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월드 시리즈]][[분류: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분류:디트로이트 타이거스]][[분류:메이저 리그 베이스볼/2012년]] [include(틀:역대 월드 시리즈 목록)] ||<-5><#ffffff><:>[[파일:2012년 월드 시리즈 로고.svg|width=180]][br] '''[[월드 시리즈]] 일람''' || ||<:> [[2011년 월드 시리즈|2011년]][br][[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 {{{+1 ←}}} ||<#FFFF00><:> '''2012년[br][[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 {{{+1 →}}} ||<:> [[2013년 월드 시리즈|2013년]][br][[보스턴 레드삭스]] || [include(틀:2012 메이저리그 포스트시즌)] ||<-2><#FFFFFF><:>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F_2012_WS_FinalOut.jpg|width=100%]]}}} || ||<-2><:> [[파일:2012샌프우승로고.png|width=300]] || ||<-2><#fd5a1e><:> '''{{{#ffffff 2012년 월드 시리즈 우승팀}}}'''|| ||<-2><#000000><:>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fd5a1e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 ||<:> '''{{{#fd5a1e MVP}}}''' || '''[[파블로 산도발|{{{#fd5a1e 파블로 산도발}}}]]''' || ||<#ffffff><:> [[파일:2012년 월드 시리즈 로고.svg|width=300]] || ||<#004785><:> {{{#ffffff 2012 월드 시리즈 로고}}} || [목차] == 개요 == ||<-2><:> {{{+1 '''{{{#ffffff 2012 MLB WORLD SERIES}}}'''}}} || ||<#021540> [[파일:디트로이트 타이거스 화이트 로고.svg|width=100]] ||<#000000> [[파일: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로고.svg|width=100]] || ||<#f26722> [[디트로이트 타이거스|{{{#ffffff {{{+1 '''디트로이트 타이거스'''}}}}}}]] ||<#fd5a1e>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000000 {{{+1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 2012년 10월 24일부터 28일까지 4차전으로 진행된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와 [[디트로이트 타이거스]] 간 [[월드 시리즈]]. 2010년에 이어 다시 한 번 우승을 차지하면서 자이언츠는 짝수해 우승을 이어가게 된다. 2017년 2월, 디트로이트 타이거스의 구단주 [[마이클 일리치]]옹이 사망하면서, 일리치의 마지막 월드 시리즈 도전으로 남았다. == 양 팀 상황 == === 2012년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 굴곡진 한해였다. .346의 타율에 159개의 안타로 내셔널리그를 평정하고 있던 [[멜키 카브레라]]가 [[광복절]]에 금지약물 복용으로 50경기 출전금지라는 대형사고를 친 것. 그러나 [[뉴욕 메츠]]에서 데려온 [[앙헬 파간]]이 발군의 실력을 보이고 아울러 시즌 중반 영입한 [[마르코 스쿠타로]]가 20경기 연속 안타의 기록을 세울 정도의 꾸준한 타격을 보이면서 안정세를 이끌었다. 여기에 [[맷 케인]], [[매디슨 범가너]]와 [[라이언 보겔송]]으로 이뤄진 선발진에 [[서지오 로모]]의 마무리로 이어지는 자이언츠의 마운드는 강함 그 자체였다. 여기에 [[버스터 포지]]의 공격력도 탄탄했다. 