mm ||<-2> 30mm || 80mm || || 측면 ||<-2> 13mm ||<-2> 20mm || 50mm || || 후면 ||<-2> 13mm ||<-2> 20mm || 50mm || == 특징 == 조약에 걸리지 않기 위해 '''[[트랙터|농업용 트랙터]]'''라는 위장 명칭으로 개발을 시작하였다. 전차 개발 자체는 1호 전차 이전부터 시작해서 4톤 미만 경전차 Kleintraktor(소형 트랙터), 37mm급 경전차 Leichttraktor([[경 트랙터]]), 그리고 75mm급 중형전차 Grosstraktor(대형 트랙터)등 기술실증용/훈련용 차량들이 존재했다. 1호 전차는 소형 트랙터의 후신이며, 2호 전차의 차체는 소형 트랙터의 차체를 대형화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훈련용 정도로 생산되었다고 알려져 있고, 심지어 [[탱켓]]으로 분류하는 사람들도 있으나 1호 전차는 명백하게 '''실전 투입'''을 상정한 '''전차'''였다. 독일군 내에서 [[기관총]] 전차(1호 전차)와 3.7cm 포 전차(3호 전차)의 비중을 놓고 논쟁이 벌어졌을 때[* 1935년 12월 20일 - 1936년 2월 10일.] 육군총무국(Allgemeine Heeresamt)은 전차의 주목적은 보병지원에 있다고 단언하면서 기관총 2정을 탑재한 3호 전차 1량이면 기관총 2정을 탑재한 1호 전차 3량값인데 3호 전차쪽은 기관총이 2정이고 1호 전차쪽은 2x3 6정이므로 1호 전차가 대인화력에 더 효과적이라고 주장하는 등, 운용자 주체인 독일군은 1호 전차를 진지하게 전차전력으로 상정하고 운용하였음이 분명하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ttachment/1호 전차/6a.jpg|width=100%]]}}} || ||<:>'''재무장 이후 추수감사절 육군 퍼레이드에 동원된 1호 전차'''[* [[http://www.theatlantic.com/photo/2011/06/world-war-ii-before-the-war/100089/|출처]]]|| 물론 어디까지나 경전차로서, 보병지원차량으로서의 전력이었고, 특히 1936년의 [[스페인 내전]]에 투입되어 그 한계를 보여주었지만, 차기 주력전차였던 3호 전차의 개발에 기나긴 진통이 발생하면서 양산이 늦어지는 바람에 결국 1호 전차는 2호 전차와 함께 전쟁 초기 독일의 주력 전차로 남게 된다. == 파생형 == === 1호 전차 F형 (VK 18.01)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ttachment/Pz_I_F_00001.jpg|width=100%]]}}} || ||<:>'''Panzerkampfwagen 1 Ausf.F (VK 18.01)'''|| 그래도 의외로 활약한 것에 감명을 받은 독일군은 '''1호 전차의 [[보병전차]]화'''를 시도했다. 그 결과로 등장한 것이 바로 1호 F형이다. 방어력은 전면장갑이 80mm에 이를 정도로 크게 늘어나고 무장은 [[MG34]]로 변경되었지만, 모양은 아예 다른 물건이고, 180마력 엔진을 달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출력부족으로 인해 항속거리 및 속도가 바닥으로 떨어졌다. 덤으로 무장이 빈약해서 건물 내에 은폐한 상태인 적을 제대로 제압하지 못한다는 결점까지 드러났다. 이런 이유로 인해 생산량은 겨우 30량 정도였다고 한다. 생산된 차량들은 제1 기갑사단과 제12 기갑사단에 배속되어 [[동부전선]]에서 [[소련군]]을 상대로 사용되었으며, 전선에서는 영 아니었지만 그래도 방어력이 상당해서 [[게릴라]] 소탕에는 꽤나 요긴했다고 한다. 3량이 소련군에 의해 노획되었으며 현재는 1량이 [[애국 공원]]에, 1량이 [[세르비아]] [[베오그라드]]에 있는 군사 박물관에 있다.