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냉전/소련 기갑차량)]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9K33_Osa.jpg|width=100%]]}}} || || '''9К33 «Оса»''' || [목차] [clearfix] == 개요 == 9K33 오사는 6륜 [[차륜형 장갑차]]에 탑재하는 미사일 시스템이다. 대공미사일 체계는 [[니에미]]가, 탑재 차량은 [[https://en.wikipedia.org/wiki/Bryansk_Automobile_Plant|BAZ]] 사가 개발하였다. 고기동 저고도로 비행하는 단거리 전술 대공 미사일을 사용한다. 이름인 오사(Osa)[* [[키릴 문자]]로는 'Oca'라고 표기된다.]는 러시아어로 말벌....이라기 보다, 꿀벌류을 제외한 나머지 벌들 전체를 지칭하는 영단어인 [[와스프|Wasp]]에 대응되는 단어라고 한다. == 제원 == ||||||
9K33 Osa 시스템의 제원 || |||| 러시아어 ||«Оса» || |||| 영어 ||wasp || |||| 개발국가 ||[[소비에트 연방]] || |||| 개발시작 ||[[1965년]] ~ [[1972년]] || |||| 사용 ||[[1972년]] ~ [[현재]] || |||| 종류 ||근거리 대공 미사일 방어 시스템 || |||| 중량 ||17.5 톤 || |||| 길이 ||9.14 m || |||| 폭 ||2.75 m || |||| 레이더 포함 높이 ||4.20 m || |||| 승무원 ||5 명 || ||<|4> 사용 미사일 종류 || 9M33 ||6 기 || || 9M33M1 ||6 기 || || 9M33M2 ||6 기 || || 9M33M3 ||6 기 || |||| 레이더 탐지 범위 ||500 km || |||| 엔진 ||D20K300 [[디젤 엔진]] || ||<|2> 속력 || 지상 ||80 km/h || || 수상 ||8 km/h || |||| 참여 전쟁 ||[[걸프 전쟁]], [[시리아 내전]] , [[아르메니아-아제르바이잔 전쟁]], [[우크라이나 전쟁]]||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40px-Osa-AKM_9M33M3.jpg|width=100%]] |||| 9M33 기준 미사일 제원 || || 유도 방식 ||지령유도, 광학 적외선 유도 || || 탄두 중량 ||16 kg || || 탄두 종류 ||Frag-HE || || 길이 ||3,158 mm || || 지름 ||209.6 mm || || 중량 ||170 kg || || 속도 ||마하 2 ~ 2.4 || || 사정거리 ||15 km || || 비행고도 ||12,000 m || || 표적 오차 ||5 m || == 상세 ==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에서는 9K33 OSA를 SA-8 게코라고 부른다. 장착 미사일은 6연장으로 9M33, 9M33M2, 9M33M3 등을 사용한다. 9K33 OSA 시스템은 군함에도 장착되어 대공임무를 수행한다.[* 베이스 플랫폼으로 쓰인 장갑차는 [[https://de.wikipedia.org/wiki/BAZ-5937/BAZ-5939|BAZ-5937(БАЗ-5937)]]이라는 녀석이다. 해당 차량은 북한제 미사일 치고는 높은 명중률로 한미연합군 측에서 가장 예의주시하는 지대지미사일, [[KN-02]]의 원형인 [[OTR-21 토치카]](оперативно-тактический ракетный комплекс, [[나토 코드명]]: SS-21 스캐럽) 및 그 후속작인 [[https://ko.wikipedia.org/wiki/SS-23|OTR-23 오카]](OTP-23 «Ока», [[나토 코드명]]: SS-23 스파이더)의 플랫폼으로 쓰였다. 참고로 이 물건을 설계한 [[https://en.wikipedia.org/wiki/Bryansk_Automobile_Plant|BAZ 사]]는 이후 그 유명한 [[S-500]]의 베이스 플랫폼으로 쓰인 [[BAZ-6906]]을 개발하게 된다.] == 사용되는 미사일의 형식 및 파생형 == === 원판 및 개량형 === ==== 9K33 오사 ==== || NATO 명칭 || SA-8B 'Gecko' || || 길이 || 3.14 m || || 미사일 중량 || 126 kg || || 유도 || 지령유도방식 || || 사정거리 || 12 km || || 최대속도 || 마하 2.4 || [[1960년]]에 개발함. ==== 9K33M 오사-M ==== || NATO 명칭|| SA-N-4 'Gecko' || || 중량 || 130 kg || || 탄두 중량 || 19 kg || || 탄두 종류 || [[고폭탄]] || [[1972년]]에 개발함. ==== 9M33M2 오사-AK ==== || NATO 명칭|| SA-8B 'Gecko Mod-0' || || 사거리 || 1,500 ~ 10,000 m || || 교전고도 || 25 ~ 5000 m || [[1975년]]에 개발함. ==== 9M33M3 오사-AKM ==== [[파일:ParkPatriot2015part8-28.jpg]] || NATO 명칭|| SA-8B 'Gecko Mod-1' || || 중량 || 150 kg || || 탄두 중량 || 40 kg || || 탄두 종류 || [[고폭탄]] || || 사거리 || 1.5 ~ 15 km || || 최대 고도 || 12 km || || 최대 속도 || 마하 2.4 || [[1980년]]에 개발함. === 미사일(발사체) 응용형 및 파생형 === ==== [[9K31|9K31 Strela-1]] ==== [[파일:9K31_Strela-1.jpg|width=100%]] || NATO 명칭 || SA-9 'Gaskin' || 자세한 