자이언츠는 94승 68패로 앙숙 [[로스앤젤레스 다저스]]에 8경기 앞선 서부지구 1위로 포스트시즌에 진출 [[신시내티 레즈]]를 디비전 시리즈 5차전까지 가는 접전끝에, [[2012 내셔널 리그 챔피언십 시리즈|내셔널 리그 챔피언십 시리즈]]에서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를 7차전까지 가는 접전끝에 누르고 2010년에 이어 2년만에 다시 월드 시리즈에 진출하게 된다. === 2012년 [[디트로이트 타이거스]] === 시즌 전, [[밀워키 브루어스]]에서 자유계약을 선언한 [[프린스 필더]]를 9년 2억 1천 4백만 달러로 영입한 타이거스는 [[미겔 카브레라]]가 45년만에 첫 [[트리플 크라운]]을 달성하고 [[저스틴 벌랜더]]와 [[맥스 셔저]], [[덕 피스터]], [[아니발 산체스]]의 선발의 탄탄함을 힘입고 88승 74패로 [[시카고 화이트삭스]]에 3경기를 앞선 아메리칸리그 중부지구 1위를 기록, [[오클랜드 애슬레틱스]]를 디비전 시리즈 5차전으로, [[뉴욕 양키스]]를 리그 챔피언십에서 4경기 싹슬이하면서 6년만에 다시 월드시리즈 진출을 이뤄냈다. == 진행 == === 1차전 === ||<-2> '''{{{#ffffff 디트로이트 타이거스}}}''' || '''구분''' ||<-2> '''{{{#fd5a1e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 || '''{{{#ffffff 선수}}}''' || '''{{{#ffffff 포지션}}}''' || '''타순''' || '''{{{#ffffff 선수}}}''' || '''{{{#ffffff 포지션}}}''' || || [[오스틴 잭슨]] || [[중견수|CF]] || '''1''' || [[앙헬 파간]] || [[중견수|CF]] || || [[오마 인판테]] || [[2루수|2B]] || '''2''' || [[마르코 스쿠타로]] || [[2루수|2B]] || || [[미겔 카브레라]] || [[3루수|3B]] || '''3''' || [[파블로 산도발]] || [[3루수|3B]] || || [[프린스 필더]] || [[1루수|1B]] || '''4''' || [[버스터 포지]] || [[포수|C]] || || [[델몬 영]] || [[좌익수|LF]] || '''5''' || [[헌터 펜스]] || [[우익수|RF]] || || [[자니 페랄타]] || [[유격수|SS]] || '''6''' || [[브랜든 벨트]] || [[1루수|1B]] || || [[아비사일 가르시아]] || [[우익수|RF]] || '''7''' || [[그레고르 블랑코]] || [[좌익수|LF]] || || [[알렉스 아빌라]] || [[포수|C]] || '''8''' || [[브랜든 크로포드]] || [[유격수|SS]] || || [[저스틴 벌랜더]] || [[투수|P]] || '''9''' || [[배리 지토]] || [[투수|P]] || ||<-14> {{{#fd5a1e 2012년 10월 24일 [[오라클 파크|{{{#fd5a1e AT&T 파크}}}]]}}} || || '''팀''' || '''선발''' || '''1''' || '''2''' || '''3''' || '''4''' || '''5''' || '''6''' || '''7''' || '''8''' || '''9''' || '''R''' || '''H''' || '''E''' || || '''[[디트로이트 타이거스|{{{#f26722 DET}}}]]''' || [[저스틴 벌랜더]] || 0 || 0 || 0 || 0 || 0 || 1 || 0 || 0 || 2 ||<#dcdcdc> '''3''' || 8 || 0 || ||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fd5a1e SF}}}]]''' || [[배리 지토]] || 1 || 0 || 3 || 1 || 1 || 0 || 2 || 0 || - ||<#dcdcdc> '''8''' || 11 || 0 || 승:[[배리 지토]](1승) 패:[[저스틴 벌랜더]](1패) [youtube(mw0SpmPjy8k)] 1차전 선발로 자이언츠는 [[배리 지토]]를, 타이거스는 [[저스틴 벌랜더]]를 등판시켰다. 1회말 자이언츠는 [[파블로 산도발]]이 선발 [[저스틴 벌랜더]]로부터 솔로홈런을 뽑아내 자이언츠에 1대 0 리드를 선사했다. 이후 3회말에 3득점 4,5회에 각각 1득점, 그리고 7회말에 2득점을 기록, 6회초에1점, 9회초에 2점을 득점했을 뿐인 타이거스에 8대 3 승리로 시리즈 1승을 챙겼다. 