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LCK 역대 대회)] ||<-5> [[파일:LCK white.png|width=32]] '''{{{#fff 역대}}} [[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fff LoL Champions Korea}}}]] {{{#fff 일람}}}''' || || [[KING-ZONE DragonX/리그 오브 레전드|KING-ZONE DragonX]] ||<|2> → || '''[[kt 롤스터/리그 오브 레전드|[[파일:kt 롤스터 로고(2009-2021).svg|height=25]][br]kt Rolster]]''' ||<|2> → || [[SK텔레콤 T1/리그 오브 레전드|SK telecom T1]] || || [[2018 LoL Champions Korea Spring]] || '''2018 LoL Champions Korea Summer''' || [[2019 스무살우리 LoL Champions Korea Spring|2019 LoL Champions Korea Spring]] || ---- [[파일:DmmLxrbVAAAalg1.jpg|width=100%]] ---- [[파일:20180716171757_3478.jpg|width=100%]] ---- ||<-3>
<#fff> [[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파일:2018 LCK 서머.jpg|height=85]]]] || ||<-3> '''{{{#white '''2018 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 Summer'''}}}''' || || {{{#white '''대회 기간'''}}} ||<-2> [[2018년]] [[6월 12일]] ~ [[9월 8일]] || || {{{#white '''주최'''}}} ||<|2> [[라이엇 게임즈|[[파일:라이엇 게임즈 로고(2006-2019).svg|width=80]]]] ||<|2> [[한국e스포츠협회|[[파일:한국e스포츠협회 로고.svg|width=100]]]] || || {{{#white '''주관'''}}} || || {{{#white '''제작'''}}} || [[OGN|[[파일:OGN 로고.svg|width=70]]]] || [[SPOTV GAMES|[[파일:SPOTV GAMES1.png|width=100]]]] || ||<|2> {{{#white '''경기장'''}}} ||<-2> [[서울 OGN e스타디움]] || ||<-2> [[NEXON ARENA]] || ||<|3> {{{#white '''스폰서'''}}} ||<-2> [[제닉스|[[파일:external/www.xenics.co.kr/logo.gif|width=100]]]] || ||<-2> [[로지텍 G|[[파일:logitechg blue logo.png|width=90]]]] || ||<-2> [[BBQ치킨|[[파일:BBQ치킨 로고.svg|width=50]]]] || ||<-3> {{{#white {{{+1 '''중계'''}}} }}} || ||<-3> {{{#!folding [ 펼치기 · 접기 ] ||<|4> {{{#white '''중계 플랫폼'''}}} ||<-2> {{{-3 {{{#white '''TV'''}}} }}} || || [[OGN|[[파일:OGN 로고.svg|width=60]]]] || [[SPOTV GAMES|[[파일:SPOTV GAMES1.png|width=60]]]] || ||<-2> {{{-3 {{{#white '''온라인'''}}} }}} || ||<-2> [[http://www.tving.com/main.do?retRef=Y&source=https://www.google.com/|[[파일:TVING 로고 (2016~2020).png|width=60]]]] [[https://www.pooq.co.kr/|[[파일:POOQ 로고.png|width=60]]]] [br] [[https://www.twitch.tv/lck_korea|[[파일:트위치 아이콘.svg|width=20]]]] [[https://www.youtube.com/lckkorea|[[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http://afreecatv.com/afLoL|[[파일:아프리카TV 