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파일:external/img.bemil.chosun.com/%C1%DF%20%BD%C5%C7%FC%20%C6%F7%C5%BE%20%C0%E5%C2%F8%20%C2%F7%B7%FB%BD%C4%20%BA%B8%BA%B4%C0%FC%C5%F5%C2%F7%2020071017.jpg|width=600]] [[중국군]]이 보유한 6X6 차륜형 장갑차이다. 정식 명칭은 '''90/92식(式) 장갑수송차(装甲输送车)'''로 '''ZSL-92''' 혹은 '''WZ551'''라는 명칭의 코드명을 갖고 있다.[* 그에 따라 본 문서는 이 두 코드명으로도 들어올 수 있다.] 1984년에 등장했던 [[93식 장갑차(중국)|WZ-532 장갑차]]와의 경합에서 살아남은 놈으로, 93식 장갑차가 야전 평가에서 탈락하게 되어 그 자리를 운 좋게 차지한 장갑차라고 할 수 있다.[* 이전 문서의 서술처럼 93식 장갑차를 대체하기 위한 놈은 아닌데, 왜냐하면 93식과 마찬가지로 90식 이놈이 처음 세상에 드러난 시기가 1984년이기 때문이다. 다만 이 녀석도 무조건 운이 좋다고만 볼 수는 없는데... 아래 바리에이션 항목 참고 바람.] 처음에는 90식이라는 명칭으로 1989년에 시험배치를 한 후, 시험배치에서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1991년까지 다시 추가개량을 행하여 1992년에 야전에서 전력화 배치에 들어갔다. == 제원 == || 중량 ||15.8톤 || || 전장 ||6.7 m || || 전폭 ||2.8 m || || 전고 ||3.6 m || || 승무원 ||3명 || || 하차조 ||9명 || || 방어력 ||불명 || || 주무장||30mm기관포1문(탄휴대량:350발)/[[훙젠 시리즈|HJ]]73 [[대전차미사일]] || || 보조무장 ||86식 7.62mm x 1 || || 엔진 ||BF8L413F식 320마력 디젤엔진 || || 주행거리 ||600km || || 최대속도 ||85km/h (야지주행) || 출처: [[https://en.wikipedia.org/wiki/WZ551|출처]] [[https://zh.wikipedia.org/wiki/ZSL-92%E8%A3%85%E7%94%B2%E8%BE%93%E9%80%81%E8%BD%A6|출처2]] [[http://bemil.chosun.com/nbrd/bbs/view.html?b_bbs_id=10057&pn=0&num=1144|출처2]] == 상세 == 중국에서는 의외의 다용도 장갑차이기도 하다. [[훙젠 시리즈#s-2.2|HJ-9]]를 거치하여 대전차지원용도의 지원차량화 및 중국 공안의 시위및 소요 그리고 대테러진압용으로 활용되고 있는 주력 장갑차라고 할수 있다. 동시에 상당히 많은 수출을 했는데 특히 서아시아와 아프리카 지역으로 수출실적이 나름 수백대 이상은 되고 잘 굴려서 써먹히고 있는 중의 장비라고 할수 있다. == 바리에이션 == 본 문서에 작성된 모든 90/92식 장갑차의 공식 바리에이션은 영문판 위키백과의 [[https://en.wikipedia.org/wiki/WZ-551|WZ551 문서]]에서 그 출처를 두고 있다.[* 자료 출처: [[https://en.wikipedia.org/wiki/WZ-551#Variants|#]] ] === 중국군 내 제식 바리에이션 === ==== 90식(ZSL-90) ==== 90식 시리즈의 최초가 되는 물건으로, 앞으로 생기게 되는 수많은 90/92식 장갑차 파생형의 오리지널 [[프로토타입]]되는 물건.[* 중국군 현용 전차인 [[99식 전차]]와 그 프로토타입인 [[99식 전차#-s7.1|98식 전차]]와의 관계라고 보면 된다.] 1982년 수입된 독일의 Mercedes-Benz 2026 대형 오프로드 트럭[* 여러 자료에 의하면 [[메르세데스-벤츠 NG]]의 바리에이션인 '메르세데스-벤츠 NG80' 버전이란다.]을 기반으로 개발되었으며,[* 이에 반해 [[93식 장갑차(중국)|93식 장갑차]]는 중국 토종 모델인 둥펑 EQ245 트럭을 기반으로 제작되었다.] 처음 모습을 드러낸 시기는 1984년 10월 1일, 제 35회 [[https://ko.wikipedia.org/wiki/중화인민공화국_국경절|중화인민공화국 국경절]] 열병식 당시였다. 당시에는 이 녀석의 4x4, 8x8 버전이 고려될 정도로 이 녀석이 각광을 받았으나.... 야전 성능 테스트에서 좋지 못한 평가를 받게 되어 양산과 여타 파생형 제작은 중단, 연기되게 된다.[* 엔진의 고원 적응력이 딸렸댄다.] 허나, 중국군 상층부에서는 이 녀석의 잠재성을 보고 개량을 계속 진행해서 90식 이 놈은 후에 양산형인 92식이 나오게 되는 기반이 된다.