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일본의 국도, rd1=일본 46번 국도)] [Include(틀:국도 목록)] ||<-2><#0018A8> '''{{{#ffffff 46번 국도}}}''' || ||<-2> [[파일:국도 46호선.png|width=100%]] || ||<-2> '''인천~고성''' || || '''시점''' || [[인천광역시]] [[중구(인천광역시)|중구]] 북성동 [[인천역]] || || '''종점''' || [[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강원특별자치도)|고성군]] [[간성읍]] 신안리 상리교차로 || || '''총 구간''' || 281.7km || || '''경유지''' || [[인천광역시]] [[중구(인천)|중구]], [[미추홀구]], [[부평구]][br][[경기도]] [[부천시]][br][[서울특별시]] [[구로구]], [[영등포구]] [br] [[서울특별시]] [[마포구]], [[용산구]][br][[서울특별시]] [[성동구]], [[광진구]][br][[경기도]] [[구리시]], [[남양주시]], [[가평군]][br][[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양구군]], [[화천군]], [[인제군]], [[고성군(강원특별자치도)|고성군]] || [목차] [clearfix] == 개요 == ||[youtube(fbKdSQtmbS8)]|| || {{{#white 1965년 12월 3일, 46번 국도 서울~춘천 간 포장공사 완공}}} || [[인천광역시]]에서 시작하여 [[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강원특별자치도)|고성군]]까지 [[대한민국]]의 횡축관통을 하는 [[국도]] 중 하나이다. 강원특별자치도 구간은 [[소양강댐]] 건설로 구 도로가 수몰되어 극악의 선형을 자랑하였으나, 정부에서 나름 공들여 공사하여 현재는 좋아졌다.[* [[춘천시]] 국도대체우회도로 구간과 [[춘천시]]-[[양구군]] 구간] 강원특별자치도의 도로상태가 [[경상북도]] 북부 지역보다 좋게 된 원인 중 하나. 남한 지역을 횡축관통하는 국도 중 제일 북쪽을 지난다. 횡축 국도 중 [[56번 국도]]의 일부와, [[48번 국도]]가 이 국도의 북쪽을 지나지만, 이들은 횡축관통을 하지는 못한다.[* 그나마 56번 국도는 [[56번 지방도]] 구간을 모두 국도로 올리면 횡축관통하는 노선이 되기는 하는데, 46번 국도보다 북쪽인 구간은 김포 ~ 춘천 뿐이며, 그 이후로는 46번 국도보다 남쪽을 지난다. 심지어 홍천 ~ 양양 구간은 [[44번 국도]]보다도 남쪽에 있다.] == 경로 == === 인천 ~ 서울 구간 === 이른바 ‘경인국도’. [[인천역]]에서 시작하는 이 국도는 같은 곳에서 출발하는 [[42번 국도]]와 함께 [[제물량로]], [[신포로]], [[인중로]]를 지나 [[헬게이트]]로 유명한 [[경인로]]로 진입한다. 이 구간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경인로]] 문서를 참고할 것. 딱히 우회도로[* 1990년대에 [[부천시]] 남쪽을 동서로 관통하는 경인우회도로 건설 계획이 있었으나, 거마산, 성주산, 할미산 등 산을 뚫고 지나가기에 반대 여론이 거세어 백지화되었다. 다만 소사본동~괴안동 구간은 계획이 살아남아 도로가 만들어졌다([[소사동로]]).]도 없다보니 연선 구간에서는 [[경인선]] 전철의 의존도가 아주 높으며, 해당 구간을 [[가축수송(교통)/사례/대한민국/철도#s-3.1|가축수송]]으로 만들고 있다. 간석오거리에서 [[42번 국도]]와 헤어진다. [[개봉역]]부터 [[영등포역]]까지는 [[중앙버스전용차로]]가 시행 중인데, 왕복 6차로 도로에다 만든지라 추월차로가 거의 없어서 [[버스철]]이 일어나기도 한다. [[부천 버스 88|88번]]이 빗자루로 승객을 쓸어담는 곳이기도 하다. 