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13일의 금요일''' || || {{{+1 [[1월 13일]]}}}[br]{{{-1 ([[2023년]])}}} || {{{+1 →}}} || {{{+2 '''[[10월 13일]]'''}}}[br]'''([[2023년]])''' || {{{+1 →}}} || {{{+1 [[9월 13일]]}}}[br]{{{-1 ([[2024년]])}}} || [목차] [clearfix] == 서양인들이 불길하게 여기는 날 == {{{+1 Friday the 13th}}} 어느 달의 13일이면서 금요일인 날 [[예수]]가 [[십자가형]]을 당한 날이 '''13일의 금요일'''이었기 때문에 '''13일의 [[금요일]]을 불행하게 여긴다는 게 통상적인 설명이다.''' '''[[유다 이스카리옷]](Judas Iscariot)''' 13글자이기 때문이라는 식의 변형도 있다. 13일의 금요일의 정확한 유래는 아직도 논쟁 중이지만 가장 유명한 예시는 [[기독교]]적인 예시로, [[예수 그리스도]]가 죽기 하루 전에 [[최후의 만찬]]에 참여한 예수와 12제자를 합해 13명이라는 점에서 13이 불길한 숫자라는 미신이 퍼졌다. 게다가 예수가 십자가에 못 박혀 죽은 날이 바로 최후의 만찬 바로 다음 날인 금요일이어서 13과 금요일을 합해 불길한 날이라는 미신이 서양에 퍼지게 되었다. 기독교적으로 예수와 12제자의 최후의 만찬 외에도 [[아담]]과 [[하와]]가 [[선악과]]를 먹은 요일이 금요일, [[카인]]이 [[아벨]]을 죽인 요일이 금요일, [[노아]]의 방주가 대홍수를 맞아 항해를 시작한 요일이 금요일, [[솔로몬]]의 [[예루살렘 성전]]이 붕괴된 요일이 금요일이라는 속설 또한 음모론자들에게 기독교적으로 금요일이 불길하다고 여겨진다고 주장하는 떡밥이 되었다. [[https://www.cnn.com/style/article/why-friday-13-unlucky-explained/index.html|13일의 금요일에 관한 CNN 뉴스]] 하지만 '[[13]]'자체는 [[기독교]] 발생 이전부터 [[13 공포증|흉한 수]]로 여겼으며 거기에 기독교적 이유를 후대에 덧붙였다는 설도 있다. 기독교에서는 종파를 막론하고, 교리적으로 13일의 금요일이 불길하다고 말하는 경우는 없다. 어디까지나 [[유럽]] 문화권에 퍼진 [[괴담]] 내지는 [[미신]], [[징크스]]에 불과하다. 실제로 [[켈트]]인들은 13을 [[죽음]]을 상징하는 숫자로 봤고[* 전통적으로 [[켈트]]의 왕이 전장으로 출정할 때 왕은 열명의 경호원과 자신의 마차를 운전하는 마부와 함께했다. 그리고 켈트인들은 이들이 전쟁터를 달릴 때 그들의 곁에 눈에 보이진 않지만 강대한 전사도, 위대한 왕도, 누구보다 빠르게 마차를 몰 수 있는 마부도 피할 수 없는 [[죽음]]이 13번째로 같이 달린다고 생각했다. 이런 믿음속에 13은 죽음의 숫자로 생각되었다는 이야기도 있다.] 켈트인뿐만 아니라 [[게르만]], [[슬라브]]인들 또한 13을 불길하게 생각했다. 가령 [[북유럽 신화]]에서도 [[발두르]]의 잔치에 나타난 13번째 손님이 [[로키]]였다.[* [[로키]]는 정해진 [[클리셰]]대로 꾀를 써서 발두르를 살해하고 잔치를 파탄냈으며 이도 모자라서 나중엔 숫제 [[발두르]]의 부활마저 방해했다. 자세한 것은 문서 참고.] 사실 서양인들 뿐만 아니라 동양인들도 특히 서구화된 사람들은 이 날 및 숫자 13을 불길하게 여기며, 실제로 한국에서도 21세기에 지어진 건물들 중엔 층수 표시에서 4층과 그외 4로 끝나는 층들 뿐만 아니라 13층도 건너뛰는 경우가 많다. 