[* 게릴라 소탕용으로 쓰였다는 것으로 미루어보아 유고슬라비아 파르티잔이 노획했다가 유고 해체 이후 세르비아에게 넘어간 것으로 보인다.] === [[1호 대전차 자주포]]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Bundesarchiv_Bild_101I-782-0041-31%2C_Nordafrika%2C_Panzerj%C3%A4ger_1.jpg|width=100%]]}}} || ||<:>'''Panzerjäger I'''||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1호 대전차 자주포)] === 1호 대공전차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Flakpanzer_Is_in_the_Russian_winter.jpg|width=100%]]}}} || ||<:>'''Flakpanzer I'''|| 1호 전차의 차체를 이용해서 [[Flak30/38|2cm FlaK38]] [[기관포]]를 1문 장착한 차량. 총 24대가 제작되었으며 전량 제614 자주대공포대대에 배속되어 운용되었다. 이후 제614 대공전차대대가 [[스탈린그라드 전투]]에서 [[전멸]]한 관계로, 1호 대공전차들은 모두 거기서 파괴되거나 유기된 것으로 추정된다. 그런데 기록에 따르면 원래부터도 저열한 성능으로 손실률이 높았다는 것으로 보아 아마 스탈린그라드 전투 이전에 이미 전량 소진되었을 가능성도 높다. === 1호 자주포 "비존"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Bundesarchiv_Bild_101I-216-0406-37%2C_Russland%2C_getarnter_Panzer_I_B_mit_I.G._33.jpg|width=100%]]}}} || || '''15 cm sIG 33 (Sf) auf Panzerkampfwagen I Ausf.B / Sturmpanzer I Bison'''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1호 자주포)] === 1호 지휘전차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Panzer_I_Command_Tank_(4535882703).jpg|width=100%]]}}} || || '''Panzerbefehlswagen I (Sd.Kfz. 265)''' || == 실전 == === [[전간기]] === ==== [[스페인 내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vflvqyo5qyi71.jpg|width=100%]]}}} || || '''스페인 내전 당시의 스페인 국민군 소속 1호 전차''' || [[스페인 내전]]에 국민군용으로 지원되거나 [[콘도르 군단]]에 참가한 것이 최초의 사례로, 여기서는 공화군의 [[소련]]제 [[T-26]]의 45mm 20-K 전차포맛을 톡톡히 봐야 했다. 이에 대응해 국민군이 [[이탈리아 왕국]]의 브레다 20/65 기관포를 설치하는 등 화력 증강을 시도하였으나, 전차간의 격전에서 쓸 물건이 아니라는 것은 이미 파견된 장교 모두가 공감하고 보고서를 올릴 정도였다. 이외에도 1호 전차는 자국의 신형 전차 개발 프로젝트인 [[베르데하 전차]]의 모티브 중 하나가 되었다. === [[제2차 세계 대전]] === ==== [[폴란드 침공]]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Pz.Kpfw._I_Ausf._A_during_Invasion_of_Poland.jpg|width=100%]]}}} || || '''폴란드 침공 당시의 1호 전차 A형''' || 3호 전차의 양산이 지연되어 충분한 수량이 투입되지 못하면서 [[폴란드 침공]]시 '''일선급 전차'''로서 대량으로 실전에 투입되었다. 이때까지만 해도 아직 운이 있었는지 상대방인 [[폴란드]]의 기갑전력 주축이 [[TKS]]라고 하는 기관총 1정 탑재한 [[탱켓]]이라서 그래도 선회포탑이 있고 기관총 2정을 가진 1호 전차가 우위에 설 수 있었다. 그러나 [[7TP]]같이 37mm급의 제대로 된 전차포를 가진 전차를 상대할 경우 그야말로 밥솥처럼 터져나가는 수모를 겪었다. ==== [[노르웨이 침공]]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Panzer_I_Ausf.A_during_Invasion_of_Norway.png|width=100%]]}}} || || '''노르웨이 침공 당시의 1호 전차 A형''' || [[노르웨이 침공]]에서는 상대방인 [[노르웨이군]]이 전차 1대와 장갑차 3대만을 보유해 나름대로 꽤 활약했다. 