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북한의 경제]] [include(틀:북한 관련 문서)] [목차] [clearfix] == 개요 == '''8.3 인민소비품''', 줄여서 '''8.3 제품'''이란 [[북한]]에서 직장 내 부산물이나 폐기물 등을 재활용하여 국가계획과는 별도로 추가 생산하는 제품을 일컫는다. 남한으로 치면 부업벌이를 장려한 것이지만, 북한의 부족한 소비재 공급을 그나마 채워줌과 동시에 원시적인 시장경제의 싹을 틔웠다고 평가받는다. == 기원 == 8.3제품의 기원은 [[김정일]]이 [[1984년]] [[8월 3일]] [[평양]]의 전국경공업제품전시장을 둘러보면서 "생산 부산물과 폐기물을 활용해 생활필수품을 많이 만들라"고 지시한 데에서 비롯되었다. 이미 북한은 만성적인 소비재 부족에 시달리고 있었기 때문에, 이를 조금이라도 타개하고자 한 것이다. 이와 같은 지시에 따라 ‘8.3 인민소비품창조운동’이 조직되어 북한 전국의 사업소에서 각종 8.3제품들(주로 생활잡화나 식료품 따위의)이 생산되기 시작했다. == 상세 == 초창기 8.3제품은 대개 직장에 출근하지 않는 부녀자나 노인들에 의해 [[가내수공업]] 수준으로 생산되는 조악한 품질의 것들로서, 당국의 허가를 받아야 하긴 했지만 심지어 이를 직접 판매할 수도 있었다. 1972년 사회주의 헌법 채택 이후 처음으로 국가계획에 잡히지 않는 상품의 생산과 유통 경로가 생겨난 것이다.[* 1960년대까지는 북한에도 국유화되지 않은 개인 소상공이 남아있었다. 농산물은 이미 1960년대부터 농민시장에서의 개인 거래가 허용되었다.] 이 부업벌이가 활성화되면서 1980년대 후반부터 손재주가 좋거나 장사에 수완이 있는 주민이 수입을 올리기 시작했고 빈부격차가 서서히 벌어지기 시작했지만, 김정일과 북한 수뇌부는 딱히 제동을 걸지 않았고, 이러한 과정이 [[고난의 행군]]으로 경제가 사실상 붕괴된 이후의 [[장마당]]으로 대표되는 시장경제체제의 발생과 적응에 도움을 주었다. 1990년대 중반 [[고난의 행군]]이 시작되자, 8.3제품의 생산은 북한 인민들에게 더욱 매력적인 것이 되었다. 북한 당국이 사회통제를 이유로 가동을 멈춘 직장에서조차 노동자들의 출근을 강요하였기에(!)[* 이상할게 없는것이, 공장이건 사무실이건 당위원회가 설치되어있고 초급당, 세포당으로 촘촘히 수직을 이뤄 통제하고, 3대혁명소조, [[조선직업총동맹]]과 [[사회주의애국청년동맹]]의 초급기관이 설치되어있어 직장에 나와야 통제가 용이하다], 차라리 직장에 8.3생산을 위한 자재 수집을 명목으로 돈을 내고 그 시간에 부업을 해서 돈을 버는 것이 더 합리적인 선택지로 떠오른 것이다. 이렇게 직장에서 빠져나간 노동자들을 8.3노동자, 이들이 대신 고인 뇌물은 8.3돈, 이렇게 돈을 주고 하는 장사를 8.3장사라고 부른다(...). 그렇게 불어난 생산 단위를 갖추게 된 8.3제품들의 생산이 크게 확대되어, 이 시기부터는 정품 못지 않은 양과 질을 자랑하는 지경이 되었다. ~~애초에 북한제 정품 자체가 질이 조악하니 뭐~~ 그런데 왜 국영 공장기업소 입장에서 8.3 생산이 사민들에게 돈을 받아먹는 신세로 전락했는가? 원칙적으로 8.3운동은 폐품 및 폐자재를 이용하여 재생산하도록 되어 있는데, 이는 정품 자재는 당연히 국가의 생산계획 및 공급망에 의하여 조달, 투입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문제는 이 폐품 및 폐자재 재활용이라는 게 '''엄청나게 비효율적'''이라는 것. 특히 폐금속자재의 재활용은 원래의 철광석제품을 녹여 쓰는 것 이상으로 막대한 에너지를 소모하는데, 김일성 동상 밝힐 전기도 간당간당한 판에 일선 공장기업소에서 그런 한가한 짓을 할 수 있을 리가. 시장경제체제라면 원자재가격과 폐자재가격, 에너지비용 등을 금전적으로 측정하여 높은 전기요금을 저렴한 폐자재가격으로 보완함으로써 경쟁력을 얻을 수 있으나, 사회주의 체제인 북한은 이런 금전적인 상호 보완을 기대할 수 없었다. 게다가 하도 자재 공급이 안 되다보니 이젠 공식 경제부문에서 공식 생산계획을 수행하는 것조차 폐자재를 어떻게든 써먹어야 하는 상황에 이르렀다. 단적으로 북한 내에서 생산되는 철근의 상당수는 각 사업장에서 자체적으로 파철을 뽑아내 조달하는 상황이고, 아예 공식적으로 주민들에게 폐자재 수집을 시킨다. 북한에 대해 부정적인 서술 중심이었던 90년대 교과서에서는 북한 학생들이 ''''[[좋은일하기운동|꼬마계획]]\''''이라는 폐자재 수집을 다녀야 한다고 설명했는데, 이게 2020년 지금도 여전히 지속되고 있다. 1~2개월에 한 번씩 각 시도 단위로 파철을 수집해 총력을 기울여 철강 부문에 실어나르는 게 당당히 로동신문과 조선중앙TV의 지면을 장식하고 김정은이 파철용광로 제작현장을 [[현지지도]]할 지경이니 말 다 했다. 최근에는 숫제 '절약이자 증산'이라는 구호 아래 폐설물, 폐자재 재활용을 국가정책으로 내세우고 있는 실정이다. 그렇다고 외국으로부터 쓰레기 수입을 안 해온 것은 아니고 실제로도 1990년대에 독일, 오스트리아, 프랑스, 일본 등으로부터 돈을 받으면서 재활용 쓰레기를 다량 [[https://nklogin.com/post/Boardmng?ptype=v&contentkey=BFC1557043735|수입]]했었다. 이 당시에 물자가 한창 귀했던 시절인지라 외국 쓰레기 가운데서도 쓸 만한 것들은 알뜰살뜰하게 써먹는 경우도 많았다고 한다. 그러다가 1990년대 말 즈음해서 여러 가지 문제점이 터져나오자 재활용 쓰레기 수입을 중단했다. 다만 중국제 쓰레기 일부는 수입하고 있기는 하다. == 기타 == 8.3제품들의 질이 좀 떨어지다 보니, 북한 내에서 "8.3"이란 표현은 "가짜", "야매", "모자르다" 등의 뜻으로 변질되어 사용되기도 한다.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