사항은 해당 문서 참고 바람,. ==== [[스트렐라#s-4|9K35 Strela-10]] ==== [[파일:9A35_combat_vehicle_9K35_Strela-10_-_TankBiathlon14part2-37.jpg]] || NATO 명칭|| SA-13 'Gopher' || || 러시아어 || 9К35 «Стрела-10» || || 영어 || Arrow || || 길이 || 2.2 m || || 중량 || 39 kg || || 탄두중량 || 3 ~ 6 kg || || 속도 || 마하 2 || || 교전거리 || 50 ~ 5,000 m || || 고도 || 10 ~ 3,500 m || || 조준 || 고기동 목측 조준 || || 유도 || 광학 적외선 유도식 || || 종류 || 저고도 단거리 대공미사일|| 9K35 Strela-10는 SA-9 Gaskin의 후계 미사일이다. [[MT-LB]] 장갑차에 4연장으로 미사일을 장착한다. == 사용국가 == || [include(틀:국기, 국명=그리스)] || 39 || || [include(틀:국기, 국명=러시아)] || 550 || || [include(틀:국기, 국명=벨라루스)] || SA-8; 350 || || [include(틀:국기, 국명=시리아)] || 60 || || [include(틀:국기, 국명=요르단)] || 60 || || [include(틀:국기, 국명=알제리)] || 24 || || [include(틀:국기, 국명=베트남)] || 2[* 베트남이 도입한 [[게파르트급]] 호위함에 이 시스템이 장착되어 있다. 베트남은 게파르트급 호위함을 2척 구매하였으며 추가로 2척 더 주문하였다.] || || [include(틀:국기, 국명=아르메니아)] || ? || || [include(틀:국기, 국명=조지아)] || 18 || || [include(틀:국기, 국명=카메룬)] || 200 || || [include(틀:국기, 국명=쿠바)] || 16 || || [include(틀:국기, 국명=폴란드)] || 64 || || [include(틀:국기, 국명=우크라이나)] || 125 || [[대한민국]]은 딱 한 대 보유 중인데, 2011년에 우크라이나로부터 적성장비 연구용으로 도입한 것이다.[[https://gall.dcinside.com/board/view/?id=arm&no=1321102&page=1&search_pos=&s_type=search_name&s_keyword=GRU|#]] [[https://www.youtube.com/watch?v=POE3qZS5GkM|반군이 사용하는 9K33 오사]] [[시리아 내전]]에서 반군이 몇 기를 노획해서 정부군 헬리콥터들을 격추시키는데 사용하기도 했다. [[러시아군]]이 내전에 본격적으로 개입하면서 최우선 표적이 되었고 현재는 전부 파괴되거나 다시 회수되었다. 2020년 [[아르메니아-아제르바이잔 전쟁]]에서 아르메니아군이 초반에 쓰면서 아제르바이잔군에게 피해를 입혔으나 아제르바이잔군 무인기의 폭격으로 오사를 싸그리 잃었다. 이후로, 아르메니아 제공권은 아주 박살나 아제르바이잔군 무인기 공습에 계속 털리면서 항복하고 [[아르차흐 공화국]] 대부분을 아제르바이잔에게 다시 넘겨야 했다. == 둘러보기 == [include(틀:냉전/동독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러시아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우크라이나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벨라루스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폴란드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루마니아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조지아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아르메니아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아제르바이잔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시리아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요르단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알제리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인도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그리스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에콰도르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베트남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한국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쿠바 기갑차량)] [include(틀:기갑차량 둘러보기)] == 관련 문서 == * [[소련군]] * [[그리스군]] * [[군사력]] * [[무기 관련 정보]] * [[해상 병기/현대전]] * [[베트남 해군]] * [[러시아 해군]] * [[9K330 토르]] [[분류:대공 미사일]][[분류:차륜형 장갑차]][[분류:지상 병기/냉전]][[분류:지상 병기/현대전]][[분류:소련군/장비]][[분류:러시아군/미사일]][[분류:우크라이나군/미사일]][[분류:폴란드군/미사일]][[분류:인도군/미사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