간석오거리의 간석지하차도는 이륜차 진입이 금지되어 있다. [[여의도]]를 경유하는 유일한 국도이며 여의도에 진입하면 경인로 구간은 끝나고 [[여의대로]]로 이어진다. [[여의도환승센터]]가 있다. 도로가 넓어서 정체는 별로 없는 편. 그리고 [[마포대교]]가 이 국도 상의 다리이다. 1981년까지는 영등포로터리 - [[영등포로]] - [[노량진로]] - [[한강대교]] - [[한강대로]] - [[세종대로]] - [[종로]] - [[왕산로(서울)|왕산로]] - [[망우로]]를 경유하게 되어 있었으며, 1981년부터 1996년까지는 [[마포대로]] - [[만리재로]] - [[서울역고가]] - [[퇴계로(서울)|퇴계로]] - [[장충단로]] - [[청계천로]] - [[천호대로]] - [[사가정로]] - [[장안교]] - [[동일로]] - [[망우로]]를 지나 [[경춘로|경춘국도]]에 이어졌었으나, 이 때의 개편으로 [[강변북로]]로 노선이 변경되어 더 이상 도심은 지나지 않게 되었다. 현재 [[서울 지하철 5호선]] 여의도 - 왕십리 구간이 옛날 46번 국도를 1981년 이전 버전과 1981년~1996년 버전을 적절히 섞어서 따라가는 노선이다. [[마포대교]] - [[천호대교]] 구간은 [[강변북로]]와 중첩된다. 자세한 내용은 [[강변북로|해당 문서]] 참조. === 서울 ~ 춘천 구간 === 이른바 ‘경춘국도’. [[천호대교]] - 진관IC[* [[아차산로]] - [[동구릉로]] - [[금강로(경기도)|금강로]]] 구간은 [[43번 국도]]와 중첩된다. 그 중 [[금강로(경기도)|금강로]] 구간은 [[47번 국도]]와도 중첩된다. 진관IC - 금남IC 구간은 [[신경춘로]]로 지정되어 있다. [[자동차전용도로]]이므로 긴급자동차를 제외한 보행자와 이륜차는 출입할 수 없다. 원래는 구진관IC에서 시작되었으나 정체로 인해 진관IC - 먹골교차로 구간도 이설되었다. 이 때문에 [[경춘북로]] 도로명이 잠시 끊기는 병크가 생겨서 신경춘로로 분리되었다. 이 도로가 생기기 전까지 남양주 시민들 상당수가 서울을 오가는 데 만성 교통지옥에 시달렸음은 더 이상 말하면 입이 아플 지경.[* 근데 지금도 예전만큼 심하지는 않지만 먹골교차로와 진관IC 사이에서 정체가 자주발생한다. 그래서인지는 몰라도 옛길인 구진관IC로 우회해서 가는 차들도 있다.] 경춘북로(현 신경춘로 포함)가 신설되면서 [[경춘로]] 도농삼거리 - 샛터삼거리 구간은 국도에서 해제되고 [[남양주시도|20번 남양주시도]]로 격하되었다. 교문사거리부터 도농삼거리 구간은 [[6번 국도]]만 지나간다. 그리고 과거에는 현 경춘북로의 일부도 46번 국도였지만 진관먹골 이설 이후 아니게 되었다. 금남IC 이동 구간은 기존 [[경춘로]]를 이용한다. 금남IC - [[신청평대교]] 구간은 [[45번 국도]]와, 신청평대교 - 하천IC 구간은 [[37번 국도]]와 중첩된다. '''주말마다 헬게이트가 일어난다.''' 가장 정체가 심한 구간은 샛터삼거리 - [[청평면]]이다.[* 원래 정체가 심했는데 [[서종IC]] - [[391번 지방도]]라는 우회도로가 점점 알려지면서 병목현상 때문에 정체가 이전보다 심하다. 물론 [[서울양양고속도로]]가 없었을 때보다는 낫다.] [[가평읍]] 이동 구간은 신호가 적은 편이라 그나마 낫다. 이것도 [[2009년]] [[서울양양고속도로]]([[강일IC|서울]] - [[춘천JC|춘천]])의 개통으로 나아진 것이고, 그 전에는 '''주말만 되면 시속이 한자리를 찍는 일이 많았다.''' 한편 [[가평군]] 구간에 [[벚꽃길휴게소|벚꽃길휴게소(구 에덴휴게소)]]가 있다. [[춘천시]] 구간은 [[순환대로]]라는 국도대체우회도로로 지정되어 있다. 