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hite '''{{{+3 Type 78}}}'''[br]''78식 저격보총''}}}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78식 저격.jpg|width=100%]]}}}|| || '''종류''' ||[[저격소총]] || || '''원산지''' ||[include(틀:국기, 국명=북한)] || ||<-2> {{{#!folding 【펼치기 · 접기】 ||<-2>
{{{#White '''이력'''}}} || || '''역사''' ||[[1978년]]~현재 || || '''개발년도''' ||[[1978년]]으로 추정 || || '''생산년도''' ||[[1978년]]~현재 || || '''사용국''' ||[include(틀:국기, 국명=북한)] || || '''사용된 전쟁''' ||[[제2연평해전]] || ||<-2> {{{#White '''기종'''}}} || || '''원형''' ||[[AK-47]] || ||<-2> {{{#White '''세부사항'''}}} || || '''탄약''' ||[[7.62×54mmR]] || || '''급탄''' ||10발들이 박스탄창 || || '''작동방식''' ||가스 작동식 || || '''총열길이''' ||620mm 추정[* 루마니아 PSL을 참고한 소총이기에 총열 길이도 그에 따라 같을 것으로 보인다.] || || '''전장''' ||1,150mm 추정 || || '''중량''' ||4kg 중반 || || '''탄속''' ||830m/s || || '''유효사거리''' ||300~600m ||}}} || [목차] [clearfix] == 개요 == [[1978년]]에 [[북한]]에서 개발한 반자동 [[저격소총]]. 외형은 [[AKM]]과 [[PSL 저격소총|PSL]]을 섞어놓은 느낌이다. == 상세 == [[파일:TYPE78.png]] 90년대에 촬영된 것으로 추측되는 78식 저격보총. 총검부와 망원조준경을 지우려고 한 흔적이 티가 난다. [[파일:M78.jpg]] 2017년 열병식에 처음으로 외신을 통해 보도되었다. 해당 부대는 9군단 소속으로 추정된다. [[파일:북한8군단-1.jpg|width=100%]] 2018년 열병식에서는 8군단 소속 병력이 들고 나왔다. [[파일:78식 저격보총 위장무늬.jpg]] 2020년 10월 10일 열병식에서 산악보병종대가 소음기를 장착하고 위장무늬를 입힌 78식 저격보총을 들고 행진한 모습이 포착되었다. [[파일:78식저격보총2022년.jpg]] 2022년 4월 25일 열병식에서도 같은 모습으로 등장했다. 북한군은 [[유고슬라비아]]제 [[자스타바 M76|M76]]이나 [[루마니아]]제 [[PSL 저격소총|PSL]]를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졌으나, 2017년 열병식을 통해 처음으로 외신에게 공개되었다. 2018년 열병식에서는 대량으로 등장하였다. 외형상 특징으로 미루어보아 88식, 98식 자동보총과 동일하게 루마니아제 화기류의 영향을 절대적으로 받았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개머리판과 권총손잡이 형상은 유고제 M76을 더 닮았다. 육군에서는 예전부터 적성화기 교육을 진행할 때에는 [[드라구노프]] SVD가 아닌 루마니아제 PSL 저격총을 이용하기 때문에[* 왜냐하면 무슨 이유인진 몰라도 원본 SVD를 수입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90년도에 이미 정체를 파악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파일:compa_zpsa7hbilx8.jpg]] [[자스타바 M76|M76]]과 루마니아 [[PSL 저격소총|PSL]]와 비교한 모습. 총열과 총몸 자체는 [[PSL 저격소총|PSL]]와 거의 동일하고, 리어사이트 블록은 [[자스타바 M76|M76]]과 동일한 특징을 보이고 있으며, 기본적인 구조나 기초 성능은 루마니아제 PSL와 동일할 것이라 추측된다. [[파일:external/www.dragunov.net/type78nkoreanpso_550x.jpg]] [[망원조준경]] 저격수조준경-78. 루마니아제 LPS 4배율 조준경과 동일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파일:78식 야간조준경.jpg]] 1983년 다대포 [[무장공비]] 침투사건때 국군이 노획한 야간조준경-78. [[러시아]]의 1PN58(NSP-3) 야간투시 조준경을 카피한 물건이다. 탄창은 독자적인 생김새로 호환성은 없어 보이나, 기본 베이스가 [[PSL 저격소총|PSL]]인 것을 생각하면 PSL와 탄창 호환성이 있을 것이라 생각되고 [[드라구노프 저격소총|SVD]]와 PSL는 탄창 호환성이 없다. [[2002년]] [[6월 29일]] [[제2연평해전]] 당시 [[윤영하]] [[소령]](당시 [[대위]])이 이 총에 등 부위를 저격당해 총상으로 전사했다. == 신형 후속 저격보총 목록 == === 신형 DMR 저격보총 === [[파일:external/4.bp.blogspot.com/kim-jong-un.jpg|width=500]] 북한군은 현재 78식 저격보총을 대신하기 위해 러시아제 '신식 장총'을 보급하고 있다고 한다.[[https://www.rfa.org/korean/in_focus/nk_nuclear_talks/rifle-10162015094637.html|러시아제 저격보총]] " 자유 아시아 방송의 소식통에 의하면 이 신형 저격보총이 '''일반 AK 소총탄인 7.62×39mm를 사용'''한다고 한다. [[이라크]]의 [[타부크 저격소총]]을 국산화한 물건이 아니냐는 소문이 돌았지만 분명 13년도에 '''특수부대에 보급된 러시아제 저격보총을 복제'''했다는 점에서 SVD를 국산화한 것일 가능성이 높다. 소식통이 일반 AK 소총탄을 사용한다고 한것은 SVD의 탄창과 58식 소총의 탄창이 비슷하게 생겨 착각한 것이거나 아니면 탄 수급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원래 7.62×54mmR을 사용하는 SVD를 일반 AK 소총탄인 7.62×39mm를 사용하게끔 개량하고 이를 부대에 보급하는 것일 수 도 있다.[[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arm&no=549340|#]] 2023년2월8일 열린 건군절75돌 기념 열병식에서 해당 총기로 추정되는 물체가 등장했다. [[파일:Screenshot_20230210-113828~2.png]] === 신형 볼트액션 저격보총 3종류 === [[파일:북한 신형 저격소총.png]] [[파일:1691287150997.webp]] [[파일:북한 2023년형 대구경 저격총.png]] 2021년 10월 11일 북한 [[자위-2021]] 무기전시회를 통해 공개된 신형 저격보총으로, 영국제 [[Arctic Warfare]] 저격소총 계열과 닮은 [[볼트액션]] 방식으로 보이며 특수부대에게 지급될 것으로 보인다. 2023년 8월 5일 김정은의 군수공장 지도 때 자세한 모습이 공개되었으며, 러시아의 [[DVL-10]]과 닮은 형상이었다. == 둘러보기 == [include(틀:현대전/북한 보병장비)] [include(틀:보병장비 둘러보기)] [include(틀:칼라시니코프 계열 총기)] [[분류:저격소총]][[분류:보병 무기/현대전]][[분류:보병 무기/현대전]][[분류:AK-47]][[분류:1978년 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