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hite '''{{{+3 Type 38 Machine Gun}}}'''[br]''三八式機関銃''[br]''38식 기관총''}}}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38式 機関銃.jpg|width=100%]]}}}|| || '''종류''' ||[[중기관총]] || || '''원산지'''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제국)] || ||<-2> {{{#!folding 【펼치기 · 접기】 ||<-2>
{{{#White '''이력'''}}} || || '''역사''' ||[[1907년]]~불명 || || '''개발''' ||[[남부 키지로]] || || '''개발년도''' ||[[1907년]]으로 추정 || || '''생산''' ||??[* 남부총제작소로 추정] || || '''생산년도''' ||[[1907년]] || || '''생산수''' ||약 400,000정 (14식) || || '''사용국'''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제국)] || ||<-2> {{{#White '''세부사항'''}}} || || '''탄약''' ||[[6.5mm#s-1.2|6.5×50mmSR 아리사카]] || || '''급탄''' ||30발들이 [[보탄판]] || || '''작동방식''' ||[[가스 작동식]][br]공랭식 || || '''총열길이''' ||?? || || '''전장''' ||1,448mm || || '''중량''' ||28kg || || '''발사속도''' ||450~600RPM || || '''탄속''' ||?? || || '''유효사거리''' ||2,000m || || '''최대사거리''' ||4,000m ||}}} || [목차] [clearfix] == 개요 == {{{+1 三八式機関銃}}} (さんはちしききかんじゅう) [[일본]]의 메이지 시대 때 개발된 기관총. [[호치키스 기관총|호치키스 M1897]]을 자국화한 보식 기관포의 개량판이다. [[보탄판]]을 사용하며 1정이 제주도 4.3 평화 기념관에 있다. == 특징 == 러일전쟁 당시 사용된 보식 기관포가 드러낸 문제들을 다음과 같이 해결하였다. * 탄피에 기름칠 해주는 장치 추가하여 송탄 원활하게 함. * 약실 후방의 형상을 개선하여 장전을 용이하게 함. * 안전 장치 구조 강화. 다만 남부 키지로의 개량에도 불구하고 일부 단점들은 개선되지 않았다. * 총신 교환이 어렵다. * 기능불량시 현장에서의 즉각 조치가 어렵다. * 공이가 부러지기 쉽다. 이러한 문제점들은 [[3년식 기관총]]에 와서야 개선되었다. 총 특유의 [[보탄판]]은 이후에 만들어진 [[3년식 기관총]]이나 [[92식 중기관총|92/1식 중기관총]] 등 일본군의 중기관총들에게 충실히(...) 유전된다. == 둘러보기 == [include(틀:1차 세계대전/연합군 보병장비)] [Include(틀:보병장비 둘러보기)] [[분류:기관총]][[분류:보병 무기/세계 대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