아이콘.svg|width=20]]]] [[https://sports.news.naver.com/main/scoreboard.nhn|[[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width=20]]]] || ||<|10> {{{#white '''중계진'''}}} ||<-2> {{{-3 {{{#white '''캐스터'''}}} }}} || || [[OGN|[[파일:OGN 로고.svg|width=40]]]] || [[전용준]] || || [[SPOTV GAMES|[[파일:SPOTV GAMES1.png|width=60]]]] || [[성승헌]] || ||<-2> {{{-3 {{{#white '''해설자'''}}} }}} || || [[OGN|[[파일:OGN 로고.svg|width=40]]]] || [[김동준(게임 해설가)|김동준]], [[이현우(게임 해설가)|이현우]] || || [[SPOTV GAMES|[[파일:SPOTV GAMES1.png|width=60]]]] || [[고인규]], [[장민철]] || ||||}}} || ||<-3> {{{#white {{{+1 '''일정'''}}} }}} || ||<-3> {{{#!folding [ 펼치기 · 접기 ] ||<|4> {{{#white '''정규시즌'''}}} ||<-2> {{{-3 {{{#white '''1라운드'''}}} }}} || ||<-2> [[6월 12일]] ~ [[7월 13일]] || ||<-2> {{{-3 {{{#white '''2라운드'''}}} }}} || ||<-2> [[7월 14일]] ~ [[8월 9일]] || ||<|6> {{{#white '''포스트시즌'''}}} ||<-2> {{{-3 {{{#white '''와일드카드전'''}}} }}} || ||<-2> [[8월 12일]] || ||<-2> {{{-3 {{{#white '''플레이오프 1라운드'''}}} }}} || ||<-2> [[8월 15일]] || ||<-2> {{{-3 {{{#white '''플레이오프 2라운드'''}}} }}} || ||<-2> [[8월 18일]] || ||<|4> {{{#white '''결승전'''}}} ||<-2> {{{-3 {{{#white '''대진'''}}} }}} || ||<-2> [[9월 8일]] [[kt 롤스터/리그 오브 레전드|kt Rolster]] vs [[Griffin/리그 오브 레전드|Griffin]] || ||<-2> {{{-3 {{{#white '''경기장'''}}} }}} || ||<-2> [[인천삼산월드체육관]] || ||||}}} || ||<-3> {{{#white {{{+1 '''대회 결과'''}}}}}} || ||<-3>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1 {{{#white '''우승'''}}} }}} ||<-2> [[kt 롤스터/리그 오브 레전드|[[파일:kt 롤스터 로고(2009-2021).svg|width=45]]]] '''{{{+1 [[kt 롤스터/리그 오브 레전드|kt Rolster]]}}}''' || || {{{#white '''준우승'''}}} ||<-2> '''[[Griffin|[[파일:Griffin_logo.png|width=25]]]]''' [[Griffin/리그 오브 레전드|Griffin]] || ||<|4> {{{#white '''MVP'''}}} ||<-2> {{{-3 {{{#white '''정규시즌'''}}}}}} || ||<-2> [[김동하(프로게이머)|김동하]] (KZ Khan) || ||<-2> {{{-3 {{{#white '''포스트시즌'''}}}}}} || ||<-2> [[고동빈]] (KT Score) || ||<|10> {{{#white '''KDA[br]챔피언'''}}} ||<-2> {{{-3 {{{#white '''TOP'''}}}}}} || ||<-2> [[송경호]] (KT Smeb) || ||<-2> {{{-3 {{{#white '''JGL'''}}}}}} || ||<-2> [[이승용]] (GRF Tarzan) || ||<-2> {{{-3 {{{#white '''MID'''}}}}}} || ||<-2> [[정지훈(2001)|정지훈]] (GRF Chovy) || ||<-2> {{{-3 {{{#white '''BOT'''}}}}}} || ||<-2> [[박도현(2000)|박도현]] (GRF Viper) || ||<-2> {{{-3 {{{#white '''SPT'''}}}}}} || ||<-2> [[손시우]] (GRF Lehends) || ||||}}} || [목차] [clearfix] == 개요 == >'''The Fantastic Run'''[* 이 캐치프레이즈는 스프링 캐치프레이즈와 함께 결승전까지 연결된다.] >'''찬란한 질주''' > >'''The Legacy Continues''' >'''유산은 계속된다''' >---- >OGN 측 캐치프레이즈. >'''Reveal Yourself''' >'''나를 펼쳐라''' >---- >SPOTV GAMES 측 캐치프레이즈. 