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냉전/미합중국 해군 항공기)] || [[파일:RA-5C.png|width=100%]] || || RA-5C || || [[파일:external/cdn-www.airliners.net/1005541.jpg|width=100%]] || || 앞은 A-5A, 뒤의 쌍발 레시프로기는 [[S-2]] 트래커 [[대잠초계기]] 기반의 [[조기경보기]] E-1 트레이서다. || [목차] == 개요 == '''North American A-5 Vigilante''' 노스 아메리칸 A-5 비질란테 [[미합중국 해군|미해군]]의 장거리 [[초음속]] [[핵|핵투발]] [[공격기]]. [[별명]]인 '비질란테'는 '[[자경단|자경단원]]'이란 뜻이다. 1958년 8월 31일, 초도비행에 성공하고 1961년 6월부터 실전배치에 들어갔다. 총 생산대수는 156대. 당시 기준으로 프로젝트 비용은 총 1억달러였다. 요새로 치면 거의 10억달러에 달한다.. 현재 가치로 기체값은 600만달러쯤 되는 셈. == 개발배경 == [[냉전]]이 급격히 심화되가던 [[1950년대]], [[핵무기]]가 [[데우스 엑스 마키나]]적인 존재로 급부상하면서 육/해/공 할것없이 너도나도 핵무장을 하기 시작했다. 이중 특성상 [[세계구]]급으로 노니는 [[공군]]과 해군이 전략 핵투발의 쌍두마차였고 [[대륙간 탄도 미사일|ICBM]]을 보유한 공군에 비해 [[함재기]]로 전략 핵투발을 해야하는 해군이 상대적으로 열세였다. 당연히 해군 입장에서는 [[열폭]]할 수밖에 없었고, 본격적인 전략 핵투발 함재기 전력을 운용하기 위해 채택한 것이 'A-5 비질란테'다. 좀 더 정확히 말하자면 당시 미군은 [[아이오와급 전함]]의 주포였던 [[Mark 7 16인치 50구경장 함포]]에 Mk.23이라는 핵포탄의 사용이 가능했으나, 당연히 세계구급 작전능력을 가지고 실제로도 세계구급으로 놀던 공군의 [[B-52]], [[미니트맨]]에 비하면야 초라하기 그지없었고, 미 해군 역시 전문적인 전략 핵투발 함재 폭격기를 만들긴 했으나 그렇게 나온 결과물들인 [[AJ 새비지]]([[https://ko.wikipedia.org/wiki/노스아메리칸_AJ_새비지|AJ Savage]])나 [[A-3|A3D Skywarrior]]라는 것들은 본격적인 핵 투발 기체로 사용하기엔 성능이 부족했다.이에 미 해군이 전략 핵 투발 함재기를 반쯤 포기하려던 무렵, 노스 아메리칸 사에서 [[하드캐리|그냥 스스로 떠맡다시피 하여]] 5년 내에 개발한 기체가 바로 이 A-5라고 한다. == 특징 == [[파일:external/i55.tinypic.com/2lau23m.jpg|width=600]] 다닥다닥 모여있는 조그만 기체가 바로 [[A-4|A-4 스카이호크]], 뒤쪽에 나란히 보이는 기체가 비질란테, 그 가운데가 E-1 트레이서. '''크다, 그것도 엄청 크다'''. 주임무가 전략 핵투발이였던 만큼 대형 핵폭탄을 적재하고 장거리를 날아가기 위해서 [[함재기]]로는 유례없을 정도로 큰 덩치를 가지게 되었다. 여기에 강력한 [[제너럴 일렉트릭|GE]] [[J79]] [[터보제트]] [[엔진]] 2기를 장착하여 [[마하]] 2급의 고속성능 달성에 성공한다. 덩치가 큰 만큼 기동성이 둔하다 생각되기 쉬운데 최대 이륙중량은 [[F-4 팬텀 II]]와 비슷한 28톤급 규모이고 기체 특성상 외부 무장이 적기 때문에[* 주로 외부 연료탱크만 달고 나간다.] 