특히 [[영국 해군]]이 싫어한다. 13일의 금요일에는 배를 출항하지 말라는 유럽 [[미신]]을 깨보겠다고 13일의 금요일 HMS 프라이데이 호를 프라이데이 선장 지휘하에 출항시켰는데 배가 흔적도 없이 사라졌다는 소문도 있지만 실제로는 공식적으로 그런 배는 없었다. [[축구]]에서도 [[유럽]] 팀들이 13일의 금요일에 경기하면 부진을 겪기도 한다. 반대로 [[이탈리아]]에서는 [[http://flypo.tistory.com/1141|13이 행운의 숫자]]다. 실제로 이탈리아 작품들을 보면 '13일의 홀리데이'라는 내용도 있다. 다만 이쪽은 13 대신 [[17]]을 무서워한다. 13일의 금요일을 무서워하는 [[공포증]]인 13일의 금요일 포비아(Friggatriskaidekaphobia)도 있다. --[[월요병|사실 진짜로 무서운 건 13일의 월요일이다]]-- === 사례 === [[https://www.insight.co.kr/news/122841|'13일의 금요일'에 전 세계에서 발생한 끔찍한 역사적 사건 7]] [[936년]] [[1월]] 13일 금요일에는 고려에 의해 신라가 멸망하였다. [[2015년]] [[11월]] 13일 파리에서 [[2015년 11월 파리 테러|대형 테러]]가 발생했다. [[2017년]] 1월 13일에는 현지 시간으로 [[핀란드]] 항공사인 [[핀에어]] '''[[666]]편'''이 [[덴마크]] [[코펜하겐]] 공항에서 [[헬싱키 반타 국제공항]]으로 운항했는데 헬싱키 공항의 코드 번호는 HELL에서 L 하나가 빠진 HEL이었고 이륙 시간이 '''13시''' 16분, 기령(항공기의 수명)은 '''13년'''이라는 우연이 겹쳤는데 숫자와 코드가 기가 막히게 어울려서 호사가들의 관심을 모았다. 해당 항공기는 아무런 특이 사항 없이 무사히 운항했다. [[http://www.yonhapnews.co.kr/international/2017/01/14/0619000000AKR20170114007700075.HTML|관련 기사.]] [[2018년]] [[7월 13일]]에는 이날을 기점으로 [[2018년 폭염/대한민국|최악의 폭염]]이 시작되었다. [[2020년]] [[3월 13일]]에는 [[코스피]], [[코스닥]] 모두 [[사이드카(금융)|사이드카]], [[서킷브레이커#s-2]]가 동시에 발동될 정도로 증시가 대폭락했다. 2020년 11월 13일에는 [[대한민국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3차 대유행]]에 해당하는 확진자 수 추세가 시작되었다. === 계산법 === [[그레고리력]]을 기준으로, 1년에 13일의 금요일은 최소 1번에서 많게는 3번까지 나올 수 있으며 실제로 최소 1번 있다는 걸 증명하는 문제가 Indian Statisical Institute 2010년 수학과 학부 입학 시험 문제로 출제되었다. [[합동식]]을 사용하여 증명하는데, 임의의 [math(x)]에 대해 1월 13일을 기준으로 [math(x)]월 13일까지 지난 날 수를 7로 나누면 평년의 경우 [math(0,\,3,\,3,\,6,\,1,\,4,\,6,\,2,\,5,\,0,\,3,\,5\left(\text{mod}\,7\right))], 윤년의 경우 [math(0,\,3,\,4,\,0,\,2,\,5,\,0,\,3,\,6,\,1,\,4,\,6\left(\text{mod}\,7\right))]이므로, 0부터 6까지 전부 나온다. 이 말은 열두달의 13일에 모든 요일이 나온다는 뜻이다. 사실 1년 중 13일의 금요일이 몇 번 나오는지는 13일의 금요일이 몇 월에 있는지에 따라 결정되며 13일의 금요일 하나만 몇 월인지 안다면 그 해의 13일의 금요일이 몇 번, 어디에 나오는지 알 수 있다. 사실 놀랄 것도 없이 위 증명에서 바로 나온다. 13일의 금요일이 나오는 달은 1일이 [[일요일]]이다. 