2018년 6월 12일부터 9월 8일까지 펼쳐진 [[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의 2018 서머 시즌. == 참가팀 == [include(틀:2018 LoL Champions Korea Summer 참가팀)] == 정규시즌 순위 == [include(틀:2018 LoL Champions Korea Summer 정규시즌 순위표)] == 이모저모 == * [[서울 OGN e스타디움|상암]]과 [[넥슨 아레나]]에서 열리는 마지막 LCK이다. 내년부터는 라이엇 코리아가 자체 건립한 '[[LoL PARK]]'에서 경기가 개최되며, 방송 또한 라이엇 코리아가 자체 제작한다.[* 단, 서머 개최 시점까지도 라이엇 코리아가 만든 방송을 어떻게 송출할 것인지에 대한 공식 발표는 나오지 않았다. 다만 [[이현우(게임 해설가)|이현우]] 해설이 위클리 LCK나 개인 방송에서 'OGN에서 중계하는 마지막 LCK'라는 늬앙스를 내비치는 것을 봐선 프리랜서인 해설진들만 데려가는 방식으로 자체 송출하는 방식으로 해석해볼 수 있다.] * 결승전은 [[OGN]]에서 중계한다.[* 스프링 결승과 리프트 라이벌즈는 [[SPOTV GAMES]]가 중계하는 것이 이미 확정되었기 때문에 MSI와 이번 서머 결승을 OGN에서 중계하는 것.] * 예정된 [[2018 리프트 라이벌즈]]에 이어 [[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까지 서머 기간 근방에 진행되어 일정 조정이 불가피했는데, 그 결과로 마지막 주를 제외하고 일주일에 하루만 쉬는 강행군이 짜여졌다. [[http://bbs.ruliweb.com/family/4526/board/109995/read/9406450|(일정표)]] 특히 수요일인 6월 13일, 20일, 27일, 7월 25일에는 3경기를 진행하며 경기 시작 시간은 오후 2시. 해당 날짜 중계는 모두 OGN이 담당한다. 만약 3경기 모두 3세트 경기면 하루에 9세트를 중계하는 [[엄전김|초 강행군]]이 이어지는데 7월 25일에 정말로 9세트까지 나왔다. * 주차별 주관 방송사는 다음과 같다. ||<-7>
[[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파일:LCK white.png|width=32]]]] '''{{{#white 2018 LoL Champions Korea Summer}}} {{{#white 주차별 주관 방송사}}}''' || || 구분 || 화 || 수 || 목 || 금 || 토 || 일 || || 1주차 || SPOTV || OGN || OGN || SPOTV || OGN || SPOTV || || 2주차 || SPOTV || OGN || OGN || SPOTV || OGN || SPOTV || || 3주차 || SPOTV || OGN || OGN || SPOTV || OGN || SPOTV || || 4주차 || 경기[br] 없음 || OGN || OGN || OGN || OGN || SPOTV || || 5주차 || SPOTV || OGN || OGN || SPOTV || OGN || SPOTV || || 6주차 || SPOTV || OGN || OGN || OGN || OGN || SPOTV || || 7주차 || SPOTV || OGN || OGN || 경기[br] 없음 || OGN || SPOTV || || 8주차 || SPOTV || OGN || OGN ||<-3> 정규시즌 종료 || * 클템의 사전 예상으로는, 신 3강(킹존, 아프리카, KT)과 구 2황(SKT, 젠지)의 구도에서 신 3강이 흔들리고 구 2황이 분투할 것으로 예상 했으며, 여기에 다크호스 역할을 할 수 있는 팀으로는 한화와 그리핀을 꼽았다. 즉, 예측이 쉽지 않은 혼돈의 LCK가 될 것으로 보았다. 그리고 진에어, bbq, MVP에 대해서는 크게 언급할 것이 없다고 말했다.[* 시즌이 끝난 후에 보기엔 거의 맞는 예측이 되었다. 