타이거스의 선발 벌랜더는 불과 4회만을 던진 후 강판되는 저조함을 보였으며 산도발은 이 경기에서 3개의 홈런을 기록, [[1926년 월드 시리즈]]와 [[1928년 월드 시리즈]]때의 [[베이브 루스]], [[1977년 월드 시리즈]]때의 [[레지 잭슨]], 그리고 [[2011년 월드 시리즈]]때의 [[알버트 푸홀스]]와 함께 월드 시리즈 한 경기에서 3개의 홈런을 기록한 4번째 타자로 이름을 올린다. 그리고, 산도발은 월드 시리즈 개막후 첫 세타석에서 (3연타석) 홈런을 기록한 첫번째 선수가 된다. === 2차전 === ||<-2> '''{{{#ffffff 디트로이트 타이거스}}}''' || '''구분''' ||<-2> '''{{{#fd5a1e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 || '''{{{#ffffff 선수}}}''' || '''{{{#ffffff 포지션}}}''' || '''타순''' || '''{{{#ffffff 선수}}}''' || '''{{{#ffffff 포지션}}}''' || || [[오스틴 잭슨]] || [[중견수|CF]] || '''1''' || [[앙헬 파간]] || [[중견수|CF]] || || [[오마 인판테]] || [[2루수|2B]] || '''2''' || [[마르코 스쿠타로]] || [[2루수|2B]] || || [[미겔 카브레라]] || [[3루수|3B]] || '''3''' || [[파블로 산도발]] || [[3루수|3B]] || || [[프린스 필더]] || [[1루수|1B]] || '''4''' || [[버스터 포지]] || [[포수|C]] || || [[델몬 영]] || [[좌익수|LF]] || '''5''' || [[헌터 펜스]] || [[우익수|RF]] || || [[자니 페랄타]] || [[유격수|SS]] || '''6''' || [[브랜든 벨트]] || [[1루수|1B]] || || [[아비사일 가르시아]] || [[우익수|RF]] || '''7''' || [[그레고르 블랑코]] || [[좌익수|LF]] || || [[제럴드 레어드]] || [[포수|C]] || '''8''' || [[브랜든 크로포드]] || [[유격수|SS]] || || [[덕 피스터]] || [[투수|P]] || '''9''' || [[매디슨 범가너]] || [[투수|P]] || ||<-14> {{{#fd5a1e 2012년 10월 25일 [[오라클 파크|{{{#fd5a1e AT&T 파크}}}]]}}} || || '''팀''' || '''선발''' || '''1''' || '''2''' || '''3''' || '''4''' || '''5''' || '''6''' || '''7''' || '''8''' || '''9''' || '''R''' || '''H''' || '''E''' || || '''[[디트로이트 타이거스|{{{#f26722 DET}}}]]''' || [[덕 피스터]] || 0 || 0 || 0 || 0 || 0 || 0 || 0 || 0 || 0 ||<#dcdcdc> '''0''' || 2 || 0 || ||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fd5a1e SF}}}]]''' || [[매디슨 범가너]] || 0 || 0 || 0 || 0 || 0 || 0 || 1 || 1 || - ||<#dcdcdc> '''2''' || 5 || 0 || 승:[[매디슨 범가너]](1승) 패:[[덕 피스터]](1패) 세:[[서지오 로모]](1세) [youtube(wFSvIVQzF10)] 2차전에서 양팀은 각각 [[매디슨 범가너]]와 [[덕 피스터]]를 선발로 올렸다. 2회초 출루한 [[프린스 필더]]는 다음 타자 [[델몬 영]]의 2루타때 득점을 올릴 찬스였으나 자이언츠의 좌익수 [[그레고르 블랑코]]와 2루수 [[마르코 스쿠타로]]의 중계보살로 홈에서 아웃, 득점기회가 무산된다. 무득점의 팽팽한 승부는 7회말 [[헌터 펜스]]가 안타로 출루한 상황에서 [[브랜든 벨트]]가 볼넷으로 출루한 1,2루의 상황에서 블랑코가 절묘한 번트로 무사 만루의 찬스를 만든 다음 [[브랜든 크로포드]]가 병살타로 1득점을 만들어서 깨지고 8회말에 또다시 만루의 상황에서 [[헌터 펜스]]의 희생 플라이로 [[앙헬 파간]]을 홈으로 불러들여 1점을 추가 2대 0을 만들었고 [[서지오 로모]]가 등판, 무실점으로 경기를 마무리를 지어 2대 0 승리로 시리즈 2승을 만든 유리한 고지에서 3차전의 장소가 될 디트로이트로 이동한다. === 3차전 === ||<-2> '''{{{#fd5a1e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 '''구분''' ||<-2> '''{{{#ffffff 