연중 13일의 금요일이 등장하는 횟수는 아래와 같다. || '''등장 횟수''' || '''평년''' || '''윤년''' || ||<|3> 1번 || 5월 || 5월 || || 6월 || 6월 || || 8월 || 10월 || ||<|3> 2번 || 1월, 10월 || 2월, 8월 || || 4월, 7월 || 3월, 11월 || || 9월, 12월 || 9월, 12월 || || 3번 || 2월, 3월, 11월 || 1월, 4월, 7월 || 최근 사례로 3번이 있었던 2015년은 평년으로 [[2월]] 13일은 금요일이었으니 2015년 3월 13일과 2015년 11월 13일도 금요일이다. 좀 더 간단하게 파악하는 방법도 있다. 1일이 일요일일 경우 그 달의 13일은 금요일이다. 이 때문에 달력 체계가 [[세계력]]으로 변경된다면 13일의 금요일이 1년에 반드시 4번 오게 된다.[* 세계력은 날짜마다 요일이 고정되어 매년 그대로인데, 세계력에서 1월, 4월, 7월, 10월은 일요일로 시작하기 때문.] 그리고 [[국제고정력]]은 '''매달''' 13일의 금요일이 나온다. [[2024년]]에는 [[9월]]과 [[12월]]에 13일의 금요일이 있다. 3.1절이 토요일이라면 큰 달의 13일의 금요일이 등장하지 않으며 일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일 경우 1,4,7월[* 대표적으로 [[2012년]]이 있다.], 수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의 경우 전년도 9, 12월, 그 해 3월[* 대표적으로 [[2019년]]~[[2020년]]이 해당된다.] 이렇게 3개월주기로 3번씩 등장한다. 3월 1일 토요일이면 [[6월]]이 일요일 시작이어서 13일 금요일이 3월 1일 토요일이면 6월에 한번 13일의 금요일이 있다. 3월 1일이 토요일인 가까운 해는 [[2025년]]이다. 13일의 금요일의 간격이 가장 길 때는 14개월로 최근 사례로 2018년 7월과 2019년 9월이다. 달력 주기로 봤을때 2018년 7월부터 2019년 9월까지 0-3-6-1-4-6-2-5-5-1-3-6-1-4-0이 되어서 1년 이상 나오지 않았다. 반면 2015년 2월과 3월처럼 연속으로 나타날 때도 있다. 큰 달로만 한정할 시 간격이 최소 3개월~최대 20개월인데 2019년 12월-2020년 3월의 경우 3달만에 13일의 금요일 큰달이 나왔으며 반면 [[2007년]] 7월-[[2009년]] 3월의 경우 20개월만에 등장했다. 작은 달 기준으로는 최소 8개월이며 길면 무려 '''46개월'''만에 등장한다.[* 윤년 11월의 경우 4년을 기다려야한다.] == [[13일의 금요일 시리즈|호러 영화]]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13일의 금요일 시리즈)] == 1980~90년대 유명했던 [[컴퓨터 바이러스]] == 이름의 유래는 [[#s-1|1번 항목]]의 13일의 금요일이다. 정식 진단명은 예루살렘 바이러스이다. 일단 실행되면 COM파일과 EXE파일을 감염시킨 뒤[* 이때 파일 용량의 변형이 일어나게 된다.] 13일 금요일의 0시~24시까지 행동을 개시. 바이러스 활동 날짜에 감염된 파일을 실행한 후 다른 실행 파일들을 실행하면 파일을 지운다. 이 외에도 각종 변형 바이러스가 있다. 1987년에 처음 발견했으며 [[이스라엘]]에서 만들어졌다고 한다. [[https://www.hankyung.com/news/amp/1997061201941|이 바이러스가 한동안 유행했을 때는]] 13일의 금요일에는 사용자들이 컴퓨터를 하기 두려워하기도 했다. 간단한 해법으로 date명령을 사용해 날짜를 바꾸면 13일의 금요일 당일에 바이러스가 작동하지 않게 할 수 있었다. 신문, 방송을 통해 널리 퍼진 해법이다. 그렇지만 이 바이러스는 DOS에서만 작동하고 윈도우에서는 작동을 안 하기 때문에 이제는 괜찮다. 