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사건사고)] [include(틀:일제강점기)] [목차] [clearfix] == 개요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ttachment/341-1.jpg|width=100%]]}}}|| || 연행되는 105인 사건 관계자[[http://arim.pe.kr/7history/text/chap7-1-2.htm|출처]] || 105인 사건([ruby(105人事件,ruby=ひゃくごにんじけん)])은 [[1911년]] [[조선총독부]]가 [[한민족]] 해방 운동 탄압 목적으로 신민회의 [[안명근]]의 독립 자금 모금 활동을 [[데라우치 마사타케]] [[총독]] 암살 모의로 날조하여 [[신민회]] 회원 105명을 집단으로 대거 체포한 사건이다. 별칭으로 '[[안명근]] 사건' 또는 '안악사건' 이라고도 한다. 1910년 [[독립운동가]] [[안명근]]이 서간도에 무관 학교를 설립할 목적으로 자금 모집 활동을 하던 중 자금을 내주지 않던 부호를 권총으로 위협하며 질책하였다. 이 사건으로 인해 안명근은 밀고당하여 [[일본제국 경찰]]에 붙잡혔다. 마침 [[황해도]] 지역의 [[독립운동]]을 말살하기 위해 예의주시하던 조선 총독부는 이 사건을 당시 총독으로 새롭게 부임한 [[데라우치 마사타케]]의 암살을 위한 군자금 모집 사건으로 확대 및 날조하여 관련자 160여명을 잡아들였다. 이 일련의 사건을 두고 '안악사건'이라고 한다. 일제는 [[고문]]과 거짓 자백 강요 등을 통하여 [[데라우치 마사타케|데라우치]] 암살 미수 사건의 배후로 [[신민회]] 회원과 [[평안도]] 주재(駐在) [[개신교]] 신자들을 지목하여 애초 600명을 검거했으나 증거 불충분인 이들을 제외하고 128명을 기소한다. 1심에서 유죄 판결을 받은 이가 총 105명이라 '''105인 사건'''으로 불린다. == 상세 == === 사건의 발단 === 일각에 의하면 당시 [[천주교 서울대교구]] 제8대 교구장이었던 [[파리외방전교회]] [[선교사]] [[귀스타브샤를마리 뮈텔]] [[주교]]가 [[아카시]](明石)[* 주한 [[일본군]] 헌병대 사령관 겸 [[조선총독부]] 경무 총감]를 찾아가 [[안중근]] 의사의 사촌 동생이 총독의 암살을 계획하고 있다는 제보를 하게 되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뮈텔 주교가 써 왔다는 일기장에도 이와 같은 사실이 상황적으로 기재된 것으로 알려졌다. [[안명근]] 야고보는 사촌 형인 [[안중근]] 토마스와 마찬가지로 독실한 [[가톨릭]] 신자였는데 당시 사촌 형과도 친했다는 [[프랑스인]] [[니콜라 빌렘]](한국명 홍석구) 신부에게 총독을 암살하겠다는 의사를 알린 것이 발단이었으며 이를 듣게 된 빌렘 신부가 상급자인 뮈텔 주교를 찾아가 그에게 직접 보고하여 결국 뮈텔이 [[총독부]]를 찾아가 그 사실을 그대로 보고하였던 것이다.[* 여기에 대해 니콜라 빌렘 신부가 고해성사를 누설한 것이라는 '''낭설'''이 있으나 이는 1차 사료에 기반하지 않은 'TV 드라마의 [[고증오류]]'다. 물론 고해성사 누설이 아닐 뿐이지 윤리적 논쟁은 따르겠으나 최소한 고해성사 누설이라는 건 루머다. 자세한 건 [[니콜라 빌렘#s-3|니콜라 빌렘]] 문서 참고.] 당시 종현 성당([[명동성당]])은 일본인들이 명동성당의 일부 부지를 침범함으로 인해 [[진고개]](충무로 2가)로 넘어가는 통로가 막혀 있었고 이에 대해 소송을 제기한 상태였다. 1906년부터1910년까지 4년 동안의 재판에서 모두 패소해 해결될 기미가 전혀 보이지 않았던 시기에 명동성당의 [[뮈텔]] 주교는 [[니콜라 빌렘]] 신부로부터 온 비밀 편지를 아카시 장군에게 전달함으로써 [[독립운동가]]들을 밀고하였고 그에 대한 대가로 명동성당의 부지 문제를 협의하고 즉각 해결하였다. === 사건의 과정 === 애초에 [[일본 제국|일제]]는 신민회 간부 및 회원을 포함해 [[평안도]] 주재 기독교 신자들을 대상으로 총 600명을 검거했으며 이들로부터 거짓 자백을 받아내기 위해 온갖 악독한 고문을 가하였고 그 중 대표적인 주범 128명을 기소했다. === 체포된 인물 및 인사 === 이 사건에서 체포된 대표적인 인물로는 [[신민회]] 간부인 [[윤치호]], [[양기탁]], [[이동휘]], [[유동열]] 등이 포함되었으며 이외에도 백범 [[김구]] 등도 포함되었다. 암살 사건 조사를 핑계로 대거 체포한 인사들은 대부분 [[개신교]]인이었는데 기소된 105인 사건 때 드러난 경찰 기록에 따르면 기소자 123명 가운데 [[장로회|장로교인]]이 96명, [[감리회|감리교인]]이 6명, [[천도교|천도교인]]이 2명, [[가톨릭|천주교인]]이 2명이었다고 한다. 