이 당시 노르웨이군은 장비와 훈련 상태가 열악해 큰 손실 없이 쉽게 승리할 수 있었다. ==== [[프랑스 침공]] ==== 하지만 이렇게 시간을 주어도 전차부족사태는 어쩔 수 없었는지 '''[[프랑스 침공]]에''' 대거 투입되어 전역이 끝날 때까지 최전선에서 현역으로 뛰었다. 이는 '''[[뻥카]]만 믿고 가던''' [[제3제국|히틀러의 독일]]이 [[영국]]과 [[프랑스]]의 [[선전포고]]에 당장 있는 걸로 뚝딱뚝딱 부대부터 찍어내고 봐야 하는 형편이 되어 1호 전차를 기갑 전력으로서 최전선으로 내몰았기 때문. 덕분에 [[프랑스 침공|지헬슈니트 작전]]을 위해 출격하는 1호 전차들을 보고 [[하인츠 구데리안]]은 ''''이런 수준의 전차들이 전선에 파견되는 것이 말이 되는가?'''' 수준의 발언을 하였다고 전해진다. [[오토 카리우스]]의 말에 따르면 502 중전차대대원들은 1호 전차의 엔진 시동 거는 소리가 마치 스포츠카 같아 '''크루프 [[스포츠카]]'''라는 별명으로 불렀다고 한다. 자신의 무장과 장갑으로는 상대가 불가능한 적을 맞이해서 전차병이 수단방법을 가리지 않고 고군분투한 사례도 발생했다. [[1940년]] [[5월 13일]], 프랑스 조슈에서 진격 중이던 [[독일 국방군|독일군]] 1호 전차가 도저히 격파가 불가능한 [[프랑스군]] 르 벨(Le Bel) 중위의 [[호치키스 H35|호치키스 H35]] 전차와 맞딱뜨렸다. 독일 전차장은 [[대전차오함마술|해머 하나로 무장하곤 프랑스군 전차에 올라타 조준경과 잠망경을 부수려 하다]] [[다윈상|달리던 전차에서 추락해 전사했다.]][* 출처 : [[전격전의 전설]]. p.380.] 이후에도 1호 전차가 곧장 퇴역한 것은 아니어서, 1호 지휘전차를 비롯한 기본형들은 1943년까지도 훈련부대에서는 사용되고 있었으며, 전방부대에서는 차량 개조를 통해 [[자주포]], 크레인, 탄약수송차량 등으로 개조된 차량이 1944년 초반까지도 운용됐다. 1943년 7월 11일자 LSSAH 사단의 보고 따르면 사단 내에 사용 중인 109대의 전차 중 2대는 1호 전차였다고 한다. 다만 전투용이 아닌 정찰용으로 사용되었다. ==== [[독소전쟁]]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nd_Panzerarmee_Panzer_I_Ausf.A.jpg|width=100%]]}}} || || '''바르바로사 작전 당시의 독일국방군 제2기갑군 소속 1호 전차 A형, 1941년 6월''' || ==== [[중일전쟁]] ==== 1930년대에는 [[장제스]]의 중화민국 [[국민정부]]가 독일로부터 (자료에 따라) 13~17대의 1호 전차를 구입해 전차중대를 꾸렸다.[* 국민혁명군은 소련제 기관총으로 무장한 1호 전차를 운용했다.][* 장갑병단 전차대대 3중대로 앞선 전투에서 큰 피해를 입었던 1, 2중대를 대신하여 [[난징]] 전투 당시 결사대로 남았던 부대이기도 하다.] 하지만 중일전쟁이 일어나면서 대부분 일본군에게 노획되거나 파괴되었다. == 사용 국가 == === [[유럽]] === ==== [[중부유럽]] ==== ===== [[나치 독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Panzer_I_(39076259842).jpg|width=100%]]}}} || || '''문스터 전차 박물관 소장 1호 전차 A형''' || 원조 사용국. ==== [[북유럽]] ==== ===== [[노르웨이]]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Forsvarsmuseet Panzer I Ausf.A.png|width=100%]]}}} || || '''오슬로 방위 박물관 소장 1호 전차 A형''' || 독일 국방군이 철수하면서 남기고 간 차량들을 임시로 사용했다. ===== [[스웨덴]]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rsenalen_Panzerkampfwagen_I_Ausf.A.jpg|width=100%]]}}} || || '''아르세날렌 