진에어, bbq, MVP가 하위권이 되었고, 젠지가 분투했었으며, 그리핀은 상위권 자리를 차지했고 한화도 마지막까지 아프리카를 위협했다.] * 6월 18일 [[탈리야]], [[카서스]]의 강타 사용이 금지되었고, 6월 19일자로 스킨 '칠흑 물결 블라디미르'의 사용이 금지되었다. 전자는 6월 17일에 있던 [[Echo Fox]]와 [[Clutch Gaming]]의 경기가 터져서 크로노 브레이크로 복구가 불가능하여 판정승 사태가 난 오류 때문이며, 후자는 스킨 이펙트를 구별하기 힘들다는 이유다. 6월 23일부로 LCS 지역에서는 조치가 해제되었으며, LCK도 6월 26일부터 조치가 해제되었다. * 아시안 게임 일정 때문에 플레이오프 2라운드와 결승전이 무려 3주나 차이나는 이례적인 시즌이 되었다. * 월드컵 기간을 피해서 시즌 일정을 잡는 축구 리그와는 달리 아시안 게임 기간이 서머 기간 내에 있다는 것, 특히 아시안게임 이후 시즌의 꽃인 결승전 일정과 스프링과 서머를 치르는 이유라고도 볼 수 있는 롤드컵 선발전 일정이 있다는 것은 국가대표 선수가 차출된 팀의 입장에서는 악재일 수밖에 없다. 이러한 점을 보았을 때 앞으로 아시안 게임이 있는 해의 모든 대회 일정은 이를 고려하여 조정이 필요하다는 것을 깨달아야 하는 시즌이 되었다. === 주관 방송사의 주요 변경점 === * [[OGN]] * 밴픽 화면에 최초로 [[증강현실]]이 도입되었다. 증강현실임을 어필하고 싶은 건지 밴픽 중 카메라를 앞뒤로 흔드는데 이에 대해 어지럽다, 멀미난다는 의견이 있다. 어지럽지 않은 사람들도 종종 산만해 보인다는 평가를 하기도 한다. 이를 의식했는지 27일에 진행된 밴픽은 카메라가 앞뒤로 흔드는 모습이 사라졌다. * 스포티비에서만 있었던 억제기 재생성 시간 카운트가 도입되었다. 마지막 한타 딜량이나 실시간 딜량 그래프[* 정확히는 2018 서머 승강전부터. 자체 시스템을 사용한 스포티비와는 달리 [[OP.GG]]의 기술을 이용했다.]가 추가되었다. * 빛돌 하광석 해설이 각 세트가 끝난 뒤 단군 김의중 캐스터와 함께 해당 경기의 중요 포인트를 짚어주는 '단돌한 포인트' 진행자와 인터뷰어로 합류한다. 기존에 빛돌은 목소리나 다른 문제로 까이긴 했어도 게임 보는 눈 자체는 괜찮다는 얘기가 많았는데, 분석 데스크로 합류하면서 단점은 희석되고 장점은 극대화되면서 상당한 호평이 나오는 중. * [[아프리카TV]]를 통해 청각 장애인들을 위한 속기사들의 실시간 문자 통역 방송을 제공한다. [[http://afreecatv.com/afognplus|제공 사이트]][* 상암 OGN 사무실에서 속기사들이 장소를 제공받아 진행한다.] * [[SPOTV GAMES]] * 유일하게 포탑 파괴 개수 카운트 옆에 바위게를 처치한 횟수 카운트가 새로 도입되었다. * 특정 선수가 어떤 시간대에 어느 위치에서 누구를 킬했는지를 전체 맵 화면과 함께 보여주는[* 맵 상의 노루를 가까이 보여주다 줌 아웃하며 전체 맵을 보여주는 모습에서 트위치 시청자들을 중심으로 '''전지적 노루 시점'''이란 드립이 나왔다.] 방송 기술을 추가하였다. * 스포티비에서 좋은 평을 듣던 [[강승현(게임 해설가)|강승현]] 해설이 건강상의 이유로 하차하고 CK 해설만 맡게 되었으며, [[장민철]]이 대신 해설을 맡는다. == [[/영상 및 삽입곡|영상 및 삽입곡]] == [[/영상 및 삽입곡|영상 및 삽입곡]] 문서 참조. == 대회 진행 == === 정규시즌 === [include(틀:2018 LoL Champions Korea Summer 정규시즌 경기 일람)] === [[/포스트시즌|포스트시즌]] === [include(틀:2018 LoL Champions Korea Summer 포스트시즌 경기 일람)] === [[/결승전|결승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2018 LoL Champions Korea Summer/결승전)] === [[2019 스무살우리 LoL Champions Korea Spring/승강전|승강전]] === [[2019 스무살우리 LoL Champions Korea Spring/승강전]] == 주요 기록 == === MVP 포인트 === ==== 정규시즌 ==== ||<-6>