학곡사거리 - 신북교차로 구간은 [[5번 국도]]와 중첩되며 만천분기점 - 신북교차로 구간은 [[자동차전용도로]]이므로 긴급자동차를 제외한 보행자와 이륜차는 출입할 수 없다. === 춘천 ~ 양구 구간 === 이 구간은 [[춘양로(강원도)|춘양로]]로 지정되어 있는데, 아름다운 터널과 다리의 향연이 '''왕복 2차로짜리 도로에서 벌어진다.''' 특히 그 중에서 [[배후령터널]]은 왕복2차로 터널 주제에 총길이가 5.1km로 [[대한민국]]에서 가장 길이가 긴 자동차 터널이'''었'''다. 2017년 6월 30일 이후 [[서울양양고속도로]]의 '''10.965km'''(!)짜리 [[인제양양터널]]과 [[동해고속도로]] 상의 '''7.5km''' 길이의 [[문무대왕1터널]], [[함양울산고속도로]]의 [[재약산터널]], [[부산외곽순환고속도로]] [[금정산터널]]의 존재로 이 터널은 5위가 되었다. 배후령터널 개통으로 [[춘천시]]에서 [[양구군]] 가는 길은 기존보다 100배는 좋아졌다는 평이다. [[소양강댐|소양호]] 옆을 구불구불 지나가는 옛 46번 국도 구간([[소양호로]])은 양구에서 '소양강 꼬부랑길'이라는 이름으로 관광자원화하였다. === 양구 ~ 인제 구간 === 그렇게 동해안을 항해 잘 달리던 이 국도는 송청교차로에서 [[31번 국도]]와 만난 뒤 [[국토정중앙면]]내에서 갑자기 경로를 정남쪽으로 홱 틀어 [[인제군]] [[남면(인제)|신남리]]로 향하는데, 이 구간은 도로 상태가 나쁘다. 그나마 양구군 구간은 구불거림이 심하진 않지만, 인제군으로 진입하면 신남리까지 꽤나 구불구불한 구간이 여러 번 나온다. 이후 신남리부터 그 유명한 동네인 [[북면(인제)|원통리]]를 지나 한계리 구간까지는 [[44번 국도]]와 중첩되며 다시 왕복 4차로 구간이 시작되며, 합강리 구간은 [[31번 국도]]와도 중첩된다. 만약에 양구에서 동해안으로 갈 생각이라면 굳이 이 구간을 이용해서 신남리를 경유할 필요 없이 31번 국도를 타고 [[광치령로|광치령]]을 넘는 것이 거리상이나 시간상이나 훨씬 이득이다. 중간에 큰 마을이 있는 것도 아니다 보니, 이 구간에 대한 대대적인 개량은 어려워 보인다. 이 구간은 과거 춘천 ~ 양구 구간이 개량되기 전까지는 양구의 주간선 도로로써 활용되었다. 상술했듯 춘천 ~ 양구 구간의 도로 상태는 최악이였고, 어찌 춘천까지 가더라도 [[서울양양고속도로]] 서울 ~ 춘천 구간이 개통되기 전이였던 당시의 경춘로는 하나의 거대한 주차장이었기 때문. 따라서 상대적으로 도로 상태가 나았던 이 구간을 이용해 인제까지 이 도로를 타고 내려가 [[44번 국도]]로 갈아탄 후 홍천에서 [[중앙고속도로]]에 올라타거나, 쭉 [[44번 국도]] - [[6번 국도]]를 타고 서울로 진입하는 용도로 사용되었다. 하지만 현재는 중요도가 너무 낮아져 차량을 거의 볼 수 없는 구간이 되어 버렸다. === 인제 ~ 고성 구간 === 한계리에서 44번 국도와 헤어진 후 만해마을로 가는 중간에는 개량 및 확장, 이설하기 전에 도로의 상태가 나빴으며, '''ㄱ자'''로 꺾이는 구간이 있었다. 현재는 [[미시령터널]]과 연계되는 길([[미시령로]])이기에 왕복 4차선으로 도로가 잘 개량되어 있다. 이후 용대리에서 [[미시령]]로 구간은 [[56번 지방도]]로 이어지며, 46번 국도는 북쪽의 [[진부령]]으로 향한다. 이 진부령은 현재 민간인이 자유롭게 자동차로 다닐 수 있는 고개 중 최북단에 위치해 있으며, 다행히도 [[백두대간]]을 넘는 고개 치고는 그렇게 시험할 정도의 난이도는 아니다. 진부령 구간은 가을이 되면, 대한민국 산들이 그렇듯이, 매우 아름다운 색의 단풍을 자랑하기 때문에 안전에만 주의한다면 단풍 드라이빙 코스로도 좋다. 진부령을 내려온 후, 종점인 상리교차로에서 [[7번 국도]]와 교차하며 46번 국도 구간은 끝난다. == 고속도로 접속 == 만나는 [[고속도로/대한민국|고속도로]]는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송내IC]])[* 송내IC는 부천과 인천의 경계에 있다. 