항력이 적어 준수한 기동성을 보여줬다 한다. 또한 항력이 적은 만큼 가속성능도 상당해 [[스트라이크 패키지|알파 스트라이크]][* 미해군 [[항공모함]]의 공세적 대규모 출격.] 당시 맨 마지막에 출격하여 편대에 합류했다고... 핵폭탄 적재와 투사방식이 조금 거시기한데 여타 기체와 달리 핵폭탄을 동체 내부 폭탄창에 적재한다. 그런데 이 폭탄창이라는게 일반적인 아래 뚜껑이 열려 떨구는 방식이 아닌 관형 폭탄창에 기체 꽁무니로 투사하는, 일명 '핵응가'(...) 방식을 사용한다. [[파일:external/i88.photobucket.com/A3J_Vigilante_Deposito_armamento.jpg]] [[파일:external/i88.photobucket.com/A3J_Vigilante_Deposito_armamento_lanzamiento.jpg]] [[파일:attachment/1021346424_toysher.jpg]] [[파일:attachment/vigilante02.jpg|width=100%]] 보다시피 엔진 사이 수납부에 폭탄창이 있고 핵폭탄을 삽입하고 표적에 도달하면 수직상승하며 테일콘 분리 후 그대로 뒤로 배출하는 방식이다. [[파일:attachment/mk-27_nuclear_bomb.jpg]] 주요 무장은 Mark 27 핵폭탄(위 사진 참조). 3마디로 구분돼있어 맨 앞쪽이 핵탄두, 뒤쪽 두마디는 비행시 사용하는 외부 연료탱크이다.--음식(가득 찬 연료탱크)에서 영양분(연료) 빼먹고 남은 찌꺼기(빈 연료탱크)라고 생각하면 진짜 똥이다(...)-- 위력은 2메가톤급. == 몰락 == 실전배치 초기에는 미해군의 전략 핵투발 수단으로 미친 존재감을 뽐냈지만 그것도 잠시, 1961년 미국 최초의 [[SLBM]]인 [[UGM-27 폴라리스]]가 실용화되면서 해군의 전략 핵투발은 SLBM이 담당하는 추세로 넘어가고 비질란테는 [[낙동강 오리알]] 신세가 되어버린다. 오직 전략 핵투발 하나의 목적만을 상정하고 개발된 기체라 타 임무 확장성이 떨어지고[* 특히 동체 내부 폭탄창이 일반적인 방식이 아닌 관형 폭탄창 방식이고 무장의 투사방식이 매우 특이했던 게 문제가 되었다.] 이대로 등장하자마자 사라지나 싶었는데... == 파생형 == === RA-5C === 비질란테의 뛰어난 항속거리, 고속성능을 백분 활용하여 초음속 함대 [[정찰기]]로 탈바꿈하였다. 아이러니하게도 [[정찰기]]로서 더 유명해지면서 신규생산 91대 + 기존 [[공격기]]에서 정찰기 사양으로 개수 43대 = 총 134대라는 어마어마한 양의 비질란테[* [[공격기]]였던 A-5A 형식이 총 57대 생산되었다(...).]가 정찰기로 운용되었다. 그렇게 세상 빛도 못 보고 사라질 위기를 극복한 뒤, 20년가량이나 버틴 비질란테는 1980년 1월 전량 퇴역, 그 임무를 마친 뒤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진다. === 기타 형식 === * XA3J-1 프로토타입. 2기가 생산되어 한대는 RA-5C로 개수되었고 한대는 1959년에 추락했다. * A3J-1 초기 생산형. 총 58기가 생산되었으며, 이후 명칭이 A-5A로 재지정되었다. 이중 42기가 RA-5C로 개수. * A3J-2 총 18기 생산. 이후 명칭이 A-5B로 재지정되었다. 