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from=21세기 진보학생연합, other1=2005년부터 2018년까지 활동한 단체, rd1=21세기 한국 대학생 연합)] [include(틀:학생회)] [include(틀:운동권의 계파 역사)] [목차] == 개요 == [[1994년]]부터 2000년대 중반까지 존재했던 한국의 [[학생운동]] 조직이자 정파. [[NLPDR|NL]]과 [[PD(정파)|PD]]의 대립구도를 넘어서는 학생운동을 추구하였으며 실제로도 중간자적 정파인 [[제헌의회그룹]][* CA다수파 - NL좌파 - 21C]에서 파생된 정파이다. == 역사 == [[민중당(1990년)|민중당]] 청년학생위원회에 모였던 진보학생연합(진학련)[* [[노회찬]]이 주도하던 [[인민노련]]-진보정당추진위원회(약칭:진정추) 계열과 연계한 학생그룹] , 진보정치대학생연합(진대련), 생활진보대중정치대학생연합(생대련. 일명 '생때')[* NL 주류의 북한 추종 경향에 비판적인 NL비주류 계열의 학생그룹] 3개 조직이 1993년 통합하여 '''21세기 진보학생연합'''이라는 공개조직을 출범시키면서 등장하였다. 21세기에 참여한 [[NLPDR|NL]] 비주류 그룹은 [[제헌의회그룹]](CA)의 후신으로 [[주체사상]]을 따르지 않아 '''비주사NL'''로 불리던 계열로, 서울대에선 통칭 '관악자주파'라고 불리는 다수파였다. 특히 1992년 [[전대협]]의 마지막 의장이었던 서울대 [[태재준]] 총학생회장이 바로 관악자주파였다. [* [[태재준]]은 [[주체사상]]을 인정하지 않았기 때문에, 의장 취임 뒤 맹목적으로 북한을 추종하던 주사파 계열의 전대협 간부들과 심각한 갈등을 빚었고, 얼마 지나지 않아 안기부에 체포되면서 의장으로서 거의 활동을 하지 못했다. 심지어는 당시 전대협 간부들이 눈에 가시같던 [[태재준]] 의장을 고의적으로 안기부에 넘긴 것이라는 음모론이 있을 지경.] 이들은 [[반미]], [[남북통일]]운동에 주력한 NL이나 노동운동에 집중한 PD와는 달리, 이른바 '부문운동'을 강조하며 학생운동조직의 대중성을 강화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물론 통일 및 노동운동 역시 병행했지만 다양한 학생자치활동 및 지역연대활동이나 환경운동, 여성주의, 대학개혁, 학내 복지 등등에 관심을 기울이면서 서유럽식 [[사회민주주의]] 노선에 가까운 모습을 보였다. 지금은 학생회 선거에서 "학내복지" 공약이 너무나 당연하지만, 90년대 초중반만 해도 21세기처럼 "학내복지에 신경쓰겠다"는 공약을 내걸면 기존 운동권들로부터 대학생들의 [[이기주의]]니, [[대중추수주의]]니 하는 비판을 받았다. 학생운동 정파 또는 학생정치조직이 아니라 [[비정부기구|NGO]]에 가까운 대중운동단체로 자리매김하고자 했다. 물론 외부에서 볼 때는 '''다 똑같은 운동권'''이었지만, 21세기 출신이 총학생회장에 당선되면 주류 언론에서도 <온건좌파 학생단체>라는 표현을 썼다. 출범 이후 많은 대학의 학생회를 수권했지만 시간이 갈수록 학생운동세력 내에서 21세기의 입지는 매우 좁아졌다. NL과 PD의 대립 구도를 벗어나고자 했던 태생 때문에 운동권 내부의 시각으로 볼 때 지향이 애매모호했고(굳이 따지자면 온건PD 사민주의적 진보운동 추구), [[비폭력주의]] 직접행동을 내세우는 실천방식으로 기존 조직들에게 [[개량주의]] 또는 [[조합주의]]라는 비판을 듣거나 심지어 '비운동권'으로 취급받기도 했다. 실제로 초기에는 21세기가 수권했던 [[서울대학교]] 총학생회 출범식에 [[이수성(정치인)|이수성]] 총장이 참석해 축사를 할 정도였다. [* 이수성은 서울대 법대 교수 출신으로 학생처장과 총장 시절 학생운동에 상당히 유화적이었다. 특히 1980년 [[서울역 회군]] 당시 학생처장으로 어떻게든 학생들의 피해를 줄이고자 신군부와 협상을 진행해서 시위대 전원 무사귀가와 안전보장을 확약받고 학생들을 설득한 사례도 있다. 이후에도 계속 학생편을 들다가 결국 보안사에 끌려가서 고문을 당해서 허리가 안 좋은 사람이다. 정치적으론 전형적인 보수주의자지만, 학생운동에는 유화적이었던 인물. 서울대 총장 시절 조교가 바로 [[조국(인물)]] 전 청와대 민정수석이다. 당시 조국은 [[박노해]]가 주도한 '[[남한사회주의노동자동맹]](약칭 사노맹)' 조직원이었고, 결국 감옥까지 다녀왔다.] 21세기 진보학생연합의 전성기는 90년대 중-후반으로, 주요 국공립대 및 일부 사립대를 중심으로 30여 개 학교에 조직을 두고 10여 개 학교에서 총학생회장을 배출했다. 특히 서울대에서는 90년대 중반부터 후반까지 1년 걸러 총학생회장을 배출하는 등 21세기 조직의 코어 역할을 했다. 94년부터 2002년까지 약 7년여에 걸쳐 서울대 총학생회장 선거에는 21세기와 [[PD(정파)|PD]]계열 조직인 대장정[* 이후 전국학생연대회의를 거쳐 [[전국학생행진]]으로 이어지는 [[제독PD]] 계열.]