[* 경쟁 모델이던 93식 장갑차의 경우 90식과 똑같이 엔진 출력에서 문제가 생겼는데, 그 쪽은 엔진 문제가 더욱 심각하다는 평가를 받은데다가 야지 기동성마저 개판이라는 문제가 겹쳐 결국 [[중국 인민해방군|본가]]에서도 한참 후에야 엔진만 조금 개량하는 선에서 그치고 결국 대량 배치를 포기한 실패 모델이라는 점에서 결말이 극명하게 다르다.][* IFV 형인 ZSL-92는 NVG-1이라는 놈을 또 거치게 된다.] 이 녀석은 딱히 WZ 코드를 부여받지는 않았다. ==== NVG-1 ==== 90식과 그 설계를 가지고 깔짝대던 중국이 최초로 만든 [[보병전투차]] 형의 프로토타입. 90식 위에 프랑스 GIAT 사[* 프랑스의 군수산업체. 현재는 Nexter 사에 합병되었다.]에서 만든 25mm 기관포[* [[VBCI]] 장갑차의 보병전투차 형인 VCI에 달리는 DRAGAR 25mm 기관포와의 연관성은 불명이다.]를 장착한 버전으로, 이걸 발전시켜서 92식, 혹은 WZ551이 나오게 된다. ==== 92식 [[보병전투차]](ZSL-92) ==== [[파일:external/img.bemil.chosun.com/%C1%DF%20%BD%C5%C7%FC%20%C6%F7%C5%BE%20%C0%E5%C2%F8%20%C2%F7%B7%FB%BD%C4%20%BA%B8%BA%B4%C0%FC%C5%F5%C2%F7%2020071017.jpg|width=600]] 드디어 최초로 나온 양산형으로, WZ551이라는 코드를 부여받았다. 앞의 NVG-1처럼 25mm 기관포를 달았는데, 이 25mm ZPT90 기관포는 단발, 3점사, 5점사, 완전 자동사격을 전부 제공해 준다고 알려져 있다. ==== 92식 [[병력수송장갑차]](ZSL-92 'A') ==== [[파일:external/4.bp.blogspot.com/asian%2Bdefence%2BChinese%2BWZ551%2BType%2B92%2BIFV_1.jpg]] 본 사진은 UN 평화유지군용 모델이다. 12.7mm 중기관총[* 중국 위키를 보면 [[https://en.wikipedia.org/wiki/W85_heavy_machine_gun|88식 차재 중기관총]]를 처음부터 달았던 것으로 보인다. 다만, 여러 자료에서는 그냥 '12.7mm 중기관총 장착'이라고 등재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해외 수출형은 미제 [[M2 브라우닝 중기관총|M2 브라우닝]]이나 [[DShK|러시아제]] [[NSV|12.7mm]] [[Kord|기관총들]]을 달지도 모른다.]을 장착한 병력수송장갑차(APC) 버전으로, 재미있게도 보통은 이런 APC 버전이 먼저 나오고 나서 IFV 버전이 나오기 마련인데, 92식은 어찌된 것이 APC 버전에 A가 붙어있다. 이 녀석의 프로토타입이 처음 세상에 나오게 된 날이 위의 ZSL-92와 같이 1991년 8월이어서 아마 IFV형인 92식 보병전투차가 근소하게 먼저 개발 완료되고 APC 형인 92식 병력수송장갑차가 조금 늦게 나오게 되어 APC 형이 오히려 A가 붙은 것으로 보인다.[* [[K1 기관단총]]과 [[K2 소총]]의 관계 내지 [[H&K USP]]와 [[H&K Mark 23|Mk.23]]의 관계와 비슷하다고 볼 수 있다.] WZ 코드로는 WZ551''''A' '''라고 불리운다. ==== WZ550 APC ==== WZ551A의 4x4 버전 양산형. ==== WZ550 대전차미사일 차량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HJ-9_mounted_on_WZ550.jpg|width=600]] WZ550의 [[훙젠 시리즈#s-2.2|HJ-9]] 탑재 대전차지원형으로, 차체 상부의 대전차미사일 터릿에는 HJ-9 미사일 뿐만 아니라 목표의 탐지/추적을 위한 [[열상감시장비]]와 미사일을 목표물로 유도하기 위한 레이저 표적지시기도 달려있다고 한다.[* HJ-9는 레이저 유도와 밀리미터파 유도, 이 두가지 유도 방식을 사용한다.] ==== PTL-02 ==== [[대전차 자주포]] 버전으로, 86식 100mm 활강식 대전차포를 장착한다. 2001년 처음 대중에 공개되었다. ==== 92B형(ZSL-92B) ==== 92식의 [[상륙장갑차|수륙양용형 버전]]이다. WZ 코드로는 WZ551B라고 불리우며, 기존 92식의 화력[* 기존 25mm ZPT90에서 30mm 짜리 ZPT-99로 바꾸었다고 한다. 참고로 이 ZPT-99는 국군에서도 쓰이는 [[BMP-3]]의 30mm 기관포 2A72의 카피버전으로, 중국이 90년대에 러시아로부터 BMP-3를 들여온 다음 거기에 달린 2A72를 모방한 버전이라고 한다.], 기동력, 및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추가적인 개량 또한 있었다고 한다. ==== 92식 이티옌 대공미사일 차량 ==== [[https://en.wikipedia.org/wiki/W85_heavy_machine_gun|88식 차재 중기관총]]과 [[https://en.wikipedia.org/wiki/TY-90|TY-90]] 대공 미사일을 8연장으로 장착한 대공미사일 차량 버전이다. 88식 차재 중기관총이 없는 사진도 많아 88식은 아마 옵션으로 유추된다.