다만 국도에서 고속도로로 진입하기 위한 진입로 부분이 인천광역시 일신동에 있고 진입로에서 외곽순환도로로 올라가는 부분은 경기도 부천시 송내동과 상동 사이에 있는데 고속도로에 들어가기 위해선 먼저 진입로를 타고 들어가야 하기 때문에 진입로를 기준으로 인천으로 잡았다.], [[구리시]]에서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구리IC]]), [[남양주시]]에서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퇴계원IC]])와 [[서울양양고속도로]] ([[화도IC]])와 만나며, [[춘천시]]에서 [[중앙고속도로]] ([[춘천IC]])와 만난다. == 지정된 도로명 목록 == [[제물량로]]~[[신포로]]~[[인중로]]~[[경인로]]~[[여의대로]]~[[강변북로]]~[[천호대로]]~[[아차산로]]~[[동구릉로]]~[[금강로(경기도)|금강로]]~[[신경춘로]]~[[경춘로]]~[[순환대로]]~[[춘양로(강원도)|춘양로]]~[[정중앙로]]~[[삼팔선로]]~[[신남로(인제)|신남로]]~[[설악로]]~[[미시령로]]~[[진부령로]]~[[간성로]] == 지나가는 교차로 목록 == || 지역 || 교차로이름 || ||<|6> [[인천광역시]] [[중구(인천광역시)|중구]] || 시점 - [[인천역]] [[42번 국도]]와 중첩 || || 신포교차로 || || [[신포역]] || || 사동교차로 || || 수인교차로 || || 신광교차로 || ||<|12> [[미추홀구]] || 숭의로터리 || || 장안교차로 || || [[미추홀구]]청 교차로 || || 숭의삼거리 || || [[제물포역]]삼거리 || || 수봉공원입구교차로 || || 도화초교 교차로 || || [[도화IC]] || || [[도화IC]]교차로 || || 제일시장교차로 || || 시민공원역 || || 석바위사거리 || ||<|5> [[남동구]] || 간석풍림교차로 || || 중앙공원교차로 || || 주원교차로 || || 석산교차로 || || 간석오거리 - 백범로, 남동대로와 접속. 지하차도 구간은 초소형(저속)전기차 및 이륜차, 자전거, 농기계의 통행이 불가능하다.[* 여기서 [[42번 국도]]를 분기한다.] || || [[부평구]] || [[동암역]]입구 사거리 - 동암남로와 접속 || || [[남동구]] || 부평삼거리 - [[평온]]로와 접속[* [[이름과 실제가 다른 것/지명|이 삼거리는 부평구에 있지않는다.]]] || ||<|7> [[부평구]] || 부평사거리 - 마장로와 접속 || || [[동수역]]사거리 - 안남로, 동수로와 접속 || || 동소정사거리 - [[장제로]]와 접속 || || 부개사거리 - 동수로, 수변로와 접속 || || 일신태양아파트삼거리[* 다만, 주변에 [[이름과 실제가 다른 것/지명|태양아파트가 없으니]] 주의할 것.] - 일신로와 접속 || || [[송내IC]] - 해당 항목 참조 || || 구산사거리 - [[송내대로]], [[무네미로]]와 접속[* [[영동고속도로]] [[서창JC|시점]]이 근처에 있다!!]--[[헬게이트]]-- || ||<|13> [[경기도]] [[부천시]] || 사단사거리 - 경인로10번길과 접속 || || 심곡고가사거리 - 신흥로, 심곡로와 접속 || || [[부천역]]남부삼거리 - 성주로와 접속 || || 하우고개입구사거리 - 하우로와 접속 || || 소명지하차도삼거리 - 원미로와 접속 || || 소사삼거리 - 호현로, 경인옛로와 접속 || || 소사어울마당 삼거리 - 경인로392번길과 접속 || || 성심고가사거리 - 경인옛로, 지봉로와 접속 || || [[역곡역|역곡남부역]]삼거리 - 부광로와 접속 || || 동부시장입구삼거리 - 경인로536번길과 접속 || || 역곡고가사거리 - 안곡로와 접속 || || 동신아파트앞삼거리 - 경인로597번길과 접속 || || 성공회대입구 - 연동로와 접속 || ||<|17> [[서울특별시]] [[구로구]] || [[온수역]]입구삼거리 - 경인로3길과 접속 || || 동부제강입구교차로 - 오리로와 접속[* 고가교차로이다.] || || 교통안전공단입구 - 부일로와 접속 || || 시티월드앞사거리 - 오류로, 경인로15길과 접속 || || 오류동삼거리 - 고척로와 접속 || || 오류IC - [[남부순환로]]와 접속 || || 개봉사거리 - 개봉로와 접속 || || 구로소방서삼거리 - 중앙로와 접속 || || 동양공전앞삼거리 - 중앙로6길과 접속 || || 동양미래대앞교차교 - [[안양천로]]와 접속 || || --[[헬게이트|지옥 입구]]--고척교교차로 - [[서부간선도로]]와 접속 || || [[구로역]]사거리 - 구로중앙로와 접속 || || 거리공원입구삼거리 - 공원로와 접속 || || 신도림디큐브시티아파트입구사거리 - 경인로65길과 접속 || || [[신도림역]]삼거리 - 경인로67길과 접속 || || 도림교삼거리 - 경인로71길과 접속 || || 종하병원앞사거리 - 경인로77·78길과 접속 || ||<|9> [[영등포구]] || [[문래동]]사거리 - [[도림로]]와 접속 || || 영등포청과시장입구교차로 - 영신로와 접속 || || [[영등포역]]입구삼거리 - [[영중로]]와 접속 || || 영등포로터리고가차도 - [[영등포로]]와 접속 || || 서울교남단교차로 - [[노들로]]와 접속 || || 여의도교차로 - 여의서로와 접속[* 여기까지가 경인로. 그 다음부터는 여의대로.] || || 여의도공원앞교차로 - 의사당대로와 접속 || || 중소기업전시장앞삼거리 - [[국제금융로]]와 접속 || || [[마포대교]]남단교차로 - 여의서로와 접속[* 여기까지가 여의대로. 그 다음부터는...] || ||<|1> [[마포구]] || [[마포대교]]북단교차로 - --헬게이트--[[강변북로]]와 접속[* 46번 국도는 [[강변북로]] 한강상류 방향으로 이어진다.][* 여기부터 [[강변북로]]이므로 [[강변북로]] 항목을 참고해도 된다.] || ||<|7> [[용산구]] || [[원효대교]]북단교차로 - 여의대방로와 접속 || || --한강대교북단교차로 - 한강대로와 접속--[* 이 교차로에서는 한강대교에서 [[강변북로]] 한강하류방면 진입밖에 되지 않는다.] || || 이촌한강공원앞교차로 - 이촌로46길과 접속[* 이 교차로에서는 [[강변북로]] 한강하류방면에서 이촌로46길로, 이촌로46길에서 [[강변북로]] 한강상류방면으로 진입가능] || || [[동작대교]]북단교차로 - 동작대로와 접속 || || [[반포대교]]북단교차로 - 반포대로, 녹사평대로와 접속 || || [[한남대교]]북단교차로 - 한남대로와 접속 || || --동호대로북단교차로 - 동호로와 접속--[* 이 교차로는 진,출입 모두 불가능. 즉, 실존하지 않음.] || ||<|2> [[성동구]] || 성수JC서단 - [[동부간선도로]] 시점[* [[네이버]] 지도에서는 여기부터의 [[강변북로]] 구간이 [[동부간선도로]]로 나와 있어서 헷갈릴 수도 있다.] || || 성수JC동단 - 고산자로와 접속 || ||<|12> [[광진구]] || [[영동대교]]북단교차로 - 동일로와 접속 || || [[청담대교]]북단교차로 - 능동로와 접속 || || [[잠실대교]]북단교차로 - 자양로와 접속 || || [[잠실철교]]북단교차로 - 잠실철교 램프구간과 접속, 강변역로와 접속 || || 테크노마트차도육교 - [[강변역]]로와 접속 || || [[올림픽대교]]북단교차로 - 광나루로와 접속 || || [[천호대교]] 북단교차로 - 천호대로와 접속[* 여기서부터는 [[광나루역]] 방면으로 가야 46번 국도.] || || 광장사거리 - 아차산로와 접속[* 여기서 또 광진청소년수련관 방향으로 가야 46번 국도][* 여기서부터 아차산로] || || 광진청소년수련관앞삼거리 - 구천면로와 접속 || || SK강평주유소앞교차로 - 아차산로76길, 광장로와 접속 || || 현대빌라아파트앞교차로 - 아차산로78길과 접속 || || 현대아천주유소앞삼거리 - 우미내길과 접속[* 드디어 서울을 벗어나 [[구리시]]이다!] || ||<|16> [[경기도]] [[구리시]] || 아치울삼거리 - 토평강변로와 접속 || || 아치울마을입구사거리 - 아치울길과 접속 || || 아천IC교차로 - [[사가정로]]와(추정) 접속[* [[구리암사대교]]가 [[사가정로]]에 포함된다는 서술이 존재하고, 본 교차로에서 접속하는 도로가 사실상 구리암사대교로의 진입램프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아 사가정로로 기술] [* 이 교차로에서 구리암사대교로 가는 램프를 통해(참고로 이램프 합류부와 [[용마터널]]→구리암사대교 방면의 [[강변북로]] 진출부가 평면교차(!)한다. 반대도 마찬가지) 구리암사대교와 강변북로 양방향으로 진출할 수 있다. 용마터널 방향으로는 진출할 수 없다.] || || 코스모스길삼거리 - 코스모스길과 접속 || || 도림삼거리 - 장자대로와 접속[* 여기서부터 [[구리시]]내이다.] || || 정각사입구교차로 - 이문안로와 접속 || || 세무서입구삼거리 - 안골로와 접속 || || 교문사거리 - [[6번 국도]]와 접속[* 여기까지가 아차산로이다.][* 다음부터는 동구릉로이다.] || || 인창삼거리 - 인창1로와 접속 || || 인창초교입구삼거리 - 응달말로와 접속 || || 도매시장사거리 - 건원대로와 접속[* 여기서 북쪽으로 가야 계속 46번 국도이다.] || || 동창교교차로 - [[북부간선도로]]와 접속[* 근처에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구리IC]]도 있다!] || || 구리종합전력공사앞삼거리 - 동구릉로200번길과 접속 || || 구리안창어울림아파트앞삼거리[* 접속하는 도로의 경우 해당 도로변 건물의 도로명주소가 동구릉로로 되어 있어 별도의 도로명은 없는 것으로 보인다. 이 도로를 쭉 따라가면 동구릉로200번길과 접속한다.] || || 공설묘지입구사거리 - 산마루로와 접속 || || 사노IC - 금강로와 접속[* 여기서 진관IC방향으로 진출해야 함] || ||<|12> [[남양주시]] || 진관IC [* 여기서 먹골IC방면으로 진출해야 함] || || 먹골IC - 양진로와 접속 || || 사릉IC - 사릉로와 접속 || || 호평터널 || || 호평IC - 호평동 진입 || || 마석터널 || || 마석IC - 창현교차로 접속[* 여기서 [[화도IC]]를 통해 [[서울양양고속도로]]에 진입할 수 있다.] || || 모란터널 || || 월산간이IC - 경춘로2192번길 접속 || || 금남IC - [[45번 국도]] 접속[* 샛터교차로 방면으로 이동해야 계속 46번 국도다. ~~연장을 대비한 구조로 지어졌는데... 왜 이렇게 지었는지 의문이다. 어디로 연장하길래~~ 현재 금남 IC부터 춘천시 [[춘성대교]]까지 [[제2경춘국도]] 연장 계획이 있다.] || || 샛터교차로 || || 구운교 || ||<|20> [[가평군]] || 대성3리삼거리 - 은행나무길과 접속 || || 대성교차로 - 남가로와 접속 || || 신청평대교앞교차로 - 신청평대교를 통해 유명로 접속[* 서울 방면 경강로 합류] || || 청평댐입구 - 호반로 접속가능 || || 청평수력발전소입구삼거리 / 팔각정삼거리 || || 청평2교 교차로[* 서울 방면 신청평로 분리] || || 청평아랫사거리 - 구청평로, 청평중앙로 접속 || || 청평윗삼거리 - 청평중앙로 접속 || || 청평검문소앞삼거리 - 청군로 접속 || || 마지기마을입구삼거리 - 마지기길 접속 || || 하천교차로 - 37번 국도 접속 || || [[상천역]]삼거리 - 상천역로 접속 || || 청평양수발전소입구삼거리 - 상지로 접속 || || 초옥동마을입구사거리 || || 포화촌마을입구삼거리 - 불기산길 접속 || || 