바이러스 증상 [[http://www.youtube.com/watch?v=u3k-8kJ54sg|동영상]][* 참고로 이 영상이 업로드된 날짜도 꽤 깨알같으니 [[2012년]] 1월 '''13일 금요일'''이다.] 이 영상에서는 [[DOS]] 핵심 파일인 COMMAND.COM까지 지운다. 이러면 다음 부팅 때는 명령 프롬프트는 뜨지만 COMMAND.COM을 복구하지 않는 한 아무 명령어도 안 먹히니 사실상 사용 불가 상태다. 그 밖에도 13일 금요일에 특정 사이트를 실행하는 바이러스도 있다. == [[KADOKAWA]], [[교토 애니메이션]]의 낚시 이벤트 == [[KADOKAWA]], [[교토 애니메이션]]이 [[스즈미야 하루히 짱의 우울]] 방영을 핑계로 전세계 네티즌을 낚은 희대의 사건. 덜 만들었다는 자막과 함께 [[Nice boat.]]를 보여주는 통에 기다리던 모든 네티즌이 낚였다. == 매체 == * [[명탐정 코난]]: 팬덤에선 <적과 흑의 크래시> 에피소드에서 이 날에 (위장)순직한 [[아카이 슈이치]]의 기일이니 애도하자고 드립치는 밈이 있다. * [[세인트☆영멘]]: 13일의 금요일이 [[기독교]] 쪽에서 금기인 이유는 영화 [[13일의 금요일 시리즈]] 때문이라고 한다. * [[시끌별 녀석들]] - [[모로보시 아타루]]: [[1962년]] [[4월 13일]] 금요일 출생이다. 1960년대(1960~1969년)의 유일한 4월 13일 금요일. * [[Fate/Grand Order]] - [[자크 드 몰레(Fate 시리즈)|자크 드 몰레]]: 보구명이 "13일의 금요일(방드르데 트레즈)"이다. 그리고 이에 맞춰서 2022년 2500만 DL 픽업에서 5월 13일 금요일 하루동안 복각된다. * [[13일의 금요일 시리즈]] == 언어별 명칭 == ||<-2> '''언어별 명칭''' || || [[한국어|{{{#ffffff '''한국어'''}}}]] ||13일의 금요일(13([[十]][[三]])[[日]]의 [[金]][[曜]][[日]]) || || [[그리스어|{{{#ffffff '''그리스어'''}}}]] ||Παρασκευή και 13(Paraskeví kai 13) || || [[독일어|{{{#ffffff '''독일어'''}}}]] ||Freitag, der 13. || || [[러시아어|{{{#ffffff '''러시아어'''}}}]] ||Пятница, 13(Pyatnitsa, 13) || || [[마인어|{{{#ffffff '''마인어'''}}}]] ||Jumat-13 || || [[베트남어|{{{#ffffff '''베트남어'''}}}]] ||Thứ Sáu ngày 13 || || [[스페인어|{{{#ffffff '''스페인어'''}}}]] ||Viernes 13 || || [[에스페란토|{{{#ffffff '''에스페란토'''}}}]] ||Vendredo la 13-a || || [[영어|{{{#ffffff '''영어'''}}}]] ||Friday the 13th || || [[일본어|{{{#ffffff '''일본어'''}}}]] ||[ruby(13日の金曜日, ruby=13にちのきんようび)](13-Nichi no kin'yōbi) || ||<|2> [[중국어|{{{#ffffff '''중국어'''}}}]] ||13[[號]][[星]][[期]][[五]](13 Hào xīngqíwǔ)([[표준중국어]]) || ||[[黑]][[色]][[禮]][[拜]][[五]]([[광동어]]) || || [[페르시아어|{{{#ffffff '''페르시아어'''}}}]] ||جمعه سیزدهم || || [[포르투갈어|{{{#ffffff '''포르투갈어'''}}}]] ||Sexta-feira 13 || || [[프랑스어|{{{#ffffff '''프랑스어'''}}}]] ||Vendredi treize || || [[히브리어|{{{#ffffff '''히브리어'''}}}]] ||יום_שישי_ה-13 || ||<-2><^|1>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기타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0px" || [[네덜란드어|{{{#ffffff '''네덜란드어'''}}}]] ||Vrijdag de dertiende || || [[노르웨이어|{{{#ffffff '''노르웨이어,'''}}}]] [[덴마크어|{{{#ffffff '''덴마크어'''}}}]] ||Fredag den 13. || || [[라트비아어|{{{#ffffff '''라트비아어'''}}}]] ||Piektdiena, 13. datums || || [[루마니아어|{{{#ffffff '''루마니아어'''}}}]] ||Vineri 13 || || [[룩셈부르크어|{{{#ffffff '''룩셈부르크어'''}}}]] ||Freideg den Dräizéngten || || [[마케도니아어|{{{#ffffff '''마케도니아어'''}}}]] ||Петок тринаесетти(Petok trinaesetti) || || [[몽골어|{{{#ffffff '''몽골어'''}}}]] ||Хар баасан гараг(Khar baasan garag) || || [[벨라루스어|{{{#ffffff '''벨라루스어'''}}}]] ||Пятніца 13(Piatnica 13) || || [[벵골어|{{{#ffffff '''벵골어'''}}}]] ||তেরোই শুক্রবার(Tērō'i śukrabāra) || || [[불가리아어|{{{#ffffff '''불가리아어'''}}}]] ||Петък 13-и(Petŭk 13-i) || || [[세르보크로아트어|{{{#ffffff '''세르보크로아트어'''}}}]] ||Петак 13./Petak 13. || || [[스웨덴어|{{{#ffffff '''스웨덴어'''}}}]] ||Fredagen den trettonde || || [[슬로바키아어|{{{#ffffff '''슬로바키아어'''}}}]] ||Piatok trinásteho || || [[슬로베니아어|{{{#ffffff '''슬로베니아어'''}}}]] ||Petek trinajstega || || [[아르메니아어|{{{#ffffff '''아르메니아어'''}}}]] ||Ուրբաթ, 13(Urbat’, 13) || || [[아이슬란드어|{{{#ffffff '''아이슬란드어'''}}}]] ||Föstudagurinn þrettándi || || [[알바니아어|{{{#ffffff '''알바니아어'''}}}]] ||E premtja e zezë || || [[에스토니아어|{{{#ffffff '''에스토니아어'''}}}]] ||Viernes 13 || || [[우르두어|{{{#ffffff '''우르두어'''}}}]] ||تیرہویں کا جمعہ || || [[우크라이나어|{{{#ffffff '''우크라이나어'''}}}]] ||П'ятниця 13-го(P'yatnytsya 13-ho) || || [[체코어|{{{#ffffff '''체코어'''}}}]] ||Pátek třináctého || || [[태국어|{{{#ffffff '''태국어'''}}}]] ||วันศุกร์ที่ 13(Wạn ṣ̄ukr̒ thī̀ 13) || || [[폴란드어|{{{#ffffff '''폴란드어'''}}}]] ||Piątek trzynastego || || [[핀란드어|{{{#ffffff '''핀란드어'''}}}]] ||Perjantai 13. ||}}}}}}}}} || [[분류:도시전설]][[분류:문화]][[분류:금요일]][[분류:컴퓨터 바이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