디트로이트 타이거스}}}''' || || '''{{{#ffffff 선수}}}''' || '''{{{#ffffff 포지션}}}''' || '''타순''' || '''{{{#ffffff 선수}}}''' || '''{{{#ffffff 포지션}}}''' || || [[앙헬 파간]] || [[중견수|CF]] || '''1''' || [[오스틴 잭슨]] || [[중견수|CF]] || || [[마르코 스쿠타로]] || [[2루수|2B]] || '''2''' || 퀸틴 베리 || [[좌익수|LF]] || || [[파블로 산도발]] || [[3루수|3B]] || '''3''' || [[미겔 카브레라]] || [[3루수|3B]] || || [[버스터 포지]] || [[포수|C]] || '''4''' || [[프린스 필더]] || [[1루수|1B]] || || [[헌터 펜스]] || [[우익수|RF]] || '''5''' || [[델몬 영]] || [[지명타자|DH]] || || [[브랜든 벨트]] || [[1루수|1B]] || '''6''' || 앤디 다이크스 || [[우익수|RF]] || || [[그레고르 블랑코]] || [[좌익수|LF]] || '''7''' || [[자니 페랄타]] || [[유격수|SS]] || || [[헥터 산체스]] || [[지명타자|DH]] || '''8''' || [[알렉스 아빌라]] || [[포수|C]] || || [[브랜든 크로포드]] || [[유격수|SS]] || '''9''' || [[오마 인판테]] || [[2루수|2B]] || ||<-2> [[라이언 보겔송]] ||<#dcdcdc> '''P''' ||<-2> [[아니발 산체스]] || ||<-14> {{{#fd5a1e 2012년 10월 27일 [[코메리카 파크|{{{#fd5a1e 코메리카 파크}}}]]}}} || || '''팀''' || '''선발''' || '''1''' || '''2''' || '''3''' || '''4''' || '''5''' || '''6''' || '''7''' || '''8''' || '''9''' || '''R''' || '''H''' || '''E''' || ||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fd5a1e SF}}}]]''' || [[라이언 보겔송]] || 0 || 2 || 0 || 0 || 0 || 0 || 0 || 0 || 0 ||<#dcdcdc> '''2''' || 7 || 1 || || '''[[디트로이트 타이거스|{{{#f26722 DET}}}]]''' || [[아니발 산체스]] || 0 || 0 || 0 || 0 || 0 || 0 || 0 || 0 || 0 ||<#dcdcdc> '''0''' || 5 || 1 || 승:[[라이언 보겔송]](1승) 패:[[아니발 산체스]](1패) 세:[[서지오 로모]](2세) [youtube(owUABx3vsl8)] 3차전 선발로 샌프란시스코에서는 [[라이언 보겔송]]을, 디트로이트에서 [[아니발 산체스]]를 출격시켰다. 자이언츠가 2회초에 [[그레고르 블랑코]]의 적시 3루타와 2사의 상황에서 [[브랜든 크로포드]]의 적시타로 2점을 올려 2대 0의 리드를 그대로 결승점수로 끌고가 시리즈 3승을 올려 월드 시리즈 우승에 단 1 경기를 남겨 놓게 되었다. === 4차전 === ||<-2> '''{{{#fd5a1e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 '''구분''' ||<-2> '''{{{#ffffff 디트로이트 타이거스}}}''' || || '''{{{#ffffff 선수}}}''' || '''{{{#ffffff 포지션}}}''' || '''타순''' || '''{{{#ffffff 선수}}}''' || '''{{{#ffffff 포지션}}}''' || || [[앙헬 파간]] || [[중견수|CF]] || '''1''' || [[오스틴 잭슨]] || [[중견수|CF]] || || [[마르코 스쿠타로]] || [[2루수|2B]] || '''2''' || 퀸틴 베리 || [[좌익수|LF]] || || [[파블로 산도발]] || [[3루수|3B]] || '''3''' || [[미겔 카브레라]] || [[3루수|3B]] || || [[버스터 포지]] || [[포수|C]] || '''4''' || [[프린스 필더]] || [[1루수|1B]] || || [[헌터 펜스]] || [[우익수|RF]] || '''5''' || [[델몬 영]] || [[지명타자|DH]] || || [[브랜든 