[* 88식 중기관총은 본격적인 방공망 유지용 대공기관포로 쓰이기엔 여러모로 버거운 [[12.7x108mm]] 구경의 중기관총이다.] 해외에서는 중국판 [[AN/TWQ-1 어벤저|어벤저]]로 본다고. 참고로 '이티옌(倚天)'을 우리 말로 하면 '의천'으로, [[의천도룡기]] 할 때의 그 의천이다. 아마 주력으로 쓰는 대공미사일인 TY-90의 별칭이 '톈옌(天燕)', 즉 천연이라서 그런 듯.[* 우리가 흔히 아는 모에계 속성 용어인 [[천연]]이 아니다. [[하늘 천]]에 [[제비 연]]이다. 풀어 쓰자면 '하늘 [[제비]]'. TY-90 미사일의 영문위키에도 해당 미사일의 이름 풀이를 'Sky Swallow-90' 라고 부르고 있다.] ==== [[05식 자주박격포]] ==== [[파일:pll_05_l5.jpg]] 라시아제 포탑형 차재박격포 시스템인 [[2S9 노나-S]]의 중국판 짝퉁. 더 자세한 사항은 해당 문서 참고 바람. === 수출형 === ==== VN2 ==== 30mm 기관포 장착 수출형 버전으로, 1인승 포탑형이나 UW4라는 30mm 기관포형 [[RWS]]를 장착한 모델이다. 총안구는 좌우 양측 탑승자용으로 2개가 나 있다. 또한 'VN2C'라고 대지뢰 방호 능력을 갖춘 모델이 또 있는데, 지상고를 높임과 동시에 아플리케 장갑재를 장착해 STANAG 4569 Level 3 정도의 대지뢰 방호력을 얻었다고 하는데, 이 정도면 8kg 짜리 대전차지뢰를 막는 것이 가능하다고 한다. 이런 대지뢰 방호력 상승 개량은 [[MRAP]]의 도입이 필요하지만 그 가격을 맞출 수 없는 나라들을 노린 것으로 보인다.[* [[MRAP]]은 고작해 봐야 대지뢰 생존성을 높인 [[험비]] 내지 [[2½톤 트럭|두돈반]]이라고 봐도 무방한데, 그 대지뢰 생존성을 높이느라 가격은 천정부지 수준이었다.--요새는 워낙 많아 뽑았고 이라크와 아프간에 철군해서 처치 곤란의 악성 재고가 되어버렸다만-- 그래도 엄청 높아서 대한민국 국군도 한때 [[K806/808 장갑차]]들에게 MRAP의 역할을 맡길 것을 예상해 개발 때 이 806/808 장갑차들에게 나름 되는 수준의 대지뢰 방호력을 부여했다가 10여대 정도 다시 재도입했던 것을 생각하면 나름 이해가 가는 개발 시도이긴 하나, 결국 MRAP라는 물건 자체가 대 지뢰 방호라는 면 이외로 넘어가면 굉장히 어정쩡한 물건이기에 그냥 처음부터 제대로 된 MRAP을 사거나 아예 해당 부문을 포기하는 경우가 대다수이다.] ==== CS/VN9 ==== 위 VN2의 염가형 버전으로 추정되는 물건으로, 차 전면 유리에는 방탄을 위한 장갑 셔터[* 장갑차 유리에 달리는 방탄용 [[블라인드#s-1|블라인드]]라고 보면 된다. 따라서 이렇게 장갑 셔터로 시야가 가려졌을 때를 대비한 운전수 및 차장용 [[잠망경#s-4|페리스코프]] 또한 없다고.]가 없고 기존에 있었던 3개의 승객용 비전 블록과 총안구 역시 마찬가지라고 한다. ==== WMA301 ==== 위 PTL02의 수출형으로, 기존에 달려있던 86식 100mm 활강포 대신 한때 NATO 표준 전차포였던 105mm [[로열 오드넌스 L7]][* 의 중국 라이센스판인 81/83식의 개량형]을 달았다. == 둘러보기 == [include(틀:현대전/중국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파키스탄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스리랑카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미얀마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오만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아르헨티나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에티오피아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앙골라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모잠비크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차드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파푸아뉴기니 기갑차량)] [include(틀:기갑차량 둘러보기)] [[분류:차륜형 장갑차]][[분류:지상 병기/현대전]][[분류:중국군/기갑차량]][[분류:파키스탄군/기갑차량]][[분류:아르헨티나군/기갑차량]][[분류:앙골라군/기갑차량]][[분류:중국북방공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