운전학원앞삼거리 - 태봉두밀로 접속[* 상색리(중색마을), 두밀리로 들어가는 입구이다.] || || 진동부락입구삼거리 - 진동안길 접속 || || [[가평군]]청입구교차로(사거리) - 석봉로 접속 || || 가평오거리 - 호반로, 가화로 접속 || || [[경강교]] ~~대교로 붙이지 교로붙인거치고 크잖아~~ || ||<|34>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 경강교북단교차로 - 방하로 접속[* 어느 새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이다.] || || 햇골사거리(교차로) - 햇골길, 서천길 접속[* 근처에 제이드펠리스GC가 있다. 햇골길로 들어가면 제이드가든이있다.] || || 경강교차로 - 서백길 접속 || || [[춘성대교]] || || 춘성대교북단교차로 - 보납로 접속 || || 강촌휴게소 || || 청룡뿌리휴게소 || || 고역교 || || 당림교동단교차로 - 삼막산성길 접속 || || 강촌삼거리 - 강촌로 접속 || || 강촌교차로(신강촌삼거리) - [[403번 지방도]] 중첩 || || 등선교 || || 의암교차로 - 박사로 접속[* 여기서 [[403번 지방도]]를 분기한다.] || || 이름없는 교차로 - 옛경춘로 접속 || || 의암터널 || || 팔미1~2교 || || 팔미교차로(팔미사거리) - 경춘로 접속[* 좌우회전을 하면 [[70번 지방도]]로 간다. 직진시 순환대로로 이어지며 46번국도 본선이 이어진다. 우회전하면 [[서울양양고속도로]] [[남춘천IC]], [[비발디파크]]가 있다.] || || 이름없는 교차로 2개 || || 학곡사거리 - 영서로 접속[* 여기서 [[5번 국도]]가 합류한다.] || || 장거1~2교 || || 이름 없는 교차로 || || [[춘천IC]] - [[중앙고속도로]] 접속, 시점 || || 이름 없는 교차로 2개 || || 신촌1~2교 || || 이름 없는 교차로 또 3개[* 그중 마지막은 춘천거두리농공단지와 접속되는데, 여기서부터 만천사거리까지의 경사도가 기준에 맞지 않게 지나치게 높게 공사되어 2014년에 120억을 들여 재공사를 했다. [[https://www.youtube.com/watch?v=OP2Zj2ulRVo|#]]] [* 그럼에도 경사도가 높아서 그런지 거두농공단지 앞 교차로도 2022년 현재 입체교차 공사중이다.[[https://www.fnnews.com/news/202204261710304301|#]] 현재 우회로가 시공되어 있지만, 양방향 모두 언덕을 넘자마자 급경사에 급커브라 공사구간에 40km 제한속도가 걸려있으니 주행시 주의할 것.] || || 만천사거리 - 한술만천로 금촌로 접속 || || 강원도지방공무원교육원 진입로 || || 만천교차로 || || 동면IC - 춘천로 가락재로 접속[* 여기에서 [[56번 국도]]와 중첩된다.] || || 소양6교 || || 천전IC - 신샘밭로 접속 || || ~~배후령교차로~~[* 현재는 폐쇄] || || 신북IC[* 양구방향으로 진출해야 46번국도가 이어진다. 직진하면 [[5번 국도]], [[56번 국도]]를 따라 화천까지 간다.] || || 배후령터널 || ||<|4> [[화천군]] || 서옥교차로 || || 간동교차로 || || 간척사거리 || || 추곡터널 || ||<|3> [[춘천시]] || 운수골 진입로 || || 추곡삼거리 || || 추곡약수삼거리 || ||<|14> [[양구군]] || 수인~교차로~삼거리 || || 웅진교차로 || || 공리교차로 || || 학조리사거리 || || 이름 없는 교차로 4개 || || 대월1리삼거리 || || 이름 없는 교차로 || || 이리삼거리 || || 송청교차로[* 원래는 송청삼거리였으나, [[31번 국도]] 남면우회도로 개통으로 인해 개칭하였다.] || || 이름 없는 교차로 6개(...) || || 용하1교차로 || || 이름 없는 교차로 2개 || || 용하삼거리 || || 청리삼거리 || ||<|34> [[인제군]] || 이름 없는 교차로 8(!)