벨트]] || [[1루수|1B]] || '''6''' || 앤디 다이크스 || [[우익수|RF]] || || [[그레고르 블랑코]] || [[좌익수|LF]] || '''7''' || [[자니 페랄타]] || [[유격수|SS]] || || [[라이언 테리엇]] || [[지명타자|DH]] || '''8''' || [[오마 인판테]] || [[2루수|2B]] || || [[브랜든 크로포드]] || [[유격수|SS]] || '''9''' || [[제럴드 레어드]] || [[포수|C]] || ||<-2> [[맷 케인]] ||<#dcdcdc> '''P''' ||<-2> [[맥스 슈어저]] || ||<-15> {{{#fd5a1e 2012년 10월 28일 [[코메리카 파크|{{{#fd5a1e 코메리카 파크}}}]]}}} || || '''팀''' || '''선발'''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R''' || '''H''' || '''E''' || ||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fd5a1e SF}}}]]''' || [[맷 케인]] || 0 || 1 || 0 || 0 || 0 || 2 || 0 || 0 || 0 || 1 ||<#dcdcdc> '''4''' || 9 || 0 || || '''[[디트로이트 타이거스|{{{#f26722 DET}}}]]''' || [[맥스 슈어저]] || 0 || 0 || 2 || 0 || 0 || 1 || 0 || 0 || 0 || 0 ||<#dcdcdc> '''3''' || 5 || 0 || 승:[[산티아고 카시야]](1승) 패:필 코크(1패) 세:[[서지오 로모]](3세) [youtube(UEUPP2GuS4A)] 4차전에서 [[맷 케인]], [[맥스 슈어저]]를 등판시킨 양 팀은 한쪽은 월드 시리즈 우승을, 한쪽은 5차전으로 끌고 가기 위해 필사의 노력을 기울였다. 2회초에서 자이언츠가 [[브랜든 벨트]]의 적시 3루타로 [[헌터 펜스]]를 홈으로 불러들여 1대 0으로 리드한다. 그러나 3회말 타이거스는 [[미겔 카브레라]]가 우월 2점홈런으로 2대 1 역전을 이뤘다. 그 후 6회초 자이언츠의 공격에서 [[버스터 포지]]가 2점 홈런으로 3대 2로 자이언츠에게 역전을 선사했으나 곧이은 6회말 공격에서 [[델몬 영]]이 솔로홈런으로 응수, 다시 3대 3 동점을 이뤘다. 이렇게 동점으로 팽팽한 승부를 이어가던 경기는 연장 10회초에 [[라이언 테리엇]]이 안타로 출루한 상황에서 [[브랜든 크로포드]]가 희생번트로 테리엇을 2루로 진출시켰으나 [[앙헬 파간]]이 삼진으로 물러났다. 하지만 다음 타자 [[마르코 스쿠타로]]가 적시타로 테리엇을 홈으로 불러들여 4대 3 역전을 일궈내고 10회말을 마무리 [[서지오 로모]]가 잘 마무리지어 자이언츠의 2010년에 이어 월드 시리즈 우승을 선사한다. --그리고 [[강남스타일|말춤]]은 덤-- ~~그리고 자이언츠는 이번에도 적지에서 우승을 차지하며 상대편에게 굴욕감을 배로 줬다. 그리고 [[2014년 월드 시리즈|다음 짝수해]]에도 또 적지에서 우승했다.~~ ||[[파일:external/wac.450f.edgecastcdn.net/154899421.jpg]] 월드 시리즈 우승을 확정짓고 승리의 기쁨을 나누는 [[버스터 포지]]와 [[세르지오 로모]]|| == 여담 == * 4차전에서 디트로이트의 선발로 등판했으나 팀의 탈락을 막지 못한 [[맥스 슈어저]]는 9년 후 다저스의 유니폼을 입고 [[2021 NLDS]]에서 다시 자이언츠를 만나게 되었다. 그리고 기자회견에서 "그들에게 갚아줘야할 것이 있다."라 말하며 결의를 다졌고, 3차전에서 [[에반 롱고리아]]의 뜬금포와 득점지원을 받지못하며 7이닝 1실점 패전을 기록했으나 5차전에서 2:1로 앞선 9회말 등판, 실점없이 경기를 마무리하고 데뷔 첫 세이브를 거두며 이때의 아픈 기억을 돌려주었다. 다만 마지막 [[윌머 플로레스]]의 타석에서 체크스윙 오심으로 경기가 끝나버렸던건 옥의 티. * [[2022년 월드 시리즈]] 종료 시점에서 가장 최근에 스윕으로 끝난 월드 시리즈이다. == [[우승반지]] == [[파일:2012 San Francisco Giants World Series Championship.jpg|width=500]]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의 월드 시리즈 우승반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