전 기체 RA-5C로 개수. 그 외 생산중이던 5기는 변경되어 XA3J-3P로 생산되었다. * XA3J-3P 위 전환된 5기의 A3J-2로, 다른 명칭은 YA-5C. 정찰 기기 없이 훈련기로 사용되었다. 전 기체 RA-5C로 개수. * A3J-3P 20기 생산. 전 기체 RA-5C로 개수. * NR-349 [[YF-12]]가 취소된 이후 IMI(Improved Manned Interceptor/개량 유인 요격기) 사업에 [[F-14]], [[F-106]]과 함께 참여한 파생형. 3기의 J79 엔진을 장착하고 있으며 6발의 [[AIM-54 피닉스]] 미사일로 무장이 가능했다. 물론 사업 자체가 취소되면서 나가리. == [[기네스북]] == * 최대 고도 신기록 갱신. 1960년 12월 13일, Leroy Heath([[파일럿]])/Larry Monroe(후방석 관제사)에 의해 수립된 기록. 1톤의 페이로드 탑재상태로 고도 91,451[[피트]](약 27,874m)를 기록한다.[* 1t의 페이로드 기준으로 최고 기록이다. 클린상태는 이미 1년 전 [[F-104|날아다니는 지주핀]]이 103,389피트(30,040m)를 기록한 적 있고 1년 뒤인 1961년 MiG-21 개조형이 113,891ft(34,714m)를 기록한다. 13년 후 이 모두를 갈아치운게 바로 [[MiG-25|그분]]] --[[SR-71|까마귀]] 조까--[* 하지만 이 최대 고도 기록은 Zoom Climb이라고 해서 가속하며 상승한 후 최고고도 찍고 아래로 바로 내려오는 형태의 비행이다. SR-71은 공식기록 상으론 이 형태로 고도 기록 측정한 적이 없으며 SR-71의 공식 고도 기록은 '''수평비행''' 즉 순항 비행고도 기록이다. SR-71이 그 속도로 관성을 이용해 실속할 때까지 올라갔다면 어디까지 갈 수 있을지는 아무도 모를 일이다.] 이전의 최고기록과는 6천m 차이, 이후 13년 동안 타이틀을 보유했다. == 모형화/여담 == 예전 에이스 모형과 강남모형이 1/72 스케일의 제품을 내놓았다. 에이스 모형은 일본 하세가와의 1968년작 품번 JS-027을 카피해 1981년도에 국내 출시하였고, 이 금형을 기반으로 1988년, 미국 레벨사에 OEM 납품한 것으로 보인다. 이후 1990년대 초반에 다시 강남 모형에서 동금형 기반 제품을 출시하였는데, 금형이 어떻게 돌아갔는지 모르겠으나 당시 낙후된 국내 프라모델 개발 현실을 엿볼 수 있는 씁쓸한 대목. 지금은 [[트럼페터(모형 메이커)|트럼페터]]가 1/72, 1/48 모두 발매해 적절한 값에 큼직한 크기와 준수한 디테일의 비질란테를 만들 수 있다. [[아카데미과학]]이 발매한 1/800 CV-63 키티 호크, CVN-68 니미츠를 비롯한 1/800 스케일과 1:600 [[엔터프라이즈급 항공모함|CVN-65 엔터프라이즈]] 항모 프라모델을 사면 갑판 위에 올리는 탑재기로 들어있다. 엄지손톱만한 크기긴 해도 그 중에선 대형인데다가 미 해군기 중에선 특이한 외형이라서 알아보기 쉽다. 다만 설명서의 안내도를 보면 왠 [[F-5]]라고 설명이 쓰여있었다가 최근 들어 박스 리뉴얼과 함께 수정되었다.[* 그러나 1:700 CVN-73 조지워싱턴은 [[이탈레리]] 제품을 재포장'''만'''한 것이라서 포함되어있지 않다.] [[분류:미군/항공기]][[분류:공격기]][[분류:정찰기]][[분류:항공 병기/현대전]][[분류:1961년 공개]][[분류:1970년 단종]]