전차 박물관 소장 1호 전차 A형''' || 노르웨이로부터 1호 전차 A형 1대를 구매해 테스트 용도로 사용했다. ==== [[동유럽]] ==== ===== [[소련]]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park_ptriot-Panzerkampfwagen_I_Ausf.B.jpg|width=100%]]}}} || || '''애국 공원 소장 1호 전차 B형'''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Park_Patriot_VK 18.01.jpg|width=100%]]}}} || || '''애국 공원 소장 1호 전차 F형'''[* 차량번호 Nr. 150329. 1942년 11월에 생산되었다.1944년 6월에 소련군이 독일국방군 제2경찰중대로부터 노획했다.] || 노획한 1호 전차를 '''"T-I"'''라는 제식명으로 운용했다. ==== [[남유럽]] ==== ===== [[스페인]] ===== ====== [[프랑코 정권|스페인국]]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useo de Unidades Acorazadas de El Goloso Pz.Kpfw. I Ausf.B.jpg|width=100%]]}}} || || '''엘 골로소 기갑부대 박물관 소장 1호 전차 B형''' || ====== [[스페인 제2공화국]] ====== ===== [[유고슬라비아 민주 연방]]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Kalemegdan Military Museum VK 18.01.jpg|width=100%]]}}} || || '''Kalemegdan 군사 박물관 소장 1호 전차 F형''' || === [[아시아]] === ==== [[동아시아]] ==== ===== [[중화민국]] ===== 독일로부터 구매하여 중일전쟁에 투입하였다. ===== [[일본 제국]]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vm7StLr.jpg|width=10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4314.jpg|width=100%]]}}} || || '''일본 제국 육군 노획 1호 전차''' || [[일본군]]이 [[중화민국군]]으로부터 이 차량을 노획한 사진도 존재한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ZiXXm3H.jpg|width=100%]]}}} || || '''오사카마이니치신문의 보도 사진''' || [[http://singha3437.blog.me/130012959877|#]] 사진에 써 있는 설명에는 오사카마이니치신문의 사진기사가 찍은 사진으로, 1호 전차 A형이라 되어 있다. 촬영시기는 1937년 12월. 일본은 이 전차를 몇대 본토에 가져가서 전시했는데 독일제가 아닌 소련제 전차로 소개했다. 이유는 당시 동맹국의 전차라서. == 미디어 == === 영화/드라마 === ==== [[4월 9일(영화)|4월 9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i896383.jpg|width=100%]]}}} || || '''4월 9일에 등장한 독일 국방군 소속 1호 전차''' || 초반부 고속도로 전투에서 연기를 뚫으며 등장한다. 기관총으로 부사수를 사살하고, 중반부 마을 외곽 전투에서 [[덴마크]]의 민간인들과 군인들을 향해 기관총을 쏘지만 오토바이 부대의 20mm 기관포에 무력화되는 모습을 보여준다. === 게임 === ==== [[월드 오브 탱크]]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wiki.gcdn.co/Pz.Kpfw._I_scr_2.jpg|width=100%]]}}} || || '''Pz.Kpfw. 1''' || [[월드 오브 탱크/독일 테크 트리/경전차|독일 경전차 트리 2티어]]와 [[월드 오브 탱크/독일 테크 트리/구축전차|독일 구축전차 트리 2티어(Panzerjäger I)]]로 등장한다. 