개--이쯤 되면 국도 노선 수정하지...-- || || 신남삼거리 여기부터 [[44번 국도]]와 중첩한다. || || 이름 없는 교차로 7개 --누가 좀 지어줘요.-- || || 유목교차로 || || 새마을교차로 || || 모루박교차로(모루박삼거리) || || 부평교차로(부평삼거리) ~~[[부평구|인천 부평]]/[[부평동(부산)|부산 부평]]에 쓸 만하다.~~[* 이곳은 인제군 남면 부평리에 있다.] || || 청구교차로[* ~~상당히 길(...)고 아름답다.~~] || || 남전교차로 || || 이름 없는 교차로 5개 || || 인제교차로 || || 합강교차로 여기서부터 [[31번 국도]]랑 중첩된다. || || 합강천 || || 덕산교차로 || || 이름 없는 교차로(?!) || || 북면교차로 여기서부터는 [[31번 국도]]를 분기한다. || || 원통교차로(원통사거리) || || 원통교차로(원통삼거리) ~~차라리 삼거리/사거리로 쓰지.~~ || || 이름 없는 교차로 3개[* 원통삼거리를 지난 첫 번째 교차로는 보통 어두원입구사거리라고 한다.] || || 한계교차로(한계삼거리) 여기에서 [[44번 국도]]를 분기한다. || || 모란골교차로 || || 고원통교차로 || || 정자문교차로 || || 아랫남교차로 || || 윗남교차로 || || 용대관광지교차로 || || 구만교차로 || || 백담교차로(백담삼거리) || || 다리골삼거리 || || 이름 없는 교차로 || || 용대교차로 - [[미시령터널|미시령로]]와 접속 || || 용대삼거리 || || 이름 없는 교차로 3개 || || [[진부령]] || ||<|6> [[고성군(강원특별자치도)|고성군]] || 이름 없는 교차로 3개 || || 장신유원지 입구 || || 이름 없는 교차로 7개 ~~짓기 귀찮은가...~~ || || 대대삼거리 || || 북천교차로 || || 종점 - 상리교차로 [[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강원특별자치도)|고성군]] || == (도시)철도역 == * [[수도권 전철 1호선]] ([[경인선]], [[경부선]]) - [[인천역]], [[제물포역]], [[도화역]], [[부평역]], [[부개역]], [[송내역]], [[중동역(부천)|중동역]], [[부천역]], [[소사역]], [[역곡역]], [[온수역]], [[오류동역]], [[개봉역]], [[구일역]], [[구로역]], [[신도림역]], [[영등포역]] * [[서울 지하철 2호선]] - [[신도림역]], [[강변역]] * [[수도권 전철 3호선]] - [[옥수역]] * [[수도권 전철 5호선]] - [[여의도역]], [[광나루역]] * [[서울 지하철 7호선]] - [[뚝섬유원지역]], [[온수역]] * ~~[[서울 지하철 8호선]] ([[별내선]])~~ - ~~[[동구릉역]]~~ * [[서울 지하철 9호선]] - [[여의도역]] * [[수도권 전철 경춘선]] - [[사릉역]], [[대성리역]], [[청평역]], [[상천역]], [[가평역]], [[김유정역]] *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수인선]]) - [[인천역]], [[신포역]], [[숭의역]] * [[수도권 전철 서해선]] - [[소사역]] * ~~[[신안산선]]~~ - ~~ [[영등포역]]~~, ~~[[여의도역]]~~ * [[인천 도시철도 1호선]] - [[간석오거리역]], [[부평삼거리역]], [[동수역]], [[부평역]] * [[인천 도시철도 2호선]] - [[시민공원역]], [[석바위시장역]], [[만수역]], [[인천대공원역]], [[운연역]] [[분류:46번 국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