이 1년씩 번갈아가며 당선되는 법칙 아닌 법칙이 존재했다. 서울대의 경우 전대협-한총련 전환기의 주류세력, 소위 관악자주가 21세기로 결합했던 관계로 특히 사회대/법대/공대를 중심으로 21세기의 세가 강했다. 1996년 조직사건으로 핵심 멤버들이 구속되는 사건도 겪었다(5명 기소유예, 6명 집행유예). 90년대 말 ~ 2000년대 초 학생운동이 급격히 몰락하면서 학생운동 주요 계파 중 가장 먼저 해소되었다. 학생회 수권 중심의 학생운동을 지양하고, [[민주노동당]] 학생위원회 활동에 집중하자는 것이 당시 해소의 명분이었다. == 진보정당 활동 == 21세기는 노동 현장 진출이나 혁명조직 건설을 목표로하는 다른 PD정파들과는 달리 합법진보정당건설에 집중하였다. 1997년 대선에서 [[권영길]] 후보의 [[국민승리21]]에 적극 결합하였고, 이후 [[민주노동당]] 건설에도 앞장섰다. [* 그러나 민주노동당은 이후 [[NLPDR|NL]] 이 장악했다. 해소 후 민주노동당 학생위원회 활동을 모색했던 멤버들도 NL의 벽을 넘지 못하고... NL은 민주노동당에 잠입하여 있던 조직을 말아 먹었다. [[군자산의 약속]]을 참조하면 좋다.] 민주노동당 분당 이후 [[진보신당]]-[[정의당]] 등에서 활동을 계속하기도 하고, [[더불어민주당|민주당]]에서 당내 소장파로 활동하기도 하며, [[참여연대]]를 비롯한 시민운동에 진출하거나, [[민주노총]] 법률원이나 [[민변]]계 로펌에서 일하기도 한다. == 주요 인물 == * [[강병원]] 더불어민주당 제21대 국회의원 (서울은평을), 1994년 서울대 총학생회장 - 서울대 농경제학과 * 김재왕 공익인권변호사(<희망을만드는법>소속)- 서울대 자연대 * [[김태권(1974)|김태권]] 만화가- 서울대 미학과 * [[박경열]] 서울고등법원 판사. 1999년 서울대 총학생회장 - 서울대 사회학과 * [[박주민]] 더불어민주당 제21대 국회의원 (서울은평갑) - 서울대 법대 * [[송상교]] 2기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정리위원회 사무처장, 양승태 대법원장이 만든 블랙리스트 No.3 - 서울대 법대 * [[신장식]] 변호사, TBS "신장식의 신장개업"진행, 전[[정의당]] 사법개혁특별위원회 위원장 - 서울대 정치학과 * [[오태양]] [[미래당]] 대표 - 서울교대 * [[이기중]] [[정의당]] 부대표, 전 관악구의원, 2005년 21세기 진보학생연합 마지막 대표 - 서울대 서양사학과 * [[이성권]] 부산광역시 경제부시장, 한나라당 제17대 국회의원 (부산부산진구을) - 부산대 철학과 * [[이완배]] [[민중의 소리]] 기자 - 서울대 국제경제학과 * 이태호 참여연대 사무처장 - 서울대 서양사학과 * [[정준희]] 언론학자 - 서울대 신문학과(현 언론정보학과) * [[이탄희]] 더불어민주당 제21대 국회의원(용인), 전 판사 - 서울대 법대 졸업 == 관련 문서 == * [[제헌의회그룹]] * [[PD(정파)]] * [[인천지역민주노동자연맹]] * [[민중당(1990년)|민중당]] * [[더불어민주당]]: 타 진보정파와 달리 21세기는 독자적인 진보정당이 아닌 민주당에서의 진보정치를 구현하려는 구성원이 꽤나 있다. [[https://www-chosun-com.cdn.ampproject.org/v/s/www.chosun.com/politics/assembly/2020/12/15/5SGOSVCZHNC23CPRLGAM45FUJA/?amp_js_v=a6&_gsa=1&outputType=amp&usqp=mq331AQHKAFQArABIA%3D%3D#aoh=16096673600254&referrer=https%3A%2F%2Fwww.google.com&_tf=%EC%B6%9C%EC%B2%98%3A%20%251%24s&share=https%3A%2F%2Fwww.chosun.com%2Fpolitics%2Fassembly%2F2020%2F12%2F15%2F5SGOSVCZHNC23CPRLGAM45FUJA%2F|해당 기사]] * [[21세기 한국 대학생 연합]](한대련): 이름만 유사할 뿐 아무런 인적, 조직적 연관도 없다[* 정확히 말하자면 현재의 21C는 NLPDR 중 주체사상에 반대하던 그룹 중 일부가 분리되어 생성된 것이다. 그러므로 NLPDR의 일원이었던 적은 있지만, 한대련의 일원이었던 적은 없다. 21C처럼 주사파의 NL 잠식에 반발하여 독립한 정파로는 [[제독PD]], '''[[뉴라이트(대한민국)|뉴라이트]](!)''' 등이 있다.]. 한대련은 [[NLPDR]] 중에서도 사실상 [[경기동부연합]]의 학생조직의 역할을 하였다. * [[미래당]]: 현재 21C 계통 정당의 대표주자. * [[청년당(2017년)]]: 다만 이쪽은 [[경기동부연합]]과의 연관성이 지적되어 확실하지는 않다. 어차피 지금은 해산되었고... [각주][[분류:정치 조직 단체]][[분류:전두환 정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