초창기 때 있었으나 경전차 트리를 재편성하기 위해 빠졌다가 다시 등장했다. '''무장이 1티어 [[경 트랙터|L트랙터]]의 [[브레다 20/65]]가 최종포다!''' 가장 좋은 포가 1티어의 가장 좋은 기관포이니 말 다했다. 그나마 [[워게이밍넷]]이 2티어의 일반적인 MM인 3탑방까지 가는 것을 2탑방으로만 보내는 유일한 전차이다. 2호 전차보단 기동성이 좋지만 너무나 물장이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wiki.gcdn.co/Pz.Kpfw._I_Ausf._C_scr_2.jpg|width=100%]]}}} || || '''Pz.Kpfw. I Ausf. C''' || 3티어인 C형도 있는데, 이는 스톡 포탑을 제외하곤 1호 전차와는 완전히 다른 차량이다. EW 141 7.92mm 반자동 대전차소총을 장착해서 손맛은 좋다. 특히 자주포나 경장갑의 구축전차 같은 목고자들 테러를 할 때는 그 찰진 손맛에 중독되기 쉽다. 그러나 5탑방에 가면 그야말로 궤도만 끊는데 특화된 경험치 덩어리. 게임 내 기동성은 손에 꼽을 정도니까 5탑방에선 정찰을 주로 하거나, 자주포 테러 등을 하며 모는게 좋다. ==== [[워 썬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wiki.warthunder.com/Flakpanzer_I_Garage.jpg|width=100%]]}}} || || '''Flakpanzer I'''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static.warthunder.com/01_1280x720_b6a73c111a8577b546a3effff4497f41.jpg|width=100%]]}}} || || '''Panzerjäger I''' || 기본 전차형은 나오지 않지만, 독일 전차트리에 파생형인 Flakpanzer I (1호 대공전차)와 Panzerjäger I (1호 대전차 자주포)가 나온다. == 모형 == === 프라모델 === 중국의 모형업체, [[트럼페터(모형 메이커)]]의 자회사인 하비보스에서 1/35 스케일로 발매하였다. 다만 금형은 자체 생산이 아닌 옛 트라이스타의 금형을 인수한 것으로, 트라이스타제 금형 특유의 회치기가 심각하다. A 초기형, A 후기형, 보병수송차량, 자주대공포 버전 등등의 바리에이션을 내놓았다. [[홍콩]]의 모형업체, [[타콤]]에서 1/16 스케일로 발매하였다.[* 실제 차체가 워낙 작은지라 1/16 스케일임에도 불구하고 1/35 티거와 거의 유사한 크기이다.] 현재까지 A형, B형의 바리에이션을 내놓았다. 앞으로 1호 전차의 다른 바리에이션을 발매할지는 의문. == 둘러보기 == [include(틀:크루프의 차량)] [include(틀:스페인 내전/국민군 기갑차량)] [include(틀:스페인 내전/공화군 기갑차량)] [include(틀:2차 세계대전/헝가리 기갑차량)] [include(틀:2차 세계대전/크로아티아 기갑차량)] [include(틀:2차 세계대전/스페인 기갑차량)] [include(틀:2차 세계대전/중화민국 기갑차량)] [include(틀:2차 세계대전/일본 기갑차량)] [include(틀:2차 세계대전/소련 기갑차량)] [include(틀:2차 세계대전/불가리아 기갑차량)] [include(틀:2차 세계대전/유고슬라비아 기갑차량)] [include(틀:2차 세계대전/미국 기갑차량)] [include(틀:2차 세계대전/영국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스페인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노르웨이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스웨덴 기갑차량)] [include(틀:기갑차량 둘러보기)] [[분류:경전차]][[분류:지상 병기/세계 대전]][[분류:크루프/생산차량]][[분류:독일 국방군/기갑차량]][[분류:노르웨이군/기갑차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