[[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파일:LCK white.png|width=32]]]] '''{{{#white 2018 LoL Champions Korea Summer}}} {{{#white 정규시즌 MVP 포인트}}}''' || || 순위 || 이름 || 아이디 || 팀 명 || 포지션 || 누적 점수 || || 1 || [[김동하(프로게이머)|'''김동하''']] || '''Khan''' || '''[[KING-ZONE DragonX]]''' || '''TOP''' || '''1100''' || || 2 || [[곽보성]] || Bdd || [[KING-ZONE DragonX]] || MID || 900 || || 2 || [[이서행]] || Kuro || [[Afreeca Freecs/리그 오브 레전드|Afreeca Freecs]] || MID || 900 || || 2 || [[김태훈(1999)|김태훈]] || Lava || [[한화생명e스포츠|Hanwha Life Esports]] || MID || 900 || || 2 || [[박도현(2000)|박도현]] || Viper || [[Griffin]] || BOT || 900 || ||<-6> {{{#!folding [ 5위권 이하 선수 보기 ] || 순위 || 이름 || 아이디 || 팀 명 || 포지션 || 누적 점수 || || 6 || [[윤성환(프로게이머)|윤성환]] || SeongHwan || [[한화생명e스포츠|Hanwha Life Esports]] || JGL || 800 || || 6 || [[손우현(프로게이머)|손우현]] || Ucal || [[kt 롤스터/리그 오브 레전드|kt Rolster]] || MID || 800 || || 8 || [[송용준]] || Fly || [[Gen.G Esports/리그 오브 레전드|Gen.G Esports]] || MID || 700 || || 8 || [[고동빈]] || Score || [[kt 롤스터/리그 오브 레전드|kt Rolster]] || JGL || 700 || || 8 || [[송경호]] || Smeb || [[kt 롤스터/리그 오브 레전드|kt Rolster]] || TOP || 700 || || 8 || [[이승용]] || Tarzan || [[Griffin/리그 오브 레전드|Griffin]] || JGL || 700 || || 12 || [[이상혁]] || Faker || [[SK텔레콤 T1/리그 오브 레전드|SK telecom T1]] || MID || 600 || || 12 || [[김기인]] || Kiin || [[Afreeca Freecs/리그 오브 레전드|Afreeca Freecs]] || TOP || 600 || || 14 || [[정지훈(2001)|정지훈]] || Chovy || [[Griffin]] || MID || 500 || || 14 || [[박재혁(1998)|박재혁]] || Ruler || [[Gen.G Esports/리그 오브 레전드|Gen.G Esports]] || BOT || 500 || || 14 || [[이다윤]] || Spirit || [[Afreeca Freecs/리그 오브 레전드|Afreeca Freecs]] || JGL || 500 || || 14 || [[박진성(프로게이머)|박진성]] || Teddy || [[진에어 그린윙스/리그 오브 레전드|Jin Air Greenwings]] || BOT || 500 || || 18 || [[강찬용]] || Ambition || [[Gen.G Esports/리그 오브 레전드|Gen.G Esports]] || JGL || 400 || || 18 || [[조용인]] || CoreJJ || [[Gen.G Esports/리그 오브 레전드|Gen.G Esports]] || SPT || 400 || || 18 || [[이성진(프로게이머)|이성진]] || CuVee || [[Gen.G Esports/리그 오브 레전드|Gen.G Esports]] || TOP || 400 || || 18 || [[김혁규]] || Deft || [[kt 롤스터/리그 오브 레전드|kt Rolster]] || BOT || 400 || || 18 || [[강민승]] || Haru || [[Gen.G Esports/리그 오브 레전드|Gen.G Esports]] || JGL || 400 || || 18 || [[안준형]] || Ian || [[MVP(프로게임단)/리그 오브 레전드|MVP]] || MID || 400 || || 18 || [[손시우]] || Lehends || [[Griffin]] || SPT || 400 || || 18 || [[최준식(프로게이머)|최준식]] || Pirean || [[SK텔레콤 T1/리그 오브 레전드|SK telecom T1]] || MID || 400 || || 18 || [[권상윤]] || Sangyoon || [[한화생명e스포츠|Hanwha Life Esports]] || BOT || 400 || || 18 || [[김강윤]] || Trick || [[bbq 올리버스|bbq OLIVERS]] || JGL || 400 || || 18 || [[박종익]] || TusiN || [[Afreeca Freecs/리그 오브 레전드|Afreeca Freecs]] || SPT || 400 || || 29 || [[배준식]] || Bang || [[SK텔레콤 T1/리그 오브 레전드|SK telecom T1]] || BOT || 300 || || 29 || [[강범현]] || GorillA || [[KING-ZONE DragonX]] || SPT || 300 || || 29 || [[이찬주]] || Grace || [[진에어 그린윙스/리그 오브 레전드|Jin Air Greenwings]] || MID || 300 || || 29 || [[조세형(e스포츠)|조세형]] || Mata || [[kt 롤스터/리그 오브 레전드|kt Rolster]] || SPT || 300 || || 29 || [[최성원(프로게이머)|최성원]] || Sword || [[Griffin]] || TOP || 300 || || 29 || [[강명구(프로게이머)|강명구]] || Tempt || [[bbq 올리버스|bbq OLIVERS]] || MID || 300 || || 29 || [[엄성현]] || UmTi || [[진에어 그린윙스/리그 오브 레전드|Jin Air Greenwings]] || JGL || 300 || || 29 || [[김규석]] || Yondu || [[MVP(프로게임단)/리그 오브 레전드|MVP]] || JGL || 300 || || 37 || [[김하람]] || Aiming || [[Afreeca Freecs/리그 오브 레전드|Afreeca Freecs]] || BOT || 200 || || 37 || [[강선구]] || Blank || [[SK텔레콤 T1/리그 오브 레전드|SK telecom T1]] || JGL || 200 || || 37 || [[문우찬]] || Cuzz || [[KING-ZONE DragonX]] || JGL || 200 || || 37 || [[이상호(프로게이머)|이상호]] || Effort || [[SK텔레콤 T1/리그 오브 레전드|SK telecom T1]] || SPT || 200 || || 37 || [[김한기]] || Key || [[한화생명e스포츠|Hanwha Life Esports]] || SPT || 200 || || 37 || [[허만흥]] || Lindarang || [[한화생명e스포츠|Hanwha Life Esports]] || TOP || 200 || || 37 || [[박찬호(프로게이머)|박찬호]] || Nova || [[진에어 그린윙스/리그 오브 레전드|Jin Air Greenwings]] || SPT || 200 || || 37 || [[한왕호]] || Peanut || [[KING-ZONE DragonX]] || JGL || 200 || || 37 || [[나우형]] || Pilot || [[MVP(프로게임단)/리그 오브 레전드|MVP]] || BOT || 200 || || 37 || [[박권혁]] || Thal || [[SK텔레콤 T1/리그 오브 레전드|SK telecom T1]] || TOP || 200 || || 47 || [[강건모]] || ADD || [[MVP(프로게임단)/리그 오브 레전드|MVP]] || TOP || 100 || || 47 || [[김재희]] || Crazy || [[bbq 올리버스|bbq OLIVERS]] || TOP || 100 || || 47 || [[이동근(프로게이머)|이동근]] || IgNar || [[bbq 올리버스|bbq OLIVERS]] || SPT || 100 || || 47 || [[한겨레(프로게이머)|한겨레]] || Leo || [[SK텔레콤 T1/리그 오브 레전드|SK telecom T1]] || BOT || 100 || || 47 || [[정종빈]] || Max || [[MVP(프로게임단)/리그 오브 레전드|MVP]] || SPT || 100 || || 47 || [[김종인(프로게이머)|김종인]] || PraY || [[KING-ZONE DragonX]] || BOT || 100 || || 47 || [[김준영(1996)|김준영]] || SoHwan || [[진에어 그린윙스/리그 오브 레전드|Jin Air Greenwings]] || TOP || 100 || }}} || * 포지션별 MVP 선정 횟수: TOP '''38'''회 / JGL '''51'''회 / MID '''67'''회 / BOT '''36'''회 / SPT '''26'''회 ==== 포스트 시즌 ==== ||<-6>