한편 [[이승훈(1864)|이승훈]]은 [[용산역]]에서 기차를 타던 중에 검문 중이던 [[일본제국 경찰]]에게 체포되었다. [[이승만]]은 당시 [[미국인]] 선교사들의 지원 하에 [[미국]]으로 망명하였다. 같은 출신인 [[김규식]]은 [[만주]]에 인삼 장사를 한다는 사유로 [[몽골]]로 피신했다가 이후 [[중국]] [[상하이]]에 있는 [[대한민국 임시정부]]에 합류했다. [[이승훈(1864)|이승훈]], [[양기탁]], 이갑, 유동열, [[이동휘]], [[이동녕]], [[김구]], [[김규식]], [[이승만]]은 모두 개신교인이었다. [[윤치호]]는 이후 [[일본 제국|일제]]의 압박으로 결국 친일파로 변신하여 [[총독부]]로부터 작위를 받게 되었지만 1945년 해방되자 친일파로 지목받았고 이에 울분을 참지 못하고 드러누웠다가 그대로 병사했다.[* 워낙 갑자기 사망했기 때문에 해방 이후부터 권총 자살 의혹이 제기되었으나 유족들의 말에 의하면 평소에도 지병이 있었다고 한다. 마쓰모토 세이초의 [[북의 시인]]에서는 등장 인물들의 대화를 통해 암살 의혹도 제기하기는 한다.] 백범의 동지였던 [[김홍량]]은 가석방 후 1920년대 중반부터 적극적인 친일파로 변절했다. == 영향 == 105인 사건은 데라우치 총독 암살 미수 사건을 빌미로 꾸며진 [[일본 제국|일제]]의 자작극으로도 알려졌는데 이 때문에 [[신민회]]가 공식 해산되고 105명이 집단으로 체포 및 투옥되어 고생을 치러야만 했던 사건으로 기록되었다. 당시 공식적으로는 총독 암살 미수 사건이라는 큰 사건(?)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재판 결과 체포된 105명 중 99명이 무죄 석방되었고 윤치호·양기탁·이승훈 등에게 [[징역]] 5년 ~ 6년이라는 판결을 내렸으며 그나마 대부분은 형 만기 이전에 석방되었다. 사건 자체가 자작극이라서 일제로서도 막 나가기 곤란했고 변호인들도 이러한 약점을 노려서 집요하게 무죄를 주장했기 때문이다.[* 당시 피고들의 변호를 맡은 변호사들은 일본과 조선에서 변호 능력으로 유명한 변호사들이었다.] 물론 사건 과정에서 고문 등으로 인한 인사들의 고통은 결코 적지 않았겠지만. [[야구]]를 전파한 것으로 유명한 [[필립 질레트]]가 [[영국]] 에딘버러 국제 기독교 선교 협의회에 "이 사건은 일제가 날조한 사건입니다."라고 사실을 밝혔다. 그리고 일제가 이 사실을 알게 되자 1913년 6월 [[중국]] [[상하이]]에서 열린 [[YMCA]] 지도자 강습회에 참석한 후 조선으로 돌아오려던 그를 [[조선총독부]]가 방해해 두 번 다시 한국 땅을 밟지 못하게 되었다. || [[파일:The_book_called_'percecuting_korean_church'_by_Syngman_Rhee.jpg|width=100%]] || || [[하와이]]에 도착한 [[이승만]]이 한 달동안 집필하여 출간한 《한국교회핍박》의 [[초판본]] 사진. || [[이승만]]은 [[우드로 윌슨]] [[미국 대통령]]에게 편지를 써서 "105인 사건은 일본이 기독교를 탄압하는 증거"라고 조선 문제에 개입해 줄 것을 요청했다. 하지만 승전국인 [[일본]]의 [[식민지]] 따윈 안중에도 없던 [[미국]]은 거들떠도 보지 않았다. 그 외에도 그는 미국의 각지를 돌며 "일본이 이렇게 조선의 기독교인들을 탄압하는데 기독교 국가인 미국이 가만히 있으면 안 된다"고 하며 미국이 기독교 국가임을 활용해 일본의 기독교 탄압을 알려 여론을 움직이려고 노력했다. 105인 사건에 대한 "한국교회핍박"이라는 책도 썼다. 그러나 [[영국]]령이었던 [[영국령 홍콩|홍콩]]의 언론에는 대대적으로 보도되었고 홍콩 그리스도인들은[* [[홍콩]]은 기독교인이 많으며 [[성공회]]의 동아시아 위원회가 있는 곳이다. [[중국인]] 최초 [[목사]]인 량파를 기념하는 량파 기념 교회도 홍콩에 있다.] 일제를 비판했다. 결국 영국 본토에까지 알려져 언론을 타고 일제는 체면을 구겼다. 그리고 같은 [[영연방]]인 [[캐나다]]와 [[호주]] 등에도 사건이 보도되었다. == 미디어 == 사건의 중요성 때문에 웬만한 어린이용 역사 만화 등에서 사실적으로 ~~[[코렁탕]]~~ [[동심파괴|고문 장면들이 묘사되는 사건이다.]] [[유인촌]]이 주연한 KBS 드라마 역사는 흐른다에서는 원작대로 주인공 이규직이 여기 연루된 걸로 모사했다. [[김상중]]이 주연한 KBS 백범 김구 드라마나 김진태가 주연한 백범일지에서도 상당히 잔인한 고문 장면이 묘사되었다. [[분류:1911년/사건사고]][[분류:무단 통치기/사건사고]][[분류:누명]][[분류:고문 사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