[[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파일:LCK white.png|width=32]]]] '''{{{#white 2018 LoL Champions Korea Summer}}} {{{#white 포스트시즌 MVP 포인트}}}''' || || 순위 || 이름 || 아이디 || 팀 명 || 포지션 || 누적 점수 || || 1 || '''[[고동빈]]''' || '''Score''' || [[kt 롤스터/리그 오브 레전드|'''kt Rolster''']] || '''JGL''' || '''600''' || || 2 || [[이승용]] || Tarzan || [[Griffin]] || JGL || 400 || || 3 || [[손우현(프로게이머)|손우현]] || Ucal || [[kt 롤스터/리그 오브 레전드|kt Rolster]] || MID || 300 || || 3 || [[박도현(2000)|박도현]] || Viper || [[Griffin]] || BOT || 300 || || 3 || [[김기인]] || Kiin || [[Afreeca Freecs/리그 오브 레전드|Afreeca Freecs]] || TOP || 300 || ||<-6> {{{#!folding [ 5위권 이하 선수 보기 ] || 순위 || 이름 || 아이디 || 팀 명 || 포지션 || 누적 점수 || || 6 || [[정지훈(2001)|정지훈]] || Chovy || [[Griffin/리그 오브 레전드|Griffin]] || MID || 200 || || 6 || [[하종훈]] || Kramer || [[Afreeca Freecs/리그 오브 레전드|Afreeca Freecs]] || BOT || 200 || || 6 || [[이다윤]] || Spirit || [[Afreeca Freecs/리그 오브 레전드|Afreeca Freecs]] || JGL || 200 || || 8 || [[곽보성]] || Bdd || [[KING-ZONE DragonX]] || MID || 100 || }}} || === 펜타킬 === ||<-7>
[[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파일:LCK white.png|width=32]]]] '''{{{#white 2018 LoL Champions Korea Summer}}} {{{#white 펜타킬}}}''' || || 이름(ID) || 소속 팀 || 포지션 || 챔피언 || 상대 팀 || 기록일 || 경기 || || [[박재혁(1998)|박재혁]](Ruler) || [[Gen.G/리그 오브 레전드|[[파일:Gen.G 로고.svg|width=50]]]] || [[파일:Bot_icon.png|width=40]][br]ADC || [[이즈리얼|[[파일:ezreal_portrait.png|width=50]]]] || [[Hanwha Life Esports|[[파일:한화생명e스포츠 로고.svg|width=50]]]] || 2018.07.15 || [[2018 LoL Champions Korea Summer/4주차(2라운드)#s-5.3|49경기 3세트]] || == 총평 및 결산 == === 정규시즌 === [include(틀:다른 뜻1, other1=1라운드 결산, rd1=2018 LoL Champions Korea Summer/1라운드 결산, other2=2라운드 및 정규시즌 전체 결산, rd2=2018 LoL Champions Korea Summer/2라운드 결산)] === 포스트시즌 === [include(틀:다른 뜻1, other1=포스트시즌 결산, rd1=2018 LoL Champions Korea Summer/포스트시즌 결산)] == 관련 문서 == * [[2018 LoL Challengers Korea Summer]] [[분류:2018 LoL Champions Korea Summ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